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641B1 -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641B1
KR100884641B1 KR1020070056691A KR20070056691A KR100884641B1 KR 100884641 B1 KR100884641 B1 KR 100884641B1 KR 1020070056691 A KR1020070056691 A KR 1020070056691A KR 20070056691 A KR20070056691 A KR 20070056691A KR 100884641 B1 KR100884641 B1 KR 10088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hiolin
activity
producing
contain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738A (ko
Inventor
박기태
김학주
이철원
김봉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7005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4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산을 이용한 탈석회 공정 등을 통하여 패각류로부터 수용성 콘키올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고수율로 간단하게 수득할 수 있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추출물은 인체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고, 우수한 항염증활성, 항산화활성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을 가지므로, 항염증제, 항산화제 및 피부미백제 등의 원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패각류, 콘키올린, 항염증제, 항산화제, 피부 미백제

Description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EPARING SOLUBLE CONCHIOLIN-CONTAINING EXTRACTS FROM SHELLS}
본 발명은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각류 분말을 아세트산으로 탈석회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2차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침전물을 요소에 녹여 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약처방 중 패각에 관한 처방으로는 13가지 종류(전복, 고막, 담치, 진주모, 유리조개, 굴, 가막(재첩) 조개, 대왕 조개, 백합, 바지락, 동죽, 칼조개, 맛조개)의 패각이 이용되고 있다. 이 패각들은 청열해독과 위, 장, 간, 폐, 결막, 피부 농창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고, 대부분 건조된 상태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한의학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패각의 종류 및 약성을 보면, 굴 패각은 폐결핵에 의한 패열, 임파선 결핵, 붕루대하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바지락 패각은 청열해독과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창(피부염) 등을 치료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피조개 패각은 위, 십이지장궤양 및 위통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동죽 패각은 위, 십이지장 궤양 및 화상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조개류의 패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경 단백질의 일종인 콘키올린(conchiolin)은, 피부 보습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품 또는 피부외용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콘키올린은 불용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화장품 등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용해가 필요하다.
종래 콘키올린을 제조 또는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는, 패각분말에 HCl, EDTA, NaOH 용액 등 강산이나 약알칼리 수용액을 첨가하여 탈석회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수득율 및 인체 적용율이 낮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상업화 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산인 아세트산을 이용하는 간단한 제조공정을 통하여 패각류로부터 인체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을 고수율로 수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각류 분말을 아세트산으로 탈석회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2차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침전물을 요소에 녹여 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각류가 굴, 홍합, 바지락, 피조개, 새조개 및 동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세트산이 농도가 3M 내지 10M 범위이고, 패각류 분말 무게의 5배 내지 15배의 부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석회가 20℃ 내지 3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심분리가 5,000g 내지 30,000g 범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가 50℃ 내지 100℃에서 8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소의 농도가 5M 내지 12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석이 15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 활성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리놀렌산 자동산화 억제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패각류로부터 수용성 콘키올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제조방법은, 패각류 분말을 아세트산으로 탈석회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2차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침전물을 요소에 녹여 투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아세트산을 이용한 탈석회 공정 및 요소를 이용한 투석 공정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고, 공정도 간단하며, 상기 추출물의 수득율도 높다. 또한, 그로부터 얻어지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등을 가지므로, 항염증제, 항산화제, 피부 미백제 등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단계:
먼저, 패각류 분말을 아세트산으로 탈석회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한다.
상기 패각류로는 굴, 홍합, 바지락, 피조개, 새조개, 동죽 등을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복, 고막, 진주모, 가막(재첩) 조개, 백합, 칼조개 등 한약에서 처방되는 패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세트산의 농도는 3M 내지 10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5M 내지 8M 범위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세트산은 패각류 분말 무게의 5배 내지 15배 부피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배 내지 12배 부피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탈석회 공정의 경우는 20℃ 내지 3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좋다. 아세트산을 상기 범위의 농도 및 함량으로 사용하고, 탈석회 공정을 상기의 온도 범위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함으로써, 콘키올린을 충분히 함유하는 1차 침전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심분리는 5,000g 내지 30,000g 범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00g 내지 15,000g 범위에서 10분 내지 20분간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 범위로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경우, 불순물들이 제거되고 목적하는 콘키올린을 충분히 함유하는 불용성의 1차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제2단계:
이어서,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2차 침전물을 수득한다.
이 때, 상기 여분의 아세트산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1차 침전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수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공정도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8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오븐에서 10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패각류 분말의 종류, 아세트산의 농도, 함량 등에 따라 당업자가 건조 조건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제3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2차 침전물을 요소에 녹여 투석함으로 써 수용성 콘키올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 때, 상기 요소는 농도가 5M 내지 12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6.5M 내지 10M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범위 내의 요소를 사용하게 되면, 불순물이 제거된 고순도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을 보다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요소의 함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사용되는 2차 침전물의 함량 및 요소의 농도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투석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15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건 범위로 투석을 수행하게 되면, 불필요한 불순물들은 보다 깨끗이 제거되고, 인체에 안정한 수용성 콘키올린을 충분히 함유하는 추출물만을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본 발명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은, 생체 내 염증전달 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며, 수소 자유 라디칼을 갖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리놀렌산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가짐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은 색소침착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티로 시나아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바, 항염증제,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제의 원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나, 이는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
각종 패각류의 가공분말 30g을 300ml의 6.5M 아세트산으로 상온에서 3시간 동안 탈석회시킨 후, 12,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정제수로 제거한 다음, 65℃ 드라이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하기 표 1과 같이 2차 침전물(crude conchiolin)을 수득하였다. 상기 2차 침전물을 8M의 요소 30 ml에 녹이고 24시간 이상 투석하여 최종적으로 수용성 콘키올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각 패각류로부터 추출한 2차 침전물의 건조 중량 및 수득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42127254-pat00001
실험예 1: 항염증 활성 측정
염증이 일어나는 과정은 감염성 물질(infectious agents), 허헐(ischemia), 항원-항체 반응, 열 또는 다른 신체적인 상처 등과 같은 수많은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일련의 반응을 수반하며, 염증반응에는 홍반(erythema), 부종(edema), 압통(tenderness), 통증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에 의해서 생체 내 염증전달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종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혈소판 응집에 관여하는 트롬복산(thromboxane)을 생성한다. 상기 사이클로옥시게나제 효소는 정상조직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X-1 효소와 염증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유도성 효소인 COX-2 효소로 구성되어 있다.
COX-1(타입 1: constitutive form) 효소는 조직의 구성요소이며, 위장관계를 포함한 조직에 산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효소는 각 조직에서 혈류(vascular flow)의 유지, 세포분화(cell division), 점액(mucus)과 중탄산염(bicarbonate)의 생성 등에 관여하는 국소적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러한 COX-1 효소의 활성을 NSAIDs (Non Steroidal Analgesic Inflammation Drugs)가 저해함으로써 위 장관과 신장의 부작용 및 항 혈소판 작용(antiplatelet activity)이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COX-1 효소는 염증인자가 퍼지지 않도록 혈액을 응고시키고, 피가 잘 통하지 않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Thromboxane A2)을 만들어내는 효소이며, 동시에 위점막이 파괴되지 않도록 점막 보호 물질을 만들어내는 효소이다.
반면에, COX-2(타입 2: induced form) 효소는 뇌와 신장에서 주로 발견되며, 일부 염증성 세포(inflammatory cells)에서도 발견되고, 특히 염증 부위에서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X-2 효소는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를 생성하는 효소이며, 또한 혈전을 예방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물질인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Prostaglandin I2))의 생성도 촉진하는 효소이다.
이러한 COX-1 및 COX-2 효소의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험방법으로 유발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단백질(실시예 1에서 수득된 각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 스테로이드계의 항염증제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사용하였다.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저해활성측정 실험방법
COX-1과 COX-2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96 웰 플레이트의 2개의 웰에 10㎕의 헴(heme), 10㎕의 완충액(assay buffer), 그리고 10㎕의 용매(8M urea를 증류수에 투석한 용액)를 첨가하였다.
또한 100% 초기 활성(initial activity)을 측정하기 위하여, 2개의 웰에 10㎕의 헴(heme), 10㎕의 효소(COX-1 또는 COX-2), 그리고 10㎕의 용매(8M urea를 증류수에 투석한 용액)를 첨가하였다.
억제제(inhibitor)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2개의 웰에 10㎕의 헴, 10㎕의 효소(COX-1 또는 COX-2), 그리고 10㎕의 억제제를 첨가하였다. 이 때, 상기 억제제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표준 억제제로는 인도메타신을 사용하였다. 인도메타신은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은 100mM Tris-HCl(pH 8.0)에 녹여 농도별로 측정하였다.
그 다음 모든 웰에 200㎕의 완충액(assay buffer)를 첨가하고 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어서 모든 웰에 10㎕의 화학발광성 기질(naphthalene hydrazide solution)을 첨가하고, 그 후 즉시 50㎕의 아라키돈산을 첨가하여 루미노미터(Lucy 3, 오스트리아)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모두 COX-1 및 COX-2 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항산화 활성 측정
세포독성과 관련된 활성산소 종(ROS)은 노화, 암, 심장질환,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이나 병리학적 질병을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OS로 인한 과산화물들과 분해산물들은 반응성이 높아 주변의 생체분자(DNA, 단백질, 다른 세포인자)들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킨다. 생체 내에는 활성산소종(ROS)을 방어하는 기전들이 다양하게 보유되어 있지만, 세포 내의 ROS 농도가 초과했을 때에는 부득이하게 손상이 일어난다. 그래서 외부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섭취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는 세포 자가 면역 조절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저하시키고, 직접적으로는 자유 라디칼 종(free radical species)의 소거를 돕는다.
항산화 실험방법
패각류 콘키올린의 항산화 능력은 다음의 두 가지 측정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첫째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지질 과잉산화(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카페인산(caffeic acid)을 사용하였다.
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자유 라디칼인 DPPH의 소거능으로, 발색 정도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테스트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Blois(1958)의 방법을 변형시켜 사용하였다. 먼저 시료 0.6ml에 에탄올 0.6ml을 넣었다. 그 다음 메탄올에 녹인 1mM의 DPPH 0.025ml을 넣고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액을 550nm에서 UV-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랭크: 처리되지 않은 DPPH, A: 증류수, B: 시료(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
억제율(%) = [(A-B)/A] X 100%
나. 리놀렌산(Linoleic acid) 자동산화 억제활성
: 시료 1mg을 1ml의 증류수, 0.13ml의 리놀렌산, 2ml의 에탄올, 2ml의 50mM 인산염완충액 (pH 7.0)에 녹이고 플라스크에서 혼합하였다. 40℃의 어두운 곳에 보관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취하여, TBA (thiobarbituric acid)법 (Ramirez and Spillman, 1987)에 따라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 50㎕를 0.8ml의 증류수, 0.2ml의 8.1%(w/v) SDS, 1.5ml의 20%(v/v) 아세트산(pH 3.5)과 1.5ml의 0.8%(w/v) TBA 용액에 첨가하고, 60분 동안 100℃에서 가열한 후, 얼음에서 식혔다. 이를 5,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의 흡광도를 532nm에서 측정하여 시료의 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블랭크: 처리되지 않은 리놀렌산, A: 증류수, B: 시료(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
억제율(%) = [(A-B)/A] X 100%
실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모두 우수한 DPPH 소거능 및 리놀렌산 산화물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색소침착의 과정은 주로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 성장인자, 염증계의 화학적 매개자,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 및 활성산소 등에 의해 일어난다. 이들의 주된 색소침착의 원인은 멜라닌 생성세포와 티로시나제의 활성증가가 주 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피부색조는 그 조직 내에 포함되어 있는 2개의 멜라닌 색소의 비율로 결정된다. 상기 멜라닌 색소에는 흑색의 유멜라닌(eumelanin)과 적갈색의 페오멜라닌(pheomelanin)이 있다. 멜라닌의 멜라닌 생성세포에서의 합성경로를 보면, 멜라닌은 티로신이 티로시나제 효소에 의해 3,4-디기드록시페닐알라닌(3,4-digydroxyphenylalanine: DOPA)로 수산화(hydroxylation)되는 과정을 시작으로 도파퀴논(dopaquinone), 도파크롬(dopachrome)의 과정을 거쳐 멜라닌으로 합성된다. 도파크롬은 자연히 탈탄산화(decarboxylation) 되어 DHI가 되고, 빠르게 산화되어 인돌-5,6-퀴논-2-카르복실산(indole-5,6-quinone-2-carboxylic acid)가 되어 유멜라닌을 형성한다. 그러나 도파퀴논이 시스테인이나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SH 화합물을 만나게 되면, 시스테이닐도파(cysteinyldopa)가 만들어지고, 결국에는 페오멜라닌이 만들어진다.
티로시나제는 티로신을 수산화해 DOPA로 변환하는 티로신 하이드록실레이즈(tyrosine hydroxylase) 활성 및 DOPA를 DOPA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하는 DOPA 옥시다제 활성을 가지고 있는 멜라닌 합성 반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티로시나제가 DHI(5,6-dihydroxyindole)을 인돌-5,6-퀴논으로 산화하는 DHI 옥시다제 활성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티로시나제는 인체 내의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이의 활성을 억제하면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막아 피부의 색소침착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여 생리활성물질의 미백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시료들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피부 미백제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대조군 물질로는 미백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는 아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측정방법
본 실험에서는, 식약청에서 고시한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mM 인산염완충액(pH 6.5) 183㎕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시료) 17㎕와 17㎕의 버섯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수용액(2000 Unit/ml), 기질(티로신) 33㎕을 첨가하여 최종 반응액이 250㎕이 되도록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넣었다. 이 반응액을 37℃에서 15분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io-Tek, USA))에서 490nm의 파장으로 도파크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구하였다.
억제율(%) = [1-(Asamp. - Actrl.)/Astd.] X 100
Asamp. : 시료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값
Actrl. : 시료만 첨가하고 효소를 넣지 않았을 때의 흡광도값 (시료 색 대조군)
Astd. : 시료 없이 효소만 넣었을 때의 흡광도 값
실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모두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제조공정을 통하여 패각류로부터 인체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을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고, 상기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은 우 수한 항염증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염증제, 항산화제, 피부 미백제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의약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2)

  1. 패각류 분말을 아세트산으로 탈석회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된 1차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전물에 남아있는 여분의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2차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침전물을 요소에 녹여 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각류는 굴, 홍합, 바지락, 피조개, 새조개 및 동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은 농도가 3M 내지 10M 범위이고, 패각류 분말 무게의 5배 내지 15배의 부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석회는 20℃ 내지 3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농도가 5M 내지 12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석은 15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56691A 2007-06-11 2007-06-11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8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91A KR100884641B1 (ko) 2007-06-11 2007-06-11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91A KR100884641B1 (ko) 2007-06-11 2007-06-11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38A KR20080108738A (ko) 2008-12-16
KR100884641B1 true KR100884641B1 (ko) 2009-02-23

Family

ID=4036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691A KR100884641B1 (ko) 2007-06-11 2007-06-11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78B1 (ko) 2012-09-18 2014-02-03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8507A (ja) 1986-06-18 1987-12-25 Mikimoto Seiyaku Kk 化粧品
JPH03193711A (ja) * 1989-12-25 1991-08-23 Mikimoto Seiyaku Kk 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8507A (ja) 1986-06-18 1987-12-25 Mikimoto Seiyaku Kk 化粧品
JPH03193711A (ja) * 1989-12-25 1991-08-23 Mikimoto Seiyaku Kk 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38A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cker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 properties of a procyanidin-rich extract from pine (Pinus maritima) bark, pycnogenol
KR100478928B1 (ko) 세리신또는세리신가수분해물을유효성분으로하는비의약용항산화제,화장품,식품변색방지제,음식물,심근경색치료제,동맥경화치료제,당뇨병치료제,암치료제,또는뇌줄중치료제
JP2009051790A (ja) 抗酸化剤、抗老化剤、抗炎症剤、育毛剤、抗肥満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1116757B1 (ko) 능실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WO2010005243A2 (ko)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4641B1 (ko)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JPH1179936A (ja) マルベリン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Ferreira-Santos et al. Sambucus nigra flower and berry extracts for food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Effect of gastrointestinal digestion on in vitro and in vivo bioactivity and toxicity
KR101283849B1 (ko)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8904A (ko) 코스투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76670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0851B1 (ko) 미백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비룡추출물
TW201043609A (en) Application of Acacia extracts and their phytocompounds on the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187356B1 (ko) 페이스 클린징 파우더의 원료로 포함되는 토사자, 녹두, 흑축 추출물
FR3035590A1 (fr) Complexe proteomelanique bioassimilabl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100701272B1 (ko) 백발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160128719A (ko)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JP5085198B2 (ja) 抗酸化剤
KR20030012562A (ko)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TWI477292B (zh) 用於防止黑色素沉澱之沙苑子萃取物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TWI461223B (zh) 玉蘭花瓣萃取液作為美白組合物之用途
KR20080053851A (ko) 판람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