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506B1 -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 Google Patents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506B1
KR102326506B1 KR1020210085985A KR20210085985A KR102326506B1 KR 102326506 B1 KR102326506 B1 KR 102326506B1 KR 1020210085985 A KR1020210085985 A KR 1020210085985A KR 20210085985 A KR20210085985 A KR 20210085985A KR 102326506 B1 KR102326506 B1 KR 10232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lades
blade
shaf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국
김우삼
Original Assignee
이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국 filed Critical 이동국
Priority to KR102021008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2Couplings; joints
    • E21B17/04Couplings; joints between rod or the like and bit or between rod and rod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의 토사가 작업자에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절첩수단에 의해 부채꼴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REBOUND CHECK SAFETY NET}
본 발명은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거 스크류의 토사가 작업자에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절첩수단에 의해 부채꼴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날로 고층화 및 대형화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의 건축물은 자중에 의한 수직하중이나 풍력을 크게 작용받게 된다.
이와 같은 건축물은 지층을 관통하여서 지반층에 받쳐지는 지지말뚝으로 지지되는 구조로서 시공된다.
이와 같이 고층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할 수 있는 말뚝공사는 항타기 등으로 타격하여 지중에 말뚝을 직접적으로 박아넣는 충격식과, 오거(Auger)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한 후 그 굴착공 내에 말뚝을 근입하는 천공식이 있다.
충격식 말뚝공사는 주로 경암지반의 건축물 공사에 적용되는 반면에, 천공식 말뚝공사는 연약지반의 건축물 공사에 주로 적용되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에 적용되는 천공식 말뚝공사는 굴착장비에 장착된 오거로서 지중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서 지지말뚝을 근입시킬 수 있도록 지반층까지 천공하고, 천공된 굴착공으로부터 오거를 인발한 후에 그 굴착공 내에 지지말뚝을 근입시켜서 설치하게 됨으로써, 기성말뚝 설치작업 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거는 지반을 천공하는 장치로서, 크레인 천공기 등에 장착되어 파일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한 토목공사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크레인 천공기의 오거 스크류는 건축공사장의 기초공사를 위하여 지면에서부터 지하로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하는 기구로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오거 스크류가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하면서 지하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을 하게 된다.
이때, 오거 스크류의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다량의 흙은 스크류 회전과 함께 외부로 인출되고, 지반 천공을 마친 후 오거 스크류는 윗쪽으로 상승하여 구조물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오거 스크류가 밖으로 빠져나올 때 스크류 날개의 윗부분에는 일부 떨어지지 않은 잔류 토사 등이 남아 있게 되고, 이때의 잔류 토사 등이 스크류 날개를 타고 높이 올라가서 충격 및 바람 등에 의해 낙하되면서 공사현장의 주변으로 비산되거나, 낙하되어 작업자의 머리에 부딪히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5286호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 장비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등록일자 : 2009.02.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거 스크류의 둘레에 배치되면서 오거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에어라인이 연결되어 오거 스크류의 스크류 날개에 남아 있는 토사를 에어로 불어서 밑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에어토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토출수단은 외주면 일측에 에어 유입을 위한 에어라인 연결부를 갖는 동시에 내주면에는 내주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에어토출구를 갖는 중공의 링 모양의 본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위의 경우에는 에어토출로 스크류 날개에 붙어 있는 토사를 하측으로 불어서 낙하시킴으로써, 흙먼지가 작업현장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토사 중 일정 중량 이상의 자갈 등의 돌을 에어의 분사압력으로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낙하 높이에서 추락하는 운동에너지로 인해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가 돌에 맞을 경우 크게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5358호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등록일자 : 2016.10.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오거 스크류의 스크류 날개 사이에 잔류되는 잔류토사를 제거하는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이며, 모(毛) 형상의 토사 제거부; 및 상기 토사 제거부가 착탈되는 착탈부와 외부 작동체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사 제거부는 와이어 강선, PC 강선, 이형 PC 강선, PC 강연선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다수 장착되며, 상기 토사 제거부의 양 단부 중 상기 오거 스크류의 스크류 날개 사이에 위치되어 잔류토사와 접촉되는 끝단부에는 단부 측 일부분을 감싸는 마모 방지링이 설치되며, 상기 마모 방지링은 상기 토사 제거부의 끝단부가 마모되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잔류 토사 제거장치들은 토사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기존 오거스크류의 토사가 하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머리에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5286호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 장비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등록일자 : 2009.02.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5358호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등록일자 : 2016.10.0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거 스크류의 토사가 작업자에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절첩수단에 의해 부채꼴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 일측에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절첩수단에 의해 펼쳐짐과 접힘이 가능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가 연결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부에 결합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절첩수단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이 회전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접힘 동작되거나 또는 펼쳐짐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들 중 하나를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의 일측 테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안전블레이드의 타측 테두리에 상기 제1절곡부와 간섭되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 중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의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의 타측 테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의 타방향 회전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의 타측 테두리들을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스톱퍼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는 상측의 안전블레이드의 일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2절곡부가 하측의 안전블레이드의 제1절곡부에 간섭되어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들이 펼쳐지도록 동작되고, 상측의 안전블레이드의 타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1절곡부가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의 제2절곡부에 간섭되어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들이 접히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는 상기 연결축이 결합되는 일단의 폭보다 타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실린더는 연결바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실린더 몸체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고,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가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안전블레이드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오거스크류의 리더 마스터 외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바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축이 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축의 높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연결축과 연결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들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축의 상부에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를 필요에 따라 펼쳐짐 동작으로 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거 스크류가 설치된 현장에서 토사의 낙하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거 스크류의 이동 및 필요시에 접힘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전실린더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들을 순차적으로 절첩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피를 축소시켜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블레이드들의 펼쳐짐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안전블레이드가 겹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안전블레이드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일측에 연결수단(1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210)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바(21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절첩수단(350)에 의해 펼쳐짐과 접힘이 가능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가 연결축(250)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연결바(220)와; 상기 연결바(220)의 타단부에 결합수단(400)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절첩수단(35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이 회전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접힘 동작되거나 또는 펼쳐짐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 중 하나를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실린더(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210)를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일측에 연결수단(1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리더 마스터(10) 외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110)과, 상기 고정바(2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블록(110)에 결합볼트(130)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120)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바(210)를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작업 현장의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연결바(220)는 상기 고정바(2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바(210)와의 각도가 정해진 후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와 연결바(220) 및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낙하되는 토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상기 연결축(250)이 결합되는 일단의 폭보다 타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안전블레이드들을 제1,2,3,4...n안전블레이드(300a,300b,300c,300d...300n)로 구분하여 지칭하며, 여기서는 4개의 안전블레이드로 표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절첩수단(35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일측 테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352)가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에 상기 제1절곡부(352)와 간섭되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35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 중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의 타측 테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의 타방향 회전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타측 테두리들을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스톱퍼편(35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상측의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일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2절곡부(354)가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제1절곡부(352)에 간섭되어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동작되고,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타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1절곡부(352)가 하측에 위치한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제2절곡부(354)에 간섭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이 접히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실린더(510)는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515)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부재(515)가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300a)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실린더(510)는 실린더 몸체의 단부가 고정브라켓(505)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브라켓(505)은 연결바(220)의 외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505)은 안전블레이드들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단턱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는 상기 로드부재(515)의 신축동작시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연동 회전을 보조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브라켓(31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310)에 상기 로드부재(515)의 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축(250)이 축 결합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연결공(410)과, 상기 연결축(250)의 높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연결축(250)의 하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20)와, 상기 연결축(250)과 연결공(4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재(440),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축(25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축의 외주면에 고정블록(110)과 결합블록(120)을 이용하여 고정바(2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210)의 단부에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220)가 연결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오거 스크류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작업하는 중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회전실린더(510)의 로드부재(515)를 신장동작시키면,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축(250)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동작되고,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제2절곡부(354)가 하측의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제1절곡부(352)와 간섭되면서 제2안전블레이드(300b)를 끌고 연동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제2절곡부(354)가 하측의 제3안전블레이드(300c)의 제1절곡부(352)와 간섭동작되면서 제3안전블레이드(300c)를 끌고 연동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3안전블레이드(300c)의 제2절곡부(354)가 하측의 제4안전블레이드(300d)의 제1절곡부(352)와 간섭동작되면서 제4안전블레이드(300d)를 끌고 연동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부채꼴 형태로 안전망이 펼치지게 되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측에 토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오거 스크류의 이동 또는 안전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로드부재(515)를 신축동작시키면,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축(250)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며, 상기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타단부가 상기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스톱퍼편(355)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2안전블레이드(300b)를 타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서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하측에 상,하로 겹쳐지게 되고, 상기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타단부가 상기 제3안전블레이드(300c)의 스톱퍼편(355)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3안전블레이드(300c)를 타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서 제2안전블레이드(300b)의 하측에 상,하로 겹쳐지게 되며, 상기 제3안전블레이드(300c)의 타단부가 상기 제4안전블레이드(300d)의 스톱퍼편(355)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4안전블레이드(300d)를 타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서 제3안전블레이드(300c)의 하측에 상,하로 겹쳐지게 됨에 따라 제1,2,3,4안전블레이드(300a,300b,300c,300d)가 동일 선상에 겹쳐지도록 하여 부피를 축소시킨다.
또한, 겹쳐진 제1,2,3,4안전블레이드(300a,300b,300c,300d)가 결합된 연결바(220)와 고정바(210)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고정블록(110)과 결합블록(120)을 분해시켜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오거 스크류의 이동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를 필요에 따라 펼쳐짐 동작으로 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거 스크류가 설치된 현장에서 토사의 낙하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거 스크류의 이동 및 필요시에 접힘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수단(350)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전실린더(510)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을 순차적으로 절첩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피를 축소시켜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리더 마스터 110 : 고정블록
120 : 결합블록 130 : 결합볼트
210 : 고정바 220 : 연결바
250 : 연결축 300 : 복수의 안전블레이드
300a,300b,300c,300d...300n : 제1,2,3,4...n안전블레이드
310 : 연결브라켓 350 : 절첩수단
352 : 제1절곡부 354 : 제2절곡부
355 : 스톱퍼편 400 : 결합수단
410 : 연결공 420 : 고정너트
430 : 결합너트 440 : 베어링부재
505 : 고정브라켓 510 : 회전실린더
515 : 로드부재

Claims (5)

  1. 오거 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일측에 연결수단(1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210)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바(21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절첩수단(350)에 의해 펼쳐짐과 접힘이 가능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가 연결축(250)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연결바(220)와;
    상기 연결바(220)의 타단부에 결합수단(400)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절첩수단(35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이 회전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접힘 동작되거나 또는 펼쳐짐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 중 하나를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실린더(510);를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35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일측 테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352)가 형성되고,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타측 테두리에 상기 제1절곡부(352)와 간섭되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35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 중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300a)의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들의 타측 테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의 타방향 회전시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타측 테두리들을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스톱퍼편(355)이 형성되어서,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상측의 안전블레이드의 일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2절곡부(354)가 하측의 안전블레이드의 제1절곡부(352)에 간섭되어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이 펼쳐지도록 동작되고, 상측의 안전블레이드의 타방향 회전 동작시 상기 제1절곡부(352)가 하측에 위치한 안전블레이드의 제2절곡부(354)에 간섭되어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이 접히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는 상기 연결축(250)이 결합되는 일단의 폭보다 타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실린더(510)는 연결바(220)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505)에 실린더 몸체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고,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515)가 최 상단의 제1안전블레이드(300a)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브라켓(505)은 안전블레이드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0)은 상기 오거스크류의 리더 마스터(10) 외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110)과,
    상기 고정바(2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블록(110)에 결합볼트(130)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1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축(250)이 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공(410)과,
    상기 연결축(250)의 높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연결축(250)의 하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20)와,
    상기 연결축(250)과 연결공(4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블레이드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재(440), 및
    상기 복수의 안전블레이드(300)들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축(25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KR1020210085985A 2021-06-30 2021-06-30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KR10232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85A KR102326506B1 (ko) 2021-06-30 2021-06-30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85A KR102326506B1 (ko) 2021-06-30 2021-06-30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506B1 true KR102326506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85A KR102326506B1 (ko) 2021-06-30 2021-06-30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50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259U (ja) * 1995-08-03 1996-02-20 ナスニックス株式会社 窓用日除け
KR100372197B1 (ko) * 2000-09-05 2003-02-14 김보섭 차량 부설용 출몰식 우산
JP2003328350A (ja) * 2002-05-17 2003-11-19 Asahi Kasei Corp 鋼管杭用天幕
JP2004150157A (ja) * 2002-10-31 2004-05-27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雨天時溶接作業用傘
KR100513562B1 (ko) * 2003-10-27 2005-09-09 한동덕 굴착기의 분진방지 및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060012135A (ko) * 2004-08-02 2006-02-07 정웅선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KR100885286B1 (ko) 2008-08-28 2009-02-23 녹우건설(주)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장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KR101529466B1 (ko) * 2013-07-02 2015-06-17 (주)코리콘건설 항타 리바운드 체크 시험시 낙하물 방지장치
KR101665358B1 (ko) 2016-03-23 2016-10-12 이진영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259U (ja) * 1995-08-03 1996-02-20 ナスニックス株式会社 窓用日除け
KR100372197B1 (ko) * 2000-09-05 2003-02-14 김보섭 차량 부설용 출몰식 우산
JP2003328350A (ja) * 2002-05-17 2003-11-19 Asahi Kasei Corp 鋼管杭用天幕
JP2004150157A (ja) * 2002-10-31 2004-05-27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雨天時溶接作業用傘
KR100513562B1 (ko) * 2003-10-27 2005-09-09 한동덕 굴착기의 분진방지 및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060012135A (ko) * 2004-08-02 2006-02-07 정웅선 부채형 접이식 대문 구조체 및 그 개폐 방법
KR100885286B1 (ko) 2008-08-28 2009-02-23 녹우건설(주)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장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KR101529466B1 (ko) * 2013-07-02 2015-06-17 (주)코리콘건설 항타 리바운드 체크 시험시 낙하물 방지장치
KR101665358B1 (ko) 2016-03-23 2016-10-12 이진영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741B1 (ko) 오거 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CN102425372B (zh) 振动钻进式冲挖钻机
EP3236001B1 (en) Excavation assembly for an excavator, in particular hammer boring tool
KR200384053Y1 (ko) 천공장비의 케이싱 구조
KR200390761Y1 (ko) 지반을 굴착하는 오거로드용 오거굴착기에 조립식으로탈부착되는 해머드릴용 감속장치
KR102326506B1 (ko) 리바운드 체크 안전망
KR100885286B1 (ko)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장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KR102538953B1 (ko) 천공기 오거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CN214145354U (zh) 一种复杂高陡边坡的钻孔装置
JP5380064B2 (ja) 杭穴掘削方法及び杭穴掘削ヘッド
KR20150145209A (ko) 바이브레이션 햄머를 이용한 파일의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CN112982400A (zh) 护筒跟进型旋挖钻孔灌注桩钻具
JP7148450B2 (ja) 山岳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作業坑交差部の施工方法
JP3361776B2 (ja) 地中埋設杭の破砕処理装置
KR101469155B1 (ko) 조합형 확경 함마
JPH0516279Y2 (ko)
KR102648556B1 (ko) 오거의 무동력 잔류토사 제거장치
KR101615810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JP4553629B2 (ja) 掘削土飛散防止装置
JP2021070934A (ja) ケリーバ及び回転掘削機
JP7453071B2 (ja) 地盤改良装置及び施工機
JP6611153B1 (ja) 修正掘用バケット及び修正掘工法
KR102160619B1 (ko) 항타 및 회전굴착식으로 시공되는 지반 강화용 기초파일
JP2715275B2 (ja) 掘削工法
KR101299643B1 (ko) 기초공사용 파일공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