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94B1 -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94B1
KR101144894B1 KR1020110080832A KR20110080832A KR101144894B1 KR 101144894 B1 KR101144894 B1 KR 101144894B1 KR 1020110080832 A KR1020110080832 A KR 1020110080832A KR 20110080832 A KR20110080832 A KR 20110080832A KR 101144894 B1 KR101144894 B1 KR 10114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sheet
adhesive
light guide
ligh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미이
홍소이
Original Assignee
(주)샤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다이 filed Critical (주)샤다이
Priority to KR102011008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94B1/ko
Priority to PCT/KR2012/006323 priority patent/WO201302500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은, 반사시트 공급과정(S10); 잉크를 이용하여 공급된 반사시트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유도패턴 형성과정(S20); 반사시트 표면을 건조하는 제1건조과정(S30); 반사시트 표면에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과정(S40); 합성수지판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반사시트를 위치시키고, 이 반사시트 표면에 인쇄되어 경화된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녹을 수 있도록 반사시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반사시트를 합성수지판에 부착하는 가열과정(S80); 및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건조과정(S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REFLECTION SHEET HAVE LIGHT GUIDANCE PATTERN AND LIGHT GUIDANCE PLATE HAVE IT}
본 발명은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를 제조하고, 그 반사시트를 아크릴을 포함한 합성수지판에 부착함으로써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가 정보 사회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는 성능이나 가격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박형화 또는 저전력화 측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액정 표시 장치는 가격 측면에서 다소 비싸지만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이 있어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화상 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와,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두장의 기판의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셀들과 이 액정셀들에 공급되는 신호를 각각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소자들로 구성된다.
패널 구동부는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와, 액정패널과 구동 회로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신호들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으로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과,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액정패널쪽으로 안내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으로부터 공급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광학 시트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광판의 하부에는 반사 시트가 더 설치되어 도광판의 하부로 공급된 광을 반사 시트를 통해 상부의 액정패널로 공급한다.
여기서 광원의 광이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입사부는 큰 휘도의 광이 공급된다. 이렇게 큰 휘도를 가지고 입사되는 광은 도광판의 상부에 위치한 액정패널에 휘선을 발생시켜 표시불량을 야기한다.
또한, 입광부에서 반사 시트에 의해 반사되는 광도 높은 휘도를 갖게 되어 액정패널에 휘선이 발생된다. 이러한 휘선들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 휘선과 암부가 교대로 시인되어 표시불량이 더욱 극명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광판의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빛 유도패턴은 도광판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인쇄방식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도광판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그 도광판의 표면에 홈가공 또는 인쇄할 때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특히,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도광판을 대량 생산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 및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3058호)를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받은 바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에 따르면,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시, 코일 형태로 감겨진 반사시트를 공급하는 반사시트 공급부에서 반사시트를 공급하면, 패턴 인쇄부에서 반사시트의 표면에 유도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건조부에서는 반사시트 표면에 형성된 빛 유도패턴을 건조시키며, 이형지 공급롤에서는 빛 유도패턴이 형성된 반사시트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공급하게 되는 바, 이형지 부착부에서는 이형지가 반사시트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가압하여, 이형지가 부착된 반사시트를 코일 형태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를 제조하던 중, 이러한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인식한 바, 이러한 문제점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공급되는 잉크는 유성인데 반하여, 접착제는 유성 또는 수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성 잉크와는 다른 성질을 갖는 수성 접착제의 성질상, 유성 잉크 표면에 접착제가 일정하게 인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비록 유성 잉크와 동일한 성질을 가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접착제가 유성 잉크와 섞여 일정한 빛 유도 패턴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데 큰 어려움을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성 또는 유성 접착제 사용시, 접착 성분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후 공정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접착제 성분이 다양한 롤 내지 장치에 묻어나 최종 제품의 품질에 악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의 경우, 소비자가 제품 사용시, 이형지를 떼어낸 후에, 한 번에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의 정확한 위치에 반사시트를 부착해야만 하는 바, 정확한 위치에 반사시트를 부착하지 못한 경우, 접착력을 잃은 반사시트 재사용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빛 유도 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를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에 부착하여 도광판을 제조할 때, 이형지를 벗겨내야만 하는 바, 그 과정에서 접착력을 가진 반사시트 표면에 먼지 등 다양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에 악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별도의 클린룸 시설을 구축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별도의 설비를 구축하는데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3058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접착제를 반사시트에 인쇄하고, 이를 경화시킨 후 추후에 가열과정을 통해 아크릴을 포함한 합성수지판에 반사시트를 부착할 수 있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은, 반사시트 공급과정; 잉크를 이용하여 공급된 반사시트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유도패턴 형성과정; 반사시트 표면을 건조하는 제1건조과정; 반사시트의 표면에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과정;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건조과정; 합성수지판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반사시트를 위치시키고, 이 반사시트 표면에 인쇄되어 경화된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녹을 수 있도록 반사시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반사시트를 합성수지판에 부착하는 가열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가열과정에서 이용되는 열원은 고주파, 초음파,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건조과정을 거친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에 항습 제지를 끼워넣는 제지삽입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 인쇄과정 이후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건조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과정은 공간적, 설비적,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그 이전에 진행되는 공정과 비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은, 반사시트 공급부; 상기 반사시트 공급부에서 공급된 반사시트의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패턴인쇄부; 반사시트 표면에 형성된 빛 유도패턴을 건조하는 제1차건조부; 건조된 반사시트 표면에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부; 반사시트 표면에 인쇄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차건조부; 및 합성수지판에 반사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열을 공급하여 부착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접착제 성분이 다양한 롤 또는 장치에 묻어나지 않는 바, 최종 제품이 품질에 악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가 제거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사시트를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에 부착할 때 발생되는 부착 위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반사시트를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에 부착할 때, 별도로 이형지를 벗겨낼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클린룸 등 별도의 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은, 반사시트 공급과정(S10), 유도패턴 형성과정(S20), 제1건조과정(S30), 접착제 인쇄과정(S40), 제2건조과정(S50) 및 가열과정(S80)을 포함한다.
반사시트 공급과정(S10)은, 코일 형태로 감겨진 반사시트를 공급하는 과정인데, 이러한 과정은 반사시트 공급롤 및 공급 안내롤을 통하여 반사시트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반사시트 공급과정(S10)을 통하여 공급된 반사시트는 유도패턴 형성과정(S20)을 통하여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게 되는 바, 그 외주면에 빛 유도패턴이 형성된 롤은 유성 잉크를 공급받아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유성 잉크에 의해 그 표면에 빛 유도패턴이 형성된 반사시트는, 제1건조과정(S30)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유성 잉크가 건조되는 것이다.
제1건조과정(S30) 이후에는, 빛 유도패턴이 형성된 반사시트 표면에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과정(S40)이 진행된다.
종전에 사용되던 접착제는, 항상 접착력이 유지될 수 있는 상태로 반사시트의 표면에 인쇄되었는 바,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접착제 인쇄과정(S40)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실리콘 재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하다가, 반사시트에 인쇄된 이후에, 공기와 접촉하면서 경화되는 바,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건조과정(S50)을 진행할 수도 있다.
제2건조과정(S50)에서는, UV 건조기 등 다양한 형태의 건조기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데, 대략 100℃ 정도의 열을 가해 수분을 완전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이 남아있으면, 추후 반사시트에 열을 가하여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에 부착할 때, 수분에 의한 접착력 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UV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 속도를 향상시켜,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접착제는, 실리콘 재질의 이외에, 우레탄계, 아크릴계, 폴리합성수지, 우레탄 비닐계 합성수지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질은 모두,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되어 겔(gel) 형태로 경화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바, 이러한 성질을 갖는 물질은 모두 본 발명의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조기에 의하여, 경화된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는, 제품 사용시 가열과정(S80)을 통하여 접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 즉, 접착 대상인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상의 정확한 위치에 반사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반사시트에 경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녹는 바, 그 상태에서 가압하면, 소정의 접착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가열과정(S80)에서는, 고주파,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한 IR 드라이 챔버 등 다양한 열원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열풍 건조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송풍하는 과정에서 반사시트 표면에 균일하게 인쇄된 상태의 접착제가 유동하여 불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열과정(S80)은 공간적, 설비적,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그 이전 공정과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의 경우, 제2건조과정(S50)을 거친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는 적재과정(S60)을 통해 보관되는 바, 적재과정(S60)에서는 필요한 반사시트의 길이별로 구분하여 적재, 보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건조과정(S50) 및 적재과정(S60) 이후에,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에 항습 제지를 끼워넣는 제지삽입 과정(S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과정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형지를 부착하는 과정과는 상이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지삽입 과정(S70)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과정인데, 과정인 바,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제품이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은, 반사시트 공급부(10), 패턴인쇄부(20), 1차건조부(30), 접착제 인쇄부(40), 2차건조부(50), 제지삽입부 및 가열부를 포함한다.
반시시트 공급부, 패턴인쇄부(20) 및 1차건조부(30)의 구성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차 건조된 반사시트는, 접착제 인쇄부(40)로 이송된다. 접착제 인쇄부(40)에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우레탄 내지 아크릴이 내장된다. 이러한 접착제 인쇄부(40)는, 내장되는 접착제가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온도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반사시트에 균일하게 인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급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시트에 균일하게 인쇄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접착제는, 2차건조부(50)에 공급되어 경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1991호에서 언급된 이형지 공급과정 및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이형지 공급롤, 이형지 가압롤이 불필요하다.
2차 건조된 반사시트는 적재부(60)에 적재, 보관되며, 제지 삽입부(7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에는 항습 제지를 끼워넣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 반사시트는 가열부(80)로 이동하는 바,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상의 정확한 위치에 반사시트가 위치하면, 가열부(80)에서 반사시트 표면에 열을 공급하여, 경화된 접착제를 녹임으로써, 반사시트를 아크릴 등 합성수지판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S10 : 반사시트 공급과정 S20 : 유도패턴 형성과정
S30 : 제1건조과정 S40 : 접착제 인쇄과정
S50 : 제2건조과정 S60 : 적재과정
S70 : 제지삽입 과정 S80 : 가열과정
10 : 반사시트 공급부 20 : 패턴 인쇄부
30 : 1차건조부 40 : 접착제 인쇄부
50 : 2차건조부 60 : 적재부
70 : 제지 삽입부 80 : 가열부

Claims (9)

  1. 반사시트 공급과정(S10);
    잉크를 이용하여 공급된 반사시트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유도패턴 형성과정(S20);
    반사시트 표면을 건조하는 제1건조과정(S30);
    반사시트 표면에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과정(S40);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건조과정(S50);
    합성수지판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반사시트를 위치시키고, 이 반사시트 표면에 인쇄되어 경화된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녹을 수 있도록 반사시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반사시트를 합성수지판에 부착하는 가열과정(S80);을 포함하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과정(S80)에서 이용되는 열원은 고주파, 초음파,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과정(S50)을 거친 복수 개의 반사시트 사이에 항습 제지를 끼워넣는 제지삽입 과정(S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과정(S80)은 공간적, 설비적,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그 이전에 진행되는 공정과 비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7. 삭제
  8. 반사시트 공급부(10);
    상기 반사시트 공급부(10)에서 공급된 반사시트의 표면에 빛 유도패턴을 형성하는 패턴인쇄부(20);
    반사시트 표면에 형성된 빛 유도패턴을 건조하는 제1차건조부(30);
    건조된 반사시트 표면에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접착제를 인쇄하는 접착제 인쇄부(40);
    반사시트 표면에 인쇄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차건조부(50); 및
    합성수지판에 반사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열을 공급하여 부착시키는 가열부(80)를 포함하는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9. 삭제
KR1020110080832A 2011-08-12 2011-08-12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KR10114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32A KR101144894B1 (ko) 2011-08-12 2011-08-12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PCT/KR2012/006323 WO2013025002A2 (ko) 2011-08-12 2012-08-08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32A KR101144894B1 (ko) 2011-08-12 2011-08-12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894B1 true KR101144894B1 (ko) 2012-05-14

Family

ID=4627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832A KR101144894B1 (ko) 2011-08-12 2011-08-12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4894B1 (ko)
WO (1) WO201302500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66B1 (ko) 2012-12-17 2013-05-31 김주영 발광장치용 백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KR101525436B1 (ko) * 2014-12-11 2015-06-10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조명용 패턴이 형성된 반사필름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689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90923A (ko) * 2009-02-09 2010-08-18 주식회사 유래코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한 일체형 홀로그램을 갖는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219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케이앤씨엘이디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670U (ja) * 2003-03-07 2004-08-19 京安股▲分▼有限公司 ライト・リフレクト・ピース
KR100976881B1 (ko) * 2008-03-21 2010-08-18 이주복 장식용 시트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689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90923A (ko) * 2009-02-09 2010-08-18 주식회사 유래코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한 일체형 홀로그램을 갖는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219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케이앤씨엘이디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
KR200451991Y1 (ko) 2009-04-09 2011-01-25 주식회사 케이앤씨엘이디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66B1 (ko) 2012-12-17 2013-05-31 김주영 발광장치용 백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WO2014098430A1 (ko) * 2012-12-17 2014-06-26 Kim Joo Young 발광장치용 백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KR101525436B1 (ko) * 2014-12-11 2015-06-10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조명용 패턴이 형성된 반사필름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5002A2 (ko) 2013-02-21
WO2013025002A3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041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JP2008023868A (ja) エネルギ線硬化型樹脂の転写方法、転写装置及びディスクまたは半導体デバイス
EP2942667B1 (en) Patterning method using imprint mold
KR101144894B1 (ko) 빛 유도패턴을 갖는 반사시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방법 그리고, 그러한 반사시트 제조 시스템 및 그러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도광판 제조 시스템.
KR20120069796A (ko) 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201314989Y (zh) 超薄柔性液晶显示器
KR101353433B1 (ko)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KR200451991Y1 (ko)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
KR20100128680A (ko) 스티커 방지 평판 인쇄 금속판 및 그 제작 방법
KR100766480B1 (ko) 금속판의 인쇄 방법 및 그 인쇄 금속판
KR101671072B1 (ko) 디지털 실사 무늬칼라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다이렉트 접착 열전사지
KR100838111B1 (ko) 발포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224B1 (ko) 라미네이팅 필름 롤 및 라미네이팅 필름 롤의 제조 방법
GB0301091D0 (en) Provision of images on surfaces
CN108017993A (zh) 光致失黏胶组合物、光致失黏胶膜层的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07001A (ko) 접합체의 제조 방법, 접속 방법
JP2003177672A (ja) シュリン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7067B1 (ko) 인테리어 자재의 홀로그램 인쇄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물
KR20130121765A (ko) 시야각 제한 필름
KR100840759B1 (ko) 실리콘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패드
KR200434410Y1 (ko) 평판 인쇄 금속판
DE602004014782D1 (de) Vorrichtung für die maskenlose herstellung von aufklebern
TWI671190B (zh) 水貼花(膜)複合印材
JP2011022178A (ja) 感熱ラベル長尺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42717U (ja) Frp簡易補修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