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92B1 - 폐차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차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092B1 KR101352092B1 KR20130127936A KR20130127936A KR101352092B1 KR 101352092 B1 KR101352092 B1 KR 101352092B1 KR 20130127936 A KR20130127936 A KR 20130127936A KR 20130127936 A KR20130127936 A KR 20130127936A KR 101352092 B1 KR101352092 B1 KR 101352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conveyor
- frame
- vertical
- tire
- Prior art date
Links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843 non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872 Body Remai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2—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shredding scrap metal, e.g. automobile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차할 자동차(이하, 폐차(廢車)라고 칭함)를 올려놓고 폐차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폐차로부터 분리하게 되는 작업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고, 이 작업 장치대에는 폐차에서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폐차를 수직하게 세우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중량 부품을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와, 각종 부품을 분리시킨 폐차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타이어에서 철심을 분리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와, 절단장치에서 절단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부스러기를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를 설치하며, 이러한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는 폐차에서 분리시킨 각종 부품을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트랙형태로 설치하여 폐차처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폐차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폐차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개의 지주(16) 상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데크(12)의 가운데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1)에는 스윙데크(13)가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와;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수평데크(12)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가이드수단(2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수직지주(51)의 상부에 수평대(52)가 수평 설치되고, 이 수평대(52)에는 호이스트(5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장치(50)와;
양측 수직지주(51)에 내향 설치되어 폐차(2)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레일(56)과 수직래크부(57)가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58)가 양측 수직지주(51)에 수직 설치되고, 수직가이드(58)에는 수직레일(56)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132)와 승하강모터(134)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수직래크부(57)와 맞물리는 수직피니언(133)이 설치되는 승하강판(131)이 설치되고, 이 승하강판(131)의 일측면에는 폐차(2)를 클램핑하는 클램프(160)를 설치하되, 이 클램프(160)가 회전수단(15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클램프장치(130)와;
상기 수평데크(1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2)를 절단하는 것으로, 상부에 절단실린더(74)가 하향 설치되고 가운데에 하부커터(72)가 수평 설치되는 절단프레임(71)이 구비되며, 하부커터(7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절단프레임(71) 전방에 폐차(2)가 얹히는 전방테이블(75)이 설치되고, 하부커터(72) 상측의 절단프레임(71)에는 절단실린더(74)에 의해 승하강하는 절단커터(73)가 설치된 절단장치(70)와;
절단장치(7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장치(70)에서 절단된 차체조각을 파쇄하고 금속과 비금속을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110)와;
상기 리프트장치(50)와, 클램프장치(130), 절단장치(70) 그리고 파쇄분류장치(110)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트랙형 수평컨베이어(31)가 설치되고, 이 수평컨베이어(31)의 일측 단부에는 말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컨베이어(32)가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개의 지주(16) 상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데크(12)의 가운데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1)에는 스윙데크(13)가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와;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수평데크(12)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가이드수단(2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수직지주(51)의 상부에 수평대(52)가 수평 설치되고, 이 수평대(52)에는 호이스트(5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장치(50)와;
양측 수직지주(51)에 내향 설치되어 폐차(2)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레일(56)과 수직래크부(57)가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58)가 양측 수직지주(51)에 수직 설치되고, 수직가이드(58)에는 수직레일(56)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132)와 승하강모터(134)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수직래크부(57)와 맞물리는 수직피니언(133)이 설치되는 승하강판(131)이 설치되고, 이 승하강판(131)의 일측면에는 폐차(2)를 클램핑하는 클램프(160)를 설치하되, 이 클램프(160)가 회전수단(15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클램프장치(130)와;
상기 수평데크(1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2)를 절단하는 것으로, 상부에 절단실린더(74)가 하향 설치되고 가운데에 하부커터(72)가 수평 설치되는 절단프레임(71)이 구비되며, 하부커터(7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절단프레임(71) 전방에 폐차(2)가 얹히는 전방테이블(75)이 설치되고, 하부커터(72) 상측의 절단프레임(71)에는 절단실린더(74)에 의해 승하강하는 절단커터(73)가 설치된 절단장치(70)와;
절단장치(7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장치(70)에서 절단된 차체조각을 파쇄하고 금속과 비금속을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110)와;
상기 리프트장치(50)와, 클램프장치(130), 절단장치(70) 그리고 파쇄분류장치(110)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트랙형 수평컨베이어(31)가 설치되고, 이 수평컨베이어(31)의 일측 단부에는 말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컨베이어(32)가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차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차할 자동차(이하, 폐차(廢車)라고 칭함)를 올려놓고 폐차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폐차로부터 분리하게 되는 작업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고, 이 작업 장치대에는 폐차에서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폐차를 수직하게 세우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중량 부품을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와, 각종 부품을 분리시킨 폐차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타이어에서 철심을 분리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와, 절단장치에서 절단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부스러기를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를 설치하며, 이러한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는 폐차에서 분리시킨 각종 부품을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트랙형태로 설치하여 폐차처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폐차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폐차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폐차처리 시스템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95727호(발명의 명칭 :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의 발명이 그 공개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처음 폐차 입고부터 마지막 차체 압축까지의 각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을 한 라인 상에 직렬 배치하여 폐차를 이송레일상의 대차에 안착시킨 상태로 설비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 해체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최종 공정까지 폐차 운반을 완료한 대차는 지하에 구축한 피트 내부로 하강시켜 피트 내 이송레일을 통해 다시 최초 공정 쪽으로 이송 후 지상으로 이동시켜 회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차 회수가 용이하고, 기존 폐차 해체 시스템과 같이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거나 복잡하지 않으며, 대차를 이용하여 각 공정의 라인을 따라 폐차를 이동시키면서 정해진 공정순서대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 향상 및 최소 인원으로 대규모의 폐차 처리가 가능해지는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일정한 면적을 갖춘 대지 위에 여러 설비들이 순차 배열을 이루면서 입고된 폐차의 해체가 점진적으로 순차 진행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바, 각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부품의 해체시간이 과다 소요되며, 차량 한 대당 해체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 중 사고의 위험요소가 많으며, 해체작업 후 발생하는 부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차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폐차로부터 분리하게 되는 작업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고, 이 작업 장치대에는 폐차에서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폐차를 수직하게 세우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중량 부품을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와, 각종 부품을 분리시킨 폐차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타이어에서 철심을 분리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와, 절단장치에서 절단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부스러기를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를 설치하며, 이러한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는 폐차에서 분리시킨 각종 부품을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트랙형태로 설치하여 폐차처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폐차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폐차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차를 끌어 올려놓고 폐차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내고, 각종 부품이 분리된 차체는 절단하며 절단된 조각을 파쇄하여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것으로써, 폐차를 끌어 올려놓고 폐차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내는 작업 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와, 작업 장치대에 설치되며 폐차를 포함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이동하는 리프트장치와, 리프트장치에 설치되어 폐차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폐차를 승하강시키고 회전시키는 클램프장치 및 회전수단과,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조각을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와, 상기 리프트장치와, 클램프장치 및 회전수단, 절단장치 그리고 파쇄분류장치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어 작업 장치대에서 분리된 각종 부품을 필요한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폐차처리 시스템은, 폐차에서 각종 부품을 분리하게 되는 작업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고, 그 작업 장치대에는 폐차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중량 부품을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한 장소에 폐차를 돌려가면서 폐차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공간이 종래의 폐차처리 시스템 보다 대폭 축소되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폐차작업공간이 대폭 감축됨에 따라 시스템 설치비용과 공간활용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폐차 및 부품과 작업자의 이동거리 및 작업반경이 감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 장치대에 리프트장치와, 각종 부품을 분리시킨 폐차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타이어에서 철심을 분리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와, 절단장치에서 절단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부스러기를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를 설치하며, 이러한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는 폐차에서 분리시킨 각종 부품을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트랙형태로 설치하여 폐차처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폐차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폐차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작업 장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회전수단이 포함된 클램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면에 포함되는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파쇄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13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작업 장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회전수단이 포함된 클램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면에 포함되는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파쇄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13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차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차처리 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차(2)를 끌어 올려놓고 폐차(2)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내고, 각종 부품이 분리된 차체는 절단하며 절단된 조각을 파쇄하여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것으로써, 폐차(2)를 끌어 올려놓고 폐차(2)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내는 작업 공간이 되는 작업 장치대(10)와, 작업 장치대(10)에 설치되며 폐차(2)를 포함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이동하는 리프트장치(50)와, 리프트장치(50)에 설치되어 폐차(2)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폐차(2)를 승하강시키고 회전시키는 클램프장치(130) 및 회전수단(150)과,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2)의 차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70)와, 절단장치(70)에서 절단된 조각을 파쇄하고 파쇄된 조각을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110)와, 상기 리프트장치(50)와, 클램프장치(130) 및 회전수단(150), 절단장치(70) 그리고 파쇄분류장치(110)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어 작업 장치대(10)에서 분리된 각종 부품을 필요한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이어 철심분리장치(9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장치대(10)는 도 1,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개의 지주(16) 상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데크(12)의 가운데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이 수평데크(12)의 전방에는 선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지지대(17)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경사지지대(17)의 가운데에 다수의 굴림대(18)가 설치되며,상기 공간부(11)에는 폐차(2)가 얹히게 되는 스윙데크(13)가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된다.
이때, 공간부(11)는 도 5의 (가)에 후방이 개방된 "ㄷ"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윙데크(13)의 후방에 발판대(11a)를 고정식이나 또는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스윙데크(13)는 힌지브래킷(15)과 스윙실린더(14)에 의해 공간부(11) 내에서 수평상태에서 수직하게 절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수평데크(12)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가이드수단(2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수직지주(51)의 상부에 수평대(52)가 수평 설치되고, 이 수평대(52)에는 와이어(54)의 단부에 후크(55)가 설치되는 공지된 호이스트(5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 장치대(10)는 폐차(2)를 클램핑한 상태로 90도로 세웠을 때, 차체의 전후방 끝단부가 바닥면에 닿지 않을 만큼, 수평데크(12)의 높이를 지주(16)에 의해 높게 설치하므로, 이 작업 장치대(10)에는 작업가 수평데크(12)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도시생략)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상면에 수평레일(19)과 외측면에 수평래크부(21)가 각각 구비된 수평가이드(22)가 수평데크(12)의 상면에 양측에 전후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 수직가이드(58)에는 수평래크부(21)와 맞물리는 수평피니언(23)이 구비된 수평이동모터(24)가 설치되며, 수직지주(51)의 하단부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레일(19)에 안내되는 가이드슈(5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장치(13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수직지주(51)에 내향 설치되어 폐차(2)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레일(56)과 수직래크부(57)가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58)가 양측 수직지주(51)에 수직 설치되고, 수직가이드(58)에는 수직레일(56)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132)와 승하강모터(134)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수직래크부(57)와 맞물리는 수직피니언(133)이 설치되는 승하강판(131)이 설치되고, 이 승하강판(131)의 일측면에는 폐차(2)를 클램핑하는 클램프(160)를 설치하되, 이 클램프(160)가 회전수단(15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단(150)은 승하강판(131)의 내측면에 수평 설치되는 베이스판(151)과, 베이스판(151)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축지지대(152)와, 중간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153)이 양측 축지지대(152) 사이 공간에 개재되게 축지지대(152)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축(154)과, 수평데크(12)의 소정위치에 상향 설치되는 회전실린더(155)의 로드 선단부에는 회전축(154)의 회전피니언(153)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60)는 도 8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154)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양측에 고정죠오(162)가 구비되고 고정죠오(162)의 반대편에 상하측 힌지부(163,164)가 각각 형성된 회전프레임(161)과, 하단부가 하측힌지부(164)에 힌지 설치되는 클램프실린더(165)와, 내측방에 상측힌지부(163)와 힌지연결되는 중심힌지부(166)와 클램프실린더(165)의 로드 선단부가 힌지연결되는 스윙힌지부(16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외측방에 고정죠오(162)와 대응하는 물림부(168)가 구비된 가동죠오(1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단장치(70)는 도 1,2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데크(1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2)의 차체를 절단하는 것으로, 상부에 동력발생장치가 하향 설치되고 가운데에 하부커터(72)가 수평 설치되는 절단프레임(71)이 구비되며, 하부커터(7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절단프레임(71) 전방에 폐차(2)가 얹히는 전방테이블(75)이 설치되고, 하부커터(72) 상측의 절단프레임(71)에는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는 절단커터(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공지된 프레스에 설치되어 램(상부금형)를 승하강시키는 모터와 플라이휠을 결합한 장치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절단실린더(74)를 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테이블(75)은 테이블 상에 다수개의 롤러를 설치하여 폐차(2)를 절단부측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테이블 상에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폐차(2)를 절단부측으로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절단커터(73)의 전방에는 절단할 폐차(2)의 절단부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력누름구(도시생략)를 설치하여 절단커터(73)가 하강하면서 폐차(2)를 절단할 때, 탄력누름구가 절단할 폐차(2)를 탄력적으로 누르면서 잡아주어 폐차(2)를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쇄분류장치(110)는 도 3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다리(111)를 구비한 프레임(112)의 일측 상부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투입부커버(115)가 설치되고, 이 투입부커버(115)의 내측에는 파쇄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칼날(114)이 설치되는 파쇄기(116)가 설치되고, 파쇄기(116)의 하방에는 파쇄기(116)에서 파쇄된 조각들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117)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쇄기(116) 후방의 하부컨베이어(117) 상측 프레임(112)에는 전자석컨베이어(123)를 설치하되, 이 전자석컨베이어(123)는 하부컨베이어(117) 상측의 프레임(112)에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동롤러(119)와 종동롤러(120)에 상부컨베이어(121)가 회전되게 감겨지고, 구동롤러(119)와 종동롤러(120) 사이의 상부컨베이어(121) 내측에는 프레임(112)에 지지되는 전자석(1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컨베이어(117)의 후방하측과 전자석컨베이어(123)의 측방 하측에는 비금속수거통(125)과 금속수거통(124)가 각각 비치되어 금속과 비금속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장치(50)와, 클램프장치(130), 절단장치(70) 그리고 파쇄분류장치(110)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10)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트랙형 수평컨베이어(31)가 설치되고, 이 수평컨베이어(31)의 일측 단부에는 말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컨베이어(32)가 수개의 지주(33)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장치(30)는 모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나,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컨베이어장치(30)에 부품이 얹히게 되면, 센서가 그 동작을 감지하여 컨베이어장치(3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타이어 철심분리장치(9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데크(12)의 후방측에 여유공간으로 남는 위치에 설치하여 폐차(2)로부터 분리해낸 타이어에서 그 내측에 들어 있는 철심을 분리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 철심분리장치(9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데크(12)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91)의 상부에는 수평프레임(92)이 설치되고, 이 수평프레임(92)에는 선단부에 화살촉형태의 철심걸쇠(96)가 설치된 철심분리 실린더(95)가 수평 설치되며, 수평프레임(92)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타이어(3)가 끼워지고 상부에 철심걸쇠(96)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홈(93)을 형성한 타이어끼움대(9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프레임(92) 양측의 메인프레임(91)에는 선단부에 타이어(3)를 힌지식으로 잡아주는 타이어홀더(98)가 구비된 타이어홀딩 실린더(97)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부호 "118"은 전자석컨베이어(1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차할 차량, 즉 폐차(2)를 작업 장치대(10)의 전방측에 가져다 놓은 상태에서 리프트장치(50)에 설치된 호이스트(53)의 후크(55)를 폐차(2)에 걸은 상태에서 와이어(54)를 당기게 되면, 폐차(2)는 경사지지대(17)의 가운데에 설치된 굴림대(18)에 안내되면서 수평데크(12)로 끌려 올라오게 된다.
이렇게 폐차(2)가 끌려올라올 때는 도 5와 같이 스윙데크(13)가 스윙실린더(14)의 작용에 의해 수평하게 펼쳐져 있어야 하며, 이렇게 양측 스윙데크(13)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폐차(2)를 와이어(54)로써 끌러 당김에 따라 폐차(2)는 스윙데크(13)의 상측에 얹히게 된다.
위와 같이 스윙데크(13)의 상측에 폐차(2)이 얹혀진 뒤에는 수평데크(12)로 올라온 작업자가 수평데크(12)를 작업 발판을 삶아서 폐차(2)에서 양측 도어를 먼저 분리해내며, 분리된 도어는 수평컨베이어(31)에 올려놓는다.
이때, 작업자가 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 장치대(10)의 수평데크(12) 둘레에 컨베이어장치(30)가 트랙형태로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차(2)에서 분리해낸 도어를 컨베이어장치(30)의 수평컨베이어(31)에 효과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를 분리해낸 폐차(2)의 필러 양측의 차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160)로서 클램핑한 상태에서 폐차(2)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폐차(2)에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내는데, 이는 분리할 부품에 맞게 폐차(2)를 높이를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폐차(2)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하강판(131)에 설치된 승하강모터(134)의 회전에 의해 수직피니언(133)이 회전하게 되고, 이 수직피니언(133)은 수직지주(51)의 일측에 수직 설치된 수직가이드(58)의 수직래크부(57)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수직피니언(133)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승하강판(131)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승하강판(131)이 승하강할 때, (158)에 수직 설치된 수직레일(56)과 승하강판(131)에 설치된 가이드슈(132)가 끼움식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클램프장치(130)가 수직가이드(58)에서 이탈하지 않고 승하강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램프(160)로서 폐차(2)의 차체를 클램핑하는 것은, 도 7 및 도 9,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61)의 일측면에 수직 설치된 클램프실린더(165)의 로드를 상승시키게 되면, 회전프레임(16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힌지부(163)에 가동죠오(169)의 중심힌지부(166)가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심힌지부(166)와는 간격을 둔 상태로 스윙힌지부(16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윙힌지부(167)에 클램프실린더(165)의 로드 선단부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죠오(169)가 고정죠오(162)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죠오(169)가 고정죠오(162) 쪽으로 각운동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가동죠오(169)의 선단부에 설치된 물림부(168)와 회전프레임(161)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죠오(162)의 사이가 좁혀지면서 그 사이로 삽입시킨 폐차(2)의 차체를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클램프(160)로서 차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폐차(2)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폐차(2)에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낸 뒤에 폐차(2)의 천정이나 저면에 설치된 부품들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160)로 차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리프트장치(50)를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폐차(2)를 클램프장치(130)를 중심으로 수직하게 세울 때, 폐차(2)의 전후 끝부분이 수평데크(12)에 걸리지 않게 한다.
이렇게 리프트장치(50)를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폐차(2)를 90도로 세울 때, 그 폐차(2)가 공간부(11) 내에서 아무런 걸림이 없이 회전될 수 있게 한 뒤에는 그 자리에서 리프트장치(50)의 이동을 정지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차(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던 수평상태의 스윙데크(13)를 90도만큼 아래로 접어서 폐차(2)를 공간부(11)의 내측에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는 클램프장치(130)에 개재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9에 도시된 회전수단(150)을 동작시켜서 폐차(2)의 차체가 90도로 세워지게 하며, 폐차(2)의 차체 바닥부와 천정부가 수직하게 노출되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그 바닥부와 천정부분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들을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종에 따라 폐차(2)의 전체길이가 다양하므로 그 차종에 맞게 위에서 설명한 수직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의 높이를 승하강시키면서 작업자의 편안한 위치에서 각종 부품을 분리해낸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장치(50)를 수평 이동시키는 동작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58)의 외측방에 설치된 수평이동모터(24)의 동작에 의해 수평피니언(23)이 회전하게 되고, 그 수평피니언(23)이 수평가이드(22)의 외측방에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래크부(21)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수직가이드(58)가 설치된 리프트장치(50)가 수평한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리프트장치(50)가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 리프트장치(50)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은 수평가이드(22)에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레일(19)에 가이드슈(51a)가 끼움식으로 안내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슈(51a)가 수직지주(51)와 수직가이드(58)의 저면에 설치되어서 리프트장치(50)가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승하강 이동수단에 포함되는 수직레일(56)과 그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132), 그리고 전후 이동수단에 포함되는 수평레일(19)과 그 수평레일(19)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51a)는 공지된 엘엠가이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다음은 클램프(160)를 90도로 세우는 회전수단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데크(12)의 저면에 수직하게 상향 설치된 회전실린더(155)의 로드를 승하강시키게 되면, 그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된 (156)가 실린더 로드와 동일하게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156)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때, 그 (156)에는 회전피니언(153)이 맞물린 상태이므로 수직래크부(156)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피니언(153)이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피니언(153)이 설치된 회전축(154)의 외측 단부에는 클램프(160)의 회전프레임(161)과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래크부(156)이 승하강하는 것에 따라 회전프레임(161)이 90도로 회전하여 그 클램프(160)에 클램핑된 폐차(2)의 차체가 수직하게 세워지거나, 또는 수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장치(50)의 수평대(52)에 설치된 호이스트(53)로는 폐차(2)에서 분리해내는 엔진과 같은 중량물의 부품을 이동시키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위에서의 설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 장치대(10)의 수평데크(12)로 폐차(2)를 끌어 올린 뒤에 그 폐차(2)에서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폐차(2)를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시키거나, 또는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승하강시키면서 각종 부품을 분리시켜서 그 부품들을 컨베이어장치(30)의 상측에 얹는 작업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인 부품 분리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종부품을 분리시켜서 차체만 남게 되면, 리프트장치(50)에 설치된 클램프장치(130)로서 차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리프트장치(50)를 절단장치(70)측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시킨 뒤에, 그 폐차(2)의 차체를 절단장치(70)의 전방테이블(75)에 올려놓고 폐차(2)에 대한 클램핑을 해제하고 리프트장치(50)는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각종 부품이 해체되고 분리된 폐차(2)의 차체를 전방테이블(75)에 얹은 뒤에는 그 폐차(2)를 절단커터(73)와 전방테이블(75)의 사이로 삽입시키면서 절단커터(73)를 절단실린더(74)의 동작으로 하강시킴에 따라 차체가 절단되게 되고, 그렇게 절단되는 조각들은 도 3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파쇄분류장치(110)의 투입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장치(70)에서 절단된 폐차조각들이 파쇄분류장치(110)의 투입부로 낙하하게 되면, 파쇄기(116)에 설치되어 있는 파쇄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투입부커버(115)의 내측에 설치된 파쇄칼날(114)이 회전하면서 폐차조각들을 작은 부스러기가 되게 파쇄를 한다.
이렇게 작은 부스러기로 파쇄되는 부스러기는 투입부커버(115)의 개방된 하측으로 자유낙하하게 되는데, 그 하방에는 하부컨베이어(117)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즉은 부스러기들이 하부컨베이어(117)에 얹혀서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쇄기(116) 후방의 하부컨베이어(117) 상측에는 전자석컨베이어(12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전자석컨베이어(123)의 상부컨베이어(121)는 좌우방향, 즉 하부컨베이어(117)와는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자석컨베이어(123)의 상부컨베이어(121) 내측에 전자석(122)이 설치되어서 하부컨베이어(117)에 실린 상태로 후방측으로 이송되던 작은 폐차부스러기 중에 금속성분은 전자석(122)의 자력에 의해 상부컨베이어(121)의 하부측에 부착된 상태로 상부컨베이어(121)가 회전하는 측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측방향으로 이송되던 폐차부스러기 중의 금속성분은 전자석(122)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에서만 자력이 작용하나, 양측 구동롤러(119)와 종동롤러(120)에는 자력이 없는 상태이며, 그 자력이 없는 종동롤러(120) 설치부가 하부컨베이어(117)의 외측 폭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력이 없는 종동롤러(120)측에서 폐차부스러기 중에 금속성분이 하측으로 낙하하는데, 그 곳에 금속수거통(124)을 비치하여서 금속성분이 그 곳에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금속성분이 먼저 부착되어 측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하부컨베이어(117)의 후방측에는 자력에 붙지 않는 비금속성분만 후방측으로 이송되면서 그 하측에 비치한 비금속수거통(125)으로 낙하하여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폐차(2)에서 분리시킨 타이어(3)에서 그 내측에 매입 설치된 철심(4)를 뜯어내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90)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차(2)에서 분리해낸 타이어(3)를 원뿔대 형태로 전방측의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된 타이어끼움대(94)에 슬라이드홈(93)를 끼워 넣는데, 이 타이어끼움대(94)의 상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93)에는 철심걸쇠(96)가 슬라이드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철심걸쇠(96)의 선단부가 화살촉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고무로 제작되어 플렉시블한 타이어(3)를 타이어끼움대(94)에 끼울 때, 타이어(3)를 타이어끼움대(94)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측 타이어홀딩 실린더(97)를 동작시켜서 그 타이어홀딩 실린더(97)의 선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타이어홀더(98)가 타이어(3)의 외부면을 홀딩하도록 한 뒤에, 철심분리 실린더(95)의 실린더로드를 후진시키게 되면, 금속으로써 뾰족하게 형성된 철심걸쇠(96)가 고무타이어의 내주연측에 매설되어 있는 철심을 걸어 당기게 되어 고무 타이어에서 두꺼운 철사와이어로 제작된 링형태의 철심(4)이 타이어(3)에서 뜯어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분리시킨 타이어에서 고무로 된 타이어본체는 파쇄분류장치(110)에서 파쇄하고, 철심(4)은 컨베이어장치(30)에 실어서 분리배출시킴에 따라 추후에 금속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폐차처리 시스템 2 : 폐차 3 : 타이어
4 : 철심 10 : 작업 장치대 11 : 공간부
12 : 수평데크 13 : 스윙데크 14 : 스윙실린더
15 : 힌지브래킷 16 : 지주 17 : 경사지지대
18 : 굴림대 19 : 수평레일 20 : 가이드수단
21 : 래크부 22 : 수평가이드 23 : 수평피니언
24 : 수평이동모터 30 : 컨베이어장치 31 : 수평컨베이어
32 : 경사컨베이어 33 : 지주 50 : 리프트장치
51 : 수직지주 52 : 수평대 53 : 호이스트
54 : 와이어 55 : 후크 56 : 수직레일
57 : 수직래크부 58 : 수직가이드 70 : 절단장치
71 : 절단프레임 72 : 하부커터 73 : 절단커터
74 : 절단실린더 75 : 전방테이블 76 : 받침대
90 : 타이어 철심분리장치 91 : 메인프레임 92 : 수평프레임
90 : 슬라이드홈 94 : 타이어끼움대 94 : 타이어끼움대
95 : 철심분리 실린더 96 : 철심걸쇠 97 : 타이어홀딩 실린더
98 : 타이어홀더 110 : 파쇄분류장치 111 : 받침다리
112 : 프레임 113 : 파쇄모터 114 : 파쇄칼날
115 : 투입부커버 116 : 파쇄기 117 : 하부컨베이어
118 : 구동모터 119 : 구동롤러 120 : 종동롤러
121 : 상부컨베이어 122 : 전자석 123 : 전자석컨베이어
124 : 금속수거통 125 : 비금속수거통 130 : 클램프장치
131 : 승하강판 132 : 가이드슈 133 : 수직피니언
150 : 회전수단 151 : 베이스판 152 : 축지지대
153 : 회전피니언 154 : 회전축 155 : 회전실린더
156 : 수직래크부 160 : 클램프 161 : 회전프레임
162 : 고정죠오 163 : 상측힌지부 164 : 하측힌지부
165 : 클램프실린더 166 : 중심힌지부 167 : 스윙힌지부
168 : 물림부 169 : 가동죠오
4 : 철심 10 : 작업 장치대 11 : 공간부
12 : 수평데크 13 : 스윙데크 14 : 스윙실린더
15 : 힌지브래킷 16 : 지주 17 : 경사지지대
18 : 굴림대 19 : 수평레일 20 : 가이드수단
21 : 래크부 22 : 수평가이드 23 : 수평피니언
24 : 수평이동모터 30 : 컨베이어장치 31 : 수평컨베이어
32 : 경사컨베이어 33 : 지주 50 : 리프트장치
51 : 수직지주 52 : 수평대 53 : 호이스트
54 : 와이어 55 : 후크 56 : 수직레일
57 : 수직래크부 58 : 수직가이드 70 : 절단장치
71 : 절단프레임 72 : 하부커터 73 : 절단커터
74 : 절단실린더 75 : 전방테이블 76 : 받침대
90 : 타이어 철심분리장치 91 : 메인프레임 92 : 수평프레임
90 : 슬라이드홈 94 : 타이어끼움대 94 : 타이어끼움대
95 : 철심분리 실린더 96 : 철심걸쇠 97 : 타이어홀딩 실린더
98 : 타이어홀더 110 : 파쇄분류장치 111 : 받침다리
112 : 프레임 113 : 파쇄모터 114 : 파쇄칼날
115 : 투입부커버 116 : 파쇄기 117 : 하부컨베이어
118 : 구동모터 119 : 구동롤러 120 : 종동롤러
121 : 상부컨베이어 122 : 전자석 123 : 전자석컨베이어
124 : 금속수거통 125 : 비금속수거통 130 : 클램프장치
131 : 승하강판 132 : 가이드슈 133 : 수직피니언
150 : 회전수단 151 : 베이스판 152 : 축지지대
153 : 회전피니언 154 : 회전축 155 : 회전실린더
156 : 수직래크부 160 : 클램프 161 : 회전프레임
162 : 고정죠오 163 : 상측힌지부 164 : 하측힌지부
165 : 클램프실린더 166 : 중심힌지부 167 : 스윙힌지부
168 : 물림부 169 : 가동죠오
Claims (5)
- 수개의 지주 상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데크의 가운데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는 스윙데크가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와;
가이드수단에 의해 수평데크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가이드수단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수직지주의 상부에 수평대가 수평 설치되고, 이 수평대에는 호이스트가 설치되는 리프트장치와;
양측 수직지주에 폐차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설치하되, 이 클램프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클램프장치와;
상기 수평데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분리된 폐차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차체 조각을 파쇄하고 금속과 비금속을 분류하는 파쇄분류장치와;
상기 리프트장치와, 클램프장치, 절단장치 그리고 파쇄분류장치가 설치되는 작업 장치대의 둘레에 트랙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수개의 지주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트랙형 수평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이 수평컨베이어의 일측 단부에는 말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컨베이어가 수개의 지주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처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데크의 전방에는 선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사지지대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경사지지대의 가운데에 다수의 굴림대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수직레일과 수직래크부가 각각 구비된 수직가이드가 양측 수직지주에 수직 설치되고, 수직가이드에는 수직레일에 끼움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슈와 승하강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수직래크부와 맞물리는 수직피니언이 설치되는 승하강판이 설치되고, 이 승하강판의 일측면에는 폐차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설치되며,
상기 절단장치는 상부에 동력발생장치가 설치되고 가운데에 하부커터가 수평 설치되는 절단프레임이 구비되며, 하부커터에 대응되는 위치의 절단프레임 전방에 폐차가 얹히는 전방테이블이 설치되고, 하부커터 상측의 절단프레임에는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는 절단커터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면에 수평레일과 외측면에 수평래크부가 각각 구비된 수평가이드가 수평데크의 상면에 양측에 전후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 수직가이드에는 수평래크부와 맞물리는 수평피니언이 구비된 수평이동모터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처리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승하강판의 내측면에 수평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축지지대와,
중간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이 양측 축지지대 사이 공간에 개재되게 축지지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수평데크의 소정위치에 상향 설치되는 회전실린더의 로드 선단부에는 회전축의 회전피니언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수직래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회전축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양측에 고정죠오가 구비되고 고정죠오의 반대편에 상하측 힌지부가 각각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하단부가 하측힌지부에 힌지 설치되는 클램프실린더와,
내측방에 상측힌지부와 힌지연결되는 중심힌지부와 클램프실린더의 로드 선단부가 힌지연결되는 스윙힌지부가 구비되고 외측방에 고정죠오와 대응하는 물림부가 구비된 가동죠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처리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분류장치는 받침다리를 구비한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상하부가 개방된 투입부커버가 설치되고, 이 투입부커버의 내측에는 파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칼날이 설치되는 파쇄기가 설치되며, 파쇄기의 하방에는 파쇄기에서 파쇄된 조각들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파쇄기 후방의 하부컨베이어 상측 프레임에는 전자석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이 전자석컨베이어는 하부컨베이어 상측의 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상부컨베이어가 회전되게 감겨지고,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의 상부컨베이어 내측에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처리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데크의 소정위치에 타이어에서 철심을 빼내는 타이어 철심분리장치를 설치하되,
이 타이어 철심분리장치는 수평데크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수평프레임에는 선단부에 화살촉형태의 철심걸쇠가 설치된 철심분리 실린더가 수평 설치되며, 수평프레임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타이어가 끼워지고 상부에 철심걸쇠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한 타이어끼움대가 설치되고, 수평프레임 양측의 메인프레임에는 선단부에 타이어를 힌지식으로 잡아주는 타이어홀더가 구비된 타이어홀딩 실린더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7936A KR101352092B1 (ko) | 2013-10-25 | 2013-10-25 | 폐차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7936A KR101352092B1 (ko) | 2013-10-25 | 2013-10-25 | 폐차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092B1 true KR101352092B1 (ko) | 2014-01-14 |
Family
ID=5014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7936A KR101352092B1 (ko) | 2013-10-25 | 2013-10-25 | 폐차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09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3228A1 (zh) * | 2016-12-23 | 2018-06-28 | 格林美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报废汽车整体资源化处理方法的及设备 |
CN108787075A (zh) * | 2018-06-25 | 2018-11-13 |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 土样研磨装置 |
CN109967502A (zh) * | 2019-05-06 | 2019-07-05 | 浙江顺得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解体机 |
CN113118176A (zh) * | 2021-03-10 | 2021-07-16 | 周志富 | 一种拨动式火花塞回收处理装置 |
CN114798687A (zh) * | 2022-04-13 | 2022-07-29 | 中铁物总资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铁路报废机车拆解方法 |
CN115139268A (zh) * | 2022-08-16 | 2022-10-04 | 合肥工业大学智能制造技术研究院 | 一种多功能报废汽车中大型部件拆卸平台 |
CN115285259A (zh) * | 2022-07-12 | 2022-11-04 | 陕西省报废汽车回收拆解有限公司 |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其拆解工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2389A (ko) * | 1997-12-22 | 1999-07-05 | 류정열 | 폐자동차의 부품 해체 시스템 |
KR20050095727A (ko) * | 2004-03-27 | 2005-09-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
-
2013
- 2013-10-25 KR KR20130127936A patent/KR1013520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2389A (ko) * | 1997-12-22 | 1999-07-05 | 류정열 | 폐자동차의 부품 해체 시스템 |
KR20050095727A (ko) * | 2004-03-27 | 2005-09-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3228A1 (zh) * | 2016-12-23 | 2018-06-28 | 格林美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报废汽车整体资源化处理方法的及设备 |
CN108787075A (zh) * | 2018-06-25 | 2018-11-13 |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 土样研磨装置 |
CN108787075B (zh) * | 2018-06-25 | 2024-05-14 |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 土样研磨装置 |
CN109967502A (zh) * | 2019-05-06 | 2019-07-05 | 浙江顺得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解体机 |
CN109967502B (zh) * | 2019-05-06 | 2024-04-12 | 浙江顺得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解体机 |
CN113118176A (zh) * | 2021-03-10 | 2021-07-16 | 周志富 | 一种拨动式火花塞回收处理装置 |
CN113118176B (zh) * | 2021-03-10 | 2023-02-03 | 南京超图中小企业信息服务有限公司 | 一种拨动式火花塞回收处理装置 |
CN114798687A (zh) * | 2022-04-13 | 2022-07-29 | 中铁物总资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铁路报废机车拆解方法 |
CN114798687B (zh) * | 2022-04-13 | 2023-09-01 | 中铁物总资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铁路报废机车拆解方法 |
CN115285259A (zh) * | 2022-07-12 | 2022-11-04 | 陕西省报废汽车回收拆解有限公司 |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其拆解工艺 |
CN115285259B (zh) * | 2022-07-12 | 2024-01-16 | 陕西省报废汽车回收拆解有限公司 |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其拆解工艺 |
CN115139268A (zh) * | 2022-08-16 | 2022-10-04 | 合肥工业大学智能制造技术研究院 | 一种多功能报废汽车中大型部件拆卸平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092B1 (ko) | 폐차처리 시스템 | |
JP3443383B2 (ja) | 使用済み自動車のリサイクル設備 | |
CN205997078U (zh) | 一种全自动模切机联线清废机 | |
CN213833503U (zh) | 一种交互式翻面设备 | |
CN111168886A (zh) | 废旧载重轮胎外胎破碎机器人的运行方法 | |
CN106807834A (zh) | 设有三锻压位的锻压设备及三次锻压成型产品的锻压方法 | |
CN205816614U (zh) | 轮辋滚型机的自动上下料装置 | |
KR101336664B1 (ko) | 폐자재 수거용 이동식 덤프장치 | |
CN102050170B (zh) | 机械式报废轿车拆解台 | |
CN115285259B (zh) |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其拆解工艺 | |
US624994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ead wires from vehicle tires | |
CN104440020B (zh) | 一种用于分离挤压模具的开模装置 | |
CN116372041A (zh) | 一种移动料片收集码垛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10465590A (zh) | 一种自动化冲压模具 | |
CN107788620A (zh) | 一种纽扣组装机的工位转换装置 | |
CN212884509U (zh) | 一种新型模具滑料装置 | |
JP6560899B2 (ja) | 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除去装置 | |
CN209754122U (zh) | 冷轧带钢剪切机 | |
KR101515433B1 (ko) | 생활폐기물 파쇄기 유지보수장치 | |
JP6560900B2 (ja) | 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除去装置 | |
JP6560901B2 (ja) | 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除去装置およびビードワイヤ除去方法 | |
JP2005238800A (ja) | 廃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抜取装置 | |
EP0985452A2 (en) | Crusher | |
KR20150027609A (ko) | 엔진 블럭 파쇄 및 비철 선별시스템 | |
CN106179991A (zh) | 一种可实现物料自动检测收集整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