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33B1 -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33B1
KR101353433B1 KR1020120044336A KR20120044336A KR101353433B1 KR 101353433 B1 KR101353433 B1 KR 101353433B1 KR 1020120044336 A KR1020120044336 A KR 1020120044336A KR 20120044336 A KR20120044336 A KR 20120044336A KR 101353433 B1 KR101353433 B1 KR 10135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iewing angle
base film
ink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286A (ko
Inventor
안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Priority to KR102012004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3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도 개인정보 및 중요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게 한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나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PRODUCTION APPARATUS FOR VIEWING ANGLE CONTROL FILM, MANUFACTURING PROCESS FOR VIEWING ANGLE CONTROL FILM AND VIEWING ANGLE CONTROL FILM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도 개인정보 및 중요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나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공장소에서 정보기기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호하고 개인 사생활의 침해를 막기 위한 화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정보기기의 화면을 일정 각도 이상에서는 볼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 시야각 제한 필름이다.
시야각 제한 필름은 광 제어 필름(Light Control film) 또는 보안필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야각 제한 필름은 사생활 보호에 따라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시야각 제한 필름은 빛을 흡수하는 불투명 물질(또는 검은 물질)과 빛을 투과하는 투명 물질을 교대로 적층한 후, 상기 적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는 방법(문헌 4의 도2 예시)으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층과 빛을 흡수하는 비투과층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그 결과 정면에서 입사하는 빛은 투과되지만,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비투과층에 흡수되어 투과되지 못한다. 따라서, 정면에 있는 사용자에게만 표시장치에 표시된 정보가 보이고, 측면에 있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두 물질을 교대로 적층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최종 시야각 필름의 균일성이 낮아 제품의 질이 떨어지며,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보안필름의 문제점을 개선한 보안필름은 후술되는 문헌 1 내지 문헌 5의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문헌 1에서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창살층이 각각 형성된 필름 2장을 창살층이 서로 교차하도록 합지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2에서는 광투과성 스템프를 형성하고 스템프의 음각에 잉크를 넣고 경화시켜 비투과부를 형성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3에서는 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을 필름에 형성하고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블랙 잉크를 주입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4에서는 광투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비투과층형성홈이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투명필름과, 상기 비투과층형성홈에 비투과성 잉크로 인쇄된 비투과층을 형성하여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5에서는 루버층 필름을 가로 세로로 교차시켜 광 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6에서는 원하는 패턴이 음각된 니켈 금형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여 마스터 몰드를 제조하고 이 마스터 몰드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 패턴의 오목부에 블랙 잉크를 주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2008-0066424호 "4방 엿보기 방지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2008.07.16. 공개)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2010-0060452호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필름." (2010.06.07. 공개)
[특허문헌 3] 공개특허 제2011-0045296호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2011.05.04. 공개)
[특허문헌 4] 등록특허 제10-0753591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2007.08.30. 공고)
[특허문헌 5] 등록특허 제10-1086927호 "광 제어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 제어필름" (2011.11.29. 공고)
[특허문헌 6] 등록특허 제10-10991533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방법" (2011.12.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1차 코팅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투명수지(70a)를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2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2노즐(13)과, 2차 코팅된 투명수지(70b)를 반건조하는 반경화용 제2 UV 램프(14)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수직홈(40v)들을 형성하는 수직홈형성 롤 몰드(7V)와,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2 UV 램프(16)와, 수직홈(40v)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2잉크노즐(17)과,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2긁개(18)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2잉크제거 롤(19)과, 수직홈(40v)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2 UV 램프(20)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에 형성된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직선형의 수평 및 수직 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100u)와; 상기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격자형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와; 상기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를 거친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수평 홈(40h) 및 수직 홈(40v)들 사이의 폭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로 분리 설치되는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 형성장치(100u)는,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도포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아 형성되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는,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a)과,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아 형성되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는,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b)과,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에 형성된 수평 홈(40h) 및 수직 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필름 공급롤(1)을 준비하는 단계(S1)와,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단계(S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4)와,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5)와,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단계(S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단계(S7)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8)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9)와,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11)와,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2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13)와, 2차 코팅된 투명수지(70b)를 반 건조하는 단계(S14)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간격을 두고 수직홈(40v)들을 형성하는 단계(S15)와,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16)와, 수직홈(40v)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17)와,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18)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19)와, 수직홈(40v)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20)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으로 합지시키는 단계(S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단계(S22)와, 점착제(44)를 열로 경화시키는 단계(S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단계(S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단계(S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단계(S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단계(S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단계(S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 제조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수평 및 수직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공정(100)과; 상기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공정(200)과; 상기 비투과부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으로 분리되는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 형성공정(100)은,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110)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단계(S120)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30)와,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140)와,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단계(S150)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단계(S160)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170)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투과부 완성공정(200)은, 베이스필름 권취롤(1a)에서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210)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220)와,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23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240)와,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250)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단계(S260)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 단계(S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은, 베이스필름 권취롤(lb)에서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310)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단계(S320)와, 점착제(44)를 열경화하는 단계(S330)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하는 단계(S340)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단계(S350)와,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단계(S360)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단계(S370)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투과 간격을 두고 층을 형성하는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각각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된 수평홈(40h)과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된 수직홈(40v)을 교차시켜 형성되는 격자형의 비투과부를 구비한 시야각 제한 필름에 있어서,
상기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코팅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접착필름(42)과, 상기 접착필름(42)위에 형성되는 화면부착용 점착제(44)와, 상기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보호필름(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투명인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제1받침롤(7a)로 지지되는 투명수지(70)에 격자형 홈(40G)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투명수지(70)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격자형 홈(40G)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격자형 홈(40G) 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투명수지(70)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경화된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격자형 홈(40G)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제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필름(B)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5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양면에 보호필름(48)의 합지, 격자형 홈(40G)의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으로 분리 설치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장치(500u)는,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 상에 투명수지(70)를 도포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투명수지(70)가 반 건조된 제1받침롤(7a) 위의 베이스필름(B) 상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 개인정보 및 중요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 개인정보 및 중요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로 형성함으로써,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형성함으로써,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불량시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가 멈추더라도 다른 공정의 제조장치는 계속 가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홈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홈 형성장치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비투과부 완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비투과부 완성장치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홈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홈 형성장치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비투과부 완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비투과부 완성장치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투명인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제1받침롤(7a)로 지지되는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수평홈(40h) 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베이스필름(B)에 2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2노즐(13)과, 2차 코팅된 투명수지(70b)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2 UV 램프(14)와, 제2받침롤(15a)로 지지되는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간격을 두고 수직홈(40v)들을 형성하는 수직홈형성 롤 몰드(7V)와,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2 UV 램프(16)와, 수직홈(40v)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2잉크노즐(17)과,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2긁개(18)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2잉크제거 롤(19)과, 수직홈(40v) 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2 UV 램프(20)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경화된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단일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신호로 전원 및 작동이 단속되거나 제어 된다.
또한, 베이스필름(B), 접착필름(42) 및 보호필름(48)은, 두께를 달리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들이 사용된다.
상기한 UV 램프(6)(8)(12)(14)(16)(20)는, 반 건조, 건조, 완전 건조 상태로 가열할 수 있는데 램프의 수량 조절을 통해 가열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측정기(26)는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CCD 광학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을 준비(S1)한 후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게 된다(S2).
이때,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는 이오나이저(3)로 제거(S3)하고,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은 점착 롤(4)의 점착으로 제거된다(S4).
베이스필름(B)의 이동시 수지코팅용 제1노즐(5)은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일정 두께로 1차 코팅(S5)한다.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는 반 경화용 제1 UV 램프(6)를 통과하면서 반 건조된다(S6).
제1 받침롤(7a)로 지지되는 베이스필름(B) 상의 1차 코팅 투명수지(70a)가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를 통과하게 되면,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이 형성된다(S7).
수평홈(40h)들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 상의 1차 코팅 투명수지(70a)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를 통과하면서 완전 건조된다(S8).
이후 수평홈(40h)에는 제1잉크노즐(9)에 의하여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되고,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는 제1긁개(10)로 제거된다(S10).
제1긁개(10)가 잔류잉크를 긁어내면, 제1잉크제거 롤(11)은 남아있는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한다(S11).
이후, 수평홈(40h)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를 통과하면서 건조된다(S12).
비투과성 잉크의 건조로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P)와 광이 차단되는 비투과부(r)가 형성된다.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를 통과한 베이스필름(B)에는 수지코팅용 제2노즐(13)을 통해 투명수지(70)가 일정 두께로 2차 코팅된다(S13). 그리고 2차 코팅 된 투명수지(70b)는 반경화용 제2 UV램프(14)에 의해 반 건조된다(S14).
제2 받침롤(15a)로 지지되는 2차 코팅 투명수지(70b)가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를 통과하게 되면,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홈(40v)들이 형성된다(S15). 즉, 1차 형성된 수평홈(40h)들 위에 수직홈(40v)들이 2차로 형성되는 것이다.
수직홈(40v)들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가 완전 경화용 제2 UV 램프(16)를 통과하게 되면, 2차 코팅 투명수지(70b)는 완전 건조된다(S16).
2차 코팅 투명수지(70b)가 완전 건조되면, 제2잉크노즐(17)은 비투과성 잉크를 수직홈(40V)에 도포하게 된다(S17). 이때,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는 제2긁개(18)로 긁어내고(S18), 제2긁개(18)로 긁어내고 남은 잔류잉크는 제2잉크제거 롤(19)에 의해 제거된다(S19).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까지 제거되면 잉크 건조용 제2 UV 램프(20)는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한다(S20).
비투과성 잉크의 건조로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P)와 광이 차단되는 비투과부(r)가 형성된다.
그리고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수직홈(40v)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가 건조되면, 필름 합지기(21)는 비투과부(r)를 보호하기 위하여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킨다(S21).
접착필름(42)이 합지되면, 점착제 코팅용 노즐(22)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도포하여 코팅한다(S22). 상기 점착제(44)는, 기기의 화면에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처럼 점착성이 좋은 것이 사용된다.
점착제(44)가 코팅되면, 열풍기(23)는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킨다(S23). 점착제(44)가 경화되면 롤 히터(24)는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 위에 바필름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킨다(S24).
보호필름(48)의 합지로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완성되면, 절단기(25)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한다(S25).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이 절단되면, 광학계형 측정기(26)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 사이의 폭을 측정한다(S26). 상기 측정기(26)는 수평 홈(40h) 및 수직 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여 불량을 점검하게 된다.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측정기(26)를 통과하게 되면 재단기(27)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고,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이 끝나면 적재기(28)는 일정 길이로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한다.
적재기(28)에서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적재되면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제조공정은 종료된다.
도 3 내지 도 8은,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와 그 제조장치에 의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직선형의 수평 및 수직 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100u)와; 상기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와; 상기 격자형 비투과층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양면에 보호필름(48) 합지, 수평 홈(40h) 및 수직 홈(40v)들 사이의 폭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으로 분리 설치된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홈 형성장치(100u),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 및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 3개로 분리한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형성하게 되면,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과정 발생하는 불량에 대해 해당 장치의 정지 및 정비 등의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불량 또는 정비 등의 이유로 해당 제조장치가 멈추더라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장치는 계속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신호로 전원 및 작동이 단속되거나 제어 된다.
상기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의 공정은, 수평/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직선형의 수평 및 수직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공정(100)과; 상기 직선형태의 수평 홈(40h) 및 수직 홈(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게 되는 비투과부 완성공정(200)과; 상기 비투과부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의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시야각 제한 필름(F)상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등 3개 공정으로 분리된다.
이하,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을 형성하고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한 후 접착필름(42)를 부착시켜 비투과부(r)를 형성하게 됨을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의 공정을 통해 설명한다.
그리고 비투과부(r)는 수평홈(40h)만을 형성하거나 수평홈(40h)과 수직홈(40v) 모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홈(40h) 또는 수직홈(40v)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일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직홈형성 롤 몰드(7V) 모두 설치한 경우이고, 상기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를 설치한 경우이며 필요시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로 수직홈(40v)을 형성하는 공정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시에는 투명수지에 수평홈(40h)과 수직홈(40v) 중 어느 것을 먼저 형성하더라도 격자형 비투과부(r)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에서 홈 형성장치(100u)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 상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가 반 건조된 제1받침롤(7a) 위의 베이스필름(B) 상에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한다.
상기한 홈 형성장치(100u)는, 수평홈(40h)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를 수직홈(40v)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로 교체하게 되면 수직홈(40v) 형성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성장치(100u)의 공정(1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한다(S110).
베이스필름(B)이 공급되면, 이오나이저(3)는 정전기를 제거(S120)하고, 점착 롤(4)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제거한다(S130).
베이스필름(B)이 점착 롤(4)을 통과하면, 제1 수지코팅용 노즐(5)은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S140)한다.
1차로 투명수지(70)가 코팅되면, 반 경화용 제1 UV 램프(6)는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한다(S150).
이후, 1차 코팅 투명수지(70a)가 반 건조된 상태에 있는 베이스필름(B)이 이동하게 되면,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는 제1 받침롤(7a)로 지지되는 베이스필름(B) 상의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을 형성한다(S160).
수평홈(40h)들이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형성되면,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는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한다(S170).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가 완전 건조되면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다(S180).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은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은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에 투입된다.
상기한 수평홈(40h)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를 수직홈(40v)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로 교체하면 수직홈(40v) 형성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홈 형성공정(100)에서 수직홈(40v)을 형성하는 공정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베이스필름(B)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포함한다.
상기한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의 공정(2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공정(100)에서 권취된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한다(S210).
베이스필름(B)이 공급되면, 제1잉크노즐(9)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의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한다(S220).
비투과성 잉크가 수평홈(40h)을 벗어나면, 제1긁개(10)는 수평홈(40h) 밖의 잔류 잉크를 긁어낸다(S230).
제1긁개(10)로 긁어내고도 잉크가 잔류하게 되면, 제1잉크제거 롤(11)은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한다(S240).
이후, 잔류잉크가 제거되면,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는 수평홈(40h)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한다(S250).
1차 코팅 투명수지(70a)의 수평홈(40h)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가 건조되면, 필름합지기(21)는 비투과부(r)를 보호하기 위하여 1차 코팅 투명수지(70a)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킨다. 즉, 접착필름(42)은 베이스필름(B)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평홈(40h)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를 보호한다.
상기 접착필름(42)이 합지되면, 베이스필름(B)은 다시 감겨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은 다음 공정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에 공급된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b)에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합지된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경화된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 상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의 공정(3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이 준비되면, 베이스필름(B)을 공급롤러(2)로 풀어 공급한다(S310).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이 공급롤러(2)에 의해 공급되면 점착제 코팅용 노즐(22)은 기기의 화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점착제(44)를 접착필름(42) 위에 도포해 코팅한다(S320).
점착제(44)가 코팅되면, 열풍기(23)는 점착제(44)를 경화시킨다(S330). 점착제(44)가 경화되면 롤 히터(24)는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상에 필름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킨다(S340).
보호필름(48)의 합지를 통해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완성되면 절단기(25)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한다(S350).
양옆 여분이 절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측정기(26)를 통과하면, 측정기(26)는 시야각 제한 필름(F)에 형성된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S360)하여 불량을 검사하게 된다.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측정기(26)를 통과하면, 재단기(27)는 제품 길이에 맞춰 재단하고(S370),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이 끝나면 적재기(28)는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게 된다(S380).
그리고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에서 수평홈(40h)을 비투과부(r)에 형성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수평홈형성 롤 몰드(7H)를 수직홈형성 롤 몰드(7V)로 교체하면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 위에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시야각 제한 필름(F)은 광 투과 간격을 두고 층을 형성하는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각각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된 수평홈(40h)과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된 수직홈(40v)을 교차시킨 격자형의 비투과부(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F)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접착필름(42)과, 상기 접착필름(42) 면에 기기의 화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제(44)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의 각 표면에는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48)들이 더 부착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투명인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제1받침롤(7a)로 지지되는 투명수지(70)에 격자형 홈(40G)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투명수지(70)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격자형 홈(40G)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격자형 홈(40G) 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투명수지(70)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경화된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격자형 홈(40G)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단일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신호로 전원 및 작동이 단속되거나 제어 된다.
또한, 베이스필름(B), 접착필름(42) 및 보호필름(48)은, 두께를 달리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들이 사용된다.
상기한 UV 램프(6)(8)(12)는, 반 건조, 건조, 완전 건조 상태로 가열할 수 있는데 램프의 수량 조절을 통해 가열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측정기(26)는 격자형 홈(40G)의 크기 및 모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CCD 광학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400)에서 베이스필름 공급롤(1)을 준비(S410)한 후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게 된다(S411).
이때,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는 이오나이저(3)로 제거(S412)하고,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은 점착 롤(4)의 점착으로 제거된다(S413).
베이스필름(B)의 이동시 수지코팅용 제1노즐(5)은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일정 두께로 코팅(S414)한다. 투명수지(70)는 반 경화용 제1 UV 램프(6)를 통과하면서 반 건조된다(S415).
제1 받침롤(7a)로 지지되는 베이스필름(B)상의 투명수지(70)가 격자홈형성 롤 몰드(7G)를 통과하게 되면, 투명수지(70)에는 간격을 두고 격자형 홈(40G)들이 형성된다(S7).
격자형 홈(40G)들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상의 투명수지(70)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를 통과하면서 완전 건조된다(S417).
이후 격자형 홈(40G)에는 제1잉크노즐(9)에 의하여 비투과성 잉크가 도포되고, 격자형 홈(40G)을 벗어난 잔류 잉크는 제1긁개(10)로 제거된다(S419).
제1긁개(10)가 잔류잉크를 긁어내면, 제1잉크제거 롤(11)은 남아있는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한다(S420).
이후, 격자형 홈(40G)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를 통과하면서 건조된다(S421).
비투과성 잉크의 건조로 투명수지(70)에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P)와 광이 차단되는 비투과부(r)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수지(70)의 격자형 홈(40G)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가 건조되면, 필름 합지기(21)는 비투과부(r)를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수지(70)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킨다(S422).
접착필름(42)이 합지되면, 점착제 코팅용 노즐(22)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도포하여 코팅한다(S423). 상기 점착제(44)는, 기기의 화면에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처럼 점착성이 좋은 것이 사용된다.
점착제(44)가 코팅되면, 열풍기(23)는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킨다(S424). 점착제(44)가 경화되면 롤 히터(24)는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 위에 필름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킨다(S425).
보호필름(48)의 합지로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완성되면, 절단기(25)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한다(S426).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이 절단되면, 광학계형 측정기(26)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의 격자형 홈(40G) 크기 및 모양을 측정하여(S427) 불량을 점검하게 된다.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측정기(26)를 통과하게 되면 재단기(27)는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S428)하고,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이 끝나면 적재기(28)는 일정 길이로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한다(S429).
적재기(28)에서 시야각 제한 필름(F)이 적재되면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제조공정은 종료된다.
도 12 내지 도 15는 공정을 분리시킨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그 제조장치에 의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가 베이스필름(B)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5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의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양면에 보호필름(48)의 합지, 격자형 홈(40G)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으로 분리 설치된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는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나 격자홈형성 롤 몰드(7G)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는 것에 관계없이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에 구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홈 형성장치(500u),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 및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 3개로 분리한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형성하게 되면,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대해 해당 장치의 정지 및 정비 등의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불량 또는 정비 등의 이유로 해당 제조장치가 멈추더라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장치는 계속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신호로 전원 및 작동이 단속되거나 제어 된다.
상기한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의 공정은, 격자홈형성 롤 몰드(7G)가 베이스필름(B)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공정(500)과; 상기 격자형 홈(40G)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게 되는 비투과부 완성공정(600)과; 상기 격자형 홈(4G)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시야각 제한 필름(F)상의 격자형 홈(40G)의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등 3개의 공정으로 분리된다.
이하, 투명수지(70)에 격자형 홈(40G)을 형성하고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한 후 접착필름(42)을 부착시켜 비투과부(r)를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공정분리 설비형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의 공정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중 단일 설비형은 하나의 설비에서 원자재 공급부터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완료와 적재까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를 3개로 나눈 공정분리 설비형은 하나의 설비가 원자재 공급부터 시야각 제한 필름의 기초 제조까지 담당하고, 다른 하나의 설비가 시야각 제한 필름을 완성시키는 제조를 담당하고, 또 다른 하나의 설비는 시야각 제한 필름을 마감하고 포장하여 제품으로 출하할 수 있는 단계까지 담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시에는 투명수지에 격자형 홈(40G)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홈과 수직홈을 따로 형성하는 불편없이 비투과부(r)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에서 홈 형성장치(500u)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 상에 투명수지(70)를 도포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투명수지(70)가 반 건조된 제1받침롤(7a) 위의 베이스필름(B) 상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한다.
상기한 홈 형성장치(500u)는, 하나의 격자홈형성 롤 몰드(7G)가 설치되어 있어 격자형 홈(40G) 형성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성장치(500u)의 공정(50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한다(S510).
베이스필름(B)이 공급되면, 이오나이저(3)는 정전기를 제거(S520)하고, 점착 롤(4)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제거한다(S530).
베이스필름(B)이 점착 롤(4)을 통과하면, 제1 수지코팅용 노즐(5)은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도포하여 코팅(S540)한다.
투명수지(70)가 코팅되면, 반 경화용 제1 UV 램프(6)는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한다(S550).
이후, 투명수지(70)가 반 건조된 상태에 있는 베이스필름(B)이 이동하게 되면, 격자홈형성 롤 몰드(7G)는 제1 받침롤(7a)로 지지되는 베이스필름(B) 상의 투명수지(70)에 간격을 두고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한다(S560).
격자형 홈(40G)들이 투명수지(70)에 형성되면,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는 투명수지(70)를 완전 건조한다(S570).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투명수지(70)가 완전 건조되면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다(S580).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은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은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에 투입된다.
또한,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격자형 홈(40G)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격자형 홈(40G)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베이스필름(B)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포함한다.
상기한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의 공정(60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공정(500)에서 권취된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공급롤러(2)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한다(S610).
베이스필름(B)이 공급되면, 제1잉크노즐(9)은 투명수지(70)의 격자형 홈(40G)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한다(S620).
비투과성 잉크가 격자형 홈(40G)을 벗어나면, 제1긁개(10)는 격자형 홈(40G) 밖의 잔류 잉크를 긁어낸다(S630).
제1긁개(10)로 긁어내고도 잉크가 잔류하게 되면, 제1잉크제거 롤(11)은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한다(S640).
이후, 잔류잉크가 제거되면,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는 격자형 홈(40G)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한다(S650).
투명수지(70)의 격자형 홈(40G)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가 건조되면, 필름합지기(21)는 비투과부(r)를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수지(70)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킨다. 즉, 접착필름(42)은 베이스필름(B)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격자형 홈(40G)에 도포된 비투과성 잉크를 보호한다.
상기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은 다시 감겨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 및 마감공정(300)의 수행을 통해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공급받아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 및 마감공정(300)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F)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수지(70)의 코팅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접착필름(42)과, 상기 접착필름(42) 면에 기기의 화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제(44)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의 각 표면에는 베이스필름(B)과 점착제(44)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48)들이 더 부착된다.
상기한 시야각 제한 필름(F)에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에 의하여 단수의 투명수지(70)층에 형성되는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다.
이러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은, 투명수지(70)가 단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재료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격자홈형성 롤 몰드(7G) 하나로 격자형 홈(40G)이 형성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화면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도 개인정보 및 중요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격자형 비투과부가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나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베이스필름 공급롤 2 : 공급롤러
3 : 이오나이저 4 : 점착 롤
5 : 수지코팅용 제1노즐 6 : 반경화용 제1 UV 램프
7a : 제1 받침롤 7H : 수평홈형성 롤 몰드
7V : 수직홈형성 롤 몰드 7G : 격자홈형성 롤 몰드
8 :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 9 : 제1잉크노즐
10 : 제1긁개
11 : 제1잉크제거 롤 12 :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
13 : 수지코팅용 제2노즐 14 : 반경화용 제2 UV 램프
15a : 제2 받침롤 16 : 완전 경화용 제2 UV 램프
17 : 제2잉크노즐 18 : 제2긁개
19 : 제2잉크제거 롤 20 : 잉크 건조용 제2 UV 램프
21 : 필름 합지기 22 : 점착제 코팅용 노즐
23 : 열풍기 24 : 롤 히터
25 : 절단기 26 : 측정기
27 : 재단기 28 : 적재기
40G : 격자형 홈 40h : 수평홈
40v : 수직홈 42 : 접착필름
44 : 점착제 48 : 보호필름
70: 투명수지
70a : 1차 코팅된 투명수지 또는 1차 코팅 투명수지
70b : 2차 코팅된 투명수지 또는 2차 코팅 투명수지
B : 베이스필름 F : 시야각 제한 필름
P : 투과부 r : 비투과부

Claims (13)

  1.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2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2노즐(13)과, 2차 코팅된 투명수지(70b)를 반건조하는 반경화용 제2 UV 램프(14)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수직홈(40v)들을 형성하는 수직홈형성 롤 몰드(7V)와,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2 UV 램프(16)와, 수직홈(40v)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2잉크노즐(17)과,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2긁개(18)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2잉크제거 롤(19)과, 수직홈(40v)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2 UV 램프(20)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에 형성된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 제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2. 삭제
  3.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직선형의 수평 및 수직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100u)와; 상기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격자형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와; 상기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를 거친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으로 분리 설치되는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장치로서,
    상기 홈 형성장치(100u)는,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수평홈형성 롤 몰드(7H)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아 형성되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 완성장치(200u)는,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a)과,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아 형성되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는,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 권취롤(1b)과,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시야각 제한 필름(F)에 형성된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6. 베이스필름 공급롤(1)을 준비하는 단계(S1)와,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단계(S3)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4)와,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5)와,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단계(S6)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간격을 두고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단계(S7)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8)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9)와,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11)와,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12)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2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13)와, 2차 코팅된 투명수지(70b)를 반 건조하는 단계(S14)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에 간격을 두고 수직홈(40v)들을 형성하는 단계(S15)와, 수직홈(40v)이 형성된 2차 코팅 투명수지(70b)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16)와, 수직홈(40v)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17)와, 수직홈(40v)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18)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19)와, 수직홈(40v)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20)와, 2차 코팅 투명수지(70b)의 코팅면에 접착필름(42)으로 합지시키는 단계(S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단계(S22)와, 점착제(44)를 열로 경화시키는 단계(S23)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단계(S24)와, 보호필름(48)의 합지로 형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단계(S25)와, 시야각 제한 필름(48)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단계(S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단계(S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단계(S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 제조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7. 삭제
  8. 수평 및 수직홈형성 롤 몰드(7H)(7V)가 베이스필름(B)에 수평 및 수직홈(40h)(40v)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공정(100)과; 상기 수평 및 수직홈(40h)(40v)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공정(200)과; 상기 비투과부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보호필름(48) 합지, 수평홈(40h)들과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으로 분리되는 공정분리 설비형 제조공정으로서,
    상기 홈 형성공정(100)은,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110)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단계(S120)와, 베이스필름(B)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30)와, 베이스필름(B)에 1차로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단계(S140)와, 1차 코팅된 투명수지(70a)를 반 건조하는 단계(S150)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수평홈(40h)들을 형성하는 단계(S160)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1차 코팅 투명수지(70a)를 완전 건조하는 단계(S170)와,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 완성공정(200)은, 베이스필름 권취롤(1a)에서 수평홈(40h)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210)와, 수평홈(40h)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S220)와, 수평홈(40h)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단계(S23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제거하는 단계(S240)와, 수평홈(40h)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단계(S250)와, 1차 코팅 투명수지(70a)에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단계(S260)와,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다시 감는 단계(S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공정(300)은, 베이스필름 권취롤(lb)에서 접착필름(42)이 합지된 베이스필름(B)을 공급하는 단계(S310)와,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단계(S320)와, 점착제(44)를 열경화시키는 단계(S330)와,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하는 단계(S340)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단계(S350)와,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수평홈(40h) 및 수직홈(40v)들 사이의 폭을 측정하는 단계(S360)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단계(S370)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11. 삭제
  12.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투명인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에 투명수지(70)를 코팅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 UV 램프(6)와, 제1받침롤(7a)로 지지되는 투명수지(70)에 격자형 홈(40G)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투명수지(70)를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 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는 제1잉크노즐(9)과, 격자형 홈(40G)을 벗어난 잔류 잉크를 긁어내는 제1긁개(10)와, 긁어낸 잔류잉크를 점착시켜 제거하는 제1잉크제거 롤(11)과, 격자형 홈(40G) 내의 비투과성 잉크를 건조하는 잉크 건조용 제1 UV 램프(12)와, 투명수지(70)의 코팅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42)을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기(21)와, 합지된 접착필름(42)위에 점착제(44)를 코팅하는 점착제 코팅용 노즐(22)과, 점착제(44)를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열풍기(23)와, 경화된 점착제(44) 위에 보호필름(48)을 합지시키는 롤 히터(24)와, 보호필름(48)이 합지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양옆 여분을 절단하는 절단기(25)와, 격자형 홈(40G)을 측정하는 측정기(26)와, 측정기(26)를 통과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길이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기(27)와, 재단된 시야각 제한 필름(F)을 적재하는 적재기(28)를 포함한 단일 설비형제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13. 베이스필름(B)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홈 형성장치(5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들에 비투과성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접착필름(42)을 합지하는 비투과부 완성장치(600u)와; 상기 격자형 홈(40G) 완성 후 접착필름(42) 위에 점착제(44) 코팅, 양면에 보호필름(48)의 합지, 격자형 홈(40G)의 측정, 시야각 제한 필름(F)의 재단 및 적재까지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마감장치(300u)등으로 분리 설치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장치(500u)는, 베이스필름 공급롤(1)과, 베이스필름 공급롤(1)에서 베이스필름(B)을 풀어 공급하는 공급롤러(2)와, 베이스필름(B)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3)와, 베이스필름(B) 상의 이물질을 점착시켜 제거하는 점착 롤(4)과, 베이스필름(B) 상에 투명수지(70)를 도포하는 수지코팅용 제1노즐(5)과, 투명수지(70)를 반 건조하는 반경화용 제1UV 램프(6)와, 투명수지(70)가 반 건조된 제1받침롤(7a) 위의 베이스필름(B) 상에 격자형 홈(40G)들을 형성하는 격자홈형성 롤 몰드(7G)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경화용 제1UV 램프(8)와, 격자형 홈(40G)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감는 베이스필름 권취롤(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KR1020120044336A 2012-04-27 2012-04-27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KR10135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36A KR101353433B1 (ko) 2012-04-27 2012-04-27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36A KR101353433B1 (ko) 2012-04-27 2012-04-27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469A Division KR20130121765A (ko) 2013-09-10 2013-09-10 시야각 제한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286A KR20130121286A (ko) 2013-11-06
KR101353433B1 true KR101353433B1 (ko) 2014-01-21

Family

ID=498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36A KR101353433B1 (ko) 2012-04-27 2012-04-27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43B1 (ko) * 2014-05-16 2016-02-22 주식회사 비에프지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방법 및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장치
KR101633277B1 (ko) * 2016-03-16 2016-06-30 주식회사 엔이케이 필름 코터
KR101853876B1 (ko) * 2017-12-08 2018-05-02 백철재 플랙시블 정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105B1 (ko) * 2019-03-04 2019-11-26 주식회사 세기씨앤티 고투과 광제어필름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제어필름
KR102092508B1 (ko) * 2019-08-09 2020-05-29 김동선 플라스틱 필름 제조 장치
KR20220119642A (ko) * 2020-01-14 2022-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 제어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296A (ko) *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045545B1 (ko) * 2010-04-14 2011-06-30 (주) 에이와케이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296A (ko) *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045545B1 (ko) * 2010-04-14 2011-06-30 (주) 에이와케이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286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433B1 (ko)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CN101674896A (zh) 具有纹饰表面的材料及其制造方法
CN104608370A (zh) 基于卷对卷uv固化聚合物薄膜表面微结构加工系统及方法
CN105813846A (zh) 在衬底卷材上制造图案的方法以及用于其的设备
CN202319325U (zh) 一种激光全息膜生产设备
TWI589451B (zh) 單面薄偏光板之製造方法
KR20100083719A (ko) 기재 상에 방사선 경화성 겔 잉크 이미지를 정착하는 방법 및 장치
TW200846195A (en) Tip printing embossed surfaces
US20150115495A1 (en) Im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241963B1 (ko) 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201408472A (zh) 壓印方法及壓印裝置(二)
KR20130121765A (ko) 시야각 제한 필름
ES2391421T3 (es) Procedimiento para realizar el acabado de una placa de soporte, en particular de una placa de madera o de compuesto de madera
ES2598080T3 (es) Procedimiento de transferencia para producir revestimientos termoplásticos de baldosas de suelo
KR101183654B1 (ko) 표시장치용 보안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1125B1 (ko) 홀로그램 부착 장치 및 방법
CN202242137U (zh) 简易纹路模制作结构
EP2889135B1 (en) Linoleum flooring
JP2013140306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15754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144894B1 (ko)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KR101360218B1 (ko) 광학 필름, 복합 도광판 및 상기 복합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방법
JP5645989B2 (ja) ネイルシールの製造方法
JP2014014996A (ja) インプリント方法
KR101297153B1 (ko) 홀로그램 인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