KR101357109B1 -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09B1
KR101357109B1 KR1020120049537A KR20120049537A KR101357109B1 KR 101357109 B1 KR101357109 B1 KR 101357109B1 KR 1020120049537 A KR1020120049537 A KR 1020120049537A KR 20120049537 A KR20120049537 A KR 20120049537A KR 101357109 B1 KR101357109 B1 KR 10135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impeller
supply port
material suppl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911A (ko
Inventor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2004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4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by using feed frames or shoes with relative movement with regard to the mould 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임펠러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 잉여 원료는 원심력에 의해 원료공급구의 타측을 통해 디스크에 원료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디스크에 원료를 충분하게 충진할 수 있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Feeder asssembly}
본 발명은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임펠러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되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174102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에 분말원료를 공급투입하는 로터리식 원료공급장치는 도9에서와 같이 별도의 웜기어모터(61)의 구동력이 유니버셜조인트(62)를 통하여 임페라하우징(63) 내부에 설치된 임페라(64)와 그 아래에 일체로 형성된 공급기(66)의 임페라(64)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임페라커버(65)의 원료투입공(65a)으로 투입된 원료가 임페라(64)에 의하여 정제성형공에 공급도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안은 호파 내부에 분말로된 원료를 투입하고 운전자가 콘트롤박스를 조작하여 작업에 알맞은 조건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중량편차조절부를 기어더모터의 구동으로 조절하여 정제 분말원료의 투입량을 설정하고 메인테이블 아래측 본체 내부에 설치된 승강시스템의 워엄기어를 회동시켜서 이에 나사결합된 승강핀이 결합되어있는 예압롤러와 본압롤러를 상승 하강하며 정제 성형압력을 조절한다.
상기와같이 작업조건의 설정이 끝나면 운전자는 콘트롤박스에 구성된 운전버턴을 조작하여 운전을 하게되는바, 메인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여기에 축착된 메인디스크와 상부펀치홀더와 하부펀치홀더가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웜기어모터(61)가 회동하여 이와 유니버셜조인트(62)로 연결된 임페라(64)가 회동하면서 호파(6)등의 외부공급장치로부터 로터리식 원료공급장치의 원료투입공(65a)으로 공급된 원료를 공급기(66)가 중량편차조절부 위치의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에 연속 반복적으로 투입한다. 이와 같이 분말원료가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에 정제를 성형하기에 알맞은 량이 투입되면 메인디스크의 상측에 일체로 설치된 상부펀치홀더의 정제성형용 상부펀치는 상부트랙의 하강부에 안내되어 하강하여서 분말원료가 투입된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으로 삽입되어 예압롤러 측으로 안내되고, 메인디스크의 하측에 일체설치된 하부펀치홀더의 정제성형용 하부펀치는 하부트랙의 상승부에 안내되어 예압롤러에 안내된다. 이와 같이 예압롤러에 안내된 정제성형용 상,하부펀치가 예압롤러를 통과하면서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에 투입된 분말원료를 1차 압축하면 다시 본압롤러를 통과하면서 완전한 정제로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본압롤러를 통과하면서 정제가 완성되면 상부펀치홀더의 정제성형용 상부펀치는 상부트랙의 상승부에 안내되어 상승하여서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을 탈출하고 하부펀치홀더의 정제성형용 하부펀치는 하부트랙의 이젝트부에 안내되어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에 성형되어있는 정제를 메인디스크의 정제성형공으로 부터 밀어내면 이들 정제가 메인디스크 외부로 배출되어 한 사이클이 끝나게 된다. 상기한 동작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제가 성형되는 것이다.
종래의 원료공급장치구조는 필링(Filling)영역 전구간이 임페라 윙 범위에 있게 하기 위해 임페라가 2개 이상 이었으며, 원료공급장치에 동력전달 구조가 복잡해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생산 할 타블렛의 변경시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때 어려움이 있었다. 세척작업을 할 때는 더욱 어려움이 있다. 물 또는 세정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세척작업을 할 때 동력전달부로 물 또는 세정제가 흡수되어 녹이 발생하거나 다음 작업 때 까지 흡수된 물과 세정제가 남아있는 문제가 있었다.
임페라가 1개인 원료공급장치구조 역시 필링영역의 전구간이 임페라 윙의 범위에 있었다. 이는 메인디스크에 충분한 원료(원료)를 공급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디스크에 충분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임펠러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디스크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은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임펠러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 잉여 원료는 원심력에 의해 원료공급구의 타측을 통해 디스크에 원료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디스크에 원료를 충분하게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잉여 원료가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원료공급구를 챔버 내부에 구성하여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크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은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보다 상류에 배치되어, 원료가 더욱 효과적으로 디스크에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챔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낮춰서, 챔버 내부 압력에 의한 원료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피더의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챔버와 임펠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와 외부커버의 저면 분리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런스 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클리어런스 패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에서 외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정제기 원료공급장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는, 임펠러(300)와, 상기 임펠러(300)를 둘러싸는 챔버(200)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200)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227)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227)의 일측(227a)은 상기 임펠러(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227b)은 상기 임펠러(300)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300)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피더의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피더는 내부에 임펠러(300)가 설치되는 챔버(200)와 임펠러(300)를 회전시키도록 임펠러(30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직렬연결되는 구동원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챔버(200)와 구동축이 삽입된 동력전달부와 구동원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챔버(200)의 일측에는 챔버(20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는 다이(미도시)가 고정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더는 도1과 같이 상부에 원료가 주입되는 주입부(100)가 형성되는데 주입부(100)는 챔버(200)의 상측에서 챔버(200)의 중심으로부터 한 쪽으로 치우쳐 있도록 편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입부(100)는 챔버(200)의 중심에서 한 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주입부(100)의 중심이 임펠러(300)의 날개(340)에 위치됨으로써 원료가 임펠러(300)의 회전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다이(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주입부(100)는 원료가 안정적으로 챔버(200) 내부에 주입되도록
허리부(103)를 기점으로 위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주둥이(101)는 끝부분 원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주입부(100)의 몸통(105)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주입부(100)로 주입되는 원료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몸통(105)은 하부가 삽입부(201)에 삽입 설치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챔버(200)와 임펠러(3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와 외부커버의 저면 분리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에서 외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챔버(200)는 크게 편심된 주입구(211)가 형성된 외부커버(210)와, 클리어런스 패드(230)가 설치되며 외부커버(210)와 결합되는 베이스(220)와, 외부 커버(210)와 베이스(220)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임펠러(300)와, 임펠러(300)의 중심에 결합되어 임펠러(30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진다.
챔버(200)는 임펠러(300)를 둘러싼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부커버(210)는 크게 주입부(100)의 몸통(105)이 체결되는 삽입부(201)와, 삽입부(201)에서 연장되면서 속이 빈 원형 판 모양의 편평면(214)에 설치된 볼록부(218)로 이루어진다.
볼록부(218)의 상단 좌측에는 주입부(100) 몸통(105)이 삽입되는 삽입부(201)가 설치된다.
외부커버(210)의 하단에 형성된 편평면(214)에는 베이스(220)의 원주면상에 형성된 제2결합홀(222)과 대응하는 제1결합홀(215)이 복수개 형성되어 제2결합홀(222)과 제1결합홀(215)이 서로 나사체결 된다.
편평면(214)에는 우측에 통공된 제1홀(216)이 형성되고 제1홀(216)은 마개(미도시)로 개폐될 수 있다.
제1홀(216)은 사용자가 챔버(200)를 청소할 때 마개(미도시)를 열어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임펠러(300)는 가운데가 위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중심부(320)를 형성한다.
날개(340)는 중심부(320)의 하측 원주를 따라 중심부(320)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뻗은 직선형 막대 형상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300)에는 날개(340)와 중심부(320)가 만나는 곳에는 라운드진 라운드면(330)이 형성되고 라운드면(330)과 라운드면(330) 사이에는 중심부(320)의 경사면에 해당하는 제1경사면(350)이 형성된다.
임펠러(300)의 중심부(320)에는 상측에 제1체결홀(310)이 형성된다.
직선홈(370)은 임펠러(300)의 제2경사면(360)에서 연장되어 임펠러(300)의 회전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임펠러(300)의 아래면에서 직선형상의 홈을 형성하면서 파여 있다.
직선홈(370)에는 직선형상의 막대부재(380)가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임펠러(300)의 바닥면에서 돌출된다.
막대부재(380)는 베이스(220)의 바닥면과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고 있어 임펠러(300)가 회전함에 따라 임펠러(300)와 함께 베이스(220)의 바닥면 위에서 회전하면서 베이스(220)의 바닥면으로 흘러들어 온 원료를 원료공급구(227)로 내보낸다.
다시 말해, 막대부재(380)는 원료가 제2경사면(360)를 지나 베어링(500)으로 흘러들어 가지 못하도록 하여 베어링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막대부재(380)는 직선홈(37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베이스(220)는 일측이 원료를 공급받는 다이(미도시)의 원호와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고 타측이 베이스(2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벽(223)으로 둘러싸이고,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227)가 형성되고, 원료공급구(227)과 베이스(220)의 측벽(223)이 만나는 일 지점에서 끼움홈(226)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220)는 원주면을 따라 외부커버(210)에 형성된 제1결합홀(215)에 대응하여 나사체결 가능한 제2결합홀(222)을 복수개 형성한다.
베이스(220)에는 일측에 개구된 원료공급구(227)이 형성된다.
원료공급구(227)는 회전하는 다이(미도시)의 원호와 대응되도록 우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휘어져 형성된다.
원료공급구(227)의 일측(227a)은 임펠러(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227b)은 임펠러(300)의 구동축으로부터 임펠러(300)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즉,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은 임펠러(300)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은 디스크 회전방향(도 8에서 화살표 방향)의 선단에 배치되고, 원료공급구(227)의 일측(227a)은 디스크 회전방향의 후단에 배치된다. 즉, 디스크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은 원료공급구(227)의 일측(227a)보다 상류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은 필링영역이 된다.
이로 인해, 임펠러(300)의 날개(340)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 이외의 잉여 원료는 원심력에 의해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으로 이송되고,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으로 이송된 원료는 디스크에 일차적으로 원료를 공급하고, 임펠러(300)의 날개(340)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는 원료공급구(227)의 일측(227a)을 통해 디스크에 이차적으로 원료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을 통해 디스크에 원료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디스크에 원료를 충분하게 충진할 수 있다.
바닥면에는 원주를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223)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측벽(223)에는 내주면(221)이 마련된다.
측벽(223)의 좌우 양단에는 고정홈(225)이 형성되어 챔버(200)를 도1과 같이 정제기(미도시)에 고정시킨다.
내주면(221)은 임펠러(300)의 날개(340) 끝부분과 접촉하지는 않고 조금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바닥면에는 원료공급구(227)의 우측에서 원형의 개구부(224)가 형성된다.
개구부(124)는 원료공급구(227)의 타측(227b)보다 상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개구부(124)로 인해, 챔버(200) 내부의 압력을 낮춰서, 챔버(200) 내부 압력에 의한 원료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개구부(224)는 베이스(22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개구부(224)는 피더가 사용될 때에는 막혀있다가 사용자가 피더를 청소할 때는 개방되어 베이스(220)에 쌓인 원료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220)는 중심에 베어링(500)이 설치되는 안착홈(228)을 형성한다.
안착홈(228)은 베이스(2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제3경사면(229)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제3경사면(229)은 외주면이 상부 방향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하고 있어 원료가 베어링(500)에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여 베어링(500)의 손상을 막아준다.
제3경사면(229)은 중심부(219)의 외주면을 이룬다.
안착홈(228)의 중심은 관통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런스 패드(230)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클리어런스 패드(230)의 배면 사시도이다.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원료공급구(227)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제1면(231) 내지 제3면(233)과 끼움홈(226)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제1면(231) 내지 제3면(233)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7)과 베이스(220)의 측벽(223)에 접촉하는제4면(234)으로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면(234)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면(231)이 형성된다.
제1면(231)의 좌측모서리에는 제2면(232)이 형성되고 제3면(233)은 제2면(232)에서 연장되고 제1면(231)의 맞은편에 형성되고 제4면(234)에 연결된다.
제4면(234)은 베이스(220)의 측벽(223)에 밀착되어, 클리어런스 패드(230)를 지지한다.
끼움홈(226)은 원료공급구(227)과 베이스(220)의 측벽(223)이 만나는 곳에서 베이스(220)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다.
클리어런스 패드(230)의 토출구(236)는 제1면(231)과 제2면(232), 제3면(233), 제4면(234)에 의해 폐구간으로 형성된다.
제1면(231)과 제2면(232), 제3면(233)은 서로 높이가 동일하며 제4면(234)은 이들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원료공급구(227)에 결합되는데, 제2면(232)이 끼움홈(226)으로 진입함으로써 제1면(231)은 베이스(220)의 원료공급구(227)의 우측면에 접촉하고 제2면(232)과 제4면(234)은 각각 베이스(220)의 원주면에 대응되도록 접촉하여 설치된다.
원료는 원료공급구(227)에 설치되는 클리어런스 패드(230)의 토출구(236)만을 통해서 다이(미도시)로 공급되며 피더가 작동시에 챔버(2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제4면(234)의 우측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되며, 제4면(234)의 저면에는 안내면(238)이 형성되고, 안내면(238)과 제1면(231)내지 제3면(233)의 하면에는 토출구(236)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239)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는 다이(미도시)가 클리어런스 패드(230)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회전하는 다이(미도시)에 뭍어 있는 불순물이 챔버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해 주어 원료가 다이(미도시)에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다이(미도시)나 임펠러(300) 또는 베이스(220)보다 낮은 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어런스 패드(230)는 소모성이기 때문에 베이스(22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7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외부커버(210)는 중심부(219)가 형성된 베이스(220)와 서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이룬다.
임펠러(300)는 회전중심 상단에 편평부(301)가 형성되고 편평부(301)의 하측에는 중심부(219)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면서 챔버(200)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특수베어링은 상부베어링(510)과 하부베어링(520)으로 이루어지며 내열성,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약품성, 내피로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갖는다.
특수베어링은 편평부(301)와 중심부(219)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더에는 상부더스트씰(910)과 하부더스트씰(920)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씰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더스트씰(910)은 특수베어링과 편평부(301)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더스트씰(920)은 특수베어링과 중심부(219)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은 특수베어링 및 더스트 씰 및 임펠러(300)의 중심을 연결하여 임펠러(300)를 회전시킨다.
더스트 씰은 피더가 작동시에 원료가 특수베어링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펠러(300)의 작동을 원활히 함으로써 원료가 다이(미도시)로 정량 공급되도록 돕는다.
고정부재(400)는 구동축에 직결되어 회전한다.
외부커버(210)는 베이스(220)에 결합되어 임펠러(300)가 회전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임펠러(300)는 회전 중심에 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된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400)에 형성된 플랜지(410)가 임펠러(300)의 중심을 지지한다.
하부베어링(520)은 플랜지(41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부재(400)에 끼워지고, 하부베어링(520)의 아래로 하부더스트씰(920)이 고정부재(400)에 끼워진다.
하부더스트씰(920)은 하부베어링(520)으로 원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임펠러(300)에는 회전중심 상단에서 편평하게 형성된 편평부(301)가 형성된다.
상부더스트씰(910)은 편평부(301)의 상부에서 고정부재(400)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부더스트씰(910) 위로 상부베어링(510)이 고정부재(400)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부더스트씰(910)은 상부베어링(510)으로 원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베어링(510)은 상부에 외부커버(210)의 볼록부(218) 하면과 접촉하여 지지된다.
임펠러(300)는 고정부재(400)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부베어링(510)과 하부베어링(520) 때문에 상하로 흔들림이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임펠러(300)가 베이스(220)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피더에 상부더스트씰(910)과 하부더스트씰(920)이 설치되기 때문에 클리어런스 패드(230)에 형성된 토출구(236)를 통해 원료가 다이(미도시)로 공급될 때, 회전하는 임펠러(300)에 의해 원료가 상부베어링(510) 및 하부베어링(52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펠러(30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있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고정부재(400)는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 플랜지(410)가 형성되고, 베어링(500)은 상부베어링(510)과 하부베어링(520) 두 개로 이루어진다.
구동축은 구동원에 직렬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구동축은 구동원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원의 회전력을 다이렉트로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구동축의 상부에는 고정부재(400)가 결합되는데 고정부재(400)와 구동축 사이에는 베어링(500)이 결합된다.
고정부재(400)는 임펠러(300)에 결합되고, 임펠러(300)는 베어링(500)에 의해 베이스(220)에서 지지되면서 구동원로부터 구동축이 전달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피더는 피더의 하부에 구동원을 갖고 구동원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동축 상단에서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임펠러(300)를 고정하고, 베어링(500)이 베이스(220)의 안착홈(228)에 설치되고 임펠러(300)의 상부를 원료 주입부(100)가 형성된 외부커버(210)로 차폐함으로써 구동축에 직렬 연결된 임펠러(300)가 챔버(20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피더는 하부에 구동원이 마련되고, 구동축은 구동원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된다.
구동축의 상부에는 베어링(500)과 고정부재(400)가 차례로 삽입 설치된다.
베어링(500)은 상부베어링(510)과 하부베어링(520) 두 개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베어링(510)은 베이스(220)의 안착홈(228) 상단에 삽입되고 하부베어링(520)은 베이스(220)의 안착홈(228) 하면에 접촉된다.
상부베어링(510)은 임펠러(300)를 지지한 채로 임펠러(300)가 베이스(220) 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400)에는 측면에 원주둘레를 따라 플랜지(410)가 형성된다.
플랜지(410)는 임펠러(300)의 제1체결홀(31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홀(420)을 형성하여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420)이 서로 나사결합 됨으로써 임펠러(300)를 구동축에 고정시킨다.
외부커버(210)는 임펠러(300)가 안착되는 베이스(220)의 상부에서 클리어런스 패드(230)가 장착된 베이스(220)에 결합된다.
다이(미도시)는 피더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클리어런스패드(230)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원료가 다이(미도시)로 공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는 외부커버(21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하여 챔버(200)내부에 투입된다.
투입된 원료는 회전하는 임펠러(300)의 제1경사면(350) 및 라운드면(330)의 안내를 받으면서 클리어런스 패드(230)의 토출구(236)로 빠져 나가 다이(미도시)에 최종 공급된다.
임펠러(300)는 구동원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된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원료가 다이(미도시)에 일정량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결국 원료의 충분한 공급과 충진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피더의 구조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의 임펠러(300)와 임펠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원에 직렬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그 구조가 단순하므로 피더의 유지, 보수 및 세척작업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입부 101 : 주둥이
103 : 허리부 105 : 몸통
200 : 챔버 201 : 삽입부
210 : 외부커버 211 : 주입구
212 ; 직선부 213 : 곡선부
214 : 편평면 215 : 제1결합홀
216 : 제1홀 217 : 제4경사면
218 : 볼록부 219 : 중심부
220 : 베이스
221 : 내주면 222 : 제2결합홀
223 : 측벽 224 : 개구부
225 : 고정홈 226 : 끼움홈
227 : 원료공급구 227a : 일측
227b : 타측 228 : 안착홈
229 : 제3경사면 230 : 클리어런스 패드
231 : 제1면 232 : 제2면
233 : 제3면 234 : 제4면
236 : 토출구
237 : 슬라이드홈 238 : 안내면
239 : 단턱 300 : 임펠러
301 : 편평부
310 : 제1체결홀 320 : 중심부
330 : 라운드면 340 : 날개
350 : 제1경사면 360 : 제2경사면
370 : 직선홈 380 : 막대부재
400 : 고정부재 410 : 플랜지
420 : 제2체결홀 500 : 베어링
510 : 상부베어링 520 : 하부베어링
910 : 상부더스트씰 920 : 하부더스트씰

Claims (3)

  1.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는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임펠러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
    잉여 원료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디스크에 원료를 공급하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크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은 상기 원료공급구의 일측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료공급구의 타측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KR1020120049537A 2012-05-10 2012-05-10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KR10135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37A KR101357109B1 (ko) 2012-05-10 2012-05-10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37A KR101357109B1 (ko) 2012-05-10 2012-05-10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11A KR20130125911A (ko) 2013-11-20
KR101357109B1 true KR101357109B1 (ko) 2014-02-04

Family

ID=498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37A KR101357109B1 (ko) 2012-05-10 2012-05-10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05A1 (ko) * 2014-06-03 2015-12-10 한미약품 주식회사 임펠러형 피더를 갖는 정제형 제품 타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406436T3 (pl) * 2017-05-24 2020-03-31 Korsch Ag Modułowy podajnik zasypowy dla prasy rotacyjnej
DE102021123339B3 (de) * 2021-09-09 2022-08-25 Fette Compacting Gmbh Fülleinrichtung zum Befüllen von Kavitäten einer Rundläuferpresse sowie Rundläuferpresse und System zum kontinuierlichen Verarbeiten von pulverförmigen Produkt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711B2 (ja) * 1988-10-07 1998-05-20 ジャパ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錠剤計測装置
KR100650431B1 (ko) 2005-10-21 2006-11-29 주식회사 팜텍코리아 로타리식 정제 압축성형기의 분말원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711B2 (ja) * 1988-10-07 1998-05-20 ジャパ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錠剤計測装置
KR100650431B1 (ko) 2005-10-21 2006-11-29 주식회사 팜텍코리아 로타리식 정제 압축성형기의 분말원료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05A1 (ko) * 2014-06-03 2015-12-10 한미약품 주식회사 임펠러형 피더를 갖는 정제형 제품 타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11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109B1 (ko)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PE20070411A1 (es) Sistema de recirculacion de agua en una maquina para lavar ropa
CN205073937U (zh) 一种冷冻食品双涡轮搅拌机
CN208967448U (zh) 一种轴承打油机
CN204395813U (zh) 高效环保混料机
CN208856536U (zh) 一种原料供给装置
KR101306251B1 (ko) 피더
CN208230014U (zh) 一种机械设备的加料装置
CN110833338A (zh) 食物处理机
KR101309268B1 (ko) 피더
KR101529948B1 (ko) 교반기용 회전축 밀봉장치
CN209207226U (zh) 一种研磨抛光用滴料器
CN201690958U (zh) 一种新型偏心式和面机
CN202262846U (zh) 一种研磨式豆浆机
CN213913255U (zh) 一种高效双运动混合机
CN205821243U (zh) 连续式生物质裂解器用边缘传动出料装置
CN205585246U (zh) 一种冰激凌机
CN109079653A (zh) 一种研磨抛光用滴料器
CN220026929U (zh) 一种有机肥生产用具备烘干功能的有机肥造粒机
CN203993450U (zh) 一种新型陶瓷磨底机
CN213376451U (zh) 一种混合机卸料机构
CN212657992U (zh) 一种饲料混和干燥装置
CN217211778U (zh) 一种磨料纯度检验装置
CN212128651U (zh) 一种用于接装纸的磨浆装置
CN208228279U (zh) 一种带粉碎搅拌功能的饲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