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552B1 - 공연용 차량 - Google Patents

공연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552B1
KR101350552B1 KR20130105990A KR20130105990A KR101350552B1 KR 101350552 B1 KR101350552 B1 KR 101350552B1 KR 20130105990 A KR20130105990 A KR 20130105990A KR 20130105990 A KR20130105990 A KR 20130105990A KR 101350552 B1 KR101350552 B1 KR 10135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oop
sides
roof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
Original Assignee
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 filed Critical 정길
Priority to KR2013010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552B1/ko
Priority to CN201490001027.6U priority patent/CN205395880U/zh
Priority to US14/398,129 priority patent/US9266460B2/en
Priority to PCT/KR2014/002326 priority patent/WO20150341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60P3/025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the object being a theater, cinema, auditorium or grand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공연용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은 루프와 플로어, 그리고, 플로어와 루프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되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루프를 리프트 업하는 루프 리프트 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루프의 상단 양측으로 루프 확장패널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플로어의 양측으로 플로어 확장패널이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루프 확장패널을 펼친 다음, 루프를 리프트 업하고, 플로어 확장패널을 펼친 후, 접이식 보조패널을 양 옆으로 펼쳐 지지대로 고정한 다음,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를 소정각도 외측으로 회동시켜 플라잉 스피커를 설치하고,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를 양측으로 펼친 다음 영상장비를 펼치고 고정 케이블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연 상태로 설치된다. 더 나아가, 플라잉 스피커와 영상장비를 교체설치하고 우퍼의 방향과 위치를 바꾸어주는 것에 의하여 무대의 방향을 간단히 바꿀 수 있다.

Description

공연용 차량{STAGE VEHICLE}
본 발명은 공연용 차량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야외 공연시 용이하게 무대 및 무대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나 연극 등의 공연은 음향과 조명시설이 구비된 실내 무대, 공연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때로는 야외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야외공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공연무대가 준비된다. 우선, 무대설치 업체가 플로어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음향장비 및 조명장비를 설치할 루프용 트러스를 설치한다.
그리고, 음향 및 조명업체가 설치된 무대바닥과 무대지붕(트러스)에 각종 음향 및 조명 장비들을 거치하고, 각 장비에 전원선과 신호선을 연결하여 무대 및 공연장비 설치를 완성한다.
이러한 설치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통상 4~5시간이며, 무대 제작 업체, 트러스(무대지붕)설치 업체, 음향 설치 업체, 조명 설치 업체가 각각 출장시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과 비용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물차 특장차량의 구조를 이용하여 간이하게 무대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의 구조가 개발되어 왔다.
이외에도 실용신안등록 제20-0171391호 "공연용 특장차량"은 루프와 측벽을 잇는 ㄱ자 형상의 확장패널을 각각 개폐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는 공연용 차량을 공지한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171391호는 그 구조상 공연을 위해 필요한 5~6미터의 천정고를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특허공개 제10-2011-88724호 "공연용 차량"을 통해 확장패널을 펼치고, 루프(무대지붕)를 리프트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공연장의 준비가 이루어지는 공연용 차량을 공지한 바 있으며, 루프를 리프트 함으로써 5~6미터의 천정고를 가능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윙을 개폐하여 무대가 준비되면, 조명과 음향을 별개로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무대 설치과정이나 비용과 대비하여 극적인 절감이 쉽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그 구조상 장애물 없이 상당한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플라잉 스피커를 설치할만한 공간이나 장소의 확보가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펼쳐졌을 때 무대 지붕을 형성하는 루프 확장패널 부분이 조명 등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 제20-0171391호 "공연용 특장차량"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 제10-2011-88724호 "공연용 차량"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명과 음향시설의 자동설치를 통해 무대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공연용 차량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확장패널 부분을 펼쳐 무대를 준비한 다음, 트러스를 펼치는 것만으로 음향과 조명. 영상장비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용 차량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프 확장패널이 음향장치(스피커), 조명 등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문제점과 연주자의 움직임과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험성을 해소한 공연용 차량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대 설치방향을 간단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공연용 차량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은 화물차 적재함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
화물차 적재함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상기 플로어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
상기 플로어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
상기 루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이 접힌 상태에서 그 바깥쪽으로 접어지며,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화물차 적재함의 일측면을 가리는 루프 확장패널;
상기 루프 확장패널을 펼친 후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을 펼치고, 상기 루프 리프트 수단에 의하여 상기 루프를 리프트 업 하는 것에 의하여 공연 형태로 변형되되,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을 접은 후, 상기 루프 확장패널을 접고, 상기 루프 리프트 수단에 의하여 상기 루프를 리프트다운 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루프 확장패널과 플로어 확장패널을 개폐하고 루프를 상승시킨 다음, 트러스를 펼쳐 조명의 방향을 조정하고, 스피커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조명과 음향의 설치가 간단히 완료될 수 있다.
이에 의할 때, 종래 무대의 준비에 4~5시간이 걸리던 것을 대략 10분 이내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야외무대의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즉석 게릴라 콘서트 등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무대 제작 업체, 트러스(루프)설치 업체, 음향 설치 업체, 조명 설치 업체가 각각 출장시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상당한 정도의 비용대신, 단일의 공연용 차량으로 무대 및 공연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일반적인 야외 무대 및 공연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루프 확장패널이 음향장치(스피커), 조명 등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문제점과 연주자의 움직임과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 발생되는 위험성이 해소나, 플라잉 스피커의 설치 문제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 또한 극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의 공연 형태로의 설치시 플로어 확장패널과 루프 확장패널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이 이동형태에서 공연형태로 펼쳐진 모습을 전면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의 공연형태로의 변형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플로어 보조 패널의 개폐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플라잉 스피커 세로 지지대의 접철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영상장비의 공연형태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우퍼 스피커의 공연형태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의 공연 형태로의 설치 시 플로어 확장패널과 루프 확장패널이 펼쳐지고 플로어가 상승하여 공연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화물차 적재함(1)이 차량(2)에 연결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2)은 화물차 적재함(1)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은 이와 같은 윙바디 적재함(1) 또는 윙바디 적재함(1)과 차량(2)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윙바디 적재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루프(110)은 윙바디 적재함(1)의 상면에 해당한다.
한편, 플로어(120)는 윙바디 적재함(1)의 저면에 해당한다.
루프 리프트 수단(130)은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진다.
이러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그 길이가 연장되며, 이에 의하여 루프(110)를 위쪽으로 상승시키는 동작을 한다.
또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의 보조 지지대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내접하게 겹쳐진 구조를 이용하여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게된다.
한편, 이러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은 루프(110)의 저면을 지탱한다.
또는 반대로 그 길이를 원래대로 되돌려 루프(110)를 아래쪽으로 내리는 하강 동작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루프 확장패널(140)은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루프 확장패널 개폐 실린더(141)에 의해 회동한다.
루프 확장패널 개폐 실린더(141)는 루프(110)의 측벽 일측과 루프 확장패널(140)의 저면 일측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루프 확장패널(140)은 바람직하게는 루프(110)과 평행을 이루도록 펼쳐지며, 루프 확장패널 개폐 실린더(141)에 의하여 지탱된다.
플로어 확장패널(150)은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인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 개폐 부재(152)에 의해 회동한다.
한편, 이러한 플로어 확장패널(150)은 바람직하게는 플로어(120)와 평행을 이루도록 펼쳐지며, 플로어 확장패널 개폐 부재(152)에 의하여 지탱된다.
삭제
도 1을 참조하여 무대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차량(2)을 공연장소로 이동시킨다.
윙바디 적재함(1)을 공연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공연을 위한 무대가 설치되며, 무대 설치가 완료되면 바람직하게는 윙바디 적재함(1)을 무대를 설치할 위치로 옮긴 후, 차량(2)은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윙바디 적재함(1)을 공연 형태로 변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전방 루프 확장패널(140)을 루프(110)과 평행할 때까지 각각 펴준 다음,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각각 편다.
이때,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아래쪽으로 지지대를 각각 지면까지 연장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양측으로는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끝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접이식 플로어 보조 패널(1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펴서 지지대(165)로 고정한 다음, 한 쌍의 접이식 플로어 보조 패널(151)을 양측으로 벌려서 편다.
그리고, 루프 리프트 수단(130)을 제어하여 루프(110)를 상승한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미터의 천정고를 확보할 수 있는 높이까지 충분히 상승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선 플로어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명장비 및 영상장비, 플라잉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를 포함한 음향장비를 설치함으로써 무대 및 공연장비의 설치가 완성된다.
한편, 공연을 마친 후에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윙바디 적재함(1)을 이동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즉, 루프에 설치된 음향기기 및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을 이동형태로 접는다.
이후, 상기 루프 리프트 수단(130)을 이용하여 상기 루프(110)를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으로, 한 쌍의 접이식 플로어 보조 패널(151)을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수납하고, 양측의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각각 접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양측의 루프 확장패널(140)을 접는다. 바람직하게는 루프 확장패널(140)은 플로어 확장패널(150)이 접힌 상태에서 그 바깥쪽으로 접힌다.
이후, 차량(2)을 윙바디 적재함(1)에 연결함으로써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무대가 설치된 후 조명장비 및 영상장비와 음향장비의 설치과정을 부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이 이동형태에서 공연형태로 펼쳐진 모습을 전면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차량의 공연형태로의 변형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우선 루프 확장패널(140)과 플로어 확장패널(150)만을 펼친 상태로, 내부에 수납된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와 플라잉 스피커(172)가 외부로 드러나 보이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의 (b)는 루프(110)가 리프트 업되어 소정의 천정고가 확보되는 상태를, 도 2의 (c)는 플라잉 스피커(172)와 접철식 영상장비(183), 우퍼 스피커(192) 및 조명이 모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공연을 위한 조명, 음향 및 영상장비가 모두 준비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3의 (a)와 (b)는 이동상태에서 화물차 적재함(1)의 내부에 각종 부재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의 (c)는 루프 확장패널(140)과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상태에서 조명, 음향 및 영상장비가 설치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의 (a)와 (b)는 도 2의 (a)에, 도 3의 (c)는 도 2의 (c)에 각각 대응된다.
한편, 도 3의 (a)는 플로어(120)에 우퍼 스피커(192)와 플라잉 스피커(172), 접철식 영상장비(183)가 각각 적재된 상태를 관념적으로 도시한다.
실제로는 플라잉 스피커(172)는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에 고정되며, 접철식 영상장비(183)는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에 연결된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이 충분히 길게 풀린 상태로 적재된다. 그리고, 우퍼 스피커(192)는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가 접혀진 상태로 적재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양측으로 플로어 보조 패널(151)이 펼쳐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플로어(120)와 상기 플로어(150)의 양측으로 구비된 한 쌍의 플로어 확장패널(150)에 의하여 무대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음향설비 가운데 특히 우퍼 스피커(192)는 무대의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야 하며 필연적으로 무대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무대공간이 지나치게 협소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좌우로 플로어 보조 패널(151)이 더 구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로어 보조 패널(151)의 폭과 너비는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플로어 보조 패널(151)을 힌지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겹쳐서 구비하였다가 무대 설치시에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은 플로어 보조 패널(151)의 구조를 부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플로어 확장 패널(150)의 일측 끝단에 플로어 보조 패널(151)이 더 구비된다.
한편, 무대설치의 자동화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보조 패널(151)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플로어 확장패널(150)로부터 개폐될 수 있다.
삭제
이를 위한 플로어 보조 패널 개폐부재(152)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플로어 확장 패널(15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실린더 끝단이 플로어 보조 패널 지지부재(153)에 연결된다.
삭제
플로어 보조 패널 지지부재(153)는 플로어 확장 패널(150)의 일측 끝단에 힌지구조로 체결되어 회동하며, 플로어 보조 패널(151)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보조 패널 개폐부재(152)의 동작에 의해 플로어 보조 패널(151)이 개폐된다.
한편, 도 3의 (b)는 루프(110)의 저면에 다수의 트러스가 접혀져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10)의 저면 내측으로 루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트러스 구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는 도 3의 (b)를 기준으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좌우 한 쌍의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그 아래로 두 개의 이동 조명 트러스(161), 또 그 아래로 두 개의 고정 조명 트러스(162), 그리고 맨 아래 좌우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들은 각각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조명이나 플라잉 스피커, 영상장비 등의 무게에 의해 화물차 적재함(1)의 프레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중앙의 고정 조명 트러스(163)는 루프(110)의 저면에 고정되며,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조명이나 플라잉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무게에 의해 윙바디 적재함(1)의 프레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재의 역할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가 구비되며, 각 고정 조명 트러스(163)에는 조명이 미리 설치되며, 각 조명으로의 배선이 내부에 실장된다.
한편, 도 3의 (b)를 기준으로 고정 조명 트러스(163) 아래 위로 루프(110)의 저면 양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조명 트러스(161)가 더 구비된다.
이동 조명 트러스(161)에는 일정 간격으로 조명기기들이 미리 설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조명기기로의 배선이 내부에 실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3의 (b)를 기준으로 가장 아래의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는 루프(110)의 저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양 끝단에는 회동되는 힌지에 의해 이중으로 겹쳐져 있는 보강트러스가 배치되어 루프 상승에 따라 수직으로 펼쳐저서 플라잉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조명기기의 무게와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무대지붕의 메인 프레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양 끝단에 한 조의 플라잉 스피커(172)가 각각 구비된다.
플라잉 스피커는 설치 높이가 확보가 되어야 하며, 관중과의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루프(110)를 리프트 하는 것에 의해, 루프(110) 저면에 구비되는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높이 또한 충분히 높아질 수 있고, 각각 양측으로 펼치는 것에 의하여 장애물이 없는 높은 위치에 플라잉 스피커(172)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확장패널(140)과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를 바깥쪽으로 - 바람직하게는 150도 회전시켜 펼치는 것에 의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상태로의 플라잉 스피커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플라잉 스피커(172)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1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173)의 접철과정을 도시한다.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루프(110)를 리프트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173)가 접힌 상태로 들려진다.
한편,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를 좌우로 회전시켜 플라잉 스피커(172)의 위치를 선정한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173)를 펼친다.
이렇게 펼쳐진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173)의 끝단은 바닥면이나 플로어 보조 패널(151)의 상면에 의하여 지탱된다.
도 3의 (b) 기준으로 상단 양측의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는 루프(110)의 저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영상장비의 공연형태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3의 (a)와 같이 화물차 적재함(1) 내부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의 (c)는 도 2의 (c)와 같이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접철식 영상장비(183)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접철되는 구조의 영상장비로서, 두 개의 대형 LCD 패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의 상단 양 측단에는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이 연결된다.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은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별도의 케이블 감김 모터(미도시)에 의해 감기거나 또는 풀릴 수 있다.
한편, 접철식 영상장비(183)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를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각도로 펼쳐주고, 리프트 업 동작을 하는 것에 의해 그 위치가 펼쳐진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끝단까지 이동하고, 또 충분히 높은 위치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펼쳐줌으로써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을 충분히 감아서 높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영상장비(183)와 플라잉 스피커(172)를 설치한 다음, 그 내측의 이동조명 트러스(161)들을 각각 외측 방향으로 펼친다.
이동조명 트러스(161)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와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의 내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가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와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보다 길다.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는 회동하는 힌지에 의해 플라잉 스피커(172)를 무대의 상단 좌우 양측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거치 트러스(181)는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무대의 가장 뒷쪽 상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83)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폭과 비슷한 정도의 위치에 케이블 감김 모터를 옮겨서 견인한다.
그러나, 이동 조명 트러스(161)는 공연 도중 각각 회전하면서 조사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루프(11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근소하게 짧은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하나씩 교차하며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디스플레이 거치 트러스(181) 와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는 루프(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동 조명 트러스(161) 또한 상기 루프(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후면으로 사용될 때는 회동하는 힌지와 연결 핀으로 회절시키거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루프 확장패널(140)과 플로어 확장패널(150) 또한 대칭구조를 가지며,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및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각각의 양 끝단에 고정되는 플라잉 스피커(172)와 접철식 영상장비(183)를 상호 교체하여 체결, 고정한다면 무대의 방향이 간단히 바뀔 수 있다.
차량의 선회가 어렵다는 등의 사정에 따라서는 무대의 앞뒤 방향을 바꾸어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할 때 이러한 경우에 플라잉 스피커(172)와 접철식 영상장비(183)를 상호 교체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무대의 방향이 변경된다.
한편, 도 5은 우퍼 스피커의 공연형태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는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방향으로 구비된 둘 이상의 축을 가지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 구조를 갖는다.
즉, 플로어(120)의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우퍼 스피커(192)는 이러한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의 끝단에 고정되며, 저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갖는다.
도 7의 (a)는 도 3의 (a)에 대응되며,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와 우퍼 스피커(192)가 접혀진 상태로 화물차 적재함(1) 내부에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의 (b)는 도 2의 (c)에 대응되며, 접철식 회동 가이드(19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 확장패널(140)과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양측 방향으로 접이식 보조패널(151)을 더 펼친 후, 상기 한 쌍의 접철식 회동가이드(191)를 각각 펼쳐 상기 한 조의 우퍼 스피커(192)를 각각 접이식 보조패널(151) 상단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무대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화물차 적재함
2 : 차량
110 : 루프
120 : 플로어
130 : 루프 리프트수단
140 : 루프 확장패널
141 : 루프 확장패널 개폐부재
150 : 플로어 확장패널
151 : 플로어 보조 패널
152 : 플로어 보조 패널 개폐부재
153 : 플로어 보조 패널 지지부재
161 : 이동 조명 트러스
162 : 고정 조명 트러스
171 :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
172 : 플라잉 스피커
173 : 플라잉 스피커 접철식 세로 지지대
181 :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
182 :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
183 : 접철식 영상장비
191 : 접철식 회동 가이드
192 : 우퍼 스피커

Claims (7)

  1. 삭제
  2. 화물차 적재함(1)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110);
    화물차 적재함(1)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120);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110)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150);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루프 확장패널(140);
    상기 루프(110)의 저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접철식 영상장비(183); 및
    상기 접철식 영상장비(183)의 상단 양 측단을 상기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의 끝단에 연결하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장비 고정 케이블(182);을 구비하되,
    상기 접철식 영상장비(183)는 상기 루프 확장패널(140) 및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 한 쌍의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를 외측방향으로 펼치고 리프트업 하되, 접혀진 상태에서 펼침으로써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차량.
  3. 화물차 적재함(1)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110);
    화물차 적재함(1)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120);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110)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150);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루프 확장패널(140);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양측으로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측면 끝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접이식 보조 패널(151);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방향으로 구비된 둘 이상의 축을 가지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접철식 회동가이드(191); 및
    상기 각 접철식 회동가이드(191)의 일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되, 저면에 이동용 바퀴가 더 구비되는 한 조의 우퍼 스피커(192);를 구비하되,
    상기 루프 확장패널(140)과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의 양측 방향으로 접이식 보조패널(151)을 더 펼친 후, 상기 한 쌍의 접철식 회동가이드(191)를 각각 펼쳐 상기 한 조의 우퍼 스피커(192)를 각각 접이식 보조패널(151) 상단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차량.
  4. 삭제
  5. 화물차 적재함(1)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110);
    화물차 적재함(1)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120);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110)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150);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루프 확장패널(140);
    상기 루프(110)의 저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 및
    상기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조의 플라잉 스피커(172);를 구비하되,
    상기 플라잉 스피커(172)는 상기 루프 확장패널(140)과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를 외측방향으로 펼치는 것에 의하여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차량.
  6. 화물차 적재함(1)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110);
    화물차 적재함(1)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120);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110)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150);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루프 확장패널(140);상기 루프(110)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조명 트러스(161);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조명 트러스(161)는 일정 간격으로 조명이 미리 설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조명으로의 배선이 내부에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루프 확장패널(140)과 상기 플로어 확장패널(150)을 펼친 다음,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조명 트러스(161)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펼치는 것에 의하여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차량.
  7. 화물차 적재함(1)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110);
    화물차 적재함(1)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어(120);
    상기 플로어(12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상기 플로어(120)에 직교하도록 세워지되, 상기 루프(110)를 상하로 리프트 업 하거나 또는 리프트 다운하기 위한 루프 리프트 수단(130);
    상기 플로어(120)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어 확장패널(150); 및
    상기 루프(1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루프 확장패널(140);
    상기 루프(110)의 저면 일측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접철식 영상장비(183)가 고정되는 한 쌍의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상기 루프(110)의 타측 저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플라잉 스피커(172)가 고정되는 한 쌍의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 및
    상기 루프(110)의 저면의 상기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와 상기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사이 공간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둘 이상의 이동 조명 트러스(161);를 구비하되,
    상기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및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는 상기 루프(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둘 이상의 이동 조명 트러스(161)는 상기 루프(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영상장비 거치 트러스(181) 및 플라잉 스피커 거치 트러스(171)의 각각의 양 끝단에 고정되는 플라잉 스피커(172)와 접철식 영상장비(183)는 상호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공연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차량.
KR20130105990A 2013-09-04 2013-09-04 공연용 차량 KR10135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990A KR101350552B1 (ko) 2013-09-04 2013-09-04 공연용 차량
CN201490001027.6U CN205395880U (zh) 2013-09-04 2014-03-20 演出用车辆
US14/398,129 US9266460B2 (en) 2013-09-04 2014-03-20 Vehicle for performances
PCT/KR2014/002326 WO2015034152A1 (ko) 2013-09-04 2014-03-20 공연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990A KR101350552B1 (ko) 2013-09-04 2013-09-04 공연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552B1 true KR101350552B1 (ko) 2014-01-13

Family

ID=5014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990A KR101350552B1 (ko) 2013-09-04 2013-09-04 공연용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66460B2 (ko)
KR (1) KR101350552B1 (ko)
CN (1) CN205395880U (ko)
WO (1) WO201503415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2784A (zh) * 2015-03-28 2015-07-01 渤海大学 一种高校音乐教学车
CN105235579A (zh) * 2015-09-28 2016-01-13 季建平 一种移动售卖车
CN107097708A (zh) * 2017-03-09 2017-08-29 浙江工业大学义乌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移动舞台及其安全控制方法
KR101800585B1 (ko) * 2017-06-14 2017-11-22 김범수 전개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KR20180051360A (ko) * 2016-11-08 2018-05-16 김영중 스마트형 무대장치
KR20180134093A (ko) * 2017-06-08 2018-12-18 정길 무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34092A (ko) * 2017-06-08 2018-12-18 정길 무대 차량
CN109343518A (zh) * 2018-09-03 2019-02-15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万向车台现场驱动平台
KR20200114432A (ko) * 2019-03-28 2020-10-07 김영미 공연용 차량
KR102517329B1 (ko) * 2022-09-15 2023-04-03 주식회사 다리소프트 공항 활주로 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2078B1 (en) * 2016-09-30 2018-04-03 Karavan Trailers, Inc. Utility trailer
CN106703452A (zh) * 2017-01-20 2017-05-24 苏州市广播电视总台 升降舞台以及演出设备
US10711473B2 (en) * 2018-01-23 2020-07-14 KOKO Sports Management, LLC Arena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and constructing same
US10526024B2 (en) * 2018-05-18 2020-01-07 Garrett Stokes Powered side panel system
MX2018008610A (es) * 2018-07-12 2019-01-14 Fernandez Lopez Raul Sala movil transformable.
CN109249850A (zh) * 2018-08-30 2019-01-22 顺丰科技有限公司 无人机装载箱及无人机运输车
US11242691B2 (en) * 2019-05-27 2022-02-08 Steven Williams Collapsible mobile stage system
US11292379B2 (en) 2019-07-10 2022-04-05 Thomas Randolph Wilson, SR. Mobile performance stage
CN113232574A (zh) * 2021-05-24 2021-08-10 中邮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开合式文化演艺展示车厢
US20230202374A1 (en) * 2021-12-29 2023-06-29 Magicbox World Inc Vehicular-based transforming led volume
US20230250657A1 (en) * 2022-02-07 2023-08-10 Astra Stages, LLC Mobile stage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4470810A (zh) * 2022-04-14 2022-05-13 深圳无界视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人体感应自动监测式互动系统及方法
US20240018793A1 (en) * 2022-07-15 2024-01-18 Progressive Progressive, Inc. Mobile stage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CN115230568A (zh) * 2022-09-15 2022-10-25 浙江农业商贸职业学院 一种户外直播用可快速搭建直播舞台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1Y1 (ko) * 1997-07-12 2000-03-15 송인현 공연용 특장차량
KR20110088724A (ko) * 2010-01-29 2011-08-04 정길 공연용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221A (en) * 1954-08-10 1958-08-05 Charles E Skinner Collapsible stage structure
US3181203A (en) * 1961-02-15 1965-05-04 Harry J Wenger Portable stage and shell
US3258884A (en) * 1963-01-18 1966-07-05 Harry J Wenger Wide angle portable stage and shell
US3417518A (en) * 1966-06-30 1968-12-24 Stagecraft Corp Foldable trailerized shell
US3620564A (en) * 1969-10-13 1971-11-16 Wenger Corp Mobile center
US4026076A (en) * 1976-08-25 1977-05-31 Joseph Analetto Portable stage
US4232488A (en) * 1979-03-30 1980-11-11 Hanley William F Portable stage
US4512117A (en) * 1982-08-06 1985-04-23 Interlock Structures International, Inc. Modular proscenium theatre
FR2588032B1 (fr) * 1985-09-27 1990-11-23 Agence Rgle Tech Spectacle Art Espace scenique a developpements spatiaux multiples
US5716090A (en) * 1996-07-10 1998-02-10 Chang; Chi-Chuan Stage structure disposed to a vehicle
US6393769B1 (en) * 2000-03-24 2002-05-28 Marshall Austin Productions Portable stage
US6676275B2 (en) * 2001-04-13 2004-01-13 Farsight Llc Portable, adaptable set lighting system
US20040123529A1 (en) * 2002-10-07 2004-07-01 Wiese Steven E. Lightweight portable stage
US7033044B2 (en) * 2003-10-16 2006-04-25 Farsight Llc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BRPI0418834A (pt) * 2004-05-12 2007-11-13 Silas Creel sistemas de tela de projeção colapsìvel
US7327516B2 (en) * 2004-12-16 2008-02-05 LaNae Estelle Wheeler Mobile screen storage compartment (MSSC)
US20090173033A1 (en) * 2008-01-03 2009-07-09 Robert Charles Baxter, JR. Folding Truss System With Integrated Entertainment Technology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US8042854B2 (en) * 2008-01-31 2011-10-25 David J Braswell Portable outdoor weight training platform
KR20100137315A (ko) * 2009-06-22 2010-12-30 서영석 수납식 전동무대
KR101056282B1 (ko) * 2009-10-20 2011-08-11 주식회사 피플이엔티 이동식 무대장치
USD672054S1 (en) * 2010-06-14 2012-12-04 Marshall Austin Productions, Inc. Mobile stage
US8770422B2 (en) * 2010-08-13 2014-07-08 Mobile Medical International Corporation Adapter plate for a container assembly
US8544213B2 (en) * 2010-10-22 2013-10-01 Progressive Products, Inc. Transforming structure with tower shuttle
US20120272584A1 (en) * 2011-04-29 2012-11-01 Hitech Stages, Ltd. Rapidly deployable stage system
US20120272585A1 (en) * 2011-04-29 2012-11-01 Hitech Stages, Ltd. Rapidly deployable buggies for a stage system
US8678941B2 (en) * 2011-04-29 2014-03-25 Hitech Stages, Ltd. Rapidly deployable primary stage unit
US9200462B2 (en) * 2012-06-04 2015-12-01 Meta Stages, Llc Mobile arched telescopic deployable stage system
US8978311B1 (en) * 2012-10-05 2015-03-17 Century Industries, Llc Mobile stag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1Y1 (ko) * 1997-07-12 2000-03-15 송인현 공연용 특장차량
KR20110088724A (ko) * 2010-01-29 2011-08-04 정길 공연용 차량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2784A (zh) * 2015-03-28 2015-07-01 渤海大学 一种高校音乐教学车
CN105235579A (zh) * 2015-09-28 2016-01-13 季建平 一种移动售卖车
KR101992759B1 (ko) * 2016-11-08 2019-06-26 김영중 스마트형 무대장치
KR20180051360A (ko) * 2016-11-08 2018-05-16 김영중 스마트형 무대장치
CN107097708A (zh) * 2017-03-09 2017-08-29 浙江工业大学义乌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移动舞台及其安全控制方法
KR20180134092A (ko) * 2017-06-08 2018-12-18 정길 무대 차량
KR20180134093A (ko) * 2017-06-08 2018-12-18 정길 무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67980B1 (ko) * 2017-06-08 2019-04-10 정길 무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01832B1 (ko) * 2017-06-08 2019-07-19 정길 무대 차량
KR101800585B1 (ko) * 2017-06-14 2017-11-22 김범수 전개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CN109343518A (zh) * 2018-09-03 2019-02-15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万向车台现场驱动平台
CN109343518B (zh) * 2018-09-03 2021-07-02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万向车台现场驱动平台
KR20200114432A (ko) * 2019-03-28 2020-10-07 김영미 공연용 차량
KR102225082B1 (ko) * 2019-03-28 2021-03-08 김영미 공연용 차량
KR102517329B1 (ko) * 2022-09-15 2023-04-03 주식회사 다리소프트 공항 활주로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7164A1 (en) 2015-04-23
US9266460B2 (en) 2016-02-23
WO2015034152A1 (ko) 2015-03-12
CN205395880U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552B1 (ko) 공연용 차량
US9080374B2 (en) Sheltering device
AU2004319380B2 (en) Collapsible projection screen systems
US9200462B2 (en) Mobile arched telescopic deployable stage system
JPH01166088A (ja) 車載展示装置
AU2015203631A1 (en) High-Ceiling Tent Frame
KR101268775B1 (ko) 특설무대차량
KR101967980B1 (ko) 무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88724A (ko) 공연용 차량
AU2016377747A1 (en) Unfolding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space
KR100993874B1 (ko) 무대장치 및 조명등걸이를 갖춘 특장차량
US20190078318A1 (en) Transportable Expanding Shelter With Upwardly Pivoting Roof
KR100917981B1 (ko)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0928556B1 (ko) 폴딩형 하우스
CN217735007U (zh) 一种动态变形移动房屋
KR102001832B1 (ko) 무대 차량
KR101541394B1 (ko) 확장 전개형 이동식 막사 트레일러
JP2010229782A (ja) 防音壁装置
KR102055787B1 (ko) 다축 회동 어닝
KR200171391Y1 (ko) 공연용 특장차량
CN108092214B (zh) 一种固定于土建平台上可翻转的堆顶电缆桥架
KR200497165Y1 (ko) 전자제어를 통한 차량용 전동 차양 장치
JP2013110240A (ja) 太陽光パネル収納式架台
JP3753639B2 (ja) 箱型荷台の開口を開閉する中折れ式ドア構造物
KR100593282B1 (ko)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