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275B1 -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 Google Patents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275B1
KR101355275B1 KR1020120040978A KR20120040978A KR101355275B1 KR 101355275 B1 KR101355275 B1 KR 101355275B1 KR 1020120040978 A KR1020120040978 A KR 1020120040978A KR 20120040978 A KR20120040978 A KR 20120040978A KR 101355275 B1 KR101355275 B1 KR 10135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rain
end hose
electric heater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050A (ko
Inventor
신이찌 나까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하면서,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가 경감되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드레인수를 배출시킨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기단부 호스부(10)와, 기단부 호스부(10)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연속 설치된 삽입 선단 호스부(12)와, 전기 히터(2)와, 통 형상 단열층(3)을 갖는다.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을 Qinsert로 한다.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을 Qbase로 한다. Qinsert는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DRAIN HOSE FOR ANTI-FREEZING}
본 발명은, 코제너레이션 장치나 공기 조화 장치 등의 장치에 접속되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장치가 발생시키는 동결 가능한 드레인수(예를 들어 응축수 등)를 동결을 억제시키면서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관한 것이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장치에 연결되는 기단부 호스부와,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내삽될 수 있도록 기단부 호스부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삽입 선단 호스부를 갖는다. 여기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의 양쪽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의 양쪽에 설치된 전기 히터를 덮도록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를 외주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 단열층을 갖는다. 엄한의 지역이나 동기(冬期) 등에 있어서, 드레인수가 동결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장치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전기 히터는 통전되어 발열한다. 이와 같이 전기 히터가 통전에 의해 발열하면, 전기 히터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대 배수관은, 사용자측의 사정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상대 배수관의 재질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상이한 경우가 많고, 예상 외의 재질로 상대 배수관이 제작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상대 배수관이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전기 히터로부터의 전열에 의한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 환경 온도가 낮아 동결하기 쉬운 조건일 때에는, 동결 방지를 위해 전기 히터로의 통전량이 증가되지만, 전기 히터로부터의 전열에 의한 열영향으로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점점 변질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의 배수 성능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드레인수를 배수하는 편평한 드레인용 유로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주요부를 갖는 편평한 드레인 가이드와, 드레인 가이드의 드레인용 유로에 내삽되어 접속되는 동시에 전기 히터를 갖는 편평한 연결구를 구비하는 드레인 배수구를 개시한다. 드레인 가이드의 주요부에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용 유로에는, 주요부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보조층이 삽입되어 있다. 보조층은,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구리 등의 필러를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용 유로를 흐르는 드레인수는, 보조층에 접촉하면서 흐른다. 특허문헌 1에는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즉, 보조층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므로, 드레인수가 보조층에 접촉하면, 보조층은 드레인수의 열을 흡수하여 승온하여 축열층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보조층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는 주요부의 열전도율은 보조층보다도 낮으므로, 외부로의 방열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엄한의 지역이나 동기 등에 있어서, 드레인수가 미량씩 간헐적으로 흐를 때라도,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2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호스의 코어를 구성하는 튜브 형상의 방수층과, 방수층을 피복하는 전기 히터와, 전기 히터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내압 강화층과, 피복층을 순서대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호스를 개시한다. 이것에 따르면, 전기 히터로의 통전에 의해 물의 동결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호스 본체와 호스 본체에 적층된 발포재로 형성된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열 호스에 있어서, 단열 호스의 축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한 부위에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과 축 단부 사이에 있어서는, 단열층은 호스 본체에 비접합 상태로 되어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4는, 압송 호스의 접속 금속 부재에 발열재를 배치하고, 발열재를 단열 보온재로 피복한 구조를 갖는 호스의 동결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10-107169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0-130652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4-346976호 공보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8429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연결부에는 전기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부에 접속되는 드레인 가이드에는,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구리 필러 등을 포함하는 보조층이 설치되어 있지만, 전기 히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드레인 가이드에 있어서는, 동결 억제에 기여하는 보조층이 설치되어 있지만, 외기 온도가 상당히 낮아, 물이 동결하기 쉬운 조건일 때에는, 드레인 가이드의 드레인 유로를 흐르는 드레인수가 동결할 우려가 있다. 특히, 드레인수가 간헐적으로 흐를 때에는, 드레인수가 동결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외기 온도가 상당히 낮아, 동결하기 쉬운 조건일 때에는,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구리 필러 등을 포함하는 보조층으로부터 외기의 냉열이 드레인 유로에 전달되므로, 오히려, 드레인 유로를 흐르는 물의 동결이 촉진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전기 히터가 통전되어 발열하므로, 플렉서블 호스를 흐르는 물의 동결이 방지된다. 그러나 사용자측의 사정에 의해,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플렉서블 호스의 선단이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내삽되어 사용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상대 배관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플렉서블 호스의 전기 히터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다. 특히, 환경 온도가 낮을 때에는, 전기 히터로의 통전량이 증가하여 전기 히터 발열량이 증가하므로,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플렉서블 호스의 전기 히터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에 따르면, 단열층에는 전기 히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단열층이 호스 본체에 피복되어 있지만, 외기 온도가 낮아, 물이 동결하기 쉬운 조건일 때에는, 호스 본체를 흐르는 물이 동결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4는, 압송 호스를 흐르는 슬러리 등의 동결 억제에 유리하다. 그러나 사용자측의 사정에 의해,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압송 호스의 선단이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내삽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상대 배관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발열재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다. 특히, 환경 온도가 낮을 때에는, 발열재의 단위 시간당 발열량이 증가하므로,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발열재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전기 히터의 통전 발열에 의해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대 배수관의 과열을 억제하고, 상대 배수관이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 청구항 1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장치에 접속되어 장치가 발생시키는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시키면서 드레인수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이며,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장치에 연결되는 기단부 호스부와,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적어도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기단부 호스부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연속 설치된 삽입 선단 호스부와,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를 덮도록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를 외주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 단열층을 갖고 있고,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의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Qinsert<Qbase)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의 단위는, 예를 들어, J/(m2·s)이다.
사용 시에 있어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중 삽입 선단 호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대 배수관의 주위벽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내삽되는 경우가 있다. 엄한의 지역이나 동기 등에서는, 전기 히터에 통전된다. 이로 인해,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이 억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 히터가 통전에 의해 발열하면, 전기 히터가 발생시키는 열은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에 전열될 뿐만 아니라, 삽입 선단 호스부가 내삽되어 있는 상대 배수관의 주위벽에도 전열된다. 일반적으로는, 상대 배수관은 사용자측의 사정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상대 배수관의 재질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상이한 경우가 있다. 상대 배수관이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전기 히터로부터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Qinsert<Qbase). 따라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측으로부터의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측으로부터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상대 배관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가 경감된다. 또한 방열량 Qinsert, Qbase는 각각, 전기 히터의 통전 시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장치로서는, 드레인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드레인수는 응축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으로 컴프레서를 구동시키는 공기 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히트 펌프 장치, 엔진으로 발전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코제너레이션 장치, 연료 전지로 발전시키는 연료 전지 장치(코제너레이션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응축시킨 응축수를 드레인수로서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전기 히터의 형상 및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대,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2) 청구항 2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따르면, 상기에 있어서, 전기 히터는,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전기 히터는,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 기단부 호스부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권회되어 있고,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 삽입 선단 호스부보다도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된다(Qinsert<Qbase). 전기 히터는,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으므로, 권회 밀도의 성김 및 조밀함의 설정에 유리하다. 또한,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가 휠 때라도, 그 휨에 전기 히터는 대처할 수 있다.
(3) 청구항 3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따르면, 상기에 있어서, 통 형상 단열층 중 삽입 선단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은, 통 형상 단열층 중 기단부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삽입 선단 호스부가 내삽되어 있을 때, 삽입 선단 호스부측의 전기 히터로부터 상대 배수관측에 전열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 Q1은, 억제된다. 이 결과, 상대 배수관에 있어서의 열영향을 억제시킬 수 있어, 열영향에 기인하는 상대 배수관의 변질이 억제된다.
(4) 청구항 4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따르면, 상기에 있어서, 통 형상 단열층 중 삽입 선단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 Tinsert는, 통 형상 단열층 중 기단부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 Tbase보다도 두껍게 설정되어 있는(Tinsert>Tbase)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삽입 선단 호스부가 내삽되어 있을 때, 삽입 선단 호스부측의 전기 히터로부터 상대 배수관측에 전열되는 열이동량 Q1은, 억제된다. 이 결과, 상대 배수관에 있어서의 열영향을 억제시킬 수 있어, 열영향에 기인하는 상대 배수관의 변질이 억제된다.
(5) 청구항 5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따르면, 상기에 있어서,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과, 삽입 선단 호스부의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은 서로 단면 형상이 다르고,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과 삽입 선단 호스부의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 사이에, 단열용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삽입 선단 호스부의 통 형상 단열층으로부터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을 향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 이동은, 단열용 공간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전기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의 보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에 따르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로부터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된다(Qinsert<Qbase). 이 경우, 전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하면서, 상대 배수관의 과열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배수관이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의 재료가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상대 배수관에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상대 배수관에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상대 배수관에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상대 배수관에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상대 배수관에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적용 형태를 도시하는 장치의 개념도.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장치에 연결되는 기단부 호스부와 기단부 호스부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삽입 선단 호스부를 갖는 코어 호스를 갖는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는, 바람직하게는,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로 이루어지는 코어 호스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코어 호스에 설치된 전기 히터를 덮도록 기단부 호스부 및 삽입 선단 호스부를 외주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 단열층을 갖는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의 삽입 선단 호스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전기 히터 및 통 형상 단열층과 함께, 상대 배수관의 구멍에 내삽된다. 이 상태에서는,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상대 배수관이 위치한다.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의 횡단면 형상은, 진원에 가까운 원 형상인 것이 많다. 이 경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의 횡단면 형상은, 타원, 긴 원, 삼각, 사각, 육각 등의 다른 형상(비진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단열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드레인수의 동결 방지를 위해 전기 히터의 발열이 클 때라도, 상대 배수관의 열영향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횡단면은, 드레인 호스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따른 단면을 의미한다.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에 단열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의 발열량은,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의 발열량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배수관의 변질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사용의 형태로서는, 상대 배수관의 개구는 바로 윗방향이어도 되고, 또는 경사 상향(예를 들어 연직선에 대하여 2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어서 경사)이어도 되고, 횡방향이어도 된다. 그 상대 배수관의 개구의 상방으로부터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의 선단 출구를 하방(연직 방향 또는 경사 하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대 배수관의 개구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장치(9)에 접속되어 있고, 장치(9)가 발생시키는 동결 가능한 드레인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코어 호스(1x)는, 드레인수를 흘리는 드레인 통로(1y)를 갖는다. 코어 호스(1x)는, 하우징(90) 및 호스 접속부(92)를 갖는 장치(9)에 연결되는 상류측의 기단부 호스부(10)와, 기단부 호스부(10)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류측의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갖는다. 하우징(9)의 하우징(90)보다도 외측은 일반적으로는 외기로 되어 있고, 엄한의 지역이나 동기 등에서는, 동결을 발생시키기 쉬운 온도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드레인수는 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배수이며, 장치(9)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응축된 응축수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코어 호스(1x)에 대해서는,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걸쳐, 내경 및 외경을 동일하게 해도 되고, 다르게 해도 된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 중 선단측의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은, 사용자측의 사정 등에 따라, 상대 배수관(4)에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는, 상대 배수관(4)의 주위벽(43)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4)의 주위벽(43)으로 구획되는 구멍(40)의 내주 벽면(41)측에 내삽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삽입 선단 호스부(12)는, 상대 배수관(4)의 내경[구멍(40)의 직경]과 대략 동일[단,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상대 배수관(4)에 삽입할 수 있는 것]해도 되고, 상대 배수관(4)의 내경보다 작아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설치된 전기 히터(2)와,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설치된 전기 히터(2)를 덮도록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외주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 단열층(3)을 갖는다. 통 형상 단열층(3)은 높은 단열성을 갖는 수지나 고무 등의 고분자계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발포체 등의 다공질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히터(2)는,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로 이루어지는 코어 호스(1x)에 있어서, 이것의 중심 축선 둘레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가 휨 변형할 때라도, 그 휨 변형에 전기 히터(2)는 대처할 수 있다.
통 형상 단열층(3)은 코어 호스(1x)의 대략 전체를 피복하고 있고,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양쪽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의 내층(30)과,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의 외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층(32) 및 내층(30)은 서로 박리 가능하게 독립되어 있어도 되고,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층(32)은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고 있지 않다. 또한 내층(30) 및 외층(32)은 동일 재질 또는 동일 계열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 계열 재질은, 주요 성분이 동질이지만, 부차적 성분이 상이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재질로서는 실리콘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이 예시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30) 및 외층(32)의 합계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내층(30)의 두께를 Tbase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단열층(3) 중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내층(30) 및 외층(32)의 합계합]의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base로 한다. 두께 Tinsert는 두께 Tbase보다도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Tinsert>Tbase).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 배수관(4)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삽입 선단 호스부(12) 중 선단(12e)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주 벽면(41)측에 내삽된 상태에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대 배수관(4)은 외주 벽면(4p), 축 단부면(4e)을 갖는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배수성이나 설치성 등이 고려된 것이다. 엄한의 지역이나 동기 등에서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하기 위해, 전기 히터(2)는 통전된다. 이로 인해,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평균적인 방열량을 Qinsert로 한다.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평균적인 방열량을 Qbase로 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방열량 Qinsert는,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Qinsert<Qbase).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 히터(2)가 통전에 의해 발열하면, 전기 히터(2)가 발생시키는 열이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로 이루어지는 코어 호스(1x)의 드레인 통로(1y) 내에 전열되어, 드레인 통로(1y) 내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히터(2)가 발생시키는 열은,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에도 전열된다. 일반적으로는, 상대 배수관(4)은 사용자측의 사정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상대 배수관(4)의 재질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상이한 경우가 있다. 상대 배수관(4)이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예를 들어 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등)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 배수관(4)의 재료가 전기 히터(2)로부터의 열영향에 기인하여 변질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변질이 진행되면, 드레인수의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평균적인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로부터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평균적인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Qinsert<Qbase). 따라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으로부터의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10)측으로부터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시키면서,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상대 배수관(4)을 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4)의 재료가 전기 히터(2)의 발열의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가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에 따르면, 전기 히터(2)는,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로 이루어지는 코어 호스(1x)의 외주 벽면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히터(2)는,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 기단부 호스부(10)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권회되어 있다.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에 대해서는,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를 Pbase로 하고,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를 Pinsert로 하면, 스파이럴 피치 Pinsert는 스파이럴 피치 Pbase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Pinsert/Pbase로서는 1.1 내지 4.0의 범위, 1.2 내지 3.0의 범위가 예시된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파이럴 형상의 전기 히터(2)의 평균적인 권회 밀도는,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 삽입 선단 호스부(12)보다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스파이럴 형상의 전기 히터(2)의 평균적인 권회 밀도는,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 기단부 호스부(10)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으로부터의 평균적인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10)측으로부터의 평균적인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Qinsert<Qbase). 또한, 도 2에 있어서,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가 큰 영역을 MA로 하여 나타내고,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가 작은 영역을 MB로 하여 나타낸다.
Qinsert/Qbase=0.20 내지 0.85의 범위, 특히 0.30 내지 0.80의 범위, 0.40 내지 0.70의 범위가 예시된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Qinsert/Qbase가 작은 쪽이,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이 억제된다. Qinsert/Qbase가 지나치게 작으면,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동결 억제 효과가 한정된다. 상기한 평균적이라 함은 단순 평균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단열층(3) 중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base로 한다. 두께 Tinsert는 두께 Tbase보다도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Tinsert>Tbase). 이 결과, 상대 배수관(4)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측에 삽입 선단 호스부(12)가 내삽되어 있을 때, 즉,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주측에 상대 배수관(4)이 위치하고 있을 때,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의 전기 히터(2)로부터 상대 배수관(4)에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전열되는 열이동량은, 억제된다. 이 결과, 전기 히터(2)의 발열에 기인하는 상대 배수관(4)의 과열이 억제되어,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에 있어서의 열영향을 억제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전기 히터(2)의 발열에 기인하는 열영향에 기인하는 상대 배수관(4)의 변질(변질 열화)이 억제된다. 또한, Tinsert/Tbase=1.15 내지 4.10의 범위, 특히 1.20 내지 3.20의 범위, 1.20 내지 2.50의 범위가 예시된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insert/Tbase의 비율이 작은 쪽이,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경의 과잉 증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가령,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 중 상대적으로 상류측의 강성이 높으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전체의 가요성이 확보되기 어려울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선단 호스부(12)보다도 장치(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측(상류측)의 기단부 호스부(10)의 단열층(3)의 두께 Tbase는, 장치(9)의 하우징(9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측(하류측)의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단열층(3)의 두께 Tinsert보다도 얇게 설정되어 있다(Tinsert>Tbase). 이로 인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 중 상대적으로 상류측의 강성이 낮아져,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 중 상대적으로 상류측의 가요성 및 유연성이 확보되기 쉬워져,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전체의 가요성이 확보되기 쉬운 이점이 얻어진다. 이 경우,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설치의 자유도가 확보되기 쉬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를 흐르는 드레인수의 동결을, 전기 히터(2)의 발열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전기 히터(2)에 통전하여 발열시킬 때에 있어서도, 상대 배수관(4)의 과열을 억제시키고, 상대 배수관(4)이 전기 히터(2)로부터의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예를 들어 염화 비닐 등)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대 배수관(4)의 재료가 전기 히터(2)로부터의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온도가 낮아 동결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 있어서 전기 히터(2)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때라도, 상대 배수관(4)의 재료가 전기 히터(2)로부터의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히터(2)나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온도 등을 검지하는 온도 센서를 폐지하거나, 그 온도 센서를 이용한 과열 방지 장치 등을 폐지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권회에 의해, 기단부 호스부(10)의 외주벽(10p)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주 벽면(12p)과 통 형상 단열층(3)의 내주 벽면(3i) 사이에, 전기 히터(2)의 두께 th의 영향으로, 간극(35)이 형성된다. 간극(35)은, 단열 간극으로서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스파이럴 권회의 조밀(粗密)의 영향이 있으므로, 간극(35)의 체적에 대해서는, 기단부 호스부(10)의 외주벽(10p)보다도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주 벽면(12p)에 있어서 많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으로부터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으로의 전열을 억제시켜, 전기 히터(2)가 통전될 때에 있어서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 과열에 기인하는 변질을 억제시키는 데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을 삼각, 타원, 긴 원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에, 복수의 돌기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시켜도 된다.
또한 사용의 형태로서는,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개구(40m)는 횡방향이어도 되고, 바로 윗방향이어도 되고, 또는 경사 상향(예를 들어 연직선에 대하여 2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어서 경사)이어도 된다. 그 상대 배수관(4)의 개구(40m)의 상방으로부터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출구[선단(12e)]를 수평 방향, 또는, 하방(연직 방향 또는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개구(40m)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 개구(40m)가 상향이면,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 내의 열기의 방출에도 유리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단열층(3)은, 기단부 호스부(10) 및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양쪽을 피복하는 내층(30)과,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외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에 있어서의 과열을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외층(32)은, 내층(30)보다도 두께 방향의 열 전달률이 작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의 단열성을 높이면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선단측의 외경 DA(도 3 참조)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경 Dm의 과잉 증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도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base로 한다. 두께 Tinsert는 두께 Tbase보다도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Tinsert>Tbase). 또한 필요에 따라,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을 삼각, 타원, 긴 원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에, 복수의 돌기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시켜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4는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단열층(3) 중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insert로 한다.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Tbase로 한다. 두께 Tinsert는 기본적으로는 두께 Tbase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Tinsert=Tbase, Tinsert≒Tbas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기 히터(2)는,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 기단부 호스부(10)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권회되어 있다. 즉,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 P에 대해서는,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를 Pbase로 하고,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의 전기 히터(2)의 스파이럴 피치를 Pinsert로 하면, 스파이럴 피치 Pbase보다도 스파이럴 피치 Pinsert는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전기 히터(2)는, 기단부 호스부(10)에 있어서, 삽입 선단 호스부(12)보다도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권회되어 있다. 환언하면, 전기 히터(2)는, 삽입 선단 호스부(12)에 있어서, 기단부 호스부(10)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권회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에 있어서 전기 히터(2)로부터의 방열량 Qinsert는, 기단부 호스부(10)측에 있어서 전기 히터(2)로부터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Qinsert<Qbase).
이 결과, 열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상대 배관을 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는 경우라도, 전기 히터(2)의 통전 발열에 의해 드레인수의 동결을 억제시키면서, 상대 배수관(4)의 재료가 전기 히터(2)의 통전 발열의 열영향으로 변질될 우려가 경감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을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타원, 긴 원 등과 같이,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에 대하여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에, 복수의 돌기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기 히터(2)가 온(ON)되어 발열할 때에 있어서, 통 형상 단열층(3) 중 삽입 선단 호스부(12)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은, 통 형상 단열층(3) 중 기단부 호스부(10)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도 5는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측에 피복되어 있는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은, 편평화된 타원 형상 또는 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비진원 형상, 다른 형상). 삽입 선단 호스부(12)측의 단면의 외주 벽면의 긴 직경을 D1으로 하고, 짧은 직경을 D2로 하여 나타낸다.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경 Dm은,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긴 직경 D1에 대략 정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은, 상대 배수관(4)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 진원 형상 또는 진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과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특히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짧은 직경측] 사이에, 단열용 공간(44)이 확보된다. 전기 히터(2)의 발열량을 크게 하여 드레인수의 동결 억제를 도모하면서, 단열용 공간(44)의 단열 작용에 의해,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 억제에 더욱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가 바닥면 등의 설치면에 설치될 때,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짧은 직경 D2가 높이 방향(화살표 H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삽입 선단 호스부(12)는 높이 방향(화살표 H방향)에 있어서 편평화되므로, 사용자나 유지 보수하는 사람 등의 보행에 영향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6은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측에 피복되어 있는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은, 3개의 꼭지각(3r)과 3개의 변(3s)을 갖는 삼각 형상(비진원 형상,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주 벽면(41)(내경:Dm)은, 상대 배수관(4)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 진원 형상 또는 진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과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변(3s)] 사이에, 단열용 공간(44)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전기 히터(2)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드레인수의 동결 억제를 도모하면서,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7은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 및 통 형상 단열층(3)은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횡단면 형상을 삼각, 타원, 긴 원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에, 복수의 돌기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시켜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제1, 제2, 제4, 제5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삽입 선단 호스부의 횡단면 형상은 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과 삽입 선단 호스부의 단열층의 외주 벽면 사이에, 단열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의 과열 억제에 더욱 공헌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8은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선단 호스부(12)의 외측에 피복되어 있는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횡단면:원 형상)에는, 복수의 돌기(30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적어도,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의 적어도 하면(32pd)에는, 복수의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00)에 의해,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과 상대 배수관(4)의 구멍(40)의 내주 벽면(41)(횡단면:원 형상, 내경:Dm) 사이에, 단열용 공간(44B)을 확보할 수 있다. 단열용 공간(44B)의 간극 폭은 돌기(300)의 돌출량에 상당한다. 돌기(300)는 통 형상 단열층(3)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부품을 매립하여 형성해도 된다.
용도에 따라서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가 횡방향을 따라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 중 하면(32pd)은,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 중 하면(41d)에 접촉하기 쉽고, 이로 인해 전기 히터(2)의 통전에 의해, 하면(41d)에는 열영향에 의한 변질이 진행되기 쉽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면(32pd)과 하면(41d) 사이에는, 이들의 전체면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300)에 의해 단열용 공간(44B)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 히터(2)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드레인수의 동결 억제를 도모하면서,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에 돌기(300)를 형성해도 된다. 돌기(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기둥 형상, 반구 형상 등이 예시된다. 또한,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층(32)의 외주 벽면(32p)의 전체에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돌기(300)를 갖는 제8 실시 형태(도 8 참조)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대 배수관(4)의 개구(40m)가 바로 위 또는 경사 상향이고, 그 상방으로부터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출구[선단(12e)]를 하방(연직 방향 또는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대 배수관(4)의 개구(40m)에 삽입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돌기(300)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의 통 형상 단열층(3)의 외주 벽면(32p)과,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전면적인 접촉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로 인해 전기 히터(2)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드레인수의 동결 억제를 도모하면서, 상대 배수관(4)의 내주 벽면(41)의 과열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적용 형태)
도 9는 적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장치(1B)는, 가스 형상이나 액상의 연료로 구동하는 엔진(100)과, 엔진(100)으로 구동되는 컴프레서 또는 발전기 등의 가동기(101)와, 엔진(100)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통로(120)를 통해 통과시키는 열교환기(102)와, 열교환기(102)에서 생성한 응축수로 형성된 드레인수(산성)를 알칼리계의 중화제로 중화시키는 중화기(103)와, 중화기(103)에서 중화된 드레인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중화기(103)로부터 외부에 연장 설치된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를 구비하고 있다.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1)는 상기한 각 실시 형태의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102)에는, 배기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액을 흘리는 펌프(106)를 갖는 냉각 통로(107)가 배치되어 있다.
(기타) 전기 히터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행(蛇行)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타입이어도 된다. 통 형상 단열층(3)은, 내층(30) 및 외층(32)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양자를 일체화시킨 단열층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1x : 코어 호스
1y : 드레인 통로
10 : 기단부 호스부
12 : 삽입 선단 호스부
2 : 전기 히터
3 : 통 형상 단열층
30 : 내층
32 : 외층
4 : 상대 배수관
40 : 구멍
40m : 개구
41 : 내주 벽면
9 : 장치

Claims (10)

  1. 장치에 연결되는 기단부 호스부와, 상대 배수관이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측에 적어도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상기 기단부 호스부의 끝측에 일체적으로 연속 설치된 삽입 선단 호스부와, 상기 기단부 호스부 및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상기 기단부 호스부 및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에 설치된 상기 전기 히터를 덮도록 상기 기단부 호스부 및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를 외주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 단열층을 갖고 있고,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 히터로부터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insert는,
    상기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 히터로부터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측에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방열량 Qbase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Qinsert<Qbase), 상기 장치가 발생시키는 드레인수를 상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량 Qbase에 대한 상기 Qinsert는, 0.20 내지 0.85 중 어느 하나(Qinsert/Qbase=0.20 내지 0.85)인,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기단부 호스부 및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 호스부보다도 상대적으로 성기게 권회되어 있고, 상기 기단부 호스부에 있어서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보다도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권회되어 있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단열층 중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은, 상기 통 형상 단열층 중 상기 기단부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를 외주측으로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의 열이동량보다도 작은,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단열층 중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 Tinsert는, 상기 통 형상 단열층 중 상기 기단부 호스부를 피복하는 단열층 부분의 두께 Tbase보다도 두껍게 설정되어 있는(Tinsert>Tbase),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은, 상기 기단부 호스부 및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의 양쪽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의 내층과,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측만의 상기 내층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는 통 형상의 외층을 구비하고 있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과,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의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은 서로 단면 형상이 다르고,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과 상기 삽입 선단 호스부의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 사이에, 단열용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배수관의 내주 벽면의 횡단면 형상은 원 형상이며,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의 횡단면 형상은 비진원 형상인,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진원 형상은, 삼각 형상, 사각 형상, 오각 형상, 육각 형상, 타원 형상, 긴 원 형상, 별 형상 중 어느 하나인,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단열층의 외주 벽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KR1020120040978A 2011-04-20 2012-04-19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KR101355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840 2011-04-20
JP2011093840A JP5720394B2 (ja) 2011-04-20 2011-04-20 凍結防止用ドレインホ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050A KR20120120050A (ko) 2012-11-01
KR101355275B1 true KR101355275B1 (ko) 2014-01-27

Family

ID=4727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78A KR101355275B1 (ko) 2011-04-20 2012-04-19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20394B2 (ko)
KR (1) KR1013552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244A (ja) 2001-03-13 2002-11-27 Sekisui Chem Co Ltd 凍結防止複合管
JP2009030771A (ja) 2007-07-30 2009-02-12 Nitta Moore Co 加熱・保温チューブを有する装置
KR100979968B1 (ko) 2010-02-03 2010-09-03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열선이 내장된 보온관
KR20110035965A (ko) * 2009-09-29 2011-04-06 허친슨 유체 이송라인용 가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832A (ja) * 1996-08-23 1998-03-06 Sekisui Plastics Co Ltd ヒータ付配管
JP2003119840A (ja) * 2001-10-11 2003-04-23 Misawa Homes Co Ltd 配管ユニット
US20070212037A1 (en) * 2006-03-03 2007-09-13 Andreas Koenekamp Heating element and mounting for media piping of fuel cell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244A (ja) 2001-03-13 2002-11-27 Sekisui Chem Co Ltd 凍結防止複合管
JP2009030771A (ja) 2007-07-30 2009-02-12 Nitta Moore Co 加熱・保温チューブを有する装置
KR20110035965A (ko) * 2009-09-29 2011-04-06 허친슨 유체 이송라인용 가열장치
KR100979968B1 (ko) 2010-02-03 2010-09-03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열선이 내장된 보온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0394B2 (ja) 2015-05-20
JP2012225427A (ja) 2012-11-15
KR20120120050A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1988T3 (es) Conducto calefactable para fluidos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RU2483237C2 (ru) Огнезащитная оболочка для трубы
WO2011011892A1 (en) Gravity driven heat exchanger using greywater from drain
JP2009532636A (ja) 流動可能な媒体、特に、潤滑剤システム内にある潤滑剤の温度に影響を与える装置
BR112015002632B1 (pt) corpo de tubo flexível e método de fornecimento do mesmo
KR101355275B1 (ko) 동결 방지용 드레인 호스
JP2008545234A (ja) 加熱パイプ閉鎖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加熱器
JP5928007B2 (ja) 貯湯タンク用断熱材および貯湯式給湯機
KR102031624B1 (ko) 가열가능한 유체 라인
WO2011127574A1 (en) Turbulator and conduit apparatus for a heat exchanger
US8070187B2 (en) Interface hose seal for low permeation flange of a fuel supply unit
KR101288384B1 (ko) 발열부를 구비한 파이프
JP5470803B2 (ja) 局部洗浄用の温水タンク装置
JP711337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2032118A (ja) 給湯管
JP5861096B2 (ja) 鏡装置
JP2006052759A (ja) 波形可撓管及びそれの製造方法
WO2014061313A1 (ja) 空調装置、及び空調方法
US10156382B2 (en) Heat trap
KR200362424Y1 (ko) 에어컨용 배관
KR101587947B1 (ko) 친환경 건축용 배관
CN221005514U (zh) 防电墙、混水阀组件和电热水系统
JP2009281690A (ja) 床暖房パネル、及び当該床暖房パネルを備えた床暖房設備
CN221223013U (zh) 电热水系统
JP2006010212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