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78B1 -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078B1
KR101357078B1 KR1020120103334A KR20120103334A KR101357078B1 KR 101357078 B1 KR101357078 B1 KR 101357078B1 KR 1020120103334 A KR1020120103334 A KR 1020120103334A KR 20120103334 A KR20120103334 A KR 20120103334A KR 101357078 B1 KR101357078 B1 KR 10135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shell
fraction
supernatant
osteoarthriti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주
한지숙
변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10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078B1/ko
Priority to US14/429,321 priority patent/US9937210B2/en
Priority to PCT/KR2012/010985 priority patent/WO20140463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2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entrif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굴 패각(貝殼)을 이물질 제거 및 세척과정을 거쳐 건조하여 분말로 한 다음 구연산 수용액과 반응시켜 반응생성물을 얻은 후 이를 원심분리시켜 얻은 상등액을 한외 여과시켜 분리함으로써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으로서, 비교적 저온에서 반응시키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Process for Seperation of Cutoffs having Anti-inflamentary or Osteoarthritis Inhibition Effects Using Oyster Shells}
본 발명은 굴 패각(貝殼)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굴 껍질을 이물질 제거 및 세척과정을 거쳐 건조하여 분말로 한 다음 구연산 수용액과 반응시켜 반응생성물을 얻은 후 이를 원심분리시켜 얻은 상등액을 한외 여과시켜 분리함으로써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패각과 무수구연산과 반응은 비교적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우리나라의 굴 패각은 한 해에 약 90만 톤이 발생되고 그 중 70만 톤은 폐기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폐기되는 굴 패각은 심각한 공해문제와 경제성 재평가 대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굴 패각의 주성분은 탄산칼슘(CaCO3)으로 약 95%를 함유하고 있으며, 탄산마그네슘(MgCO3), 황산칼슘(CaSO4)가 소량 포함되어 있다. 굴 패각의 용도는 각종 충전제, 종이 코팅제, 안료,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탄산칼슘(CaCO3)의 제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굴 패각을 연약 지반 개량재, 샌드 파일재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고, 국내에서는 칼슘공장 및 비료공장 등에서 굴 패각의 재활용량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적절한 처리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생체나 조직에서 염증이 일어나는 과정은 감염성 물질(infectious agents), 허혈(ischemia), 항원-항체 반응, 열 또는 다른 신체적인 상처 등과 같은 수많은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일련의 반응을 수반하며, 염증반응에는 홍반(erythema), 부종(edema), 압통(tenderness), 통증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아라키돈산은 cyclo-oxygenase(COX)에 의해서 생체 내 염증전달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종 prostaglandin과 혈소판 응집에 관여하는 thromboxane을 생성하는 데, COX 효소는 정상조직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X-1 효소와 염증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유도성 효소인 COX-2 효소로 구성되어 있다. COX-1 효소는 염증인자가 퍼지지 않도록 혈액을 응고시키고 피가 잘 통하지 않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Thromboxan A2)을 만들어내는 효소이며, 동시에 위점막이 파괴되지 않도록 점막 보호물질을 만들어내는 효소다. 반면에, COX-2(type 2; induced form) 효소는 뇌와 신장에서 주로 발견되며, 일부 염증성 세포에서도 발견되고, 특히 염증부위에서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X-2 효소는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Prostaglandin E2를 생성하는 효소이며, 혈전을 예방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물질인 Prostacyclin(Prostaglandin I2)의 생성도 촉진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histamine), 세로토닌(serotonine), 브래드키닌(bradykinin), 프로스타그랜딘류(prostaglandins), 하이드록실-에이코사테트라에노익산(hydroxyl-eicosatetraenoic acid, HETE),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 손상에 따른 초기에 발생하는 적당한 염증은 손상부위에 대한 빠른 복구를 가져오기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손상부분에 대한 복구를 어렵게 하고 주위 세포에 대한 위해를 가하여 주변조직에 대한 방어력을 떨어뜨려 더욱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염증반응은 주변조직에 대한 지속적인 손상을 유도해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염증반응이 나타난 조직은 빠른 시간 내에 복구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도록 적절한 항 염증제를 처치해야할 것이나,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성 제제들은 여러 가지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어 그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Miller M.J.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4, pp387-396. 1995: Appleton L. et al., Adv Pharmacol., 35, pp27-28, 1996).
한편, 최근 우리나라도 노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55세 이상의 경우 약 80%, 75세 이상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골관절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무릎 골관절염은 발병률이 매우 높고 염증이 계속되면 주위 근육의 위축을 유발시켜 관절의 기형까지도 초래할 수 있어 치료경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노령인구의 사회활동 저해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손실이 큰 질환이다.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인성 질환으로서,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를 기반으로 병변이 시작되어 운동 시 통증과 부종, 관절 강직감 및 점진적인 운동장애를 일으킨다. 골관절염에 있어,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성 매개체가 관절 연골조직의 메트릭스 성분의 퇴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Pelletier et al., 1993), 특히, 인터류킨-1β(IL-1β)가 골관절염의 병리생리학에 관여하는 중요한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Dinarello et al., 1988). 이는 COX 유전자 상향-조절 및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방출을 포함한 콘드로사이트에서의 순차적 이화작용을 유발시킨다(Stichtenoth et al., 2001).
이러한 약리학적 처리 중에서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이 심각한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의 사용과 관련하여 가장 널리 처방되는 골관절염용 약물 중 하나인데(Abramson et al., 2003), 최근 골관절염의 발병 및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새로운 연구 노력이 꾸준히 경주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굴 패각에 비교적 저온에서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에너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얻은 상등액으로부터 간단한 방법으로 항염증 효과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굴 패각을 비교적 저온에서 구연산 수용액과 반응시켜 얻은 반응생성물 중 상등액을 한외 여과시켜 분리함으로써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비교적 저온에서 반응시키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에 있어서, 1)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 2)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 3)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 4)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건조시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단계 중 상기 구연산 수용액은 0.1~1.0M 농도로서 10ℓ의 용량으로 하되, 굴 패각 분말에 무수구연산을 1 : 0.9606~1.9212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여 4~100℃에서 1~24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 중 한외여과막은 10Kda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 중 한외여과막은 3KDa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 2)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0.1~1.0M 농도의 구연산 수용액 10ℓ을 가하되, 상기 굴 패각 분말과 무수구연산을 1 : 0.9606~1.9212 중량부의 비율로 하여 4~100℃에서 1~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 3)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 4)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3KDa의 크기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건조시켜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은
첫째, 비교적 저온에서 굴 패각에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에너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얻은 상등액을 한외 여과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의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회수된 분획물 3의 NO 생성 효과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회수된 분획물 3의 세포내 활성산소 생성율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회수된 분획물 3의 지질과산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릎 관절 표면에 대한 그룹간 차이를 분석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염증 사이토카인 TNF-α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염증 사이토카인 IL-1β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염증 사이토카인 IL-6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포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은 1)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 2)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 3)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 4)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건조시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는 굴 양식장 등에서 발생되는 굴 패각을 수거하면 그 표면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를 칼 등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이어서 굴 패각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자연 건조시킨 후에 구연산 수용액과 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밀(air mill)을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인 50~300mesh로 건식 분쇄한다.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는 본 발명의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제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중 중요한 단계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반응생성물을 얻기 위한 반응물질로서 무수구연산은 분자식이 C6H8O7 또는 HOC(CO2H)(CH2CO2H)2이다. 이는 칼슘(Ca)과 만나면 수소이온(H+)을 잃고 칼슘과 반응하여 구연산칼슘이라는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그 과정에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 기체가 발생하며, 구연산 한 분자는 최대 3개의 칼슘 원자와 반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화학식은 다음 (1) 내지 (3)과 같다.
HOC(CO2H)(CH2CO2H)2 + CaCO3 → HOC(CO2Ca)(CH2CO2H)2 + CO2↑ + H2O (1)
HOC(CO2Ca)(CH2CO2H)(CH2CO2H) + CaCO3 → HOC(CO2Ca)(CO2Ca)(CH2CO2H) + CO2↑ + H2O (2)
HOC(CO2Ca)(CH2CO2Ca)(CH2CO2H) + CaCO3 → HOC(CO2Ca)(CO2Ca)2 + CO2↑ + H2O (3)
만일, 구연산에 3개의 칼슘이 모두 결합한다고 하면 화학식은 다음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HOC(CO2H)(CH2CO2H)2 + 3CaCO3 → HOC(CO2Ca)(CH2CO2Ca)2 + 3CO2↑ + 3H2O (4)
이 때 칼슘과 구연산의 결합은 칼슘을 공유하는 형태로 칼슘 원자 주위를 구연산기가 둘러싸면서 거대 분자가 형성되어 침전이 일어나게 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2개의 구연산 분자와 3개의 탄산칼슘이 반응을 하며, 구연산 분자량은 192.12, 탄산칼슘 분자량은 100.09이다.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어진 굴 패각 분말에 무수구연산을 1 : 0.9606~1.9212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여 비교적 저온인 4~100℃에서 1~24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구연산은 물에 녹여 구연산 수용액으로 하여 사용하는데, 0.5M 구연산 수용액 10ℓ(무수구연산 0.9606~1.9212㎏)을 굴 패각 분말 1㎏에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반응시킨다.
이 때 무수구연산의 첨가량이 0.192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굴 패각 분말과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1.92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구연산의 잔류량이 발생되어 구연산칼슘의 순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반응온도가 4℃, 반응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느려져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100℃, 24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속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에너지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는 굴 패각 분말이 구연산과 반응됨으로써 생성된 반응생성물에는 구연산칼슘, 물, 이산화탄소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기체이므로 공중으로 날아가고 남은 혼합액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과 침전물인 펠레상 구연산칼슘을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때 원심분리는 상온에서 20분간 8,000rpm으로 하여 상등액과 펠렛상 침전물을 서로 분리한다.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회수한 상등액을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는데, 이 때 한외여과막은 분획분자량(Cutoff molecular weight)이 10KDa과 3KDa인 2개를 사용함으로써 10KDa 이상에서 분리된 분획물(이하 “분획물 1“이라 한다), 3KDa과 10KDa 사이에서 분리된 분획물(이하 “분획물 2“이라 한다), 3KDa 이하에서 분리된 분획물(이하 “분획물 3“이라 한다)을 각각 얻는다. 계속하여 얻어진 분획물 1, 2, 3을 진공건조기에서 각각 건조시킴으로써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굴 패각을 이용한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은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과 비교하여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10KDa 및 3KDa의 크기의 한외여과막을 사용하는 대신에 3KDa의 크기의 한외여과막만을 이용하여 분획물 3을 얻는 차이만 있을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굴 양식장에서 발생되는 굴 패각을 수거하여 그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자연 건조시킨 후에 에어밀을 사용하여 50~300mesh로 건식 분쇄하였다. 무수구연산 0.9606㎏을 물에 녹여 0.5M 구연산 수용액 10ℓ로 만든 다음 굴 패각 분말 1㎏에 가하여 잘 혼합한 후에 혼합액을 3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은 반응생성물을 4℃에서 20분간 8,000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상등액과 펠렛상 침전물을 서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을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는데, 이 때 한외여과막은 분획분자량이 10KDa과 3KDa인 2개를 사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회수된 분획물을 진공건조기에서 각각 건조시킨 결과 10KDa 이상에서 분리된 분획물 1을 0.3g(회수율 0.014%), 3KDa과 10KDa 사이에서 분리된 분획물 2를 0.6g(회수율 0.029%), 3KDa 이하에서 분리된 분획물 3을 24.5g(회수율 2.45%) , 상기 3가지의 분획물을 합하여 모두 25.4g을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얻은 분획물 중 한외여과막의 분획분자량이 3KDa 이하에서 분리된 분획물 3을 24.6g 얻었다.
<비교예 1>
Cyclo-oxygenase(COX)를 비선택적으로 강력히 억제하는 약물 중의 하나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은 항염증 작용이 있으므로 주로 골관절염 등에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교약물로서 10mM 인도메타신 35.779㎍을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분획물 1, 2, 3 및 인도메타신에 대하여 각각 여러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Cyclo-oxygenase(COX)-2 저해활성
실시예 1에서 회수된 분획물 1, 2, 3 및 비교예 1의 인도메타신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간단하고 빠르게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 Cayman사에서 제작 판매중인 COX-2 키트를 사용하여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96 well plate의 2 well에 10㎕ 헴(heme), 10㎕ assay buffer(100mM Tris-HCl, pH 8.0), 그리고 10㎕ 용매 (inhibitor를 녹였던 용매)를 첨가한다. Background well에는 2 well에 10㎕ heme, 10㎕ assay buffer, 그리고 10㎕의 용매를 첨가하고, 100% initial activity 측정을 위해 2 well에 10㎕ heme, 10㎕ 효소(COX-2) 그리고 10㎕의 용매를 첨가한다. 샘플(inhibitor)의 COX 저해활성 측정을 위해 2 well에 10㎕ heme, 10㎕ 효소(COX-2) 및 10㎕의 샘플을 첨가하였다. Standard inhibitor로는 인도메타신을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에 녹여 처리하고, 샘플은 100mM Tris-HCl(pH 8.0)에 녹여 농도별로 처리하며, 모든 well에 200㎕의 assay buffer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발광분석기(SpectraMax L, Molecular devices, USA)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펜서로 모든 well에 10㎕의 chemiluminescent substrate를 첨가하고, 즉시 다른 하나의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50㎕의 아리키돈산을 첨가한 후 상대발광도(RLU)를 발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COX-2 저해활성은 다음 [표 1]과 같이 10mM 인도메타신이 79%, 분획물 1이 25%, 분획물 2가 7%, 분획물 3이 42%로 확인되었는바, 비교예 1의 인도메타신에 비해 실시예 1의 분획물 1, 3은 낮은 농도에서도 COX-2 저해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분획물 중 분획물 3이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다.
COX-2 저해 활성
농도(μg) COX-2 저해 활성(%)
비교예 1 35.779 79 ± 12
실시예 1, 분획물 1 10.0 25 ± 9
실시예 1, 분획물 2 10.0 7 ± 12
실시예 1, 분획물 3 10.0 42 ± 8
* All experimental date were mean±SD of triple determinations
<실험예 2> LPS로 유도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분획물 3의 항염증 효과
(1) 일산화질소(NO) 생성량 측정
96-well plate에 well당 2×104 cells/㎖로 세포를 주입하여 2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실시예 2의 분획물 3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시간 배양한다. Lipo poly saccharide(LPS)를 1㎍/㎖를 첨가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20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해 측정한다. 상층액의 NO 함량은 Griess 반응으로 측정한다. 50㎕의 상층액에 같은 양의 Griess 시약인 0.1% N-(1-naphthyl)-ethylenediamine,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를 넣어서 섞어주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배양하여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세포만 배양하고 NO 생성량을 100%로 고려했을 경우에 LPS를 처리한 경우 세포가 자극을 받아 NO 생성량이 196.7% 증가하였다. LPS 자극을 통해 증가된 NO 생성량은 분획물 3의 처리농도 10~100㎍/㎖에서 각각 125%, 120%, 110%, 101.7%로 측정되어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p<0.05)으로 NO 생성량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2) 세포내 활성산소 수준(ROS level)의 측정
Ddichlorofluorescein Diacetate(DCF-DA)는 세포에서 에세틸기를 제거하고, 그것이 세포내의 라디칼(주로 hydrogen peroxide)에 정량적으로 반응하여 DCF 형광물질로 변화되는 것을 원리로 측정한다. 결국, DCF-DA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있어 활성산소의 발생을 측정한다. 세포가 confluence 상태가 되면 96-well plate에 well당 2×104 cells/㎖로 seeding 하여 2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시간 배양한다. LPS(1㎍/㎖)를 첨가하여 20시간 배양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배양된 media를 제거하고, 세포는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두 번 세척한다. 세포에 100μM의 DCF-DA를 넣어 15분, 다시 60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여, DCF-DA 형광 상승률은 flow cytometer로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활성산소 생성율은 202.3% 이었으며, 분획물 3을 10~100㎍/㎖의 농도로 사전 처리했을 때 활성산소 생성율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100㎍/㎖의 농도에서는 107.8%로 대조군과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활성산소의 크게 나타났다.
(3) 지질과산화물 측정
지질 과산화 정도는 thiobarbituric acid 반응물질 생산량(TBARS)에 의해 Fraga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96-well plate에 well당 2×104 cells/㎖로 세포를 주입하여 2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시간 배양한다. LPS(1㎍/㎖)를 첨가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20시간 배양한 후 각 well 당 200㎕의 media 상층액을 코닝튜브에 담아 1시간 배양한 후 400㎕의 TBARS 용액을 넣어서 섞어주고, 95℃에서 20분간 끓인다. 냉각하면서 다시 섞어준 후에 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으로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지질 과산화물은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의 양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분획물 3을 처리했을 경우 지질과산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TBARS로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분획물 3의 10~50㎍/㎖ 농도에서 TBARS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의 관절염 저해 효과
(1) 실험동물 및 사육
8주령의 골관절염 동물 모델인 C57BL/6J 마우스 40마리를 (주)중앙실험동물(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온도 및 습도는 20±2℃, 50±10%로 유지하였고, 명암은 12시간 간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하였으며, 07:00~19:00에 불을 켜 두었다. 실험기간 동안 사료(오리엔트바이오, 서울, 한국)와 음수는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골관절염 모델 제조
골관절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생약제제의 효력시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유발하였다. 파페인(papain, type IV, double crystallized, 15 units/㎎, Sigma, USA)은 농도가 1.0%(w/v) 가 되도록 조정하여 papain이 활성화되도록 0.03ML-cystein HCl(Sigma, USA)을 보충한 다음 슬개골 인대를 통과하여 우측 슬관절강에 6를 투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시켰다.
(3) 실험군의 분류
실험동물을 실험환경에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체중을 측정하여 각 군당 체중이 고르게 8마리씩 배정하였다. 정상군은 우측 슬관절강에 생리식염수 6 주사하고 20일간 1일 1회 생리식염수 0.2㎖씩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 약물투여군, 분획물 3투여군은 우측 슬관절강에 papain 6를 주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후에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약물투여군은 Diclofenac sodium(DS, 2㎎/㎏/bw)을, 실시예 2의 분획물 3 투여군의 경우 100㎎/㎏/bw{이하 “분획물 3(100)이라 한다}, 200㎎/㎏/bw{이하 “분획물 3(200)이라 한다}을 20일 동안 매일 1회 정해진 시간에 경구 투여하였다.
(4) 표본 처리
실험 종료일에 모든 개체를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켜 심장채혈하고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심장채혈 직후에 우측 고관절 및 족근관절을 분리하여 슬관절 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출하였다. 우측 슬관절의 경골은 10% 중성 포르말린액에 24시간 고정한 후 관절의 육안 관찰에 사용하였다.
(5) 육안 관찰
고정된 우측 슬관절 연골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사진 촬영하여 육안으로 관절연골표면의 손상정도를 확인하였고, 무릎관절 표면에 대한 그룹 간 차이를 [도 5]에 제시하였다. 정상군의 무릎관절은 표면이 매끈하고 정상적인 구조를 나타냈는데 비하여, papain 투여 대조군은 전반적으로 무릎관절 표면이 거칠고 윤기가 없었다. 부위에 따라서는 연골의 색조가 변색이 되어있었고 불규칙한 형태로 연골 표면의 탈락이 관찰되었으며 비정상적인 구조를 나타냈다. DS 처치군은 papain 투여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육안소견이 비슷하였으나 변색된 범위가 줄어들어 있었고 육안적인 연골표면의 탈락은 관찰되지 않았다. 분획물 3의 처치군은 papain 투여 대조군에 비해 변색된 범위가 줄고 표면의 윤기가 증가되었으며 DS 처치군과 육안소견이 유사하였다.
(6) 골관절염 지수의 평가
골관절염 지수는 관절연골 및 활막에서 관찰된 병리조직학적 병변을 다음 [표 2]에 의한 Rudolphi 등의 방법에 준하여 계수화하였다.
Figure 112012075502219-pat00001
papain 투여 대조군 및 처치군에서 관찰된 개체별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골관절염 지수는 [표 3]과 같다. DS 처치군 및 분획물 3 처치군은 papain 투여 대조군에 비해서 골관절염 지수가 유의성(p<0.05) 있게 낮았으며, 분획물 3(200) 처치군이 분획물 3(100) 처치군보다 골관절염 지수가 낮았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개체별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골관절염 지수
Group and Identification No. Matrix
structure
Cellularity Subchondral
bone
Synovial
membrane
Sum of
osteoarthric
score
Papain 1 3 5 8 8 24
2 3 5 3 5 16
3 8 2 0 0 10
4 6 5 3 8 22
5 8 5 0 5 18
6 3 8 3 8 22
7 3 8 8 8 27
8 6 2 8 3 19
Mean 5.0 5.0 4.1 5.6 19.8
Papain+DS 1 1 2 3 0 6
2 1 2 0 1 4
3 3 2 3 3 11
4 3 2 0 0 5
5 3 2 0 3 8
6 6 2 0 3 11
7 3 2 3 0 8
8 1 2 0 3 6
Mean 2.6 2.0 1.1 1.5 7.4
Papain+
분획물 3
(100)
1 3 2 0 3 8
2 6 5 3 5 19
3 3 2 3 3 11
4 3 2 3 3 11
5 6 5 5 3 19
6 8 5 3 3 19
7 3 2 3 3 11
8 5 5 3 3 16
Mean 4.6 3.5 2.9 3.3 14.3
Papain+
분획물 3
(200)
1 1 2 0 3 6
2 3 2 3 3 11
3 1 0 0 3 4
4 6 2 3 3 14
5 8 5 3 3 19
6 6 2 3 0 11
7 3 0 3 3 9
8 6 5 3 5 19
Mean 4.3 2.3 2.3 3.1 11.6
(7) 혈액 내 사이토카인 함량 측정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1β(IL-1β), 인터류킨-6(IL-6)의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각각 엘리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① 혈액 내 TNF-α 함량
Papain 주입에 의해 관절염이 유발된 동물에서 다량 생성되는 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에 대한 분획물 3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엘리사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도 6]과 같다. 혈액 내 TNF-α의 함량은 papain 투여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DS 및 분획물 3 처치군은 papain 투여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특히 분획물 3(200) 처치군은 DS 처치군과 비슷하게 TNF-α 함량이 낮았으며, 분획물 3(100) 처치군에 비해 유의성(p<0.05) 있게 낮았다.
② 혈액 내 인터류킨-1β 함량
Papain 주입에 의해 관절염이 유발된 동물에서 다량 생성되는 염증 사이토카인인 IL-1β에 대한 분획물 3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엘리사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도 7]과 같다. 혈액 내 IL-1β 함량은 papain 투여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DS 및 분획물 3 처지군은 papain 투여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p<0.05) 있게 낮았다. 분획물 3(200) 처치군이 분획물 3(100) 처치군에 비해 IL-1β 함량이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③ 혈액 내 인터류킨-6 함량
Papain 주입에 의해 관절염이 유발된 마우스 IL-6 함량의 차이는 [표 8]과 같다. 혈액 내 IL-6함량은 papain 투여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DS 및 분획물 3 처치군이 papain 투여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특히 분획물 3(200) 처치군이 분획물 3(100) 처치군에 비해 IL-6 함량이 유의성(p<0.05) 있게 낮았다.

Claims (7)

1)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
2)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구연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
3)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
4)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건조시켜 항염증 억제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단계 중 상기 구연산 수용액은 0.1~1.0M 농도로서 10ℓ의 용량으로 하되, 굴 패각 분말에 무수구연산을 1 : 0.9606~1.9212 중량부의 비율로 가하여 4~100℃에서 1~24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 중 한외여과막은 10Kda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 중 한외여과막은 3KDa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1) 굴 패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굴 패각을 분말화하는 예비단계;
2) 상기 예비단계에서 얻은 굴 패각 분말에 0.1~1.0M 농도의 구연산 수용액 10ℓ을 가하되, 상기 굴 패각 분말과 무수구연산을 1 : 0.9606~1.9212 중량부의 비율로 하여 4~100℃에서 1~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생성물을 얻는 반응단계;
3) 상기 반응단계에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하는 상등액 회수단계;
4) 상기 상등액 회수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3KDa의 크기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건조시켜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갖는 분획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분획물.
청구항 5의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이용한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
KR1020120103334A 2012-09-18 2012-09-18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KR10135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34A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2-09-18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US14/429,321 US9937210B2 (en) 2012-09-18 2012-12-17 Method for isolating fraction having anti-inflammatory or osteoarthritis-inhibiting effects by using oyster shell chips
PCT/KR2012/010985 WO2014046345A1 (ko) 2012-09-18 2012-12-17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34A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2-09-18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078B1 true KR101357078B1 (ko) 2014-02-03

Family

ID=5026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34A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2-09-18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7210B2 (ko)
KR (1) KR101357078B1 (ko)
WO (1) WO20140463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114A (ko) * 2017-08-10 2019-02-20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WO2020080573A1 (ko) * 2018-10-18 2020-04-23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4-02-03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US10322158B2 (en) * 2017-07-06 2019-06-18 Chen-Yu Lee Method of treatment of insulin-resistance diabetes mellitus
US10314876B2 (en) * 2017-07-06 2019-06-11 Chen-Yu Lee Method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caused by pancreatit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556B1 (ko) * 1996-03-26 1999-02-01 김광배 패각 용해액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666B1 (ko) * 1989-12-29 1998-12-01 스스무 에비스자끼 굴의 살을 자동으로 꺼내는 방법
JPH0642821B2 (ja) * 1990-11-21 1994-06-08 義美 安藤 粉末オイスタージユー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粉末オイスタージユース組成物による生鮮食品の鮮度保持法
KR100884641B1 (ko) 2007-06-11 2009-02-23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59556B1 (ko) 2008-04-23 2015-10-15 김선일 민물 고둥류로부터 분리된 알칼리 용액과 은 침전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살균 및 항균용 은 수용액 조성물
KR20100005861A (ko) 2008-07-08 2010-01-18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4-02-03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556B1 (ko) * 1996-03-26 1999-02-01 김광배 패각 용해액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114A (ko) * 2017-08-10 2019-02-20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KR102039347B1 (ko) * 2017-08-10 2019-11-01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WO2020080573A1 (ko) * 2018-10-18 2020-04-23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345A1 (ko) 2014-03-27
US9937210B2 (en) 2018-04-10
US20150238542A1 (en)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078B1 (ko)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KR100189144B1 (ko) 신규 생리 활성 물질
JP5196416B2 (ja) Limnocitruslittoralis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4666349A (zh) 含有蛋壳膜成分的胰岛素抵抗改善剂以及使用该改善剂的组合物
KR20120120515A (ko) 프로폴리스와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면역 증강 기능이 우수한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1043609A (en) Application of Acacia extracts and their phytocompounds on the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KR20040000046A (ko)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20741A (ko)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CN113116972B (zh) 黄毛耳草提取物在制备抗氧化和抗肿瘤药物中的应用
JP2007332119A (ja) 抗炎症剤
KR101790031B1 (ko) 인삼 추출물, 작약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 또는 난소절제로 인한 여성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02924B1 (ko) 대추나무주홍하늘소 유충의 똥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외용약
JP5984853B2 (ja) ジャワニッケイの抽出物、抽出方法、ならびにプロトンポンプダウンレギュレーター、酵素阻害剤および粘膜保護剤としてのそれの使用
AU2011229601B2 (en) Compositions of rose hips enriched with seeds of rose hips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natural medicine for alleviating/reducing symptom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joint diseases such as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nd/or osteo-arthritis
WO2012093919A2 (ko)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및 몰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40026277A (ko) 성기능 강화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Zhou et al. Pyrrosia petiolosa extract ameliorates ethylene glycol-induced urolithiasis in rats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KR20000002474A (ko) 퇴행성 대뇌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Momin et al. Determination of lipid and alkaloid content in some medicinal plants of genus Sesbania
JP6781925B1 (ja) ミネラル代謝異常抑制剤
JP6781924B1 (ja) ミネラル代謝異常抑制剤
CN112312967A (zh) 植物水及其应用
US20100028455A1 (en) Nutritional supplement
JP2006169184A (ja) 遠赤外線を発する黒鉛珪石微粒子コロイド水の製造方法
KR100607033B1 (ko) 항산화활성을 갖는 잠자리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