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59B1 -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59B1
KR101348359B1 KR1020130125745A KR20130125745A KR101348359B1 KR 101348359 B1 KR101348359 B1 KR 101348359B1 KR 1020130125745 A KR1020130125745 A KR 1020130125745A KR 20130125745 A KR20130125745 A KR 20130125745A KR 101348359 B1 KR101348359 B1 KR 10134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p
tray
camera module
injection nozzl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임회
Original Assignee
구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임회 filed Critical 구임회
Priority to KR102013012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보호캡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장공(52)이 형성된 고정판(50)을 이용하여 트레이(1)에 결합된 보호캡(3)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캡(3)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을 세척할 수 있음으로, 보호캡(3)을 세척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보호캡(3)을 한꺼번에 세척할 수 있어서,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이면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particle of protecting cap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보호캡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카메라나 촬영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에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카메라나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83545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카메라모듈의 랜즈부분에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이 구비된다.
이러한 보호캡은 카메라모듈의 렌즈부분을 덮도록 결합됨으로, 작은 먼지 같은 이물질이 묻어있을 경우 카메라모듈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보호캡을 카메라모듈에 결합하기 전에 보호캡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카메라모듈의 보호캡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았음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보호캡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보호캡은 사이즈가 매우 작아서 작업자가 보호캡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용 봉을 이용하여 보호캡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하나씩 떼어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보호캡은 사이즈가 작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3)이 삽입되는 결합홈(2)이 다수개 형성된 트레이(1)에 결합된 상태로 이송 및 적재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2)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등록특허 제10-0835456호 등록특허 제10-053228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모듈 보호캡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보호캡(3)이 결합된 트레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고정대(2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33)에 의해 전후진되며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1)의 결합홈(2)에 대응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1)의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된 이송대(3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삽입된 보호캡(3)을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이송대(30)의 후방 상측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51)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후방으로 이송된 이송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고정하는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의 상측과 상기 이송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의 상하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공기를 분사하여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트레이세척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5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2)은 이송대(30)에 형성된 고정홈(31)의 열과 대응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의 하측면에는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3)과, 상기 분사노즐(6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하향연장되며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6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64)과, 상기 분사노즐(63)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6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대(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부(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하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3)과, 상기 분사노즐(7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향연장되며 상기 돌부(37)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74)과,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7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액츄에이터(14b)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패널(14)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전방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50)은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장공(52)이 형성된 고정판(50)을 이용하여 트레이(1)에 결합된 보호캡(3)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캡(3)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을 세척할 수 있음으로, 보호캡(3)을 세척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보호캡(3)을 한꺼번에 세척할 수 있어서,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이면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트레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고정판 및 상, 하부 세척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고정판 및 상, 하부세척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호캡(3)은 트레이(1)에 형성된 결합홈(2)에 삽입된 상태로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보호캡(3)이 결합된 트레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고정대(2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33)에 의해 전후진되며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1)의 결합홈(2)에 대응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1)의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된 이송대(3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를 왕복하여 보호캡(3)을 이송하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이송대(30)의 후방 상측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51)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후방으로 이송된 이송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고정하는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의 상측과 상기 이송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의 상하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 하부 세척유닛(60,70)과,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공기를 분사하여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트레이세척유닛(8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의 격판(11)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이 하측의 기계실(12)과, 상측의 작업실(13)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12)의 내부에는 에어컴프레서(12a)와 흡기장치(12b)를 비롯한 다수의 장비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실(13)의 전면에는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보호캡(3)이 결합된 트레이(1)를 작업실(13) 전면의 개구부(13a)를 통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11)의 상면 후측에는 상기 이송대(30)와 고정판(50)을 지지하는 슬라이드패널(14)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은 상기 격판(11)의 상면 후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가이드레일(14a)에 결합되어 액츄에이터(14b)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고정대(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흡기장치(12b)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기공(21)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면에 트레이(1)를 올려놓으면 상기 흡기공(2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트레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고정대(20)는 상기 격판(11)의 상면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2)에 결합되며, 후방에 연결된 액츄에이터(2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대(3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3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츄에이터(3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가이드레일(3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3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하부패널(35)과, 상기 하부패널(35)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35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31)과 관통공(32)이 형성된 이송대본체(3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은 상기 트레이(1)의 결합홈(2)과 같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대본체(36)의 하측면에는 상기 관통공(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돌부(37)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유닛(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작업실(13)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부가이드(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장치(4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및 승강되는 흡착헤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가 전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트레이(1)를 올려놓으면, 상기 이송유닛(40)이 전진 및 승강되어 상기 트레이(1)에 결합된 보호캡(3)을 흡착하여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으로 이송하며, 보호캡(3)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흡착하여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로 이송한다.
이때, 작은 물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흡착헤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판(5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0)에 비해 넓은 사각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하강시 상기 이송대(3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52)이 형성되어, 하강시 상기 이송대(30)에 결합된 보호캡(3)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보호캡(3)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패널(14)에는 지지바(53a)에 의해 상기 고정판(50)의 상면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51)가 고정되는 지지판(53)과, 상기 지지판(53)을 승강가능하게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고정판(50)에 고정되는 승강바(54)와, 상기 지지판(5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바(54)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51)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51)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55)이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51)로 승강판(55)을 승강시키면, 상기 고정판(50)이 승강판(55)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52)은 이송대(30)에 형성된 고정홈(31)의 전후방향 열과 대응되도록, 즉, 상기 이송대(30)에 전후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 보호캡(3)의 상면 중앙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장공(52)의 폭은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의 측방향 폭에 비해 조금 좁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1)가 신축되면 상기 승강판(55)과 고정판(50)이 함께 승강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0)이 하강되어 이송대(30)의 상면을 덮으면, 고정판(50)에 의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의 양측면이 가압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장공(52)을 통해 상기 보호캡(3)의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50)의 상측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62)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하측면에는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3)과, 상기 분사노즐(6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하향연장되며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6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64)과, 상기 분사노즐(63)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6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은 상기 지지판(53)과 승강판(55)에 형성된 개구부(53b,55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50)의 상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14b)는 상기 고정판(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업실(13)의 내부에 고정된 상부지지대(16)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이 승강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63)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서(12a)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통로(65)는 상기 흡기장치(12b)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은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에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30)의 하측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72)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하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3)과, 상기 분사노즐(7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향연장되며 상기 돌부(37)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74)과,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7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은 상기 본체(10)의 기계실(12)에서 상기 격판(11)과 슬라이드패널(14)에 형성된 개구부(11a,14d)를 통해 상기 이송대(3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72)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고정된 하부지지대(17)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이 승강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73)과 배기통로(75)는 상기 에어컴프레서(12a)와 흡기장치(12b)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은 상기 이송대(30)가 상기 고정판(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후퇴되었을 때, 상기 이송대(30)와 고정판(50)의 후단부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격판(11)에 고정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흡기팬(81)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상기 흡기장치(12b)에 연결되는 배기공(82)이 형성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고정대(20)가 후퇴되어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흡기팬(81)이 작동되어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에 고정된 트레이(1)의 상면에 공기를 공급하여 트레이(1)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와 같이 제거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공(82)을 통해 흡기장치(12b)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액츄에이터(14b,23,33,51,62,72)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에어실린더 또는 리드스크류를 이용하여 신축되는 기계식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슬라이드패널(14) 및 이송유닛(40)이 전진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보호캡(3)이 결합된 트레이(1)를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올려놓으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의 흡기공(21)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트레이(1)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40)이 상기 트레이(1)에 고정된 보호캡(3)을 흡입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유닛(40)에 의해 보호캡(3)이 제거된 트레이고정대(2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이 작동되어 트레이(1)를 세척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고정판(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대(30)가 완전히 후퇴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0)이 하강되어 상기 이송대(30)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이송대(30)에 결합된 보호캡(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이 승강되어 상기 누출방지편(64,74)이 상기 관통공(32)과 돌부(37)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63,73)을 통해 상기 보호캡(3)의 상하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되며, 상기 분사노즐(63,73)에서 분사된 공기는 상기 고정판(50)의 장공(52)과 이송대(30)의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된 보호캡(3)의 상하면에 충돌 후 이물질과 함께 상기 배기통로(65,75)로 배출되어,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함께,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패널(14) 전체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된 후 다시 전진되어, 상기 이송대(30)에 결합된 보호캡(3) 전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캡(3)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과 고정판(50)이 상승된 후 상기 이송대(30)가 전진되며, 이와 함께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이 정지된 후 트레이세척유닛(80)이 전진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40)이 상기 이송대(30)에 결합된 보호캡(3)을 흡착한 후 상기 트레이(1)의 결합홈(2)으로 이송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1)를 꺼내고,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새로운 트레이(1)를 설치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트레이(1)에 결합된 보호캡(3)의 세척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장공(52)이 형성된 고정판(50)을 이용하여 트레이(1)에 결합된 보호캡(3)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캡(3)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을 세척할 수 있음으로, 보호캡(3)을 세척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보호캡(3)을 한꺼번에 세척할 수 있어서,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이면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공기를 분사하여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트레이세척유닛(80)이 구비됨으로, 보호캡(3) 뿐 아니라,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어서, 세척이 완료된 보호캡(3)을 트레이(1)에 고정할 때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보호캡(3)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5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2)은 이송대(30)에 형성된 고정홈(31)의 열과 대응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의 하측면에는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3)과, 상기 분사노즐(6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하향연장되며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6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64)과, 상기 분사노즐(63)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65)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부(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하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3)과, 상기 분사노즐(7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향연장되며 상기 돌부(37)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74)과,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7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63,73)로 분사된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배기통로(65,75)를 통해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 보호캡(3)에서 이탈된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세척된 보호캡(3)이 다시 오염되거나, 트레이(1) 또는 기타 다른 부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액츄에이터(14b)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패널(14)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전방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50)은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을 전후진시켜서 이송대(30)에 결합된 보호캡(3)이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에 의해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간략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이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트레이세척유닛(8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고정대(2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트레이고정대(20)를 고정한 상태로 트레이고정대(2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30)와 고정판(50)이 상기 슬라이드패널(14)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이송대(30)를 본체(10)의 격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50)을 상기 격판(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본체 20. 트레이고정대
30. 이송대 40. 이송유닛
50. 고정판 60. 상부 세척유닛
70. 하부 세척유닛 80. 트레이세척유닛

Claims (5)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보호캡(3)이 결합된 트레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고정대(2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33)에 의해 전후진되며 상면에는 상기 보호캡(3)을 거치시키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1)의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된 이송대(30)와,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삽입된 보호캡(3)을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이송대(30)의 후방 상측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51)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후방으로 이송된 이송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을 고정하는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의 상측과 상기 이송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0)의 고정홈(31)에 삽입된 보호캡(3)의 상하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보호캡(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 하부 세척유닛(60,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고정대(20)와 이송대(30)의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레일(22) 상에서 액츄에이터(23)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상기 트레이고정대(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트레이고정대(20)에 고정된 트레이(1)에 공기를 분사하여 트레이(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트레이세척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2)은 이송대(30)에 형성된 고정홈(31)의 열과 대응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세척유닛(60)의 하측면에는
    상기 장공(52)을 통해 보호캡(3)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3)과,
    상기 분사노즐(6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하향연장되며 상기 장공(52)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6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64)과,
    상기 분사노즐(63)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6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부(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척유닛(70)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대(30)의 관통공(32)을 통해 보호캡(3)의 하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3)과,
    상기 분사노즐(73)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향연장되며 상기 돌부(37)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누출방지편(74)과,
    상기 분사노즐(73)에서 분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통로(7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액츄에이터(14b)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패널(14)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전방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50)은 상기 슬라이드패널(14)의 상면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30125745A 2013-10-22 2013-10-22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4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45A KR101348359B1 (ko) 2013-10-22 2013-10-22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45A KR101348359B1 (ko) 2013-10-22 2013-10-22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359B1 true KR101348359B1 (ko) 2014-01-07

Family

ID=5014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745A KR101348359B1 (ko) 2013-10-22 2013-10-22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426B1 (ko) * 2015-12-17 2016-07-05 변재형 카메라 vcm 세척장치
KR102053583B1 (ko) * 2019-06-10 2019-12-06 김석태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KR20210054231A (ko) * 2019-11-05 2021-05-13 김석태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694B2 (ja) 2003-09-17 2007-10-17 三星電子株式会社 携帯用カメラモジュールの微細異物除去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694B2 (ja) 2003-09-17 2007-10-17 三星電子株式会社 携帯用カメラモジュールの微細異物除去装置及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426B1 (ko) * 2015-12-17 2016-07-05 변재형 카메라 vcm 세척장치
KR102053583B1 (ko) * 2019-06-10 2019-12-06 김석태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KR20210054231A (ko) * 2019-11-05 2021-05-13 김석태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KR102288548B1 (ko) * 2019-11-05 2021-08-10 김석태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21944B (zh) 吸嘴管理装置及吸嘴管理方法
KR101479039B1 (ko) 반도체패키지의 비전검사 및 마킹시스템
KR101348359B1 (ko) 카메라모듈 보호캡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12033B1 (ko) 카메라 모듈용 이물질 제거장치
CN106881326B (zh) 用于光学镜头的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CN108237324B (zh) 打标系统
JP2008284413A (ja) パレットの自動脱水装置及び自動洗浄脱水装置
KR101910968B1 (ko) 로봇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KR100930933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에어블로우 시스템
KR20180063686A (ko) 카메라 모듈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53583B1 (ko)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KR100656249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세정장치
KR20110006008U (ko) 반도체 부품들을 위한 먼지 제거 장치
KR102446950B1 (ko) 기판 세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CN116331840A (zh) 刷洗液循环系统及相应的玻璃刷洗设备
KR102304257B1 (ko) 이송 차량 세정 장치
JP745476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1516248B1 (ko) 시편 세척 장치
KR102251630B1 (ko) 자동 롤 세정장치
CN106457316B (zh) 吸嘴清洗机
KR101332631B1 (ko) 워크 테이핑장치
CN102921677B (zh) 电源板刷板除污一体化自动机
KR20220074304A (ko) 웨이퍼용 카세트 클리닝 장치
JP2021062517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TW201511851A (zh) 清潔裝置及清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