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458B1 - 선반의 스캐닝 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의 스캐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458B1
KR101350458B1 KR1020120103887A KR20120103887A KR101350458B1 KR 101350458 B1 KR101350458 B1 KR 101350458B1 KR 1020120103887 A KR1020120103887 A KR 1020120103887A KR 20120103887 A KR20120103887 A KR 20120103887A KR 101350458 B1 KR101350458 B1 KR 10135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elf
horizontal
trigg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우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0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458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ES13741229.2T priority patent/ES2625544T3/es
Priority to AU2013212777A priority patent/AU2013212777B2/en
Priority to EP13741229.2A priority patent/EP2808831B1/en
Priority to CA2862793A priority patent/CA2862793C/en
Priority to US14/375,121 priority patent/US9864883B2/en
Priority to PCT/KR2013/000627 priority patent/WO2013112000A1/ko
Priority to JP2014554664A priority patent/JP5998316B2/ja
Priority to CN201380007039.XA priority patent/CN10410608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458B1/ko
Priority to US15/808,487 priority patent/US100196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Image acquisition using a slot moved over the image; using discrete sensing elements at predetermined points; using automatic curve follow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선반에 설치된 레일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가 소개된다.
이 스캐닝 장치는 선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바디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스캐너와, 바디가 장착되어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 구동유닛과,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과, 수평 구동유닛을 통해 바디의 레일 이동을 제어하고 안테나에서 수신된 스캔정보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의 스캐닝 장치{APPARATUS FOR SCANNING GOODS OF SHELF}
본 발명은 선반의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레일에 대한 직선 및 곡선 이동시, 균형있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는 IC칩과 근거리 RF 무선통신을 통하여 각 물품 및 상품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기술로서, 바코드나 스마트 카드와 비교하여 대상 품목이 이동할 때마다 태그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실시간 갱신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품의 전반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RFID 태그를 물품 및 상품에 부착하여 선반에 보관 및 진열하고 있다.
이와 같이, RFID 태그를 물품 및 상품에 부착하면, 리더기(Reader Unit)를 통해 물품 및 상품의 태그 정보를 읽을 수 있으므로, 선반에 보관된 물품 및 상품의 입출고 물량 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품 및 상품의 개별적인 특성, 제조일자, 유통기한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RFID 태그가 각각 부착된 물품 및 상품을 선반에 보관하는 경우, 다수 종류의 물품 및 상품에 대해, 각각의 태그 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리더기 및 그 리더기와 연결된 안테나가 선반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선반 스캐닝 재고조사 시스템(특허공개공보 10-2003-0047718호)"가 참고될 수 있다.
이 선반 스캐닝 재고조사 시스템은, 선반의 지정된 위치에 선반용 RFID 태그가 부착되고, 각종 자료에 자료용 RFID 태그가 부착되며, 이 자료용 RFID 태그 및 선반용 RFID 태그를 스캐닝하기 위한 휴대용 판독기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자료용 RFID 태그와 선반용 RFID 태그를 스캐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휴대용 판독기를 휴대하여 각각의 선반을 직접 스캐닝해야 하므로, 전체 자료를 스캐닝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허공개공보 10-2003-00477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선반에 대한 안정적인 직선 및 곡선 수평방향 이동을 통해, 선반셀 내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기 위한 선반의 스캐닝 장치로서, 상기 선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스캐너와, 상기 바디가 장착되어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 구동유닛과,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과, 상기 수평 구동유닛을 통해 상기 바디의 레일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스캔정보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리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마련되는 트리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싱 아암은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양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 회동바와,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동바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롤링되는 측부 지지롤러와, 상기 측부 지지롤러를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부 지지롤러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와,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지지롤러는 상기 제 1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와, 상기 제 2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측부 지지롤러가 결합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레일의 하면을 지지되도록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 수동유닛에 장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하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에는 상기 측부 지지롤러가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과, 상기 측부 지지롤러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벽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가드가 돌출 형성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또한, 상기 바디는 수직 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연결바가 착탈가능하게 다단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너는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의 회전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와, 및 상기 안테나를 상기 선반셀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선반셀을 향해 이동되도록 위치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이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부에 슬라이딩 바가 장착되는 슬라이딩 하우징과, 및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이동 가능도록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스캔정보를 수신하여 스캔한 물품의 물품정보 데이터를 리딩하고, 리딩된 상기 물품정보 데이터와 기 등록된 물품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며, 상기 스캐너가 선반셀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작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안테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테나 이동공간이 상기 선반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기 위한 선반의 스캐닝 장치로서, 상기 선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스캐너와, 상기 바디를 상기 선반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유닛과, 상기 바디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양측단에 장착되는 트리거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이동은 상기 트리거의 인식 패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리거의 인식 패턴은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에 의해 구분되어 식별 가능한 형상, 위치, 바코드 및 RFID 태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바디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전환 위치 정보를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에 제공하는 방향 트리거와, 상기 바디가 레일의 곡선 부분으로 진입되는 곡선 위치 정보를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에 제공하는 곡선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트리거 및 상기 곡선 트리거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는 접촉을 통해 상기 방향 트리거를 인식하는 제 1 트리거 감지센서와, 및 접촉을 통해 상기 곡선 트리거를 인식하는 제 2 트리거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레일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경면에는 상기 레일 요철부에 맞물림이 가능한 롤러 요철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반에 대한 직선 및 곡선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선반셀 내 물품에 대한 스캔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반의 레일에 탈부착가능한 트리거를 선반셀의 세로 구분을 위한 세로격자 인식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선반셀 내에서 왕복이동을 통해 선반셀 내 물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반셀의 하부에 형성된 안테나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안테나를 통해, 선반셀 내 보관된 물품을 정밀하게 스캐닝함으로써, 선반 내 음영 지역없이 물품에 대한 높은 스캐닝 인식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리거를 통해 레일의 직선 위치와 곡선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선반에 대한 직선 및 곡선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롤러의 외경면에 레일 요철부에 맞물림이 가능한 레일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사진 레일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따른 수평 구동유닛의 구동롤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트리거 및 트리거 감지센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위치이동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스캐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는, 선반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선반셀 내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레일은 선반의 상측에서 스캐닝 장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선반의 상단부 측에서 선반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레일과, 이 직선레일에 곡률지게 연결되는 곡선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바디(100), 스캐너(200), 수평 구동유닛(300), 밸런싱 아암(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복수의 스캐너(200)가 선반(10)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지지구조물로, 수평 구동유닛(300)을 통해 선반(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바디(100)는 선반(10)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바 형태로 구성된 바디(100)는, 단일의 바 형태로 일체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바가 수직 선상에서 착탈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가 복수의 바로 조립되는 경우, 바디(100)의 전체 길이는 조립되는 바의 개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100)는 한 쌍의 바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스캐너(200)가 복수 층의 선반셀(11)에 매칭 가능한 구조를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바디(10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평 구동유닛(300)은 바디(100)를 선반(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전력선 통신망(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3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4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수평 구동유닛(300)은 제 1 전원 브러쉬(361) 및 제 2 전원 브러쉬(362)를 통해 레일(30)의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1),(4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수평 구동유닛(300)은 전력선 통신망을 통한 전원 공급 이외에도, 소모형 전지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수평 구동유닛(300)은 구동본체(310), 구동모터(320), 구동롤러(330), 하부 지지롤러(340) 및 웨이트(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본체(310)는 메인 플레이트(310a), 메인 플레이트(310a)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지지편(310b), 수직 지지편(310b)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지지편(310c) 및 이들 구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메인 플레이트(310a), 수직 지지편(310b) 및 수평 지지편(310c)은 레일을 일측에서 감싸는 "ㄷ" 형태의 블록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본체(310)는 "ㄷ" 형태의 블록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레일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구동본체(310)의 상부에는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350)와,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는 밸런싱 아암(40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본체(310)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361),(362) 및 하부 지지롤러(3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본체(310)의 전,후방측에는 트리거 감지센서(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 구동본체(310)에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361),(362)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조절하여 구동모터(320) 및 트리거 감지센서(700)에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전자 기기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모터(320)는, 구동본체(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축(321)을 매개로 구동롤러(33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전원 인가시 구동축(32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축(321)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롤러(330)는 레일(30)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구동유닛(300)은 구동롤러(330)의 이동에 의해, 선반(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롤러(330)는, 레일(30)의 레일가드(33)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로, 해당 외주면에 레일가드(33)에 인입되는 가드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레일가드(33)는 구동롤러(330)의 가드홈(331)에 인입될 수 있도록 레일(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구동롤러(33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면서 이동중인 구동롤러(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따른 수평 구동유닛의 구동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레일의 상면에는 레일 요철부(31)가 형성되고, 구동롤러(330)의 외경면에는 레일 요철부(31)에 대응되는 롤러 요철부(33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 요철부(31)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직선형의 웨이브(wave) 형태로 이루어져 선반(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 요철부(332)는 구동롤러(330)의 외경면에 레일 요철부(31)에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레일 요철부(31)의 철(凸)부에 대응되는 요(凹)부와, 레일 요철부(31)의 요(凹)부에 대응되는 철(凸)부로 이루어지며, 이 요(凹)부 및 철(凸)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구동롤러(330)의 외경면에 교호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롤러(3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레일 요철부(31)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레일(30) 이동 중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레일이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 구동롤러의 롤러 요철부(332)는 레일 요철부(31)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수평 구동유닛의 원활한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수평 구동유닛(300)의 하부 지지롤러(340)는, 레일(30)의 하면에 접촉되되, 레일(3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하부 지지롤러(340)는 레일(3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레일(30) 이동시 구동롤러(330)는 레일(3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평 구동유닛(300)의 웨이트(350)는, 스캐닝 장치의 전체적인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량체로, 구성품이 설치되지 아니한 스캐닝 장치의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00), 수평 구동유닛(300), 스캐너(200) 및 컨트롤러(500)가 스캐닝 장치의 일측에 편중되어 설치되는 경우, 웨이트(350)를 스캐닝 장치의 타측에 설치함으로써, 스캐닝 장치의 전체적인 좌,우측 무게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트리거 및 트리거 감지센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의 전,후방측에는 트리거 감지센서(700)가 설치될 수 있고, 레일(30)에 트리거(6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600)는 바디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레일(30)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트리거 감지센서(700)에 의해 구분되어 식별 가능한 형상, 위치, 바코드 및 RFID 태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600)는 선반(10)의 최 우측단 또는 최 좌측단에 위치한 칸막이에 부착되어, 스캔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시작 마크와 종료 마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600)는 바디(10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전환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레일(30)의 직선 부분에서 곡선 부분으로 진입되는 곡선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 트리거(600)는 바디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전환 위치 정보를 트리거 감지센서에 제공하는 방향 트리거(610)와, 바디(100)가 레일(30)의 곡선 부분으로 진입되는 곡선 위치 정보를 트리거 감지센서(700)에 제공하는 곡선 트리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방향 트리거(610) 및 곡선 트리거(620)는 선반에 대한 장착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선반(10)에 대한 장착 높이는 동일하나 해당 길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10)에 대한 장착 높이는 동일하나 해당 길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방향 트리거(610) 및 곡선 트리거(620)를 구성한 경우, 이들 방향 트리거(610) 및 곡선 트리거(620)를 감지하기 위한 트리거 감지센서(700) 또한, 방향 트리거(610) 및 곡선 트리거(620)와 접촉되기 위해, 해당 길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감지센서(700)는 수평 구동유닛(300)의 전,후방측에서 레일(30)을 향해 돌출되는 프로브(probe) 형태로 구성되며, 레일(30)에 위치한 트리거(600)과 접촉을 통해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컨트롤러(500)에 인가할 수 있다.
이 트리거 감지센서(700)는 트리거(600)를 통해 선반(10)의 시작 마크와 종료 마크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트리거(600) 위치에서 스캐닝 장치의 이동이 시작되도록 하거나, 스캐닝 장치의 이동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감지센서(700)는 방향 트리거(610)로부터 바디(10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전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한 쌍의 방향 트리거가 설치된 사이 공간을 왕복하여 이동하거나, 곡선 트리거(620)로부터 레일(30)의 직선 부분에서 곡선 부분으로 진입되는 곡선 위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구동롤러(330)가 레일(30)의 직선 부분에서 곡선 부분으로 진입하는 경우, 구동롤러(330)의 이동속도가 줄어들도록 하여, 수평 구동유닛(300)의 원활한 곡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감지센서(700)는 접촉을 통해 방향 트리거(610)를 인식하는 제 1 트리거 감지센서(700a)와, 접촉을 통해 곡선 트리거(620)를 인식하는 제 2 트리거 감지센서(700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위치이동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은 위치이동수단(120)을 매개로 바디(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위치이동수단(120)은 바디(100)를 선반셀(11)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홀더(121), 슬라이딩 하우징(122) 및 슬라이딩 블록(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121)는 해당 하부가 바디(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해당 상부가 슬라이딩 블록(123)의 가이드홈(122a)에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하우징(122)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해당 내측벽에 홀더(121)의 상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1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상부에 슬라이딩 바(122b)가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23)은 수평 구동유닛(300)의 하부에 마련되고 슬라이딩 바(122b)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선반셀(11)과 바디(100) 또는 선반셀(11)과 스캐너(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바디(100)의 홀더(121)를 슬라이딩 하우징(122)의 가이드홈(122a)을 따라 이동시키면 선반셀(11)과의 거리를 1차 조정할 수 있고, 슬라이딩 블록(123)을 슬라이딩 바(122b)를 따라 이동시키면, 선반셀(11)과의 거리를 2차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싱 아암(400)은 수평 구동유닛(300)의 전,후방측에 위치한 레일(30)에 단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통해, 선반(10)의 레일(30)에 대한 직선 또는 곡선 이동시, 수평 구동유닛(300)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거나, 수평 구동유닛(300)이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30)은 해당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31)과, 돌출벽(3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싱 아암(400)은 회동바(410), 측부 지지롤러(420) 및 탄성스프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회동바(410)는 수평 구동유닛(300)이 전,후방향에 위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일단이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타단에 측부 지지롤러(420)가 돌출벽(31)에 롤링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 지지롤러(420)는 상방향으로 레일턱(32)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평 구동유닛(300)의 이동중 상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바(410)는 수평 구동유닛(300)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410)와, 수평 구동유닛(300)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41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 지지롤러(420)는 제 1 회동바(4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레일(30)의 전방 돌출벽(31)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420a)와, 제 2 회동바(4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30)의 후방 돌출벽(31)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42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430)은 회동바(410)의 타단에 연결되어 텐션을 제공함으로써, 측부 지지롤러(420)를 돌출벽(3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스프링(430)은 회동바(410)의 타단과 웨이트(350) 사이를 연결하여 회동바(410)의 타단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하였으나, 측부 지지롤러(420)를 돌출벽(31)에 밀착시키기 위한 텐션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탄성스프링(430)은 다양한 형태로 회동바(41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회동바(410)의 일단과 구동본체(310) 사이를 연결하는 회동축에 탄성스프링(430)을 설치하여, 회동바(410)의 타단을 돌출벽(31)에 밀착시키는 텐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이 직선레일을 이동하게 되면, 제 1 회동바(410) 및 제 2 회동바(410)의 사이 각도는 구동롤러(33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돌출벽(31)을 따라 롤링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이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로 이동하게 되면,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제 2 회동바(410)의 각도가 커지면서, 수평 구동유닛(300)의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이 곡선레일(30)을 이동하게 되면,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제 1 회동바(410) 및 제 2 회동바(410)의 사이 각도가 변경되면서,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유닛(300)이 곡선레일에서 직선레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회동바(410)는 벌어진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2 회동바(410)의 각도는 작아지면서,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밸런싱 아암(400)의 회동바(410')는 길이 가변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바(410')는 메인 로드(410a)와 이 메인 로드(410a)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로드(410b)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로드(410a)는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본체(3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브 로드(410b)는 메인 로드(410a)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당 단부에 측부 지지롤러(4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구동유닛(300)의 곡선레일(30) 이동시, 회동바(410')의 길이는 곡선레일(30)의 곡률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수평 구동유닛(30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 회동바(410')는 메인 로드(410a)와 이 메인 로드(410a)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로드(410b)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메인 로드(410a)와 서브 로드(410b)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30')이 마련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430')은 메인 로드(410a)와 서브 로드(410b) 사이에 개재되어 측부 지지롤러(420)를 레일(30)의 측부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구동롤러(330)의 곡선레일 이동시, 압축스프링(430')은 메인 로드(401a)와 서브 로드(410b)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됨으로써, 회동바(410')의 길이가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의 스캐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200)는 복수의 안테나(230)를 이용하여 물품(20)에 부착된 무선인식부로부터 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선반(10)의 선반셀(11)에 보관된 물품(20)을 스캐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품(20)의 무선인식부 및 스캐너(200)의 안테나(230))에는, RFID 기반 기술이 적용되는 바, 물품(20)에는 무선인식부로서 RF 태그가 부착되고, 스캐너(200)에는 물품(20)의 RF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230)가 장착된다. 물론, 상기의 RFID 기반 기술 이외에, 무선으로 물품(2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무선 인식 기술이 본 발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캐너(200)는 바디(100)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210)과, 장착브라켓(21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회전편(220)과, 회전편(220)의 회전 단부에 장착되는 안테나(230)와, 회전편(2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브라켓(210)은 한 쌍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100)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제 1 장착브라켓(210)과, 이 제 1 장착브라켓(210)에 수직되게 고정되어 선반셀(11)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장착브라켓(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장착브라켓(210)과 회전편(220) 사이에 연결된 힌지축에는, 회전편(2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미도시)이 권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캐너(200)는 선반셀(11)내 위치한 물품의 상부에 위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선반셀(11)내 위치한 물품(2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스캐너(11)의 수평방향 이동시, 물품(20)과 직접 접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500)는 스캐너(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어하면서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스캔정보로부터 물품(20)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500)는 리더(미도시)를 통해, 복수의 안테나(230)로부터 스캔정보를 수신하여 스캔한 물품(20)의 물품(20) 정보 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리더는 복수의 안테나(230)로부터 수신되는 물품(20)의 RF 태그로부터의 UHF 대역 또는 VHF 대역의 태그 정보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다.
예컨대, 이 컨트롤러(500)는 스캐너(200)를 통한 물품(20)의 스캔시, 선반(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는 위치 태그의 인식 횟수와, 제품의 실제 정보를 갖는 제품 태그의 인식 횟수 중에서 가장 많이 스캔된 위치 태그의 인식 횟수 및 제품 태그의 인식 횟수를 갖는 물품(20)의 위치를 물품(20)의 실제 위치로 선정한 후, 상기 선정된 물품(20)의 위치정보 및 제품정보를 기 등록된 물품(20)의 위치정보 및 제품정보와 비교하여, 선정된 물품(20)과 기 등록된 물품(20)의 위치정보 및 제품정보가 서로 일치되면, 선정된 물품(20)에 대한 물품(20)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선 통신망(PLC)인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1),(42)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361),(362)에 전원이 인가되고, 리더의 부팅과 함께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모터(320)에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수평 구동유닛(300)의 구동롤러(330)는 선반(10)의 레일(30)을 따라 선반(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스캐너(200)는 수평 구동유닛(300)의 이동에 따라 선반셀(11) 내 물품(20)을 스캔할 수 있고, 컨트롤러(500)는 스캐너(200)로부터 인가된 스캔 정보에서, 선반셀(11)의 위치 태그 인식 횟수와 제품의 제품 태그 인식 횟수를 비교 판단하여 물품(20)의 실제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감지센서(700)는 수평 구동유닛(30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트리거(600)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컨트롤러(500)는 트리거 감지센서(700)에서 트리거(600)가 인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수평 구동유닛(300)을 한 쌍의 트리거(600)가 설치된 사이 공간에서 왕복 이동시키거나, 수평 구동유닛(300)의 이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선반셀(11)내 물품(20)에 대한 스캐닝 작업이 완료되면, 전력선 통신망에서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1),(42)을 통한 전원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500)는 작동 과정 중에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필터링하여 무선랜을 통해 송출한 후,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선반(10)에는 안테나 이동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테나 이동공간(12)은 선반(10) 내에서 안테나(2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20)이 보관의 선반셀(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캐너(200)의 이동시, 안테나(230)는 안테나 이동공간(12)을 통해 이동되므로, 안테나(230)와 물품(20)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정확한 스캔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반에 대한 직선 및 곡선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선반셀 내 물품에 대한 스캔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선반의 레일에 탈부착가능한 트리거를 선반셀의 세로 구분을 위한 세로격자 인식수단으로 사용하므로, 선반셀 내에서 왕복이동을 통해 선반셀 내 물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20 :위치이동수단
200 :스캐너 210 :장착브라켓
220 :회전편 230 :안테나
300 :수평 구동유닛 310 :구동본체
320 :구동모터 321 :구동축
330 :구동롤러 340 :하부 지지롤러
350 :웨이트 361 :제 1 전원 브러쉬
362 :제 2 전원 브러쉬 400 :밸런싱 아암
410 :회동바 420 :측부 지지롤러
500 :컨트롤러 600 :트리거
700 :트리거 감지센서

Claims (2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기 위한 선반의 스캐닝 장치로서,
    상기 선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스캐너; 상기 바디가 장착되어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 구동유닛;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 상기 수평 구동유닛을 통해 상기 바디의 레일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스캔정보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바디가 상기 선반셀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장착되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아암은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양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 회동바;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동바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롤링되는 측부 지지롤러; 및 상기 측부 지지롤러를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부 지지롤러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이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부에 슬라이딩 바가 장착되는 슬라이딩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딩 바를 따라 이동 가능도록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리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마련되는 트리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와,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지지롤러는 상기 제 1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와, 상기 제 2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측부 지지롤러가 결합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면을 지지되도록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 수동유닛에 장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하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가 마련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는 상기 측부 지지롤러가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과, 상기 측부 지지롤러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벽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이 형성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가드가 돌출 형성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수직 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연결바가 착탈가능하게 다단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회전편;
    상기 회전편의 회전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상기 선반셀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스캔정보를 수신하여 스캔한 물품의 물품정보 데이터를 리딩하고, 리딩된 상기 물품정보 데이터와 기 등록된 물품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며, 상기 스캐너가 선반셀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안테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테나 이동공간이 상기 선반셀의 하부에 형성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기 위한 선반의 스캐닝 장치로서,
    상기 선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셀 내 물품을 스캐닝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스캐너; 상기 바디를 상기 선반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유닛; 상기 바디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양측단에 장착되는 트리거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이동은 상기 트리거의 인식 패턴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바디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전환 위치 정보를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에 제공하는 방향 트리거; 및 상기 바디가 레일의 곡선 부분으로 진입되는 곡선 위치 정보를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에 제공하는 곡선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트리거 및 상기 곡선 트리거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감지센서는 접촉을 통해 상기 방향 트리거를 인식하는 제 1 트리거 감지센서; 및 접촉을 통해 상기 곡선 트리거를 인식하는 제 2 트리거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레일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경면에는 상기 레일 요철부에 맞물림이 가능한 롤러 요철부에 형성되는 선반의 스캐닝 장치.
KR1020120103887A 2012-01-26 2012-09-19 선반의 스캐닝 장치 KR10135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87A KR101350458B1 (ko) 2012-09-19 2012-09-19 선반의 스캐닝 장치
AU2013212777A AU2013212777B2 (en) 2012-01-26 2013-01-25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EP13741229.2A EP2808831B1 (en) 2012-01-26 2013-01-25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CA2862793A CA2862793C (en) 2012-01-26 2013-01-25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ES13741229.2T ES2625544T3 (es) 2012-01-26 2013-01-25 Escáner, aparato de exploración y método de exploración para un estante
US14/375,121 US9864883B2 (en) 2012-01-26 2013-01-25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PCT/KR2013/000627 WO2013112000A1 (ko) 2012-01-26 2013-01-25 선반의 스캐너, 스캐닝 장치 및 스캐닝 방법
JP2014554664A JP5998316B2 (ja) 2012-01-26 2013-01-25 棚のスキャナー、スキャニング装置及びスキャニング方法
CN201380007039.XA CN104106081B (zh) 2012-01-26 2013-01-25 货架扫描仪、扫描装置及扫描方法
US15/808,487 US10019610B2 (en) 2012-01-26 2017-11-09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87A KR101350458B1 (ko) 2012-09-19 2012-09-19 선반의 스캐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458B1 true KR101350458B1 (ko) 2014-01-10

Family

ID=5014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887A KR101350458B1 (ko) 2012-01-26 2012-09-19 선반의 스캐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3747A1 (en) * 2019-02-01 2022-03-31 Tactracer Co., Ltd. Object Recogni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148A (ja) 2003-02-19 2004-09-09 Okamura Corp 棚に載置した荷の検出装置
JP2006124049A (ja) 2004-10-26 2006-05-18 Hirata Corp ラック検索装置
JP2009242058A (ja) * 2008-03-31 2009-10-22 Taisei Corp 在庫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148A (ja) 2003-02-19 2004-09-09 Okamura Corp 棚に載置した荷の検出装置
JP2006124049A (ja) 2004-10-26 2006-05-18 Hirata Corp ラック検索装置
JP2009242058A (ja) * 2008-03-31 2009-10-22 Taisei Corp 在庫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3747A1 (en) * 2019-02-01 2022-03-31 Tactracer Co., Ltd. Object Recogni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610B2 (en) Scanner,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for a shelf
KR101534481B1 (ko) 자동 안내 대차를 이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
CN110466413A (zh) 用于寄送物的运输车和用于操作运输车的方法
US8274390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switching in a conveyor system
JP6314180B2 (ja) 物品読取装置
KR101350458B1 (ko) 선반의 스캐닝 장치
US11003869B2 (en) Movable read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KR100623532B1 (ko) 극초단파대역의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형 재고조사시스템 및 방법
JP2012062143A (ja) 自動読取装置及びフォークリフトを用いた自動読取システム
KR101349756B1 (ko) 선반의 스캐닝 장치 및 스캐닝 방법
KR101355022B1 (ko) 선반의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1390205B1 (ko) 선반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2000757B1 (ko) 전자태그 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624B1 (ko) 선반의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1340092B1 (ko) 선반의 스캐닝 시스템
KR101349764B1 (ko) 선반의 스캐너 및 스캐너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KR101395063B1 (ko) 케이블형 스캐닝 시스템
KR101349760B1 (ko) 레일 이동식 스캐닝 장치
KR101407374B1 (ko) 박스 검수기 및 검수방법
CN215895617U (zh) 对象物识别装置
KR101395065B1 (ko) 선반의 스캐너 및 스캐닝 장치
CN211812794U (zh) 光纤转运装置
CN211224995U (zh) 一种基于rfid的仓储设备
US20220230032A1 (en) Wireless tag reader and basket device
KR20150008350A (ko) 자동 안내 대차를 이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