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98B1 -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98B1
KR101356198B1 KR1020080096770A KR20080096770A KR101356198B1 KR 101356198 B1 KR101356198 B1 KR 101356198B1 KR 1020080096770 A KR1020080096770 A KR 1020080096770A KR 20080096770 A KR20080096770 A KR 20080096770A KR 101356198 B1 KR101356198 B1 KR 10135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inflator
housing
sliding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439A (ko
Inventor
임우현
곽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부와 하부 각각에 토출구(122,124)가 형성된 하우징(120); 상부챔버(142) 및 하부챔버(144)로 구성된 에어백쿠션(140); 토출구(122,124)를 통하여 상부챔버(142) 또는 하부챔버(144)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30); 시트백(10)의 측단에 설치된 암레스트(300); 및 인플레이터(130)와 암레스트(300) 사이에 설치된 링크조립체(500);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이 소개된다. 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에 따르면, 암레스트를 전개한 경우에는 인플레이터가 상승되어 에어백 쿠션의 상부챔버만이 전개되고, 암레스트를 접을 경우에는 인플레이터가 하강되어 하부챔버만이 전개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과 암레스트의 간섭이 개선되고 하나의 인플레이터만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암레스트, 사이드 에어백

Description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SIDE-AIRBAG INTERLOCKING ARMRES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에 마련되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위치가 암레스트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에어백(SIDE AIR-BAG)은 측면충돌로부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측방에서 전개되도록 마련된다. 사이드에어백의 설치위치는 탑승자의 측방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시트백의 측단에 설치가 가능하고, 특히 그 시트백의 측단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중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에어백을 FAR SIDE AIR-BAG이라 한다.
시트백의 측단부에 장착된 사이드에어백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에어백 컨트롤 유닛에서 이를 인지하고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그러한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와 쿠션이 하우징에 설치되며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분출되는 가스로 인하여 쿠션이 부풀어오르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시트백 측단부에는 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측방 충돌시 암레스트를 전개한 경우에는 그 암레스트에 의하여 탑승자의 측방 거동이 제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FAR SIDE AIR-BAG과 암레스트가 모두 적용된 경우에는 에어백의 전개시 암레스트와 쿠션의 하부가 간섭되어 탑승자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 암레스트의 전개여부에 따라 사이드에어백의 전개 위치가 결정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은, 차량의 시트백 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 각각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에 각각 연결된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로 구성된 에어백쿠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토출구를 통하여 상부챔버 또는 하부챔버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시트백의 측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하여 설치된 암레스트; 및 상기 인플레이터와 암레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암레스트를 시트백에 나란히 접을 경우 인플레이터를 하강시키고, 암레스트를 시트백으로부터 전개할 경우 인플레이터를 상승시키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상판과 하판의 중앙부가 상호 부착되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에는 하우징의 토출구에 대응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부 또는 하부 토출구를 통하여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에는 대각선 방향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조립체는 슬라이딩바로 구성되고, 이 슬라이딩바의 일단은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슬라이딩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단은 암레스트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의 슬라이딩홈에는 슬라이딩바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멈치가 매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에 따르면, 암레스트를 전개한 경우에는 인플레이터가 상승되어 에어백 쿠션의 상부챔버만이 전개되고, 암레스트를 접을 경우에는 인플레이터가 하강되어 하부챔버만이 전개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과 암레스트의 간섭이 개선되고 하나의 인플레이터만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은, 차량의 시트백(10) 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 각각에 토출구(122,124)가 형성된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의 토출구(122,124)에 각각 연결된 상부챔버(142) 및 하부챔버(144)로 구성된 에어백쿠션(140);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토출구(122,124)를 통하 여 상부챔버(142) 또는 하부챔버(144)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30); 상기 시트백(10)의 측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하여 설치된 암레스트(300); 및 상기 인플레이터(130)와 암레스트(300) 사이에 설치되어, 암레스트(300)를 시트백(10)에 나란히 접을 경우 인플레이터(130)를 하강시키고, 암레스트(300)를 시트백(10)으로부터 전개할 경우 인플레이터(130)를 상승시키는 링크조립체(50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백(10)과 시트쿠션으로 구분된다. 시트백(10)의 측단부에는 사이드에어백모듈(100)이 설치되고, 암레스트(300)가 힌지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사이드에어백(100)과 암레스트(300)의 설치위치가 중복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암레스트(300)와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레스트(300)와 에어백의 인플레이터를 링크조립체(500)로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에어백모듈을 살핀다. 에어백모듈(100)은 모듈케이스(110)와 내측의 하우징(120),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쿠션(1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인플레이터가 내장되고, 하우징(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인플레이터 가스의 토출구(122,124)가 형성된다. 그 토출구(122,124)에는 에어백쿠션(140)의 상부챔버(142)와 하부챔버(144)가 각각 연결된다.
도 3에는 그 에어백모듈에 링크조립체가 연결된 도면이다. 링크조립체(500)는 슬라이딩바(520)로 구성되어 암레스트와 인플레이터(130)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우징(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홀(126)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바(52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홀(126)을 통하여 하우징(120) 내부의 인플레이터(130)와 연결되고 슬라이딩홀(126)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구체적으로 인플레이터(130)의 상단에는 브라켓(13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바(520)의 일단부는 그 브라켓(132)에 연결된다. 또한 인플레이터(130)에는 분사구(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며 그 분사구는 상방 또는 하방의 토출구(122,124)에 매칭되어 대응되는 토출구로만 가스를 분사토록 한다. 인플레이터(130)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바(520)의 일단부에는 힌지핀(540)이 형성되고 그 힌지핀(540)을 통하여 인플레이터(130)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바(520)가 슬라이딩되며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바(520)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바(52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멈치(560)가 마련된다. 멈치(560)는 후술할 암레스트의 슬라이딩홈에 매설된다.
도 4는 에어백쿠션을 나타낸다. 에어백쿠션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상판과 하판의 중앙부(146)가 상호 부착되어 상부챔버(142)와 하부챔버(144)로 나뉜다. 상판과 하판은 하나의 연결된 쿠션 또는 테두리가 부착된 두 개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에어백쿠션의 중앙부(146)는 상판과 하판이 부착되어 에어백쿠션이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 중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부챔버(142)를 이루고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하부챔버(144)를 이룬다. 상부챔버(142)와 하부챔버(144)는 하우징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호 가스교환이 없이 독립적으로 팽창된다.
도 5 및 6은 이러한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의 각 실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암레스트(300)가 시트백으로부터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 딩바(520)의 일단부는 힌지핀(540)을 통하여 하우징의 슬라이딩홀(126)을 관통하여 인플레이터와 연결되고 슬라이딩바(520)의 타단부는 암레스트(300)에 삽입된다. 암레스트(300)에는 대각선 방향의 슬라이딩홈(320)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홈(320)의 내부에는 멈치(560)가 매설되며 멈치(560)에는 슬라이딩바(520)가 관통하는 관통홀(562)이 형성된다. 멈치(560)는 암레스트(300)의 슬라이딩홈(320)에서 슬라이딩바(520)가 좀 더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한다. 슬라이딩바(520)의 타단부는 암레스트(300)의 슬라이딩홈(3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암레스트(300)가 전개된 경우에는 슬라이딩바(520)가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밀리며 인플레이터는 하우징의 상방에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상부챔버가 전개된다.
도 6은 암레스트가 시트백에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도 5의 상태에서 암레스트(300)가 접힘에 따라 그 회전의 힘이 슬라이딩바(520)에 전달되고 슬라이딩바(520) 역시 함께 회전되며 슬라이딩바(520)의 일단부가 하우징의 슬라이딩홀(126)의 하부로 내려가고 슬라이딩바(520)의 타단부가 암레스트(300)의 슬라이딩홈(320)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시에는 인플레이터의 위치에 따라 하부챔버가 전개되는 것이다.
상기 살핀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에 따르면, 암레스트가 전개된 경우에는 슬라이딩바가 인플레이터를 들어올려 상부챔버가 전개되도록 하고, 암레스트가 접힌 경우에는 슬라이딩바가 인플레이터를 끌어내려 하부챔버가 전개되도록 한다. 암레스트의 위치에 따라 에어백쿠션의 전개부분을 구분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이 장착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백모듈에 링크조립체가 장착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백모듈의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의 제1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의 제2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백모듈 110 : 모듈케이스
120 : 하우징 122,124 : 토출구
126 : 슬라이딩홀 130 : 인플레이터
132 : 브라켓 140 : 에어백쿠션
142 : 상부챔버 144 : 하부챔버
300 : 암레스트 320 : 슬라이딩홈
500 : 링크조립체 520 : 슬라이딩바
540 : 힌지핀 560 : 멈치
562 : 관통홀

Claims (5)

  1. 차량의 시트백(10) 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 각각에 토출구(122,124)가 형성된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의 토출구(122,124)에 각각 연결된 상부챔버(142) 및 하부챔버(144)로 구성된 에어백쿠션(140);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토출구(122,124)를 통하여 상부챔버(142) 또는 하부챔버(144)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30);
    상기 시트백(10)의 측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하여 설치된 암레스트(300); 및
    상기 인플레이터(130)와 암레스트(300) 사이에 설치되어, 암레스트(300)를 시트백(10)에 나란히 접을 경우 인플레이터(130)를 하강시키고, 암레스트(300)를 시트백(10)으로부터 전개할 경우 인플레이터(130)를 상승시키는 링크조립체(500);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140)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상판과 하판의 중앙부(146)가 상호 부착되어 상부챔버(142)와 하부챔버(144)로 나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30)에는 하우징(120)의 토출구(122,124)에 대응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하우징(12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부 또는 하부 토출구(122,124)를 통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300)에는 대각선 방향의 슬라이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0)에는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홀(126)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조립체(500)는 슬라이딩바(520)로 구성되고, 이 슬라이딩바(520)의 일단은 인플레이터(130)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120)의 슬라이딩홀(126)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바의 타단은 암레스트(300)의 슬라이딩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300)의 슬라이딩홈(320)에는 슬라이딩바(52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562)이 형성된 멈치(560)가 매설된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KR1020080096770A 2008-10-01 2008-10-01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KR10135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70A KR101356198B1 (ko) 2008-10-01 2008-10-01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70A KR101356198B1 (ko) 2008-10-01 2008-10-01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39A KR20100037439A (ko) 2010-04-09
KR101356198B1 true KR101356198B1 (ko) 2014-01-24

Family

ID=4221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70A KR101356198B1 (ko) 2008-10-01 2008-10-01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2025B1 (en) 2022-09-15 2023-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rmrest with translatable and pivotable bar
US11975670B1 (en) 2023-03-30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rmrest with translatable and pivotable bar and airb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916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승객 보호용 시트백 차단장치
KR20070066281A (ko) * 2005-12-21 2007-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JP2007253671A (ja) 2006-03-22 2007-10-04 Toyoda Gosei Co Ltd 乗員保護装置
JP2007253672A (ja) 2006-03-22 2007-10-04 Toyoda Gosei Co Ltd 乗員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916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승객 보호용 시트백 차단장치
KR20070066281A (ko) * 2005-12-21 2007-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JP2007253671A (ja) 2006-03-22 2007-10-04 Toyoda Gosei Co Ltd 乗員保護装置
JP2007253672A (ja) 2006-03-22 2007-10-04 Toyoda Gosei Co Ltd 乗員保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2025B1 (en) 2022-09-15 2023-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rmrest with translatable and pivotable bar
US11975670B1 (en) 2023-03-30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rmrest with translatable and pivotable bar and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39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618B2 (en) Curtain airbag device
US9707922B2 (en) Airbag module
JP4932843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9004526B2 (en) Vehicular passive safety device
US7798520B2 (en) Airbag arrangement
JP4221018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72075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40232666A1 (en) Side airbag apparatus
JP2012179956A (ja) 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US8485553B1 (en) Frontal airbag assembly
CN114929528B (zh) 叉状远侧安全气囊组件
KR20110117649A (ko) 차량 좌석 및 측부 에어백 장치
KR102656154B1 (ko) 에어백 장치
KR102363546B1 (ko) 에어백 장치
KR20200029022A (ko) 승차인 보호 장치
EP3744579B1 (en) Side air bag device and vehicle seat with same
KR101627499B1 (ko) 차량의 에어백
WO2015080151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7460649A (zh) 具有辅助展开包裹件的正面安全气囊系统
KR101356198B1 (ko) 암레스트 연동 사이드에어백
KR102391012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5435913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200180539A1 (en) Vehicle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618318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20654B2 (ja) 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