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545B1 -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545B1
KR101045545B1 KR1020100034227A KR20100034227A KR101045545B1 KR 101045545 B1 KR101045545 B1 KR 101045545B1 KR 1020100034227 A KR1020100034227 A KR 1020100034227A KR 20100034227 A KR20100034227 A KR 20100034227A KR 101045545 B1 KR101045545 B1 KR 10104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film layer
coating
secur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준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와케이 filed Critical (주) 에이와케이
Priority to KR102010003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필름층; 및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격벽은 상기 제1필름층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로 반복하여 인쇄 또는 전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격벽은 때로는 DFR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액상의 광경화성 코팅제(또는 포토레지스트) 대신에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또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차폐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모니터, 현금 지급기, 네비게이션, 휴대폰, 피디에이 등 영상 기기의 화면에 설치하거나 건물 유리 등에 설치하여 영상 기기 사용자 외의 좌, 우, 상, 하 위치에 있는 타인에게는 화면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가 보이지 않으며, 각종 기기 및 유리 등에 비치는 외부 빛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 흐려짐 현상과 눈부심 현상을 막아 주어 화면의 영상을 보다 선명히 해 주는 정보 보안기 겸 유해 전자파 차단기{이하, '보안기'라 칭한다}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Security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면 또는 소정의 각도를 제외하고는 모니터 등에 나타난 화상을 볼 수 없도록 한 정보 보안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개인용 컴퓨터의 활발한 보급과 네트워크를 통한 전산망의 구축에 의해 개인 및 기업의 업무처리가 수월해지고 있다. 즉, 사용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면 결과는 모니터로 출력된다. 따라서 개인적인 문서를 작성하거나, 도서관에서 도서 자료를 열람하거나,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ATM기에서 돈을 거래하거나 휴대폰, 피디에이 등으로 다양한 업무처리를 하는 등의 일처리는 매우 편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주위에 사람들이 자주 지나다니는 상황 하에서, 기업 및 공공기관과 개인의 주요 정보나 데이터 휴대폰, 현금지급기, 피디에이 등 각종 영상 기기를 처리하거나, ATM에서 돈을 거래하기 위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모니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휴대폰으로 다양한 업무처리를 하는 것은 주변의 인물들에 의한 정보 노출로 상당히 신경이 쓰이는 일이다.
또한 채광과 시각을 위하여 건물 등의 창 유리면이 커지면서, 시야 확보와 채광 등을 충족시키면서도 주변으로부터 사생활 등을 보호받을 필요가 절실하다.
따라서 화면에 출력된 영상이 사용자에게는 용이하게 보일 수 있으나, 화면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의 각도에서는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볼 수 없도록 하는 정보 보안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이러한 필요성은 이미 언급된 기기 외에도 각종 화면이 제공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종래 보안필름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에서 다수의 투명 필름에 불투명 접착성 안료를 도포하여 이들의 교호적인 접착 적층 공정(일명: 겹치기 방법) 후 절단 공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자재 및 제조공정의 증가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의해, 보안필름의 생산성 저하와 제품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투명 필름에 불투명 접착성 안료를 도포하여 교호적으로 접착 적층한 후 절단하는 공정에서 제품의 균일성과 선명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중에서 금형(금형 압착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에 요철격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금형 및 그에 연관된 제조 설비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 되어 제품 가격이 상승되고, 물성이 약한 박막 형태의 필름에 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열과 압력으로 요철 격자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균열 및 휨 현상 등의 필름 손상으로 인한 선명도 저하와 균열 등으로 품질 저하를 가져오고, 투과 이미지를 차단하여 측면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측면 보안 기능 확보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면 혹은 제조 시 사용 목적과 용도 및 기기의 특성에 따라 설정한 소정의 각도를 제외하고는 대상화면(컴퓨터 모니터, 일반 건물의 유리, 휴대폰, 현금지급기, 피디에이 등 포함) 사용자의 주변 각도(비스듬한 각도)에서는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를 볼 수 없도록 한 보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필름층; 및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격벽은 광조사되어 경화된 착색 감광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는 바인더 수지 0.5 내지 20 중량%,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1 내지 20 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10 중량%, 착색 안료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로서, 1,00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것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색 안료는 페릴렌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1필름층; 및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격벽은 유색 코팅제 코팅 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패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색 코팅제는 유색안료와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모노아크릴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색 코팅제는 UV 잉크, 차폐 잉크, 접착성 유색 잉크, 핫 멜트계 잉크, 또는 아크릴계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색안료는 2~18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폐격벽의 폭은 5-100, 높이는 10-250이고, 상기 차폐격벽들 간의 간격은 20-1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필름층의 양면에 상기 블라인드층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격벽이 상기 블라인드층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직선상에 형성된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1필름층을 보강하는 제2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차폐격벽이 상기 제1필름층의 차폐격벽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과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필름층의 상기 블라인드층 형성 반대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필름층을 보강하는 제3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안기의 이미지 출사면에 직접 적층 합지되거나 결합수단을 통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편광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안필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 사용자의 일정 시야각 이하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이미지 표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눈부심 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정전기 및 집진 방지 코팅층(anti-static coating), 전자파 차단 코팅층(anti-radiation coating), 자외선 차단 코팅층(Line Polarizer Coating), 스크래치 방지 코팅 층, 중화 필터 코팅 층(neutral density filter coating), 및 선편광층(Line polariz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안기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이 눈부심 방지(anti-reflection), 정전기 및 집진 방지(anti-static), 전자파 차단(anti-radiation), 자외선 차단(Line Polarizer), 스크래치 방지, 선명도 강화, 또는 선편광(Line polarizer) 기능을 갖는 성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보안 대상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을 제공한다.
또한, 제2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을 구비한 블라인드층이 상기 제1필름층에 형성된 블라인드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블라인드층이 차폐격벽끼리 중첩되도록 상기 제1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과 접합시켜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필름층 또는 제2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는, 우레탄 또는 실리카 성분 수지 10~60wt%와 비메틸포름아마이드(BMF), 메틸에틸케톤(MEK) 및 톨루엔 중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용제 40~90wt%로 구성된 초벌 코팅 물질로 필름원단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앙카(Ahanka) 코팅하여 상기 필름원단의 장력을 높이는 초벌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초벌 코팅 단계는 평판 실크 스크린 코팅 공정, 원 스톱 롤 투 롤 코팅 공정, 기화 분무 코팅 공정, 그라비아 코팅 공정, UV 코팅 공정, 또는 로울러 코팅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3필름층,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필름층을 건조 및 경화하는 단계; 상기 건조 및 경화된 필름층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필름층을 톰슨 및 재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제품의 좌, 우 측면에서만 영상이 보이지 않는 보안 기능을 본 발명 보안기는 좌, 우, 측면은 물론이고, 상, 하 방향에서도 영상이 보이지 않는 기능을 추가 한 것과 아울러 편광 필름을 추가 하여 편광 필름의 유익한 기능을 본 발명 보안기 기능에 추가 적용하였고, 이미지 표현층을 적용하여 상, 하, 좌, 우 측면에 홍보성 이미지를 표현케 하였으며, 보안기 사용 시 유익한 각종 부가가치를 코팅 및 증착하여 광학적 품질 향상으로 더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고, 보안기 재단 및 톰슨 시 가압력 및 가열식 공정을 채택하여 품질 향상을 실현하고, 필요에 따라 초벌 코팅, 연마, 냉각, 건조, 경화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보안기의 다양화를 실현하였다.
본 발명 보안기는 착색 감광성 수지를 이용하여 직접 선택적 노광 및 현상을 통해 간편하게 미세 패턴의 차폐격벽을 구비한 블라인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색 코팅제 코팅 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선택적 식각을 함으로써 고종횡비의 미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투과막의 평행 또는 격자배열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의 제조 수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의 제조 수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1)는 제1필름층(10)과, 복수의 차폐격벽(15-1)으로 구성된 블라인드층(15)으로 구성된다. 차폐격벽(15-1)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첫째로는 광조사되어 경화된 착색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번째로는 광흡수성의 유색 코팅제(예를 들면, 유색안료와 투명 수지를 배합)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광조사 및 현상 방식으로 제조되나 전자는 차폐격벽 자체가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져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고, 후자는 포토레지스트를 별도로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경화, 현상시킨 후 유색 잉크를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복수의 차페막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각각의 차폐격벽 재료는 구체적 제조방법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에 있어서, 도 1a와 같이 제1필름층(10)의 면에 수직인 형태가 되도록 차폐격벽(15-1)을 구성하거나,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폐격벽(15-1)이 제1필름층(10)의 면과 소정의 각(a)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면 혹은 사용 목적과 용도 및 적용기기의 특성에 따라 설정한 소정의 각도에서만 대상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각 차폐격벽(15-1)들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하, 좌우, 또는 대각선 등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상하좌우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차폐격벽(15-1)의 폭, 두께, 이격 간격은 필요에 따라 연동하여 설정 및 조정 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외에도 다양한 각도 및 그 각도에 따른 격자형상과 여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차폐격벽의 폭을 10, 차폐격벽간의 간격을 50, 높이를 180로 제작할 경우 차폐격벽이 100%광을 차폐한다고 할 경우 이론상 16°의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차폐격벽이 100% 광을 차폐하지 못할 경우 시야각은 보다 넓어질 수 있다.
차폐격벽(15-1)은 제1필름층(10) 면에 형성되며. 차폐격벽(15-1)은 제1필름층(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필름층(10)의 양면에 차폐격벽(15-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필름층(10)의 양면에 형성된 차폐격벽(15-1)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 중첩되어 두께가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c와 같이 양면에 차폐격벽을 형성하는 경우 차폐층의 인쇄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패턴의 고정세가 더욱 가능하며 보안기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차폐층이 무너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필름층(10)의 블라인드층 형성면과 타면에 열 합지에 의해 층상으로 마련되는 제2필름층(20), 제3필름층(30) 또는 편광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는, 블라인드층(15)에 부착되어 제1필름층(10)을 보강하는 제2필름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필름층(20)의 부착을 위해 블라인드층(15)과 제2필름층(20)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차폐격벽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은 제1필름층(10)과 제2필름층(20) 각 층의 어느 한면 또는 양층의 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층의 각면에 형성된 경우 제1필름층(10) 상에 형성된 차폐격벽(15-1)과 제2필름층(20) 상에 형성된 차폐격벽(25-1)이 상호 중첩되어 인쇄가 용이하다. 이 때 제1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15)과 제2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25)을 동일한 패턴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도2b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는 제1필름층(10)의 블라인드층(15) 형성 반대면에 부착되어 제1필름층(10)을 보강하는 제3필름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필름층(30)의 부착을 위해 제1필름층(10)과 제3필름층(30)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도2c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에 있어서 제1필름층(10), 제2필름층(20), 또는 제3필름층(30)의 이미지 출사면에 직접 적층 합지되거나 결합수단(45)을 통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편광필름(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도 2d 및 2e 참조), 상기 편광 필름(40)은 블라인드층을 통하여 투과된 이미지를 보다 더 확산하여 투과시키고, 차폐격벽에서 투과되지 않은 차폐 이미지 또는 차폐가 적게 이루어진 이미지에 대해서는 보다 더 확실히 차단시키는 편광 기능을 하며, 필요시 상기 보안기에 또 다른 편광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으며, 사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필요시 편광 필름이 갖고 있는 빛의 반사와 굴절, 빛의 직진성, 반사의 법칙, 빛의 전반사와 분산, 빛의 편광, 표면 반사 방지, 비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접목 적용할 수 있다
보안기의 사용자 주위의 좌, 우, 상, 하 측면에서만 보이는 이미지 표현층(50)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원하는 색상 안료로 블라인드층 형성을 위한 인쇄 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1필름층 또는 제2,3필름층, 편광 필름층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미지 층을 형성하여 상기 보안기를 정면에서 볼 때는 이미지 표현층(50)이 잘 보이지 않고 상, 하, 좌, 우 측면에서는 보이게 하는 이미지 표현층(50)을 생성할 수도 있다(도 2f).
즉, 이미지 표현층(50)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원하는 색상 안료로 제1필름층(10), 제2필름층(20), 제3필름층(30), 편광 필름(40)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인쇄 또는 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표현층(50)을 형성함에 있어서, 원단(예를 들면, 종이 원단)의 표면에 전사층을 생성한 후, 제1필름층(10) 또는 제2,3필름층(20, 30) 및 편광 필름층(40)의 어느 한 면에 원단에 생성된 전사층을 교합한 후, 원단 후면에 열 전사기를 사용하여 적정 온도와 압력을 가하여 원단에 형성하여 이미지 표현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의 블라인드층(15 또는 25)은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 각도의 격자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3a와 같은 형태로 좌우로 평행하게 차폐격벽(15-1 또는 25-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화면의 상하 방향에서 화면이 보이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도 3b와 같이 상하로 평행하게 차폐격벽(15-1 또는 25-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좌우 방향에서는 화면을 볼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45도, 60도, 75도 등과 같이 특정각도에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용도에 맞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평행한 차폐격벽(15-1 또는 25-1)을 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차폐격벽(15-1 또는 25-1)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90도 각도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3e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술어진격자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일, 도 3a, 3b 및 3c와 같이 차폐격벽(15-1)이 평행한 형태로 배열되도록 인쇄 또는 전사한다면 정면을 제외한 소정의 각도 내에서는 도 5와 같이 모니터(M)의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도 3d 및 3e와 같이 차폐격벽들이 격자형상을 갖는다면 도 5와 같이 정면 외에는 다른 각도에서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제1필름층(10) 또는 제1, 제2필름층(10, 20)에 형성된 블라인드층(15, 25)으로 인해, 정면에서 모니터(M)의 화상을 볼 경우에는 이미지의 번짐이나 왜곡없이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으나, 모니터(M)의 주변, 즉 상, 하, 좌, 우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모니터(M)의 화상을 볼 경우에는 차폐격벽으로 인해 도 5 예시도와 같이 화상이 가려짐으로써, 모니터(M)의 화면이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아래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보안기 제조 시 필요한 제1, 2, 3필름층과 편광 필름 원단은 보안기 제조시 필요로 하는 재질과 규격 및 성분을 갖추고 있는 소재를 채택하여 마련한다. 이때 상기 필름의 두께는 보안기의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달리 하지만 통상적으로 10~2,000 범위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원단의 소재는 보안기 제조 시 필요로 하는 온도, 변형, 압력, 습도, 변색 등 에 대한 적정 저항 값을 갖추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이소시아네이트,하이드록시에틸,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폴리비닐알콜(PVA),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유리, 아크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성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제1, 2, 3필름층 및 편광 필름의 원단 중 우레탄 등 탄성이 강화된 원단들은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 액정, 현금 지급기의 화면, 건물의 유리등 충격에 약하고, 손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핵심 구조물들의 외부 충격과 긁힘 등으로부터 액정 등의 화면을 보호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를 구성하는 각 필름층의 손상 방지를 위해 보호 필름(Liner)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 제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 층 또는 상기 필름 표면 손상 보호용으로 표면 보호용 보호 필름을 중첩하는 접합 공정에 있어서, 사용 되는 보호 필름은 PP, PET, OPP, PVC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필름 표면에 2~30 범위 두께로 PE 코팅을 하여 표면 이형 처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의 차폐격벽 형성용 잉크 인쇄, 이미지 층을 위한 이미지 잉크 인쇄, 필름 합지를 위한 접착제 코팅, 결합 수단 마련을 위한 점착제 등 주코팅 물질 코팅시에 상기 일반적 재료의 재질과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벌 코팅의 필요성이 없지만, 특수 용도와 목적 또는 재료의 재질과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재질의 화학적 성분과 특성에 따라 상기 사용 안료와 접착제, 점착제가 코팅 된 필름에서 분리되어 탈락될 수 있으므로, 분리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름과 코팅 물질 원료와 종류 및 화학적 성분 특성과 재질에 상관없이 필름 표면에 각각의 코팅 물질이 미립자로 적층되게 하기 위해 상기 주 코팅 물질 코팅 공정 전 단계로 초벌 코팅(프라이머 코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액상의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벌 코팅 물질로 앙카(Ahnka)코팅을 하여 코팅 대상 표면의 장력을 높이거나, 원단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 개질을 수행하여 코팅 대상 표면 장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벌코팅물질은 일반적으로 코팅 대상 필름에 상기 주 코팅 물질 코팅시 재질, 성분 및 표면 상태에 의해 코팅 대상 필름에 상기 주 코팅 물질이 안착(안정)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된 필름에 사용되며 PET 및 PVC 등의 필름 원단은 가공 제조시 수지, 안정제, 가소제, 비이행성 가소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가공시 사용한 안정제, 가소제 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ET 및 PVC, 아크릴 등 패널의 표면으로 배어 나오는 현상들 즉 꽃가루처럼 흰 꽃이 배어나오는 현상이나 기름 성분의 액체로 배어나오는 현상에 의해 표면에 코팅한 주 코팅 물질의 성분을 밀어내어 탈락시키거나, 상기 재질의 원단 표면이 주 코팅 물질이 안착 될 수 없을 정도의 표면 장력 상태가 낮은 소재에 코팅된 물질의 탈락을 방지하여 코팅 된 주 코팅 물질이 장기간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벌코팅물질은 코팅 대상 필름 재질과 요구 되는 코팅 대상면 표면 장력 조건에 따라 주 성분인 우레탄 및 실리카 성분 수지를 10~60중량%로 투입하고, 사용 용제인, 비메틸포름아마이드(BMF), 메틸에틸케톤(MEK) 또는 톨루엔을 90~40중량%로 상호 연동 혼합 한 후, 용해 공정을 수행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섭씨 10~30 범위로 설정하고, 펌프와 모터, 냉각기를 반응기에 연결 후, 상기 요구 조건에 따른 압력으로 교반 공정을 수행 한 다음, 3~5시간 동안 숙성 과정을 거쳐 상기 초벌 코팅 물질을 낮은 점도의 액상 성상으로 생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와 점착제를 마련함에 있어서는, 제1,2,3, 필름과 편광 필름 합지시 사용하는 접착제층(20)은 핫 멜트계 공중합체로서, 핫 멜트 공중 합체의 주재료로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고무와 수지는 로진, 에스테르감, 테르펜 수지, 쿠마론수지를 왁스는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가소제로는 DBP, 염화디페닐, 염화파라핀, 충진제는 탄산칼슘, 바라이터, 탈크, 카올린으로 하고, 산화방지제로는 파라알킬페놀류를 제품 사용 시 요구되는 점착 및 접착 강도와 제조 시 필요한 점도 조건에 따라 원료와 수지 및 왁스와 용제를 각각 5~95% 범위의 중량으로 상호 연동 혼합 한 후, 용해 공정을 수행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섭씨 15~105 범위로 설정하고, 펌프와 모터, 냉각기를 반응기에 연결 후, 상기 요구 조건에 따른 압력으로 교반 공정을 수행 한 다음, 12~15시간 범위로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상기 접착제 및 점착제는 코팅 대상 필름에 대해 Conformability (굴곡 면에 대해 적합하고 순응성을 갖고) / Curling(커링, 휨을 방지 하고) 조건을 갖춘 Hot Melt Adhesive(핫멜트 계) 또는 Acrylic Adhesive(아크릴 계)로 Emulsion Type(에멀젼 타입)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기를 설치 대상 화면에 부착 시 사용하는 점착제(100)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아크릴계의 주성분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마, 부틸 아크릴 레이트[butylacylate] 모노마, 에틸 아크릴 레이트 모노마, ethylacetate, methyl metacylate, acrylic acid를 제품 사용 시 요구되는 점착 및 접착 강도와 제조 시 필요한 점도 조건에 따라 원료와 용제를 각각 10~90중량%로 상호 연동 혼합 한 후, 용해 공정을 수행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섭씨 25~125 범위로 설정하여, 펌프와 모터, 냉각기를 반응기에 연결 후, 상기 요구 조건에 따른 압력으로 교반 공정을 수행 한 다음, 8~12시간 범위로 숙성 과정을 거쳐 상기 아크릴계 점착 물질을 생성 후, 상기 보안기에 코팅하여 보안기 사용시 부착 대상 화면에 쉽게 반복 탈, 부착 사용이 가능케 할 수 있다.
보안기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정전기 및 집진 방지 코팅층(anti-static coating), 전자파 차단 코팅층(anti-radiation coating), 자외선 차단 코팅층(Line Polarizer Coating), 스크래치 방지 코팅 층, 중화 필터 코팅 층(neutral density filter coating), 및 선편광층(Line polariz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눈부심 방지용 코팅층에 의해 외부의 빛이나 실내조명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감소시켜 눈부심 방지를 할 수 있으며. 정전기방지용 코팅층으로는 상기 제1,2,3,필름 또는 편광 필름층 어느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 및 금속 성분이 포함 된 합성수지를 코팅하거나, 정전기 방지 박막 필름을 증착함으로써, 정전기를 방지하고 먼지가 달라붙는 집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안기의 최 내측 또는 최 외측 어느 일면에 스크래치 방지강화 코팅을 함으로써 보안기의 긁힘과 손상을 방지와 세척 시 걸레 등에 의한 긁힘 등이 없이 세척 할 수 있으며 외부의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보안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스크래치 방지강화 코팅에 의해 저광택 코팅층을 포함하여 외부의 빛으로 발생되는 난반사를 방지하는 보안기를 완성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코팅으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상기 전자파 차단 코팅으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보안기의 광학적 특성을 저해 하지 않는 범위의 초미립자로 된 금속 미립자와 미세 카본 페이스트의 혼합 비율과 혼합 용제 및 코팅 또는 증착 두께를 상기 보안기 각각의 재료 성분과 특성 및 규격에 상응하도록 하여, 상기 제1, 2, 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 어느 일면에 초박막 균일 코팅 및 증착함으로써,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보안기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중화 필터 코팅층[선명도/ neutral density filter coating]으로 선명도를 높이고, 상기 선편광(Line polarizer)코팅으로 필름의 강도를 높이고, 화면에서 방출되는 각종 유해 광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조절하여 선명하고 부드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보안기에 각종 유해파 차단 등 기능 향상, 선명도 강화 등을 위한 부가 기능을 중첩함에 있어서, 제1필름층 또는 제1, 2필름층에 인쇄되는 차폐격벽 형성을 위한 유색잉크에 본 부가 기능을 위한 안료 및 페이스트, 서스펜션, 졸 타입 등을 혼합하여 상기 블라인드층 형성 인쇄와 동시에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1, 2, 3필름 원단 필름 제조 시 상기 부가 기능을 위한 안료 및 페이스트를 포함 합성하여 제조 완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1, 2, 3필름과 편광 필름의 층상 어느 일면에 요구되는 사용 조건에 맞는 상기 부가 기능을 위한 안료 및 페이스트를 중첩하여 인쇄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1, 2, 3필름과 편광 필름의 층상 어느 일면에 요구되는 사용 조건에 맞는 상기 부가 기능을 위한 안료 및 페이스트를 중첩하여 증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성분을 포함하는 공정은 상기 블라인드층 형성 시 사용 한 인쇄공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하거나, 화학적 또는 박막필름 증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인쇄 방식에 있어, 기존의 방식인 인쇄 대상물의 어느 한 단면만을 코팅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롤러 기계의 성능을 개선, 발전시킨 형식으로 개발된, “원 스톱 롤 투 롤” 기계를 사용하여 “원 스톱 롤 투 롤” 공정으로 수행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원 스톱 롤 투 롤” 기계 구성과 공정 중 기계 구성은, “원 스톱 롤 투 롤” 기계 도입부에, 상부와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롤러 측면 또는 내부에 액상 저장 탱크를 설치하며, 롤러 외부에 미세 망점으로 구성되어 요구되는 코팅 형상과 두께를 구현하는 제판기가 설치되고, 여기에 연결된 덕트 타입 콘베어에 열 건조 및 UV 경화 조사와 환풍기가 설치되고, 여기에 연결하여 콘베어가 끝나는 지점 하단에는 평판용 코팅물이 자동으로 적재 되는 낙하 적재함이 설치되며, 콘베어가 끝나는 지점 상단에는 롤 인쇄용 코팅물이 자동으로 되감기는 되감기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원 스톱 롤 투 롤” 공정은, 상부와 하부 롤러 측면 또는 내부의 액상 저장 탱크에 페이스트 및 안료, 접착제, 점착제 중 하나를 주입한 다음, 인쇄 대상물이 제판이 설치된 상부 및 하부 롤러를 통과 시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쇄 폭과 두께는 제판에 의해 조절되거나, 2개의 롤러 간격과 압력 조절 및 상부와 하부 롤러 어느 한 면에 설치된 롤러와 나이프 커팅기의 간격 조절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인쇄 대상물을 롤러에 연결된 덕트 타입 열 건조, UV조사 및 환풍 기능을 갖춘 콘 베어를 통과시켜 건조 및 경화 공정을 수행한 후, 콘베어 최종 부분 하단에 연결된 인쇄 대상물 적재함에 코팅 대상물이 낙하하여 자동 적재 되는 평판 단위 인쇄 방식, 또는 콘 베어 최종 부분 상단에 연결된 인쇄 대상물 되감기 롤러에 인쇄 대상물이 자동으로 되감기는 롤 단위 인쇄 방식을 통하여 회수된다.
상기 “원 스톱 롤 투 롤” 기계를 사용한 “원 스톱 롤 투 롤” 공정은 상기 블라인드층 형성 코팅, 이미지층 코팅, 접착제층 코팅, 점착제층 코팅, 부가기능층 코팅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생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원 스톱 롤 투 롤” 설비를 사용하여 “원 스톱 롤 투 롤” 공정으로 수행 시 장점은, 기존의 설비로 각 작업 단계 별 공정 수행 시 보다 1회 작업으로 양면 코팅 또는 2가지의 코팅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블라인드층 형성, 초벌, 점착, 접착, 이미지층, 부가기능층 형성용 코팅 등 다양한 코팅이 가능하며, 코팅 품질 향상과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고, 건조 및 경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완성품 되감기 롤링 작업과 적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자동화된 설비와 공정으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며, 작업 인원을 축소하여 작업 시간은 약 1/50로 단축 되고, 제조비용은 약1/10로 절감되는 생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필름층(10)과 제2필름층(20) 또는 제3필름층(30), 편광 필름(40), 보호 필름을 합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10)에 차폐격벽(15-1)을 포함하는 블라인드층(15)을 형성한 후, 판면에 블라인드층(15)이 형성된 제1필름층(10)을 그대로 단독 사용할 수 있으며(도 1 참조), 보안기의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상기 제1,2 필름(10, 20)의 차폐격벽(15-1, 25-1)을 교합한 후, 가열가압착 합지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필름층(10, 20)에 코팅 된 안료의 성분 및 재질에 맞는 적정 온도와 압력으로 가열가압착 합지할 수도 있다(도 2b). 또한, 제1필름층(10) 타면에 제3필름층(30) 또는 편광 필름(40)을 함께 가열과 가압 기능을 갖춘 가열가압착 합지기를 이용하여 평판 합지방식, 로울러 합지 방식과 소량 생산을 위하여 프레스를 이용하는 수작업 합지 등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의 가열가압착 합지 공정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접착제를 제1필름층(10) 일면 또는 제2필름층(20) 일면에 도포한 후 제2필름층(20)만을 단독으로 가압착합지기로 합지할 수도 있고(도 2a), 또한 필요에 따라 제1필름층(10)의 타면에 마련된 접착제층에 제3필름층(도 2c) 또는 편광 필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3필름층(20, 30) 또는 편광 필름(40)은 한 쌍으로 상기 제1필름층(10) 양면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보안기의 결합 부재로 상기 제1, 2, 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 이미지 입사 면에 코팅된 점착제 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를 합지하고, 이미지 출사면 표면 손상 방지를 위해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보호 필름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합지 공정은 가압착 합지 기능을 갖춘 가압착합지기를 이용하여 평판 합지 방식, 로울러 합지 방식과 소량 생산을 위하여 프레스를 이용하는 수작업 합지 등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1, 2필름층의 이미지 차폐격벽 형성 시, 상기 제1, 제2필름층 판면에 색상 안료와 투명 UV 접착 수지를 배합 코팅하여 형성된 이미지 차폐격벽 안료의 접착 성분을 활용하여, 제1,제2필름층에 형성된 색상 안료 접착 수지 이미지 차폐격벽의 제1필름층 코팅면과 제2필름층 코팅면을 가압착 합지하여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필름층의 타면에 마련된 접착제층에 제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을 가열가압착 합지기로 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가압착 합지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2, 3필름층과 편광 필름 및 사용 안료, 접착제, 점착제, 수지 등의 성분, 재질적 특성과 각각의 규격 특성에 상응하는 적정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여 수행하되, 온도는 35 내지 280, 압력은 22 내지 110MPa 범위로, 1초 내지 5분 동안 압착을 실행하면서 진공 공정을 병행하여 기포 발생을 방지 한 후, 상기 성분, 재질적 특성, 규격에 맞는 인공 또는 자연 냉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잉크의 접착성 수지는 상기 가열가압착 합지 공정 수행 중 상대 필름에 일부 전이되어 결합 부재의 역할을 하고, 상기 유색잉크의 성분은 상대 필름에 일부 전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성분, 재질적 특성과 각각의 규격 특성에 상응하게 설정한 온도, 압력, 실행 시간 및 상기 제1, 2, 3필름층과 편광 필름 및 사용 안료, 접착제, 점착제의 상응 관계에 의한 물성 변화로 인해 상기 보안기의 화면 왜곡 현상이 없어지고, 보다 더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차폐격벽, 이미지층, 점착제, 접착제 코팅과 합지 후의 건조 및 경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별도의 특별한 건조 공정이 필요치 않으나, 사용 재료에 따른 보안기의 완벽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밀 건조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건조 과정은 필름의 변형이나 손상을 막고 높은 품질을 유지를 위해 고 정밀한 온도분포가 보장되는 Digital-PID-Auto Tuning 온도조절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과정에 있어서, 차폐격벽 및 이미지층 형성 안료, 합지를 위한 접착제, 보안기 결합 수단인 점착제와 제1, 2, 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 각각의 재질 및 성분과 에 상응한 적정 온도와 시간을 적용하여, 인쇄된 안료의 흐름 및 퍼짐, 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빠른 건조 및 경화 기능을 갖춘 건조기로 UV 등을 조사하고, 덕트 콘 베어 건조 방식, 열풍 및 열선 건조 방식, 열 건조 방식 등 다양한 건조 방법을 병행하여 경화 또는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각각의 성분비 및 주변 온도와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상온 또는 35~300 온도에서 1초~5분간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원료 성분과 이에 상응하는 용제로 용해하여 코팅한 후, 건조 공정에서 용제를 증발 건조시키어 각각의 원료 성분이 안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까다로운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거나, 코팅 도막 두께 형성과 안료의 안착 및 보안기 광학성 향상을 위해 UV 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UV 경화제의 첨가량은 필름 원단과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안료의 1~8중량%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일반적 보안기에 있어서 연마의 필요성이 없지만, 특수 용도와 목적 또는 사용 필름과 안료의 성분과 재질과 광학적 특성에 따라 필요시 상기 냉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필름과 안료 성분 및 재질과 코팅 성분 및 규격에 연계한 적정 압력과 규격으로 초정밀 연마기 또는 초정밀 나이프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규격으로 연마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 및 경화 공정 후, 필요 시 제1, 2, 3필름층 또는 편광 필름과 유색안료 또는 불투명 유색잉크의 재질 및 성분과 작업장의 조건(온도, 습도 등)에 따라 적정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여 냉각기와 제습기를 이용한 냉각 공정을 수행하거나 자연 냉각 등의 공정으로 냉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과 안료, 접착제, 점착제 등의 재질과 성분에 따라 각기 적정한 온도와 압력 및 시간을 적용한 고기능성 가열 및 가압력 기능 톰슨기와 재단기를 사용하여 보안기 재단 및 톰슨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보안기의 균열, 파손, 휨 현상 등에 의한 손상 없이 요구되는 형태와 규격으로 톰슨 및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보안기 제조 시 사용하는 각각의 재질과 성분을 일반적인 소재로 하는 경우에는 일반 범용 톰슨기 또는 재단기를 사용하여 톰슨 및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기 설치를 위한 결합 수단 마련 공정에 있어서, 보안기 설치를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보안기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보안기의 착탈 시 별도의 착탈 매개체 없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편리하게 보안기를 설치 대상 화면에 붙이고, 떼어내는 것만으로도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보안기 일면에 결합수단인 점착제를 코팅 도포하여 모니터(M)의 화면에 보안기(1)를 직접 부착 시킬 수 있고, 이 경우 노트북의 모니터(M), 휴대폰 등에 부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노트북과 휴대폰 사용을 위해 모니터(M), 휴대폰 등의 화면을 개폐시킬 때, 보안기(1)를 탈착시키는 행위를 반복할 필요가 없고, 또한 별도의 착탈 매개체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의 용제 성분으로는 유성 또는 수성용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계 및 우레탄 계열 점착제를 상기 보안기 표면에 코팅 후 건조 공정을 실행하여 점착제 성분 중 용제를 증발시킨 후 냉각 과정을 거친 다음 이물질 등으로부터 점착 물질을 보호하기위하여 점착 코팅 면에 보호필름을 합지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안기 부착 대상 면에 탈,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부착 시 기포 발생 방지를 위해 제1, 2, 3필름층, 편광 필름 표면 또는 점착 코팅 표면에 엠보싱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점착 물질이 피착 물에 전이 또는 탈락 되지 않고, 장기간 점착성을 유지 하게 하기위하여 점착제 코팅 전, 점착제 코팅 부분에 프라임 코팅을 실행함으로써 보안기의 점착 결합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결합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기(1)가 설치되는 프레임(61)과, 프레임(61)의 일 측에 연결되어 모니터(M)에 걸림 유지되는 결합 부재(62)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결합 부재(62)로는 벨크로 또는 각종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한편, 모니터(M)에 소정의 걸림 턱(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면, 결합 부재(62)가 후크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보안기 구조 및 형태를 부착 대상 모니터 전면부의 구조 및 형태와 동일하게 제조하여 보안기를 모니터 전면부에 덮어씌워 모니터와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1)는 전문 세정 용제가 필요 없이 물과 헝겊만으로 청소가 가능한 이지 클린(Easy Clean)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보안기의 제조 방법, 특히 차폐격벽 형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차폐격벽 패턴을 얻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의 제조방법은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공지의 방법으로 제1필름증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다. 차폐격벽은 충분한 차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높은 흡광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격벽은 이미지를 차단할 수 있는 유색잉크를 사용하며 UV 잉크나 용제형 잉크로 형성할 수 있으나, 빠른 경화를 위해서는 UV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폐격벽을 형성하는 유색잉크는 안료와 수지를 포함하고 용매, 중합개시제, 점성 개량제, 산화방지제, 습윤조제, 분산제, 중합 금지제, 증감제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료로는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농도 차폐성 형성 시 유기 안료를 사용하고, 저농도 차폐성 형성 시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농도의 고흡광도를 갖춘 안료에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저농도의 저흡광도를 갖춘 안료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보안필름의 왜곡된 영상 출력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유색잉크는 파티클 사이즈 약 2~1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모노아크릴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다음, 도 4의 (a)처럼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도 4의 (b)처럼 포토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포토레지스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포크레졸-포름알데히드의 노볼락 수지와 나프토퀴논디아지드기가 치환된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알칼리 가용성 수지, o-나프토퀴논 디아지드 술폰산 에스테르와 비닐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퀴논 디아지드 화합물과 다가의 폴리 페놀을 이용하여 제조한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노볼락 수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에 폴리 페놀을 포함시켜 물성을 개선시킨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 조사 조건 역시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차폐격벽 패턴 생성을 위한 포토마스크의 제작에 있어서, 먼저, 보안기의 사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본 발명 보안기 미세 패턴 설계 및 그 제조 기술을 응용하여 이미지 차폐격벽의 규격을 차폐격벽의 선폭(선 굵기)을 5~100범위로 하고, 차폐격벽 선 높이(두께)를 10~250 범위로 하고, 차폐격벽 선 간격(선과 선 사이 간격)을 20~185 범위가 되도록 하되, 상기 선폭과 선 높이, 선 간격의 규격은 상호 연동 하여 수치를 조절 실행하여 상기 보안기의 광학적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설계한 후, 포토마스크를 제작한다(도 5의 (b) 참조).
선택적으로 노광한 후 현상을 통해 비노광 영역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포토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 노광 영역의 포토레지스트가 현상되어 제거되는 경우도 있다. 현상액 및 현상 조건 등은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에 연동되어 선택되는 것이 좋다. 적합한 현상 수용액으로는 알칼리 수산화물, 수산화암모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4의 (c)에서처럼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에 존재하는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한다. 식각 방법은 습식 식각이나 건식 식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부식 용액 또는 기체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의해 노출된 부위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렇게 식각을 통해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여 차폐격벽이 구비된 블라인드층이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안기 제조방법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바인더 수지 0.5 내지 20 중량%;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1 내지 20 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10 중량%; 착색 안료 5 내지 40 중량%; 및 잔부량으로서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에 사용되는 블랙 매트릭스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블랙 매트릭스 조성물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카도계 바인더 수지인 것이 좋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1,00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패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000을 초과하면 현상 후, 잔사가 남을 수 있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알카리 용해성 수지로 만들기 위하여 중합체를 산무수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카도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패턴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성이 떨어지며, 미현상으로 잔사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서,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일관능 또는 다관능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일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는 아로닉스 M-101, 동 M-111, 동 M-114(도아 고세이 가가꾸 고교(주) 제품), AKAYARAD TC-110S, 동 TC-120S(니혼 가야꾸(주) 제품), V-158, V-2311(오사카 유끼 가가꾸 고교(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는 아로닉스 M-210, 동 M-240, 동 M-6200(도아 고세이 가가꾸고교(주) 제품), KAYARAD HDDA, 동 HX-220, 동 R-604(니혼 가야꾸(주) 제품), V260, V312, V335 HP (오사카 유끼 가가꾸 고교(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삼관능 이상의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는 아로닉스 M-309, 동 M-400, 동 M-405, 동 M-450, 동M-7100, 동 M-8030, 동 M-8060(도아 고세이 가가꾸 고교(주) 제품), KAYARAD TMPTA, 동 DPCA-20, 동-30, 동-60, 동-120(니혼 가야꾸(주) 제품), V-295, 동-300, 동-360, 동-GPT, 동-3PA, 동-400(오사카 유끼 가야꾸 고교(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이다.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산소 존재 하에서 감도가 저하되기 쉽고, 패턴 형성이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쉬우며, 도막 형성후 도막 표면이 거칠어 질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계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 사용되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벤조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온 등이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 아미노) 벤조페논 등이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는 티오크산톤, 2-크롤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등이 있다.
상기 벤조인계 화합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3',4'-디메톡시 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톨릴(tollyl))-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톨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피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비스(트리클로로 메틸)-6-스티릴-s-트리아진, 2-(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4'-메톡시 스티릴)-6-트리아진 등이 있다.
그 밖에 카바졸계 화합물, 디케톤류 화합물, 설포늄 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조계,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등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산소에 의한 라디칼의 감도 저하가 발생하기 쉽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용액의 색 농도가 높아지거나 석출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착색을 위한 안료는 다양한 색상으로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는 광차단을 위해 흑색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흑색 안료로서, 흑색을 나타내는 페릴렌계 화합물, 이른바 페릴렌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페릴렌 블랙은,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무기물보다 매우 도전성이 작은 유기 화합물이다. 페릴렌 블랙을 나타내는 흑색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 안료로서 적색 유기 안료나 청색 유기 안료 등의 유채색 유기 안료를 첨가해도 된다. 유채색 유기 안료는 페릴렌 블랙의 보색을 나타내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첨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붉은 빛을 띤 흑색을 흑색 안료에 대하여는, 보조 안료로서 적색의 보색인 청색을 나타내는 유기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그 붉은 빛을 없앨 수 있고, 전체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흑색을 나타낸다.
또한, 좋기로는 흑색화된 유기 안료가 바람직하며 상기 흑색화된 유기 안료는 색좌표 상에서 혼합시 흑색이 나올 수 있는 안료의 조합이면 어느 안료이든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유기 안료로는 적색(R), 청색(B), 녹색(G), 바이올렛(V), 옐로우(Y), 시아닌(cyanine), 또는 마젠타(margenta) 안료를 들 수 있으며 이들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흑색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청색(B), 및 녹색(G)의 안료를 혼합하거나 녹색(G) 안료와 바이올렛(V) 안료를 혼합하여 흑색화할 수 있다.
상기 적색계 안료로는 페릴렌계 안료, 안트라키논(anthraquinone)계 안료, 지안토라키논계 안료, 아조(azo)계 안료, 디아조(diazo)계 안료,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안료, 안트라센(anthracene)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릴렌 안료,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안료, 나프톨(naphthol) AS, 시코민 안료, 안트라키논(anthraquinone)(sudan I, II, III, R), 지안토라키노닐렛도, 비스 아조(vis azo), 벤조피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청색계 안료로는 금속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안료, 인단스론계 안료, 인도 페놀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클로로(chloro) 동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클로로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chloro aluminium phthalocyanine), 티타닐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바나진 산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마그네슘 프탈로시아닌(magnesium phthalocyanine), 아연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철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코발트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등의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금속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녹색계 안료로는 할로겐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리쿠롤 동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포리쿠롤부롬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이올렛계 안료로는 지오키사진바이올렛토, 퍼스트 바이올렛 B, 메틸바이올렛토이키, 인단토렌부리리안토 바이올렛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황색계 안료로는 테트라 클로로 이소인돌리논(tetra chloro isoindolinone)계 안료, 한자이로계 안료, 벤지딘(benzidine) 에로계 안료, 아조(azo)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자 옐로우(hansayellow)(10G, 5G, 3G, G, GR, A, RN, R), 벤지딘(benzidine)(G, GR), 쿠로모후탈에로, 퍼머넌트(permanent) 에로(FGL, H10G, HR), 안스라게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닌(cyanine)계 안료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메로시아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젠타(margenta)계 안료로는 디메틸 퀴나크리돈(dimethyl quinacridone), 티오 인디고(thio indigo) 등 을 들 수 있다. 상기 흑색화된 혼합 유기 안료 외에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및 기타 흑색 무기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색 무기 안료로는 산화크롬, 산화철, 티탄블랙(titan black),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안료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광학밀도가 너무 낮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광학밀도는 높아지나, 현상성 등과 같은 공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및 기타 흑색 무기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안료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광학밀도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절연성과 같은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지 조성물 속에 안료를 분산시키는 데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안료를 표면처리하는 형태로 안료에 내부 첨가시켜 사용하거나, 안료와 함께 수지 조성물 제조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술한 구성들과의 상용성을 가지되, 반응하지 않는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용제로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디클로로에틸 에테르, n-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메틸페닐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메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에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디에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류; 메틸에틸 카르비톨, 디에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등의 카르비톨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 사논,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논, 메틸-n-아밀케톤, 2-헵타논 등의 케톤류; 초산 에틸, 초산-n-부틸, 초산 이소부틸 등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류; 젖산 메틸, 젖산 에틸 등의 젖산 에스테르류; 옥시 초산 메틸, 옥시 초산 에틸, 옥시 초산 부틸 등의 옥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류; 메톡시 초산 메틸, 메톡시 초산 에틸, 메톡시 초산 부틸, 에톡시 초산 메틸, 에톡시 초산 에틸 등의 알콕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류; 3-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3-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3-옥시 프로피온산 알킬에스테르류; 3-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3-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3-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2-옥시 프로피온산 프로필 등의 2-옥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2-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2-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류, 2-메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알콕시-2-메틸 프로피온산 알킬류의 모노옥시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류;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 에틸,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히드록시 초산 에틸, 2-히드록시-3-메틸 부탄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피루빈산 에틸 등의 케톤산 에스테르류 등의 화합물이 있으며, 또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닐라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벤질에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아세트닐아세톤, 이소포론, 카프론산, 카프릴산, 1-옥탄올, 1-노난올, 벤질알코올, 초산 벤질, 안식향산 에틸, 옥살산 디에틸, 말레인산 디에틸, γ-부티로락톤, 탄산 에틸렌, 탄산 프로필렌, 페닐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등의 고비점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에서 상용성 및 반응성 등을 고려한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에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류;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디에틸렌 글리콜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잔부량으로 사용되며,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50 내지 90 중량%로 사용되는 경우 적절한 점도를 가짐에 따라 공정성이 좋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르복실기, 메타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톡시실릴 벤조산, γ-메타크릴 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 시아네이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카도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코팅성 향상 및 결점 생성 방지 효과를 위해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BM-1000, BM-1100(BM Chemie사 제품), 메카 팩 F142D, 동 F 172, 동 F 173, 동 F 183(다이 닙뽕 잉키 가가꾸 고교(주) 제품), 프로라드 FC-135, 동 FC-170C, 동 FC-430, 동 FC-431(스미토모 스리엠(주) 제품), 사프론 S-112, 동 S-113, 동 S-131, 동 S-141, 동 S-145(아사히 가라스(주) 제품), SH-28PA, 동-190, 동-193, SZ-6032, SF-8428(도레 시리콘(주) 제품) 등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카도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안정제 등의 기타의 첨가제가 일정량 첨가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처럼 상기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전처리를 한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스핀 또는 슬릿 코트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두께로 도포한 후,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도막은 7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의 유전율을 가지는 것이며, 유절율이 작을 수록 좋다. 상기 도막의 유전율이 7을 초과하는 경우, TFT와 같은 인근 회로의 정상적인 구동을 간섭할 우려가 있다.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도막에 필요한 패턴 형성을 위해 소정 형태의 마스크를 개재한 뒤, 200 내지 500nm의 활성선을 조사한다. 조사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아르곤 가스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X선, 전자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노광량은 조성물 각 성분의 종류, 배합량 및 건조 막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00 mJ/cm2(365nm 센서에 의함) 이하이다.
다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광 단계에 이어 알칼리성 수용액을 현상액으로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용해, 제거함으로써 노광 부분만을 잔존시켜 패턴을 형성시킨다.
상기 공정에서 현상에 의해 수득된 화상 패턴을 내열성, 내광성, 밀착성, 내크랙성, 내화학성, 고강도 및 저장 안정성 등의 면에서 우수한 패턴을 얻기 위해, 다시 가열하거나 활성선 조사 등을 행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액상의 착색 감광성 수지나 포토레지스트 대신에 DFR 필름 등의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나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DFR 필름은 흔히 드라이 필름이라고도 명명하기도 하는데, 패턴의 정밀도나 PR층의 두께, 감광도 등의 정밀도가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나 액상의 착색 감광성 수지보다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필름 형태의 착색 감광성 수지 또는 포토레지스트는 기재 필름에 액상의 착색 감광성 수지나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다시 이형 필름을 덫붙인 3층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나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보안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들에서 액상으로 착색 감광성 수지나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대신에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나 포토레지스트를 부착하는 것이 다르며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바를 전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를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로 대체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일례로서,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액상의 착색 감광성 수지 대신에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보안기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3층으로 이루어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나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는 사용시 일면의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제1필름층 등의 기재에 부착한 후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다음에 다른 일면에 부착된 기재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때로는 광조사 전에 다른 일면에 부착된 기재필름을 제거할 수도 있다.
때로는, 상기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부착면은 이형 처리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이형 처리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광경화시킨 후에 상면의 기재필름을 벗겨내게 되면, 기재필름과 착색 감광성 수지의 부착력이 대상물의 부착면과의 부착력보다 커서 비경화 부분이 기재필름과 함께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FR 필름을 사용하여 차폐격벽을 패터닝하는 경우 차폐격벽의 선폭에는 한계가 있다. 즉 차폐선폭이 고정세화 될수록 설계한 차폐격벽의 폭에 비하여 실제 얻어지는 차폐격벽의 폭이 많게는 설계치보다 2배 이상으로 상당히 넓게 되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인을 찾아보던 중 필름 마스크와 DFR 필름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는 경우 이로 인하여 광의 굴절이 발생하게 되어 정밀한 패턴을 얻기가 어려운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 결과 DFR 필름을 기재필름에 완전 밀착시켜 에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구성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의 큰 특징은 마스크와 DFR 필름을 접촉시켜 밀착시키는 것이다.
한편, DFR 필름을 사용할 경우, UV 조사 후 Development와 린스 조건이 정밀하고 깨끗한 패턴 형성을 위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기로는 Development는 1초 ~ 8분에서 2~50psi로 하는 것이 좋으며, 린스 조건은 3초~15분에서 2~50psi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본 발명에 대한 내용과 기술 및 공정과 기계와 재료 등의 사항에만 국한하는 것으로 해석 및 이용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의 응용,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으로서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안기 10 : 제1필름층
20 : 제2필름층 30 : 제3필름층
40 : 편광필름 50 : 이미지 표현층
70 : 포토레지스트 80 : 포토마스크
15, 25 : 블라인드층 15-1, 25-1 : 차폐격벽

Claims (31)

  1. 제1필름층; 및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격벽은 광조사되어 경화된 착색 감광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는 바인더 수지 0.5 내지 20 중량%,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1 내지 20 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10 중량%, 착색 안료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로서, 1,00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것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안료는 페릴렌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6. 제1필름층; 및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진 블라인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격벽은 유색 코팅제 코팅 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패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코팅제는 유색안료와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모노아크릴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코팅제는 UV 잉크, 차폐 잉크, 접착성 유색 잉크, 핫 멜트계 잉크, 또는 아크릴계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안료는 2~18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격벽의 폭은 5-100, 높이는 10-250이고, 상기 차폐격벽들 간의 간격은 20-1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양면에 상기 블라인드층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격벽이 상기 블라인드층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직선상에 형성된 보안기.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1필름층을 보강하는 제2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차폐격벽이 상기 제1필름층의 차폐격벽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과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상기 블라인드층 형성 반대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필름층을 보강하는 제3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기의 이미지 출사면에 직접 적층 합지되거나 결합수단을 통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편광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필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 사용자의 일정 시야각 이하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이미지 표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눈부심 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정전기 및 집진 방지 코팅층(anti-static coating), 전자파 차단 코팅층(anti-radiation coating), 자외선 차단 코팅층(Line Polarizer Coating), 스크래치 방지 코팅 층, 중화 필터 코팅 층(neutral density filter coating), 및 선편광층(Line polariz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기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이 눈부심 방지(anti-reflection), 정전기 및 집진 방지(anti-static), 전자파 차단(anti-radiation), 자외선 차단(Line Polarizer), 스크래치 방지, 선명도 강화, 또는 선편광(Line polarizer) 기능을 갖는 성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안 대상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20.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
  21.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2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을 구비한 블라인드층이 상기 제1필름층에 형성된 블라인드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2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블라인드층이 차폐격벽끼리 중첩되도록 상기 제1필름층 상의 블라인드층과 접합시켜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 또는 제2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는,
    우레탄 또는 실리카 성분 수지 10~60wt%와 비메틸포름아마이드(BMF), 메틸에틸케톤(MEK) 및 톨루엔 중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용제 40~90wt%로 구성된 초벌 코팅 물질로 필름원단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앙카(Ahanka) 코팅하여 상기 필름원단의 장력을 높이는 초벌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 코팅 단계는 평판 실크 스크린 코팅 공정, 원 스톱 롤 투 롤 코팅 공정, 기화 분무 코팅 공정, 그라비아 코팅 공정, UV 코팅 공정, 또는 로울러 코팅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3필름층,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필름층을 건조 및 경화하는 단계;
    상기 건조 및 경화된 필름층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필름층을 톰슨 및 재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26.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한 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광흡수성 유색 코팅제를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
  27. 제1필름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부착하는 단계;
    입사 이미지를 차단시키는 차폐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도록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되지 않은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기 제조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는, 포토마스크를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에 접촉시켜 밀착시킨 후 광을 조사하여 에어갭으로 인한 광굴절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후 1초 ~ 8분에서 2~50psi로 Development하는 단계, 3초~15분에서 2~50psi로 린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30.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는 하면의 이형필름과 상면의 기재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 필름 타입의 착색 감광성 수지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부착면은 이형 처리되어 있어, 광조사로 경화시킨 후에 상면의 기재필름을 벗겨내는 것으로서 비경화 부분이 기재필름과 함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 제조방법.
KR1020100034227A 2010-04-14 2010-04-14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4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27A KR101045545B1 (ko) 2010-04-14 2010-04-14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27A KR101045545B1 (ko) 2010-04-14 2010-04-14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545B1 true KR101045545B1 (ko) 2011-06-30

Family

ID=4440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227A KR101045545B1 (ko) 2010-04-14 2010-04-14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33B1 (ko) * 2012-04-27 2014-01-21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289A (ko) * 2001-12-11 2003-06-19 김은성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289A (ko) * 2001-12-11 2003-06-19 김은성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33B1 (ko) * 2012-04-27 2014-01-21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04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 매트릭스
JP5327396B2 (ja)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4244680B2 (ja) 感光性アルカリ可溶型組成物
CN102486609B (zh) 应用于彩色滤光片的光敏性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彩色滤光片
CN104081280A (zh) 着色感光性组合物、黑色光间隔物及滤色片
WO2011040083A1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5007062A1 (zh) 光阻组合物及其制备方法、彩膜基板和显示装置
JPWO2007069593A1 (ja) カラーフィルタ用隔壁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用隔壁付基板、表示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JP6703104B2 (ja) 転写フィルム
CN100428027C (zh) 隔片形成用放射线敏感性树脂组合物、隔片及其形成方法以及液晶显示元件
JP2010054561A (ja) 保護膜用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5178737B2 (ja) スペーサー形成用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スペーサー、スペーサーの形成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KR10078771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JP7094372B2 (ja) 転写フィルム、積層体、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045545B1 (ko)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JP4171332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液晶パネル用基板、及び、液晶パネル
KR100671107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JP2006208796A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着色感光性樹脂膜、感光性樹脂転写材料、遮光膜及びその形成方法、感光性樹脂層の形成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5478157B2 (ja)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7116881A (ja) 光学機能層付カラーフィルタ基材
KR100930671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JP2007186777A (ja) 金属微粒子分散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着色組成物、感光性転写材料、遮光画像付き基板、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表示装置
JP2007223181A (ja) 多層材料、樹脂パターンの形成方法、基板、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279467A (ja) 感光性樹脂転写材料、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4792321B2 (ja) 感光性樹脂転写材料、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