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282B1 -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82B1
KR100593282B1 KR1020040060873A KR20040060873A KR100593282B1 KR 100593282 B1 KR100593282 B1 KR 100593282B1 KR 1020040060873 A KR1020040060873 A KR 1020040060873A KR 20040060873 A KR20040060873 A KR 20040060873A KR 100593282 B1 KR100593282 B1 KR 10059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upport
driving
driv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135A (ko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04006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2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대문을 구성하는 복수의 작동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고 구동 작동간의 상하 피벗(pivot)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복수의 작동간이 부채 형태로 상방으로 접혀져 대문이 개방되고 부채 형태로 하방으로 펼쳐져 대문이 폐쇄되는 신규한 구조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는 그 구조 자체는 물론, 개방 및 폐쇄 조작에 있어서도 공간 이용 효율성이 우수하고,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철재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 경제성이 양호하며,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이 높고, 대문 폭의 광협에 무관하게 다양한 너비의 대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성을 가지며, 경량이면서도 미려하고, 빈번한 화물 차량의 통행과 동절기 해빙 과정의 반복이나 우천에 의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대문의 개폐 곤란 우려가 전혀 없으며, 대문의 개폐 조작 시 광고 효과를 아울러 도모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부채, 접이, 대문, 광고판, 안내판

Description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FAN TYPE FOLDABLE OUTDOOR STRUCTURES AND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일측 상향 접철식 대문 구조체의 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1c는 나타낸 일측 상향 접철식 대문 구조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구동 작동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1b,1c: 본 발명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10: 부채형 접이식 대문
11: 구동 작동간(驅動 作動杆) 11a: 지지 이송구(移送具)
11a′: 상향 돌출부 11b: 환형부
11c: 축공 11d: 키이 홈
12: 지지간(支持杆) 13: 종동 작동간(從動 作動杆)
14: 지지 고정 수단(체인) 14a: 견인 수단(체인)
15: 지지 연결 수단(체인) 16: 고정 핀
17: 피벗 핀(pivot pin) 18: 광고 또는 안내판
20: 구동부 수납 지주(支柱) 20a,20b: 지주
21: 슬릿(slit) 22: 공동부(空洞部)
23: 피벗 축 24: 전등(장식부)
25: 고정용 돌출부 25a: 권취 롤러
25b: 도르래 26: 베이스
27: 우편함 또는 비디오 도어폰 28: 무선 신호 센서
29: 명패 또는 주소
30: 구동부(驅動部)
31: 구동 수단(모터 또는 실린더) 32: 감속 기어 박스
33: 체인
본 발명은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대문을 구성하는 복수의 작동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고 구동 작동간의 상하 피벗(pivot)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복수의 작동간이 부채 형태로 상방으로 접혀져 대문이 개방되고 부채 형태로 하방으로 펼쳐져 대문이 폐쇄되는 신규한 구조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주택이나 전원 공장, 유치원, 전원 농장, 놀이 시설, 도시의 일반 가정용, 또는 공공 건축물이나 대형 건축물의 대문 구조에 있어서 이러한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는 전혀 개시(開示)되어 있는 바 없다.
종래 전원주택과 같은 가정용 주택이나 공장의 대문은 통상적으로 2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방의 지주를 중심으로 문짝이 내측으로 수평 회전하여 개방되는 구조이나, 이러한 구조의 대문은 개방 시 문짝의 길이만큼 경내 가용 면적을 점유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감과 개성의 중요성이 더욱 비중을 점하는 최근의 추세에도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특히 전원 공장 등에 있어서 이러한 구조의 대문을 채택하는 경우, 대문의 높이와 너비가 커서 외부 방문자에게 중압감을 줄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대문을 구성하는 철재 소요량이 크므로 그 제작비용도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공장이나 대형 건물 등과 같이 비교적 차량의 왕래가 빈번한 곳에서는 아예 대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오히려 통상적인 실정으로서, 양 지주 사이에 쇠사슬을 걸쳐 놓고 차량 통제를 하는 경우를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는, 둥근 아치형 등으로 된 다수의 조립체를 커텐 주름 접기식의 슬라이딩 구조로 조합시키고 지반에 형성시킨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방 폭의 제어가 가능한 대문 구조가 대형 건축물이나 공장 등에 널리 채택되고 있으나, 이러한 주름 접기식 슬라이딩 대문 구조는 일측으로 접혀진 다수의 조립체를 거치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폭이 매우 넓은 대문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적용 범위에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하기 곤란하여 모두 수동식 개폐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빈번한 화물 차량의 통행과 동절기 해빙 과정의 반복이나 우천에 의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레일 구조가 변형되기 쉬워 대문의 개폐가 곤란하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 대문 지주가 대문의 후방에 상당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한 대문 지주와 문짝이 암(arm)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대문 구조체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대문 구조체는 상기한 양 지주를 회전축으로 하여 단순히 대문이 상방으로 들려지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들려지는 대문의 형태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대문 자체가 접철되는 방식이 아닐 뿐만 아니라, 대문 지주가 대문 후방의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면적을 점유하게 되므로 공간 이용 효율성이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 있어서는 대문의 개폐 조작 시 광고 효과가 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문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공간 이용 효율성이 우수한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철재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 경제성이 양호한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대문 폭의 광협에 무관하게 다양한 너비의 대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성을 갖는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최근의 추세에 부합되도록 경량이면서도 미려한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빈번한 화물 차량의 통행과 동절기 해빙 과정의 반복이나 우천에 의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대문의 개폐 곤란 우려가 전혀 없는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대문의 개폐 조작 시 광고 효과를 아울러 도모할 수가 있는 대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목적에 따른 대문 구조체에 의한 전혀 새로운 형태의 대문 개폐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지지 이송구를 가지며 폐쇄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구동 작동간과, 지지 고정 수단에 의해 지주에 고정되며 상방에 위치하는 지지간 및, 폐쇄 상태에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지지간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지지간 및, 종동 작동간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와; 내부에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상기한 타단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피벗 축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지지간 및, 종동 작동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종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고 상기한 피벗 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면 상기한 구동 작동간의 지지 이송구에 의하여 상기한 종동 작동간도 연동하여 피벗 운동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폐쇄 상태에서 지주 쪽에 가장 인접한 상방에 위치하는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 및,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와; 내부에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의 타단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피벗 축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종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고 상기한 피벗 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면 상기한 지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종동 작동간도 연동하여 피벗 운동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두 가지 양태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 중 적어도 일 개소에 광고 또는 안내판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대문 개방 시 상기한 광고 또는 안내판이 종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대문 폐쇄 시에는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의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부채살이 펼쳐진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 상호 간은 접힘 또는 만곡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지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대문 개방 시에는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는 구동부의 피벗 운동에 의한 상기한 구동 작동간의 피벗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 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 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부채살이 접혀진 형태로 개방되며 상기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은 접힘 또는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개폐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의 폐쇄 상태, 반 개방 상태 및 전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면, 그 주요 구성은 지지 이송구(11a)를 가질 수도 있으며 폐쇄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구동 작동간(11)과, 지지 고정 수단(14)에 의해 지주(20)에 고정되며 상방에 위치하는 지지간(12) 및, 폐쇄 상태에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지지간(12)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과, 이들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15)을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11) 및 종동 작동간(13)과 지지간(12)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23) 상에 고정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0)와; 내부에 공동부(22)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11) 및 종동 작동간(13)과 지지간(12)의 상기한 타단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피벗 축(23)과 이들이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종 방향으로 슬릿(21)이 형성되는 구동부 수납 지주(20)와;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에 수용되고 상기한 피벗 축(2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종동 작동간(13)이 다섯 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종동 작동간(13)의 수효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적이다.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종동 작동간(13), 그리고 지지간(12) 상호 간은 각각의 고정 핀(16)을 연결하는 지지 연결 수단(15)에 의하여 상호지지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연결 수단(15)이 체인(쇠사슬)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체인 대신 피벗 운동 가능한 힌지 레버(미도시) 또는 로프 등과 같은 적절한 라인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지지간(12)이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의 고정 용 돌출부(25)과 지지 고정 수단(14)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하방으로는 일정 범위 이상 피벗 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영구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지지간(12)이 영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지 연결 수단(15)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지지 고정 수단(14)은 도시된 바와 같은 체인(쇠사슬) 또는 피벗 운동 가능한 힌지 레버(미도시), 로프, 또는 고정 막대(미도시)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a 내지 도 1c에서의 구동 작동간(11)의 사시도인 도 2를 먼저 언급하면,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은 원형, 정방형, 또는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로드(도면부호 미부여)와, 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부(11b) 및, 상기한 로드의 하단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 이송구(11a)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 이송구(11a)의 존재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이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구동 작동간(11)이 피벗 운동하는 경우 지지 연결 수단(15)에 의하여 종동 작동간(13)들도 피벗 운동 가능하게 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환형부(11b)의 중앙부에는 축공(11c)이 형성되며 상기한 축공(11c)의 주연 일부 영역에는 키이 홈(11d)이 형성되어 피벗 축(도 1a 내지 도 1c에서의 도면부호 23 참조)의 피벗 운동 시 함께 피벗 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의 상방으로의 피벗 운동 시에는 상기한 지지 이송구(11a)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을 순차적으로 이에 연동하여 상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며(차례로 접게 됨), 하방으로의 피벗 운동 시에는 상기한 지지 이송구(11a)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을 순차적으로 이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차례로 펼치게 됨).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a′는 선택적 요소로서의 상향 돌출부로서, 상기한 지지 이송구(11a)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의 이송 운동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다수의 종동 작동간(13)과 지지간(12)이 일측으로 방사상으로 등 간격으로 펼쳐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부등 간격으로 펼쳐지더라도 무방하며, 또한 이들의 길이는 상호 동일 또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시된 두 개의 구동부 수납 지주(20)에 형성되 는 슬릿(21)의 위치를 약간 어긋나게 형성시키고, 양 구동부 수납 지주(2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다수의 종동 작동간(13)과 지지간(12)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대문 폐쇄시 양 대문 구조체(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호 중첩되도록 형성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또한 상기한 복수의 지지 연결 수단(15) 및 고정 핀(16)의 위치 및 수효는 상호 확실한 지지 연결만 가능하다면 본 발명에 있어 임의적이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상기한 연결간(13)은 일단부와 타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 핀(16)에 의해 상기한 주작동간(11)과 보조 작동간(12)에 연결되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한 고정 핀(16)의 위치는 본 발명에 있어 임의적 사항에 불과하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이어서, 구동부 수납 지주(20)에 대하여 언급하면,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20)는 내부의 공동부(空洞部)(22)와 베이스(26)로 구성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공동부(22)의 대략 중간 부위에 피벗 축(23)이 위치한다.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기까지 슬릿(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의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슬릿(21)의 양 단부는 피벗 운동 시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접촉부의 보호 및 접촉 시 소음 방지를 위해 고무 등과 같은 당업계 공지의 임의의 탄성체를 삽지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공동부(22) 내측 일 영역 또는 외측 일 영역 상에는 고정용 돌출부(25)가 설치되어 상기한 지지간(12)과 전술한 바 있는 지지 고정 수단(14)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선택적으로는,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전면에는 우편함 또는 비디오 도어폰(27)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리모컨 등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센서(28)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의 임의의 개소에는 명패 또는 주소(29)(도시된 예에서는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하방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가 음각, 양각, 또는 인쇄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중 구동부 수납 지주(20)에 있어서의 미설명 부호 24는 전등 또는 장식부이며,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의 작동 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슬릿(21)이 형성되지 않는 상단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슬릿(21) 형성부로부터 비켜 난 약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에 수용되는 구동부(30)는 구동 작동간(11)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하여 피벗 축(23)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 등과 같은 모터 또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 수단(31)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구동 수단(31)이 모터이고, 예컨대, 스톱퍼(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는 감속 기어 박스(32)를 통하여 체인(33)에 의해 상기한 피벗 축(23)을 피벗 운동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작동간(11)의 피벗 운동을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상기한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의 개 폐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의 폐쇄된 상태에서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구성하는 구동 작동간(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 및, 지지간(12)이 각각 피벗 운동 가능하게 수렴하는 피벗 축(23)이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며, 구동 작동간(11)은 구동부 수납 지주(20)에 가장 인접한 하방에 위치하며 지지 이송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벗 축(23)과 구동 작동간(11)은 키이(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어 피벗 운동을 함께 하는 반면, 종동 작동간(13) 및 지지간(12)에는 키이 홈이나 키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어서, 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터(31)의 구동력이 감속 기어 박스(32)를 경유하여 체인(33)을 통해 피벗 축(23)을 상방으로 피벗 운동시키면, 그에 따라 구동 작동간(11)도 상방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의 이송 지지구(11a)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 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전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1c를 참조하면, 피벗 축(23)이 최상방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구동 작동간(11)도 최상방 위치까지 피벗 운동하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의 이송 지지구(11a)에 의하여 모든 종동 작동간(13)과 지지간(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완전히 상방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에 이송 지지구(11a)가 없더라도 지지 연결 수단(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 작동간(11)이 상방 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 들도 순차적으로 접혀지게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지지간(12)을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돌출부(25)에 지지 고정 수단(14)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일 없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지지간(12)을 용접, 볼트 고정 등과 같은 임의의 고정 수단에 의해 피벗 운동하지 않는 고정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 작동간(11)이 구동부 수납 지주(20)에 가장 인접한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지지 이송구(11a)는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의 개방 시에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이 하방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며, 폐쇄 시에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이 상방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지지 연결 수단(15)에 의하여 종동 작동간(13) 및 지지간(12)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a)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부연 설명은 피하고 상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종동 작동간(13), 그리고 지지간(12)의 일단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벗 축(23)이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내부 상방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한 지지간(12)이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위치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작동 관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b)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부연 설명은 피하고 상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종동 작동간(13), 그리고 지지간(12)의 일단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벗 축(23)이 구동부 수납 지주(20)의 내부 하방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12)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위치한다.
상기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b)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있어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상기한 피벗 축(23)의 상방에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 롤러(25a)가 위치하며, 상기한 권취 롤러(25a)에는 로프 또는 기타의 라인 등과 같은 견인 수단(14a)이 연결되고, 상기한 견인 수단(14a)은 지지간(12)과 복수의 종동 작동간(13)의 일 개소에 형성되는 풀리(25b)를 경유하여 구동 작동간(11)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하여 권취 롤러(25a)가 회전하면, 상기한 견인 수단(14a)이 권취되고, 상기한 지지간(12)과 복수의 종동 작동간(13)의 일 개소에 형성되는 풀리(25b)를 경유하여 구동 작동간(11)을 상방으로 견인하기 시작한다. 견인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한 견인 수단(14a)은 상기한 지지간(12)과 복수의 종동 작동간(13)의 일 개소에 형성되는 풀리(25b)를 경유할 뿐이므로(다만, 이탈 방지를 위하여 로프나 체인 등과 같은 지지 연결 수단(15)이 풀리(25b)에 견고히 고정되거나 또는 느슨하게 고정됨), 구동 작동간(11)이 상방으로 견인되어 최하방에 위치하는 종동 작동간(13)과 당접(當接)하기 전 까지는 상기한 모든 종동 작동간(13)은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구동 작동간(11)이 상방으로 더욱 견인됨에 따라, 종동 작동간(13)들도 상방으로 차례차례 견인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대문(10) 폐쇄 시의 작동 관계는 상기한 작동 관계의 역순과 같다.
기타의 구성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c)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도 그 기본 구성 및 작동 관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가 수용되는 중앙의 구동부 수납 지주(20)와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단순 지주(20a,20b)가 형성된다.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의 구동 수단(30)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모터(31) 와 감속 기어 박스(32), 또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으로 구성된다. 한편,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에는 두 개의 피벗 축(23)이 위치하며, 도시된 예에서는 그 각각이 각각의 체인(33)에 의하여 피벗 운동하게 된다(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도 두 개를 사용).
따라서 좌우 양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상호 동시적으로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이 개방 시 하방으로 피벅 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에 광고 또는 안내판(18)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는 각각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이 각기 구동부 수납 지주(20) 쪽의 상 방향으로 접혀져 개방됨에 따라, 피벗 핀(17)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광고 또는 안내판(18)은 피벗 운동하면서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유지되어 종국적으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의 폐쇄 상태에서 대략 수평 곡선상으로 위치하던 광고 또는 안내판(18)은 개방 상태로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내려짐에 따라 피벗 운동에 의하여 광고 또는 안내 내용을 방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따라 들어올려지고, 최종적인 개방 상태에서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우 양측의 두 개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연동하여 함께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에 단 하나의 피벗 축(23) 만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좌우 양측의 두 개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구 성하는 구동 작동간(11)과 종동 작동간(13), 그리고 지지간(12)의 일단을 각각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즉, 도 5a에서 지면의 상방에서 보아 좌측은 동일 구성으로, 우측은 구동 작동간(11)을 지지간(12)의 위치에 형성시키되, 양측의 구동 작동간(11)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폐쇄 상태로부터 좌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우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은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하고, 좌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우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1,1a,1b,1c)의 개폐 방법에 대하여 전술한 바 있으므로 그 기본적 사항만을 설명하면, 대문 폐쇄 시에는 구동 작동간(1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의 일단이 동일 피벗 축(23) 상에 부채살이 펼쳐진 바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1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 상호 간은 접힘 또는 만곡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15)에 의하여 지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대문 개방 시에는 구동부 수납 지주(20) 내에 수용되는 구동부(30)의 피벗 운동에 의한 상기한 구동 작동간(11)의 피벗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13)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부채살이 접혀진 바와 같은 형태로 개방되며 상기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15)은 접힘 또는 만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부연하면, 대문 작동자는 예컨대 자동차 열쇠 등에 설치하는 리모컨 등에 의한 단계적 스위치 조작 또는 일련의 연속된 단 한번의 조작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임의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10)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역순으로 대문을 폐쇄시킬 수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현재의 전기전자 장치 분야 등에서 공지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는 그 구조 자체는 물론, 개방 및 폐쇄 조작에 있어서도 공간 이용 효율성이 우수하고,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철재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 경제성이 양호하며,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이 높고, 대문 폭의 광협에 무관하게 다양한 너비의 대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성을 가지며, 경량이면서도 미려하고, 빈번한 화물 차량의 통행과 동절기 해빙 과정의 반복이나 우천에 의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대문의 개폐 곤란 우려가 전혀 없으며, 대문의 개폐 조작 시 광고 효과를 아울러 도모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Claims (12)

  1. 폐쇄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구동 작동간과, 상방에 위치하는 지지간 및, 폐쇄 상태에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지지간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지지간 및, 종동 작동간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와;
    내부에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상기한 타단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피벗 축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종동 작동간 및, 지지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종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고 상기한 피벗 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면 상기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종동 작동간도 연동하여 피벗 운동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2. 폐쇄 상태에서 지주 쪽에 가장 인접한 상방에 위치하는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 및,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종동 작동간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과 지지간의 지주 쪽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고정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와;
    내부에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의 타단을 피벗 운동시키기 위한 피벗 축과, 상기한 구동 작동간 및 종동 작동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종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고 상기한 피벗 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면 상기한 지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종동 작동간도 연동하여 피벗 운동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간이 체인, 힌지 레버, 또는 로프인 지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지지 이송구를 가지며, 상기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구동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면 상기한 구동 작동간의 지지 이송구에 의하여 상기한 종동 작동간도 연동하여 피벗 운동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피벗 축의 상방에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 롤러가 위치하며, 로프 견인 수단이 지지간과 복수의 종동 작동간의 각각 일 개소에 형성되는 풀리를 경유하여 구동 작동간과 상기한 권취 롤러를 연결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 연결 수단이 체인, 힌지 레버, 또는 로프이고, 상기한 구동부가 모터, 또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종동 작동간 중 적어도 일 개소에 광고 또는 안내판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대문 개방 시 상기한 광고 또는 안내판이 종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피벗 축이 구동부 수납 지주의 상부, 중앙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 개소에 위치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채형 접이식 대문 두 개가 하나의 구동부 수납 지주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좌우 양측 두 개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을 연동하여 함께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단 하나의 피벗 축 만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각각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의 구동 작동간과 종동 작동간, 그리고 지 지간의 일단을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되, 상기한 두 개의 구동 작동간이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10. 대문 폐쇄 시에는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의 일단이 동일 피벗 축 상에 부채살이 펼쳐진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한 구동 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간 상호 간은 접힘 또는 만곡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지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대문 개방 시에는 구동부 수납 지주 내에 수용되는 구동부의 피벗 운동에 의한 상기한 구동 작동간의 피벗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작동 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부채살이 접혀진 형태로 개방되며 상기한 복수개의 지지 연결 수단은 접힘 또는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개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대문 개방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접힘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개폐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부 수납 지주의 양측에 각각 부채형 접이식 대문이 설치되고, 상기한 좌우 양측의 부채형 접이식 대문이 상호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개폐 작업이 수행되는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의 개폐 방법.
KR1020040060873A 2004-08-02 2004-08-02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KR10059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73A KR100593282B1 (ko) 2004-08-02 2004-08-02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73A KR100593282B1 (ko) 2004-08-02 2004-08-02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135A KR20060012135A (ko) 2006-02-07
KR100593282B1 true KR100593282B1 (ko) 2006-06-26

Family

ID=3712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73A KR100593282B1 (ko) 2004-08-02 2004-08-02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708B1 (ko) * 2007-03-16 2007-06-11 (주)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인테리어 미닫이 문.
KR102412655B1 (ko) * 2019-12-31 2022-06-24 신진환 부채형 윙 게이트
KR102326506B1 (ko) * 2021-06-30 2021-11-15 이동국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135A (ko) 2006-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552B1 (ko) 공연용 차량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CN203271572U (zh) 一种车载折叠爬梯
AU2005203685A1 (en) Sunshade, umbrella or the like
CN103469749A (zh) 用于广告宣传可自动旋转翻板的道闸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0593282B1 (ko)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KR100938665B1 (ko) 노천 거리 지붕 구조물
AU2020362766A1 (en) Expanded Mobile Home and Recreational Vehicle Using Same
US6860310B2 (en) Roll-up curtain assembly
KR100805185B1 (ko)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CN105971432A (zh) 用于打开和/或关闭翼扇的装置
AU2004201914B2 (en) Vertically movable partitions
CN201666091U (zh) 一种双折门窗
CN210798682U (zh) 一种电动翻板门
KR20030085605A (ko) 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 차량
KR102537468B1 (ko) 수직폴딩 게이트 구조체
KR200362649Y1 (ko) 육교 현수막 게시장치
KR101131933B1 (ko) 높이조절용 주차장 진출입 조절장치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CN220318916U (zh) 一种户外百叶篷用百叶联动伸缩收放机构
CN217712011U (zh) 一种便携开合户外遮阳篷
JP2003055922A (ja) アーム式ゲート
JPH09317253A (ja) 開閉式屋根
CN213571616U (zh) 一种复合功能减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