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747B1 -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747B1
KR101355747B1 KR1020110098110A KR20110098110A KR101355747B1 KR 101355747 B1 KR101355747 B1 KR 101355747B1 KR 1020110098110 A KR1020110098110 A KR 1020110098110A KR 20110098110 A KR20110098110 A KR 20110098110A KR 101355747 B1 KR101355747 B1 KR 10135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orkpiece
weight
steel
heat treatmen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213A (ko
Inventor
손제영
김명식
김상하
김학진
박유진
박철우
홍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흑연노듈이 없는 순수한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을 형성시킴으로써 2G급의 인장강도(TS)를 갖는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은 (a)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05 중량% 이하, 황(S)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블름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선재를 가공하여 강 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강 가공물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오스테나이징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240 ~ 280℃까지 냉각한 후, 50 ~ 150분동안 오스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WORK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연노듈이 없는 순수한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을 형성시킴으로써 인장강도(TS) 2G급을 만족할 수 있는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스템퍼드 구상흑연주철(austempered ductile cast iron)은 합금강에 필적할만한 강도, 내충격성, 연신율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열처리 후에도 형상이나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오스템퍼드 구상흑연주철(ADI)은 정밀주조를 하거나 기계 가공한 제품을 열처리할 수 있어 볼트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하이포이드 기어, 피니온, 스프라켓트 등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기계구조용 부품, 자동차 부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7105호(2007.09.10 공고)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금 성분 조절 및 공정 조건 제어를 통하여, 흑연노듈이 없는 순수한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을 형성시킴으로써 2G급의 인장강도(TS)를 갖는 강 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인장강도(TS) : 2GPa 이상 및 연신율(EL) : 2.5% 이상을 갖는 강 가공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은 (a)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05 중량% 이하, 황(S)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블름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선재를 가공하여 강 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강 가공물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오스테나이징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240 ~ 280℃까지 냉각한 후, 50 ~ 150분동안 오스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 가공물은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05 중량% 이하, 황(S)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 조직이 페라이트(ferrite)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를 포함하는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은 합금 성분 조절 및 공정 조건의 제어를 통하여, 흑연노듈이 없는 순수한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강 가공물은 인장강도(TS) : 2,000MPa 이상, 연신율(EL) : 2.5% 이상 및 로크웰경도 : 50 HRc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오스템퍼링 시간 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미세 조직을 나타낸 저배율 사진들이다.
도 3은 오스템퍼링 시간 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미세 조직을 나타낸 고배율 사진들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잔류오스테나이트의 부피 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인장강도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연신율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경도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 가공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 가공물
본 발명에 따른 강 가공물은 인장강도(TS) : 2,000MPa 이상, 연신율(EL) : 2.5% 이상 및 로크웰경도 : 50 HRc 이상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 가공물은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05 중량% 이하, 황(S)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 가공물은 미세 조직이 페라이트(ferrite)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를 포함하는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잔류 오스트나이트의 부피 분율로 17 vol% 이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 가공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본 발명에서 탄소(C)는 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탄소(C)는 본 발명에 따른 강 전체 중량의 0.8 ~ 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탄소(C)의 함량이 강 전체 중량의 0.8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제2상 조직의 분율이 저하되어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탄소(C)의 함량이 강 전체 중량의 0.0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의 강도는 증가하나 저온 충격인성 및 용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리콘(Si)
본 발명에서 실리콘(Si)은 제강공정에서 강 중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탈산제로 첨가된다. 또한 실리콘은 고용강화 효과도 가진다.
상기 실리콘(Si)은 본 발명에 따른 강 전체 중량의 2.0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실리콘(Si)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상기의 실리콘 첨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실리콘(Si)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 표면에 비금속 개재물을 과다 형성하여 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망간(Mn)
망간(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Ar3점을 낮추어 제어압연 온도 영역을 확대시킴으로써 압연에 의한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망간(Mn)은 본 발명에 따른 강 전체 중량의 0.3 ~ 0.4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망간(Mn)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제2상 조직의 분율이 저하되어 강도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망간(Mn)의 함량이 0.4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에 고용된 황을 MnS로 석출하여 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인(P), 황(S)
인(P)은 강도 향상에 일부 기여하나, 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원소로서 그 함량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P)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5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황(S)은 상기 인(P)과 함께 강의 제조시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MnS를 형성하여 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황(S)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3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강 가공물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강 가공물 제조 방법은 열간압연 단계(S110), 가공 단계(S120), 구상화 열처리 단계(S130), 오스테나이징 단계(S140) 및 오스템퍼링 단계(S150)를 포함한다.
열간 압연
열간압연 단계(S110)에서는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05 중량% 이하, 황(S)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블름(bloom)을 FDT(Finishing Delivery Temperature) : 850 ~ 950℃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형성한다.
만일, 마무리 압연온도(FDT)가 850℃ 미만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열간압연시 압연 부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이상역 압연에 의한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혼립 조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마무리 압연온도(FDT)가 9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변태후 페라이트 결정립 미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강도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 단계(S110) 이전에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블름을 1150 ~ 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재가열 단계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석출물의 재고용 등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만일, 재가열 온도가 1150℃ 미만일 경우에는 주조 시 편석된 성분이 충분히 재고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재가열 온도가 1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증가하여 최종 미세 조직의 페라이트가 조대화되어 강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과도한 가열 공정으로 인하여 강판의 제조비용만 상승할 수 있다.
가공
가공 단계(S120)에서는 상기 선재를 일정한 형태로 가공하여 강 가공물을 형성한다. 이때, 강 가공물은 볼트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구상화 열처리
구상화 열처리 단계(S130)에서는 선재를 870 ~ 930℃로 열처리하는 구상화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구상화 열처리 단계(S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형 시멘타이트는 주로 펄라이트 영역에서 형성된다. 즉, A1점 직상의 온도까지 가열도중 또는 그 온도에서 유지하는 동안에 펄라이트 부위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고 이때 매우 미세한 시멘타이트 입자가 잔존하여 이러한 시멘타이트 입자를 핵으로 하여 구형 시멘타이트가 냉각 도중에 성장하는 것이다.
이때, 구상화 열처리 온도가 870℃ 미만에서 실시될 경우에는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이상역으로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확보하기 어려워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기 위한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복합조직 제조시 조직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구상화 열처리 온도가 930℃를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선재의 가열시 표면탈탄과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대화를 초래하여 최종제품에서의 품질특성, 즉 기계적 성질, 응력이완성, 정적 피로특성 등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스테나이징
오스테나이징 단계(S140)에서는 880 ~ 950℃에서 10 ~ 90분 동안 오스테나이징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오스테나이징 열처리는 강의 조직을 오스테나이트화 시킨 후 급냉하여 오스페라이트 조직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오스테나이징 열처리 온도가 880℃ 미만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고용 용질 원소들의 재고용이 어려워 충분한 강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오스테나이징 열처리 온도가 9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립의 성장이 일어나 조대립이 발생할 수 있어 저온 인성을 해칠 수 있다.
오스템퍼링
오스템퍼링 단계(S150)에서는 오스테나이징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240 ~ 280℃까지 급속 냉각한 후, 50 ~ 150분동안 오스템퍼링을 실시한다.
만일, 냉각종료온도가 240℃ 미만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오스템퍼링 시간이 50분 미만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복합조직을 확보하기 위한 변태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과 등온열처리 온도편차 발생시 마르텐사이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적정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 크기 및 형상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연신율 및 충격인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냉각종료온도가 280℃를 초과하여 실시되거나, 또는 오스템퍼링 시간이 150분을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 크기, 형상,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고강도화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항복비의 급격한 감소로 적정 항복강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강 가공물(볼트)의 체결시 응력이완성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충격인성의 감소로 파괴저항성에 유해하다. 또한, 임계지연파괴강도 및 정적 피로특성에 악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과정(S110 ~ S150)으로 제조되는 강 가공물은 최종 미세 조직이 페라이트(ferrite)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를 포함하는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잔류 오스트나이트의 부피 분율로 17 vol% 이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강 가공물은 인장강도(TS) : 2GPa 이상, 연신율(EL) : 2.5% 이상 및 로크웰경도 : 50 HRc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표 2에 기재된 공정 조건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표 1](단위 : 중량%)
Figure 112011075684837-pat00001

[표 2]
Figure 112011075684837-pat00002

2. 기계적 물성 평가
표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기계적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11075684837-pat00003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목표값에 해당하는 인장강도(TS) : 2GPa 이상, 연신율(El) : 2.5% 이상 및 로크웰경도 : 50HRc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분율로 16.1 vol%로 목표값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대부분의 합금 성분은 유사한 함량으로 첨가되나, 냉각종료온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연신율(El)은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인장강도(TS), 로크웰경도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분율이 목표값에 미달하는 1756MPa, 44.3HRc 및 22.8 vol%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대부분의 합금 성분은 유사한 함량으로 첨가되나, 냉각종료온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연신율(El)은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인장강도(TS), 로크웰경도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분율이 목표값에 미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오스템퍼링 시간 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미세 조직을 나타낸 저배율 사진들이고, 도 3은 오스템퍼링 시간 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미세 조직을 나타낸 고배율 사진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 중 오스템퍼링 시간이 60분 및 120분동안 실시된 경우에는 흑연노듈 없이 치밀한 미세조직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의 경우에는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미세조직이 치밀하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잔류오스테나이트의 부피 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오스템퍼링 시간별 잔류오스테나이트의 부피 분율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인장강도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오스템퍼링 시간별 인장강도(TS) 값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연신율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오스템퍼링 시간별 연신율(El) 값이 전반적으로 낮은 특성을 보이기는 하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2G급의 인장강도(TS)를 갖는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연신율(El) 2.5% 이상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오스템퍼링 시간별 경도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오스템퍼링 시간별 경도 값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열간압연 단계
S120 : 가공 단계
S130 : 구상화 열처리 단계
S140 : 오스테나이징 단계
S150 : 오스템퍼링 단계

Claims (8)

  1. (a)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 중량% 초과 ~ 0.05 중량% 이하, 황(S) : 0 중량% 초과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블름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선재를 가공하여 강 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강 가공물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오스테나이징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상화 열처리된 강 가공물을 240 ~ 280℃까지 냉각한 후, 50 ~ 150분동안 오스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열간압연은 FDT(Finishing Delivery Temperature) : 850 ~ 950℃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구상화 열처리 온도는 870 ~ 9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오스테나이징 열처리 온도는 880 ~ 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제조 방법.
  5. 탄소(C) : 0.8 ~ 1.0 중량%, 실리콘(Si) : 2.0 ~ 3.0 중량%, 망간(Mn) : 0.3 ~ 0.4 중량%, 인(P) : 0 중량% 초과 ~ 0.05 중량% 이하, 황(S) : 0 중량% 초과 ~ 0.03 중량% 이하 및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 조직이 페라이트(ferrite)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를 포함하는 오스페라이트(ausferrite)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인장강도(TS) : 2GPa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연신율(EL) : 2.5%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로크웰경도 : 50 HRc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가공물.
KR1020110098110A 2011-09-28 2011-09-28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10A KR101355747B1 (ko) 2011-09-28 2011-09-28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10A KR101355747B1 (ko) 2011-09-28 2011-09-28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13A KR20130034213A (ko) 2013-04-05
KR101355747B1 true KR101355747B1 (ko) 2014-01-28

Family

ID=4843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10A KR101355747B1 (ko) 2011-09-28 2011-09-28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5732C2 (en) * 2019-02-08 2023-12-27 Ausferritic Ab Method for producing ausferritic steel and ductile iron, austempered in rapid cycles followed by bak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402A (ja) * 1996-10-31 1998-05-19 Sumitomo Metal Ind Ltd 鋼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05118827A (ja) 2003-10-16 2005-05-12 Jfe Steel Kk 熱間圧延線材の製造ラ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402A (ja) * 1996-10-31 1998-05-19 Sumitomo Metal Ind Ltd 鋼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05118827A (ja) 2003-10-16 2005-05-12 Jfe Steel Kk 熱間圧延線材の製造ラ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13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6501B2 (ja) ベイナイト組織を有する工業用鋼材,該鋼材から製造される鍛造部品,並びに,鍛造部品の製造方法
JP6432932B2 (ja) 耐ピッチング性および耐摩耗性に優れる高強度高靱性機械構造用鋼製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66281B2 (en) Age-hardenable steel
JP2013533919A (ja) 鋼製高性能機械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20200140981A1 (en) Austenitic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N112703267A (zh) 用于冷镦的线材、使用其的加工产品、及其制造方法
KR102554100B1 (ko) NiCrMo강 및 NiCrMo강재의 제조 방법
JP2007063627A (ja) 疲労特性に優れた軸受用鋼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3997B2 (ja) 高硬度かつ靱性に優れる鋼
JP2005187888A (ja) 転がり軸受に使用される静的強度に優れた過共析鋼の焼入れ方法
CN110062813B (zh) 具有优异冲击韧性的高强度线材及其制造方法
JP2018512509A (ja) 高強度特性を有するベイナイト系構造を有する部品および製造方法
KR101355747B1 (ko)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JP6390685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075648A (zh) 强度和冲击韧性优异的线材及其制造方法
KR101301617B1 (ko) 고강도 고인성 소재 및 이를 이용한 타워 플랜지 제조방법
CN114787409B (zh) 具有优异的抗氢脆性的用于高强度冷镦品质钢的线材及其制造方法
KR101713677B1 (ko) 전동피로수명 특성이 우수한 고질소 공기 경화형 베어링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344637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4729A (ko) 금형강 및 그 제조 방법
JP6791179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06241B1 (ko) 강도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직접 담금질 저탄소 비조질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79938B (zh) 热处理固化型高碳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505292B1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3445B1 (ko) 비열처리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