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050B1 - 인공치아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050B1
KR101348050B1 KR1020097021627A KR20097021627A KR101348050B1 KR 101348050 B1 KR101348050 B1 KR 101348050B1 KR 1020097021627 A KR1020097021627 A KR 1020097021627A KR 20097021627 A KR20097021627 A KR 20097021627A KR 101348050 B1 KR101348050 B1 KR 10134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entrifugal
cusp
mesial
buc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638A (ko
Inventor
히로카즈 사토
노리유키 네고로
구니히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두정과 와로 대합하는 상하악 인공구치에 있어서, 교합면 상의 접촉시켜야 할 교두정과 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와 접촉 영역을 명확히 함으로써 배열의 조작성이 양호한 인공치아를 제공한다. 협측 교두정·설측 교두정·근심소와·원심소와를 갖는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원심소와를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와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또한, 협측 교두정·설측 교두정·근심소와·원심소와를 갖는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설측 교두정을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와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와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이 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악 제1소구치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과 상기 상악 제1소구치 인공치아의 근심소와가 접촉하도록 했다.
인공치아, 인공구치

Description

인공치아{ARTIFICIAL TEETH}
본 발명은 유상의치(有床義齒)의 제작시에 이용되는 미리 가공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는 유상의치의 제작에 이용되는 인간 치아의 해부학적인 형태로 치과의사 또는 치과기공사에게 미리 제공되는 치관(齒冠) 재료이며, 수 종류의 형태, 크기 및 색조를 가지고, 환자의 결손 상태·치료 방침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유상의치의 일반적인 제작 방법 및 인공치아의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가장 먼저, 환자의 구강 내의 형상을 실리콘 또는 한천, 알긴산 등의 인상재(印象材)를 사용해 채취한 몰드에 석고를 주입해 모형을 제작한다.
제작한 석고모형을 환자의 악(顎)관절을 모방한 경첩을 갖는 교합기라고 불리는 기계에 장착하고, 그 모형 상에서 환자에게 맞춰서 선택된 인공치아를 전체의 밸런스나 상하의 턱의 교합(咬合)을 고려하면서 위치 결정을 실행한 후, 파라핀 왁스로 잇몸 등 주변 조직의 결손부를 형성하여, 납의치(臘義齒)라고 불리는 의치 전체의 원형이 완성된다.
이것을 모형마다 석고로 매몰하고, 왁스를 제거해서 얻어진 석고 몰드에 PMMA 등의 의치상(義齒床)용 레진(resin)을 압입(壓入)하여 중합해 경화시킨 후, 석고 몰드로부터 꺼내서 연마·조정해서 의치가 완성된다.
유상의치는 부분상의치와 총의치로 대별된다. 부분상의치는 천연치아가 일부 잔존해 있는 구강 내의 치근마다 결손된 부분의 기능성·심미성을 보충하는 보철물(補綴物)이며, 총의치는 무치악(無齒顎)이라 불리는 모든 치관 및 치근이 결손된 턱을 보충하는 보철물이다.
건전한 인간의 구강 내에 치아는 보통 28개, 최다 32개가 있는데, 이 치아들이 손실되는 과정과 여러 가지 의치에 의한 치료 방법의 조합이 존재하고, 방대한 수의 증례에 대해 인공치아가 사용되기 때문에, 한정된 종류 중에서 여러 가지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상하악(上下顎)으로 무치악이거나 그에 가까운 규모의 결손이 있는 유(有)치악으로 인공치아끼리 교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하 세트(set)의 인공치아를 사용한다. 이때 원활하게 작업하기 위해서, 인공치아는 미리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교합 관계가 되도록, 또 그것을 간단히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치아 하나하나의 치수 배분을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인공치아가 적어, 시술자가 형태 수정을 하면서 위치 결정을 해야 하므로, 의치 제작에 엄청난 시간과 노동력을 소비해왔다.
특허문헌 1에는 협측 교두(頰側咬頭)가 저작(詛嚼)의 측방 운동시에 서로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형성한 인공구치(臼齒)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상악 구치의 하측 교두가 하악 구치의 와(窩)에 교합 접촉하고, 상악 구치의 와에 하악 구치의 협측 교두가 교합 접촉하는 인공구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하악 구치의 협측 융기가 상악 구치의 열구(裂溝)와 교합하고, 상측 구치의 설측(舌側) 융기가 하악 구치의 세로로 긴 열구와 교합하도록 한 인공구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특허문헌에 기재한 것도, 모든 교두정(咬頭頂)과 소와(小窩)의 3차원적 위치 관계나 접촉 영역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를 간극 없이 배열했다고 해도, 이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에 대합(對合)하는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를 1개씩 교합하도록 위치 결정하려고 하면, 인접하는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가 간섭하거나, 간극이 생기거나 하므로, 몇 번이나 형태 수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29034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17730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374725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교두정과 와로 대합하는 상하악 인공구치에 있어서, 교합면 상의 접촉시켜야 할 교두정과 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와 접촉 영역을 명확히 함으로써 배열의 조작성이 좋은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협측 교두·설측 교두·근심소와(近心小窩)·원심소와(遠心小窩)를 갖는 하악 제1소구치(小臼齒)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원심소와를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近心面), 원심면(遠心面),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比)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협측 교두·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를 갖는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설측 교두정을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와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와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이 접촉하도록 했다.
이 경우, 상기 하악 제1소구치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과 상기 상악 제1소구치 인공치아의 근심소와가 더욱 접촉하도록 했다.
본 발명은 협측 교두·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를 갖는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원심소와를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협측 교두·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를 갖는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설측 교두정을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와 상기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와 상기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이 접촉하도록 했다.
이 경우, 상기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과 상기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소와가 더욱 접촉하도록 했다.
본 발명은 근심 협측 교두·원심 협측 교두·근심 설측 교두·원심 설측 교두·원심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중앙와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大臼齒)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중앙와를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근심 협측 교두·원심 협측 교두·근심 설측 교두·원심 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중앙와를 갖는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근심 설측 교두정을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와 상기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중앙와와 상기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 설측 교두정이 접촉하도록 했다.
이 경우, 상기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 협측 교두정, 원심 협측 교두정, 원심 교두정과, 각각 상기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소와, 중앙와, 원심소와가 더욱 접촉하도록 했다.
본 발명은 근심 협측 교두·원심 협측 교두·근심 설측 교두·원심 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중앙와를 갖는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중앙와를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근심 협측 교두·원심 협측 교두·근심 설측 교두·원심 설측 교두·근심소와·원심소와·중앙와를 갖는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근심 설측 교두정을 원점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및 교두정과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와 상기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중앙와와 상기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 설측 교두정이 접촉하도록 했다.
이 경우, 상기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 협측 교두정, 원심 협측 교두정과, 각각 상기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근심소와, 중앙와가 더욱 접촉하도록 했다.
본 발명은 또한,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와,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와,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와,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각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을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각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을 적절히 설정했다.
본 발명은 또한,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와,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로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지름의 총합을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지름의 총합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인공치아를 의치 제작에 이용함으로써, 배열 작업중 삭합(削合)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일정한 교합 상태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교합 상태가 됨으로써, 의치 장착 후의 교합 조정이 필요한 개소가 의치상용 레진의 중합시 변형 및 교합 채득(採得)의 오차분에서 발생하는 조기 접촉 부위에 한정되기 때문에, 교합 조정에 걸리는 작업 시간이 적고, 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치과의사의 노동력 및 환자의 체력적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의 (a)는 하악 제1소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2의 (a)는 상악 제1소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3은 하악 제1소구치와 상악 제1소구치의 교합면도.
도 4는 하악 제1소구치와 상악 제1소구치의 접촉 상태 단면도.
도 5의 (a)는 하악 제2소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6의 (a)는 상악 제2소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7은 하악 제2소구치와 상악 제2소구치의 교합면도.
도 8은 하악 제2소구치와 상악 제2소구치의 접촉 상태 단면도.
도 9의 (a)는 하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10의 (a)는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11은 하악 제1대구치와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도.
도 12는 하악 제1대구치와 상악 제1대구치의 접촉 상태 단면도.
도 13의 (a)는 하악 제2대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14의 (a)는 상악 제2대구치의 교합면도, (b)는 근심면도, (c)는 원심면도, (d)는 사시도.
도 15는 하악 제2대구치와 상악 제2대구치의 교합면도.
도 16은 하악 제2대구치와 상악 제2대구치의 접촉 상태 단면도.
도 17은 하악 구치열(a)과 상악 구치열(b)의 각 구치의 최대폭 지름을 나타내는 교합면도.
도 18은 상악 구치열과 하악 구치열의 최대폭 지름의 총합을 나타내는 교합면도.
도 19는 상악 구치열과 하악 구치열의 교합 상태를 나타내는 교합면도.
[부호의 설명]
10 하악 제1소구치
11 협측 교두정
12 설측 교두정
13a 근심소와
13b 원심소와
1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1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1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1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20 하악 제2소구치
21 협측 교두정
22 설측 교두정
23a 근심소와
23b 원심소와
2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2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2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2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30 하악 제1대구치
31a 근심 협측 교두정
31b 원심 협측 교두정
31c 원심 교두정
32a 근심 설측 교두정
32b 원심 설측 교두정
33a 근심소와
33b 원심소와
33c 중앙와
3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3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3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3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40 하악 제2대구치
41a 근심 협측 교두정
41b 원심 협측 교두정
42a 근심 설측 교두정
42b 원심 설측 교두정
43a 근심소와
43b 원심소와
43c 중앙와
4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4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4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4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50 상악 제1소구치
51 협측 교두정
52 설측 교두정
53a 근심소와
53b 원심소와
5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5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5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5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60 상악 제2소구치
61 협측 교두정
62 설측 교두정
63a 근심소와
63b 원심소와
6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6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6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6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70 상악 제1대구치
71a 근심 협측 교두정
71b 원심 협측 교두정
72a 근심 설측 교두정
72b 원심 설측 교두정
73a 근심소와
73b 원심소와
73c 중앙와
7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7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7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7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80 상악 제2대구치
81a 근심 협측 교두정
81b 원심 협측 교두정
82a 근심 설측 교두정
82b 원심 설측 교두정
83a 근심소와
83b 원심소와
83c 중앙와
84a 근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소인 점
84b 원심면 상의 X좌표값이 최대인 점
84c 협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대인 점
84d 설측면 상의 Y좌표값이 최소인 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구치와 구치 인공치아의 양쪽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해부학적 특징의 명칭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간의 구치는 입을 벌렸을 때 외관상 눈에 띄는 치아의 상부와 치조골에 박혀 있는 하부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상부를 치관부라고 부르고, 하부를 치근부(齒根部)라고 부른다. 치관부는 4방향으로 비교적 평탄한 측면을 포함한 5면으로 구성된다.
측면 방향에 대해서는 볼의 점막에 접촉하는 쪽을 협측(頰側)이라고 부르고, 혀에 접촉하는 쪽을 설측(舌側)이라고 부르며, 치아의 표면을 각각 협측면, 설측면이라고 부른다. 옆의 치아와 접하는 면을 인접면이라고 부르고, 그 중 앞니에 가까운 쪽을 근심, 먼 쪽을 원심이라고 부르며, 치아의 표면을 각각 근심면, 원심면이라고 부른다.
반대쪽 턱의 대합(對合)하는 치아와 교합(咬合)하는 면은 교합면이라고 불린다. 교합면에는 복잡한 요철이 있고, 이 중 볼록부를 교두(咬頭)라고 부른다. 모든 구치에 있어서 교두는 협측과 설측에 1개 이상 존재하며 각각 협측 교두, 설측 교두라고 부른다. 또한 대구치에는 근심과 원심에 교두가 있으며, 각각의 협측 교두, 설측 교두를 근심 협측 교두, 원심 협측 교두, 근심 설측 교두, 원심 설측 교두라고 부른다. 교두의 가장 돌출한 지점을 교두정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기재 중에서는 위치를 명시하기 위해서 가상의 좌표계를 설정하고, 그 좌표계에 있어서 교두정은 Z좌표값이 최대인 점을 가리킨다.
교합면은 협측 교두정으로부터 근심과 원심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설측 교두정으로부터 근심과 원심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근심에서 2개의 능선이 이어지는 부분과, 원심에서 2개의 능선이 이어지는 부분의 4개의 능선으로 둘러싸인 범위이다. 이 4개의 능선을 교합연(咬合緣)이라고 부르며, 각각 협측 교합연, 설측 교합연, 근심 교합연, 원심 교합연이라고 부른다. 근심 교합연과 원심 교합연의 특히 융기한 부분을 변연융선(邊緣隆線)이라고 부르며, 각각 근심 변연융선, 원심 변연융선이라고 부른다.
교두정과 교두정의 사이는 깊은 홈으로 분단되어 있고, 이것을 열구(裂溝)라 고 부른다. 협측 교두정과 설측 교두정을 분단하는 열구를 중앙구(中央溝)라고 부르고, 대구치에서 근심 협측 교두정과 원심 협측 교두정을 분단하는 열구를 협측구(頰側溝), 근심 설측 교두정과 원심 설측 교두정을 분단하는 열구를 설측구(舌側溝)라고 부른다. 교합면의 교합연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의 중앙구로 분단된 사면을 내사면(內斜面)이라고 부르고, 교합연보다 설측 또는 협측의 사면을 외사면(外斜面)이라고 부른다.
협측 교두정 또는 설측 교두정과 변연융선을 분단하는 열구를 삼각구(三角溝)라고 부른다. 근심 협측, 원심 협측, 근심 설측, 원심 설측에 각 삼각구가 존재한다.
2개 이상의 열구가 합류하는 지점은 깊게 움푹 패여 있는데, 이것을 소와(小窩)라고 부른다.
근심 협측 삼각구, 근심 설측 삼각구와 중앙구의 합류 지점의 소와를 근심소와라고 부른다.
원심 협측 삼각구, 원심 설측 삼각구와 중앙구의 합류 지점의 소와를 원심소와라고 부른다.
단, 하측 제1대구치의 원심소와에 대해서, 아나톰사(社) "일본인 영구치 해부학" 154쪽의 기재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에 한하여, 원심 협측구의 합류 지점을 원심소와로 하고 있다. 이 소와는 불명료하여, 종래 많은 인공치아에서도 특정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다른 모든 부위의 치아는 근·원심의 삼각구와 중앙구의 합류 지점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재에 관해서는 다른 부위의 원심소와 의 정의에 따라서, 원심 삼각구와 중앙구의 합류 지점을 가리켜서 원심소와로 한다.
중앙구와 설측구의 합류 지점을 중앙와(中央窩)라고 부른다.
교두정으로부터 소와에 걸쳐서 선상(線狀)으로 주행하고 있는 융기를 삼각융선(三角隆線)이라고 부른다.
치아의 긴 축을 치축(齒軸)이라 부른다. 치축은 치관의 중앙부에서 치근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선분이지만, 비대칭형인 치아의 중앙을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재 중에서는 근심소와와 원심소와를 잇는 선분을 부위마다 특정한 비율로 분할하는 점과 원심 협측 교두정과 근심 설측 교두정을 잇는 선분을 부위마다 특정한 비율로 분할하는 점을 잇는 선분으로 나타낸다.
치아 외형의 치수표기는 일반적으로 폭 지름과 장축(長軸)과 협설경(頰舌俓)으로 나타낸다. 치아 외형의 치수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치아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한 조건하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수평면의 좌우 방향을 X축, 앞에서부터 안쪽을 향하는 방향을 Y축, 높이 방향을 Z축으로 하는 XYZ-3차원 좌표계의 각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대상물을 둘러쌌을 때의 평면간의 거리의 계측이 가능한 측정대(測定臺)를 준비한다. 이것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3차원 형상계측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간편하게 0.01mm 단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 게이지나 노기스를 3개 준비하고, 책상 등의 수평면상에서 각각 직교시켜 이용해도 좋다.
측정하는 인공치아의 기저면(基底面)에 위치의 미조정(微調整)을 할 수 있도록 연성(軟性) 왁스를 이용하여 임시 부착하고, 조정 후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고정 위치는 교합면을 상면으로 하고, 근심-원심 방향을 X축, 협측-설측 방향을 Y축, 높이 방향을 Z축으로 한다. 이때, 근심소와와 원심소와는 XZ평면에 평행하게 즉, 소와의 위치에 있어서의 Y좌표값은 같고, 치아의 치축이 Z축과 평행해지도록 미조정을 실행한다. 치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재 중에서는 근심소와와 원심소와를 잇는 선분을 부위마다 특정한 비율로 분할하는 점과, 원심 협측 교두정과 근심 설측 교두정을 잇는 선분을 부위마다 특정한 비율로 분할하는 점을 잇는 선분이다.
인공치아 세트라는 것은 1개의 번수(番手)로 치수 표기된 상하악 각 부위의 인공치아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각 인공치아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한 각 수치 범위는, 모두 실제로 제공가능한 치수 정밀도에 근거한 범위이다. 또한 바람직한 범위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는 치수 정밀도에 근거한 범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구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좌측의 구치는 조작성이 통일되므로, 우측과 경상(鏡像)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AD 시스템에 의해 근심-원심 방향이 반전된 형상 모델을 사용한 금형가공 방법 또는 금형가공 데이터 자체를 미러 반전 방법에 의한 금형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
도 1은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근심, 우측면이 원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는 협측 교두정(11)·설측 교두정(12)·근심소와(13a)·원심소와(13b)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원심소와(13b)를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을 29:71로 분할하는 점(M1a)과 협측 교두정(11)과 설측 교두정(12)을 잇는 선분을 47:53으로 분할하는 점(M1b)을 잇는 선분을 치축으로 하고, 이것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13b)와 근심소와(1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1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1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하악 제1소구치(1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1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1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75:25∼85:15이며, 바람직하게는 78:22∼82:18이다.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14c)까지 의 Y축의 거리와,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1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49:51∼59:41이며, 바람직하게는 52:49∼56:44이다.
하악 제1소구치(1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1, 하악 제1소구치(10)의 최대폭 지름을 W1로 한다.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는 최대폭 지름(W1)의 42∼52%이며, 바람직하게는 46∼48%이다.
근심소와(13a)와 협측 교두정(1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의 84∼94%이며, 바람직하게는 88∼90%이다.
근심소와(13a)와 설측 교두정(1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의 66∼76%이며, 바람직하게는 70∼72%이다.
원심소와(13b)와 협측 교두정(1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의 110∼120%이며, 바람직하게는 114∼116%이다.
원심소와(13b)와 설측 교두정(1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의 83∼93%이며, 바람직하게는 87∼89%이다.
협측 교두정(11)과 설측 교두정(1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1)의 88∼98%이며, 바람직하게는 92∼94%이다.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
도 2는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원심, 우측면이 근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는 협측 교두정(51)·설측 교두정(52)·근심소와(53a)·원심소와(53b)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측 교두정(52)을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을 47:53으로 분할하는 점(M5a)과, 협측 교두정(51)과 설측 교두정(52)을 잇는 선분을 55:45로 분할하는 점(M5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53b)와 근심소와(5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5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5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상악 제1소구치(5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5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5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37:63∼47:53이며, 바람직하게는 41:59∼43:57이다.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5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5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79:21∼89:11이며, 바람직하게는 83:17∼85:15이다.
상악 제1소구치(5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5, 상악 제1소구치(50)의 최대폭 지름을 W5로 한다.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는 최대폭 지름(W5)의 36∼46%이며, 바람직하게는 40∼42%이다.
근심소와(53a)와 협측 교두정(5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의 147∼157%이며, 바람직하게는 151∼153%이다.
근심소와(53a)와 설측 교두정(5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의 98∼108%이며, 바람직하게는 102∼104%이다.
원심소와(53b)와 협측 교두정(5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의 134∼144%이며, 바람직하게는 138∼140%이다.
원심소와(53b)와 설측 교두정(5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의 119∼129%이며, 바람직하게는 123∼125%이다.
협측 교두정(51)과 설측 교두정(5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5)의 185∼195%이며, 바람직하게는 189∼191%이다.
<하악 제1소구치 및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3, 도 4는 하악 제1소구치(10) 및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13b)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 중에,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1소구치(10)의 원심소와(13b)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1소구치(50)의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설측 교두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1소구치(10)의 원심소와(13b)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변연융선과 상악 제1소구치(50)의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1소구치(10)의 원심소와(13b)로부터 1.00mm 이내의 설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1소구치(50)의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3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제1소구치(10) 및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 세트는 하악 제1소구치(1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11)으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상악 제1소구치(5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53a)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에서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1소구치(1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11)으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교합연과 상악 제1소구치(5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53a)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변연융선에서 1개소와, 하악 제1소구치(1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11)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교합연과 상악 제1소구치(5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53a)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의 삼각 융선에서 1개소로, 합계 2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
도 5는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근심, 우측면이 원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는 협측 교두정(21)·설측 교두정(22)·근심소와(23a)·원심소와(23b)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원심소와(23b)를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을 21:79로 분할하는 점(M2a)과 협측 교두정(21)과 설측 교두정(22)을 잇는 선분을 40:60으로 분할하는 점(M2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의 X좌표값 < 원심소와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하악 제2소구치(2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2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2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66:34∼76:24이며, 바람직하게는 70:30∼72:28이다.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24c)까지 Y축의 거리와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2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51:49∼61:39이며, 바람직하게는 55:45∼57:43이다.
하악 제2소구치(2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2, 하악 제2소구치(20)의 최대폭 지름을 W2로 한다.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는 최대폭 지름(W2)의 56∼66%이며, 바람직하게는 60∼62%이다.
근심소와(23a)와 협측 교두정(2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의 79∼89%이며, 바람직하게는 83∼85%이다.
근심소와(23a)와 설측 교두정(2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의 88∼98%이며, 바람직하게는 92∼94%이다.
원심소와(23b)와 협측 교두정(2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의 97∼107%이며, 바람직하게는 101∼103%이다.
원심소와(23b)와 설측 교두정(2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의 127∼137%이며, 바람직하게는 131∼133%이다.
협측 교두정(21)과 설측 교두정(2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2)의 126∼136%이며, 바람직하게는 130∼132%이다.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
도 6은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원심, 우측면이 근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는 협측 교두정(61)·설측 교두정(62)·근심소와(63a)·원심소와(63b)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측 교두정(62)을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을 54:46으로 분할하는 점(M6a)과, 협측 교두정(61)과 설측 교두정(62)을 잇는 선분을 53:47로 분할하는 점(M6b)을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Z축에 평행하고, 또한 원심소와(63b)와 근심소와(6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6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6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상악 제2소구치(6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6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6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42:68∼52:58이며, 바람직하게는 46:54∼48:52이다.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6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6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79:21∼89:11이며, 바람직하게는 83:17∼85:15이다.
상악 제2소구치(6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6, 상악 제2소구치(60)의 최대폭 지름을 W6으로 한다.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는 최대폭 지름(W6)의 40∼50%이며, 바람직하게는 44∼46%이다.
근심소와(63a)와 협측 교두정(6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의 150∼160%이며, 바람직하게는 154∼156%이다.
근심소와(63a)와 설측 교두정(6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의 117∼127%이며, 바람직하게는 121∼123%이다.
원심소와(63b)와 협측 교두정(61)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의 142∼132%이며, 바람직하게는 146∼148%이다.
원심소와(63b)와 설측 교두정(6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의 128∼138%이며, 바람직하게는 132∼134%이다.
협측 교두정(61)과 설측 교두정(62)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6)의 204∼214%이며, 바람직하게는 208∼210%이다.
<하악 제2소구치 및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7, 도 8은 하악 제2소구치(20) 및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상악 제2소구치(60) 및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23b)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 중에,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2소구치(20)의 원심소와(23b)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2소구치(60)의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설측 교두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소구치(20)의 원심소와(23b)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변연융선과 상악 제2소구치(60)의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1.00mm 이 내의 원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소구치(20)의 원심소와(23b)로부터 1.00mm 이내의 설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2소구치(60)의 설측 교두정(62)의 근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3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제2소구치(20) 및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21)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 중에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63a)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2소구치(2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21)으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교합연과 상악 제2소구치(6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63a)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변연융선에서 1개소와, 상악 제2소구치(2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21)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교합연과 상악 제2소구치(6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63a)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의 삼각 융선에서 1개소로 합계 2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
도 9는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근심, 우측면이 원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는 근심 협측 교두정(31a)·원심 협측 교두정(31b)·근심 설측 교두정(32a)·원심 설측 교두정(32b)·원심 교두정(31c)·근심소와(33a)·원심소와(33b)·중앙와(33c)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중앙와(33c)를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을 49:51로 분할하는 점(M3a)과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을 54:46으로 분할하는 점(M3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33b)와 근심소와(3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3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3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하악 제1대구치(3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3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3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45:65∼55:45이며, 바람직하게는 49:51∼51:49이다.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3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3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61:39∼71:29이며, 바람직하게는 65:35∼67:33이다.
하악 제1대구치(3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3, 하악 제1대구치(30)의 최대폭 지름을 W3으로 한다.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는 최대폭 지름(W3)의 57∼67%이며, 바람직하게는 61∼63%이다.
근심소와(33a)와 중앙와(3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9∼59%이며, 바람직하게는 53∼55%이다.
근심소와(33a)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6∼56%이며, 바람직하게는 50∼52%이다.
근심소와(33a)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근심소와(33a)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37∼47%이며, 바람직하게는 41∼43%이다.
근심소와(33a)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90∼100%이며, 바람직하게는 94∼96%이다.
근심소와(33a)와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119∼129%이며, 바람직하게는 123∼125%이다.
원심소와(33b)와 중앙와(3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2∼52%이며, 바람직하게는 46∼48%이다.
원심소와(33b)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103∼113%이며, 바람직하게는 107∼109%이다.
원심소와(33b)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66∼76%이며, 바람직하게는 70∼72%이다.
원심소와(33b)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88∼98%이며, 바람직하게는 92∼94%이다.
원심소와(33b)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2∼52%이며, 바람직하게는 46∼48%이다.
원심소와(33b)와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1∼51%이며, 바람직하게는 45∼47%이다.
중앙와(33c)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68∼78%이며, 바람직하게는 72∼74%이다.
중앙와(33c)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52∼62%이며, 바람직하게는 56∼58%이다.
중앙와(33c)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6∼56%이며, 바람직하게는 50∼52%이다.
중앙와(33c)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4∼54%이며, 바람직하게는 48∼50%이다.
중앙와(33c)와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73∼83%이며, 바람직하게는 77∼79%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협측 교두정(3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43∼53%이며, 바람직하게는 47∼49%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근심 설측 교두정(3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106∼116%이며, 바람직하게는 110∼112%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106∼116%이며, 바람직하게는 110∼112%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근심 설측 교두정(3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80∼90%이며, 바람직하게는 84∼86%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81∼91%이며, 바람직하게는 85∼87%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58∼68%이며, 바람직하게는 62∼64%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32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64∼74%이며, 바람직하게는 68∼70%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32a)과 원심 교두정(31c)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115∼125%이며, 바람직하게는 119∼121%이다.
원심 교두정(31c)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3)의 72∼82%이며, 바람직하게는 76∼78%이다.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
도 10은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원심, 우측면이 근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는 근심 협측 교두정(71a)·원심 협측 교두정(71b)·근심 설측 교두정(72a)·원심 설측 교두정(72b)·근심소와(73a)·원심소와(73b)·중앙와(73c)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을 46:54로 분할하는 점(M7a)과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을 58:42로 분할하는 점(M7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73b)와 근심소와(7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7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7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7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 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7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22:78∼32:68이며, 바람직하게는 26:74∼28:72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7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7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76:24∼86:14이며, 바람직하게는 80:20∼82:18이다.
상악 제1대구치(7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7, 상악 제1대구치(70)의 최대폭 지름을 W7로 한다.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는 최대폭 지름(W7)의 57∼67%이며, 바람직하게는 61∼63%이다.
근심소와(73a)와 중앙와(7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37∼47%이며, 바람직하게는 41∼43%이다.
근심소와(73a)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78∼88%이며, 바람직하게는 82∼84%이다.
근심소와(73a)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11∼121%이며, 바람직하게는 115∼117%이다.
근심소와(73a)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51∼61%이며, 바람직하게는 55∼57%이다.
근심소와(73a)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09∼119%이며, 바람직하게는 113∼115%이다.
원심소와(73b)와 중앙와(7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56∼66%이며, 바람직하게는 60∼62%이다.
원심소와(73b)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28∼138%이며, 바람직하게는 132∼134%이다.
원심소와(73b)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68∼78%이며, 바람직하게는 72∼75%이다.
원심소와(73b)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02∼112%이며, 바람직하게는 106∼108%이다.
원심소와(73b)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58∼68%이며, 바람직하게는 62∼64%이다.
중앙와(73c)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82∼92%이며, 바람직하게는 86∼88%이다.
중앙와(73c)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78∼88%이며, 바람직하게는 82∼84%이다.
중앙와(73c)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중앙와(73c)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88∼98%이며, 바람직하게는 92∼94%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원심 협측 교두정(7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90∼100%이며, 바람직하게는 94∼96%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12∼122%이며, 바람직하게는 116∼118%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54∼164%이며, 바람직하게는 158∼160%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25∼135%이며, 바람직하게는 129∼131%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106∼116%이며, 바람직하게는 110∼112%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72a)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7)의 81∼91%이며, 바람직하게는 85∼87%이다.
<하악 제1대구치 및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11, 도 12는 하악 제1대구치(30) 및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하악 제1대구치(30) 및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중앙와(33c)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1대구치(30)의 중앙와(33c)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협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설측 교두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1대구치(30)의 중앙와(33c)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설측 교두의 내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1대 구치(30)의 중앙와(33c)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설측 교두의 내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교합연보다 외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3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제1대구치(30) 및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근심 협측 교두정(31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소와(73a)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중앙와(73c)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1개소의 접촉점을 가지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교두정(31c)으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소와(73b)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1대구치(30)의 근심 협측 교두정(31a)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소와(73a)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중앙와(73c)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근심 협측 교두의 내사면과 원심 협측 교두의 내사면에서 2개소와,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교두정(31c)으로부터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소와(73b)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4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
도 13은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근심, 우측면이 원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는 근심 협측 교두정(41a)·원심 협측 교두정(41b)·근심 설측 교두정(42a)·원심 설측 교두정(42b)·근심소와(43a)·원심소와(43b)·중앙와(43c)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중앙와(43c)를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을 53:47로 분할하는 점(M4a)과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을 57:43으로 분할하는 점(M4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43b)와 근심소와(4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4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4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하악 제2대구치(4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4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 치(4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40:60∼50:50이며, 바람직하게는 44:56∼46:54이다.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4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4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56:44∼66:34이며, 바람직하게는 60:40∼62:38이다.
하악 제2대구치(4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4, 하악 제2대구치(40)의 최대폭 지름을 W4로 한다.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는 최대폭 지름(W4)의 56∼66%이며, 바람직하게는 40∼42%이다.
근심소와(43a)와 중앙와(4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43∼53%이며, 바람직하게는 47∼49%이다.
근심소와(43a)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58∼68%이며, 바람직하게는 62∼64%이다.
근심소와(43a)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98∼108%이며, 바람직하게는 102∼104%이다.
근심소와(43a)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44∼54%이며, 바람직하게는 48∼50%이다.
근심소와(43a)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90∼80%이며, 바람직하게는 94∼96%이다.
원심소와(43b)와 중앙와(4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48∼58%이며, 바람직하게는 52∼54%이다.
원심소와(43b)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102∼112%이며, 바람직하게는 106∼108%이다.
원심소와(43b)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의 46∼56%이며, 바람직하게는 50∼52%이다.
원심소와(43b)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99∼109%이며, 바람직하게는 103∼105%이다.
원심소와(43b)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42∼52%이며, 바람직하게는 46∼48%이다.
중앙와(43c)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중앙와(43c)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64∼74%이며, 바람직하게는 68∼70%이다.
중앙와(43c)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57∼67%이며, 바람직하게는 61∼63%이다.
중앙와(43c)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52∼62%이며, 바람직하게는 56∼58%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협측 교두정(4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74∼84%이며, 바람직하게는 78∼80%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근심 설측 교두정(4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89∼99%이며, 바람직하게는 93∼96%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113∼123%이며, 바람직하게는 117∼119%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41b)과 근심 설측 교두정(4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112∼122%이며, 바람직하게는 116∼118%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41b)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79∼89%이며, 바람직하게는 83∼85%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42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4)의 71∼81%이며, 바람직하게는 75∼77%이다.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
도 14는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면이 원심, 우측면이 근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는 근심 협측 교두정(81a)·원심 협측 교두정(81b)·근심 설측 교두정(82a)·원심 설측 교두정(82b)·근심소와(83a)·원심소와(83b)·중앙와(83c)를 갖는다.
교두정과 소와의 3차원적 위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이 치아의 가상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보았을 경우,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을 78:22로 분할하는 점(M8a)과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을 30:70으로 분할하는 점(M8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원심소와(83b)와 근심소와(8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근심소와(83a)의 X좌표값 > 원심소와(83b)의 X좌표값이 되는 조건으로 배치한다.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84a)까지의 X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84b)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은 32:68∼42:58이며, 바람직하게는 36:64∼38:62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84c)까지의 Y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84d)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은 85:15∼95:5이며, 바람직하게는 89:11∼91:9이다.
상악 제2대구치(80)의 각 교두정과 각 소와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S8, 상악 제2대구치(80)의 최대폭 지름을 W8로 한다.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는 최대폭 지름(W8)의 40∼50%이며, 바람직하게는 44∼46%이다.
근심소와(83a)와 중앙와(8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42∼52%이며, 바람직하게는 46∼48%이다.
근심소와(83a)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58∼68%이며, 바람직하게는 62∼64%이다.
근심소와(83a)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01∼111%이며, 바람직하게는 105∼107%이다.
근심소와(83a)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65∼75%이며, 바람직하게는 69∼71%이다.
근심소와(83a)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02∼112%이며, 바람직하게는 106∼108%이다.
원심소와(83b)와 중앙와(83c)를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49∼59%이며, 바람직하게는 53∼55%이다.
원심소와(83b)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03∼113%이며, 바람직하게는 107∼109%이다.
원심소와(83b)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37∼47%이며, 바람직하게는 41∼43%이다.
원심소와(83b)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94∼104%이며, 바람직하게는 98∼100%이다.
원심소와(83b)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46∼56%이며, 바람직하게는 50∼52%이다.
중앙와(83c)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중앙와(83c)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65∼75%이며, 바람직하게는 69∼71%이다.
중앙와(83c)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68∼78%이며, 바람직하게는 72∼74%이다.
중앙와(83c)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68∼78%이며, 바람직하게는 72∼74%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원심 협측 교두정(81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85∼95%이며, 바람직하게는 88∼90%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02∼112%이며, 바람직하게는 106∼108%이다.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22∼132%이며, 바람직하게는 126∼128%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107∼117%이며, 바람직하게는 111∼113%이다.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70∼80%이며,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근심 설측 교두정(82a)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을 잇는 선분의 거리는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의 거리(S8)의 65∼75%이며, 바람직하게는 69∼71%이다.
<하악 제2대구치 및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15, 도 16은 하악 제2대구치(40) 및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하악 제2대구치(40) 및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2대구 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설측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근심 설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원심 설측 교두 내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3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제2대구치(40) 및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근심 협측 교두정(41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소와(83a)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1개소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의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중앙와(83c)로부터 1.50mm 이내의 교합면과 1개소의 접촉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악 제2대구치(40)의 근심 협측 교두정(41a)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소와(83a)로부터 1.00mm 이내의 협측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중앙와(83c)로부터 1.00mm 이내의 근심 협측 교두 내사면에서 1개소와,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으로부터 반경 1.00mm 이내의 외사면과 상악 제2대구치(80)의 중앙와(83c)로부터 1.00mm 이내의 원심 협측 교두 내사면에서 1개소로, 합계 3개소이다.
이로써 접촉점이 교합면의 작은 영역에 발생하기 때문에,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17(a)는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이 원심, 우측이 근심, 상면이 설측, 하면이 협측이다.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는 하악 제1소구치(10), 하악 제2소구치(20), 하악 제1대구치(30), 및 하악 제2대구치(40)의 각 인공치아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2)은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1)의 102∼112%이다.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3)은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1)의 144∼154%이다.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4)은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1)의 125∼135%이다.
상기 4개의 치아의 최대폭 지름 W1, W2, W3, W4의 총합은 28.0mm∼38mm이다.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17(b)는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이 원심, 우측이 근심, 상면이 협측, 하면이 설측이다.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는 상악 제1소구치(50), 상악 제2소구치(60), 상악 제1대구치(70), 상악 제2대구치(80)의 각 인공치아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6)은 상기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5)의 85∼95%이다.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7)은 상기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5)의 128∼138%이다.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8)은 상기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W5)의 163∼173%이다.
상기 4개의 치아의 최대폭 지름 W5, W6, W7, W8의 총합은 26.0mm∼36mm이다.
<하악 구치와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도 18은 하악 구치와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이 원심, 우측이 근심, 상면이 협측, 중앙이 설측, 하면이 협측이다.
하악 구치와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는 하악 구치(10, 20, 30, 40)의 인공치아 세트와, 상악 구치(50, 60, 70, 80)의 인공치아 세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악 구치(50, 60, 70, 80)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지름 W5, W6, W7, W8의 총합 SW2는 상기 하악 구치(10, 20, 30, 40)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지름 W1, W2, W3, W4의 총합 SW1의 92∼102%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인공치아에 이용되는 재료는 장석, 석영, 실리카 등의 세 라믹 재료, 또는 MMA, UDMA, EDMA, Bis-GMA 등의 레진 성분과 유기 또는 무기의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복합 레진(composite resin)이나, 아크릴 레진 등 치과 업계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레진 재료로부터 적당히 선택된다.
또,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에나멜층용과 상아질용의 2색 이상의 색조가 다른 재료를 사용해서 복수층으로 나누어 적층하고,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은 전술한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고, 2개의 다른 재료로 색조를 바꾼 것을 준비하여 조합해서 성형하거나, 혹은 같은 재질로 색조를 바꾼 것을 준비해서 이용해도 좋다.
성형법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사출 압축 성형의 방법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인공치아 세트는 각 인공치아의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방위, 원점으로부터 근심면, 원심면, 협측면, 설측면까지의 거리비, 교두와 소와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고, 하악 인공치아와 상악 인공치아의 소와와 교두의 교합 접촉 관계, 각 인공치아의 최대폭 지름,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에 대한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지름의 총합을 적절히 설정했다. 이 때문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고 모형 상에서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를 간극 없이 배열하고, 이 하악 구치의 인공치아에 상악 구치의 대합 인공치아를 1개씩 교합하도록 위치 결정하면, 인접하는 상악 구치의 인공치아가 간섭하거나, 간극이 생기거나 할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인공치아 세트에 의하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일정한 교합 상태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고, 의치 장착 후의 교합 조정의 작업량이 적어진 다.
본 발명은 보철 치과 치료로 제작되는 유상의치에 사용되는 인공치아에 관한 것으로, 치과기공사가 의치를 제작할 때 이용되는 것이다.
인공치아는 의료용구이며, 복수의 형태와 크기 및 색조를 갖는 것이 제공되고, 그 중에서 적당히 이용할 수 있는 인공치아를 기공사나 치과의사가 선택해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교육용으로서 인공치아 배열이나 교합 조정 등의 학생실습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하악(下顎) 제1소구치(小臼齒)(10)의 인공치아와 상악(上顎)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세트에 있어서,
    (Ⅰ) 협측 교두정(頰側咬頭頂)(11)·설측 교두정(舌側咬頭頂)(12)·근심소와(近心小窩)(13a)·원심소와(遠心小窩)(13b)를 갖는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원심소와(13b)를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를 잇는 선분을 29:71로 내분하는 점(M1a)과 협측 교두정(11)과 설측 교두정(12)을 잇는 선분을 47:53으로 내분하는 점(M1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13b)와 근심소와(1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1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13b)의 X좌표값보다 작아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근심면(14a)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원심면(14b)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75:25∼85:15이고,
    c)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협측면(1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원심소와(13b)로부터 치아의 설측면(1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49:51∼59:41이고,
    d)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가 치아(10)의 최대폭 지름(W1)의 42∼52%이고,
    e1) 근심소와(13a)와 협측 교두정(11)의 거리가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의 84∼94%이고,
    e2) 근심소와(13a)와 설측 교두정(12)의 거리가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의 66∼76%이고,
    f1) 원심소와(13b)와 협측 교두정(11)의 거리가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의 110∼120%이고,
    f2) 원심소와(13b)와 설측 교두정(12)의 거리가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의 83∼93%이고,
    g) 협측 교두정(11)과 설측 교두정(12)의 거리가 근심소와(13a)와 원심소와(13b)의 거리(S1)의 88∼98%이고,
    (Ⅱ) 협측 교두정(51)·설측 교두정(52)·근심소와(53a)·원심소와(53b)를 갖는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설측 교두정(52)을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를 잇는 선분을 47:53으로 내분하는 점(M5a)과 협측 교두정(51)과 설측 교두정(52)을 잇는 선분을 55:45로 내분하는 점(M5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53b)와 근심소와(5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5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53b)의 X좌표값보다 커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54a)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54b)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37:63∼47:53이고,
    c)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5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5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의 비율이 21:79∼11:89이고,
    d)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가 치아(50)의 최대폭 지름(W5)의 36∼46%이고,
    e1) 근심소와(53a)와 협측 교두정(51)의 거리가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의 147∼157%이고,
    e2) 근심소와(53a)와 설측 교두정(52)의 거리가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의 98∼108%이고,
    f1) 원심소와(53b)와 협측 교두정(51)의 거리가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의 134∼144%이고,
    f2) 원심소와(53b)와 설측 교두정(52)의 거리가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의 119∼129%이고,
    g) 협측 교두정(51)과 설측 교두정(52)의 거리가 근심소와(53a)와 원심소와(53b)의 거리(S5)의 185∼195%이고,
    또한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13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52)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11)의 주위에 있는 협측 교두정 외사면과 상악 제1소구치(5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53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의 협측 내사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13b)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52)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1소구치(1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11)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협측 교두정 외사면이 있고, 상악 제1소구치(5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53a)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의 협측 내사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 세트.
  3.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Ⅰ) 협측 교두정(21)·설측 교두정(22)·근심소와(23a)·원심소와(23b)를 갖는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원심소와(23b)를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을 21:79로 내분하는 점(M2a)과 협측 교두정(21)과 설측 교두정(22)을 잇는 선분을 40:60으로 내분하는 점(M2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2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23b)의 X좌표값보다 작아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근심면(24a)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원심면(24b)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66:34∼76:24이고,
    c)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협측면(2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 Y축의 거리와 원심소와(23b)로부터 치아의 설측면(2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51:49∼61:39이고,
    d)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가 치아(20)의 최대폭 지름의 56∼66%이며,
    e1) 근심소와(23a)와 협측 교두정(21)의 거리가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의 79∼89%이고,
    e2) 근심소와(23a)와 설측 교두정(22)의 거리가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의 88∼98%이고,
    f1) 원심소와(23b)와 협측 교두정(21)의 거리가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의 97∼107%이고,
    f2) 원심소와(23b)와 설측 교두정(22)의 거리가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의 127∼137%이고,
    g) 협측 교두정(21)과 설측 교두정(22)의 거리가 근심소와(23a)와 원심소와(23b)의 거리(S2)의 126∼136%이고,
    (Ⅱ) 협측 교두정(61)·설측 교두정(62)·근심소와(63a)·원심소와(63b)를 갖는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설측 교두정(62)을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를 잇는 선분을 54:46으로 내분하는 점(M6a)과 협측 교두정(61)과 설측 교두정(62)을 잇는 선분을 53:47로 내분하는 점(M6b)을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63b)와 근심소와(6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6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63b)의 X좌표값보다 커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64a)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64b)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42:68∼52:58이고,
    c)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6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 Y축의 거리와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6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79:21∼89:11이고,
    d)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가 치아(60)의 최대폭 지름의 40∼50%이고,
    e1) 근심소와(63a)와 협측 교두정(61)의 거리가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의 150∼160%이고,
    e2) 근심소와(63a)와 설측 교두정(62)의 거리가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의 117∼127%이고,
    f1) 원심소와(63b)와 협측 교두정(61)의 거리가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의 142∼132%이고,
    f2) 원심소와(63b)와 설측 교두정(62)의 거리가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의 128∼138%이고,
    g) 협측 교두정(61)과 설측 교두정(62)의 거리가 근심소와(63a)와 원심소와(63b)의 거리(S6)의 204∼214%이고,
    또한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23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62)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21)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63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의 원심소와(23b)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의 설측 교두정(62)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2소구치(20) 인공치아의 협측 교두정(21)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소구치(60) 인공치아의 근심소와(63a)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것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2소구치(20) 및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 세트.
  5.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의 세트에 있어서,
    (Ⅰ) 근심 협측 교두정(31a)·원심 협측 교두정(31b)·근심 설측 교두정(32a)·원심 설측 교두정(32b)·원심 교두정(31c)·근심소와(33a)·원심소와(33b)·중앙와(33c)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중앙와(33c)를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를 잇는 선분을 49:51로 내분하는 점(M3a)과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을 잇는 선분을 54:46으로 내분하는 점(M3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33b)와 근심소와(3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3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33b)의 X좌표값보다 작아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근심면(34a)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원심면(34b)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45:65∼55:45이고,
    c)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협측면(3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중앙와(33c)로부터 치아의 설측면(3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61:39∼71:29이고,
    d)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가 치아(30)의 최대폭 지름(W3)의 57∼67%이고,
    e1) 근심소와(33a)와 중앙와(33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9∼59%이고,
    e2) 근심소와(33a)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6∼56%이고,
    e3) 근심소와(33a)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70∼80%이고,
    e4) 근심소와(33a)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37∼47%이고,
    e5) 근심소와(33a)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90∼100%이고,
    e6) 근심소와(33a)와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119∼129%이고,
    e7) 원심소와(33b)와 중앙와(33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2∼52%이고,
    f1) 원심소와(33b)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103∼113%이고,
    f2) 원심소와(33b)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66∼76%이고,
    f3) 원심소와(33b)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88∼98%이고,
    f4) 원심소와(33b)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2∼52%이고,
    f5) 원심소와(33b)와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1∼51%이고,
    g1) 중앙와(33c)와 근심 협측 교두정(31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68∼78%이고,
    g2) 중앙와(33c)와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52∼62%이고,
    g3) 중앙와(33c)와 근심 설측 교두정(32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6∼56%이고,
    g4) 중앙와(33c)와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4∼54%이고,
    g5) 중앙와(33c)와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73∼83%이고,
    h1)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43∼53%이고,
    h2)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근심 설측 교두정(32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70∼80%이고,
    h3)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106∼116%이고,
    h4) 근심 협측 교두정(31a)과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106∼116%이고,
    i1)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근심 설측 교두정(32a)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80∼90%이고,
    i2)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81∼91%이고,
    i3) 원심 협측 교두정(31b)과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58∼68%이고,
    j1) 근심 설측 교두정(32a)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64∼74%이고,
    j2) 근심 설측 교두정(32a)과 원심 교두정(31c)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115∼125%이고,
    k) 원심 교두정(31c)과 원심 설측 교두정(32b)의 거리가 근심소와(33a)와 원심소와(33b)의 거리(S3)의 72∼82%이고,
    (Ⅱ) 근심 협측 교두정(71a)·원심 협측 교두정(71b)·근심 설측 교두정(72a)·원심 설측 교두정(72b)·근심소와(73a)·원심소와(73b)·중앙와(73c)를 갖는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을 46:54로 내분하는 점(M7a)과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을 잇는 선분을 58:42로 내분하는 점(M7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73b)와 근심소와(7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7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73b)의 X좌표값보다 커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74a)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74b)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22:78∼32:68이고,
    c)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7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7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76:24∼86:14이고,
    d)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가 치아(70)의 최대폭 지름(W7)의 57∼67%이고,
    e1) 근심소와(73a)와 중앙와(73c)를 잇는 선분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의 37∼47%이고,
    e2) 근심소와(73a)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을 잇는 선분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를 잇는 선분의 거리의 78∼88%이고,
    e3) 근심소와(73a)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11∼121%이고,
    e4) 근심소와(73a)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51∼61%이고,
    e5) 근심소와(73a)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09∼119%이고,
    f1) 원심소와(73b)와 중앙와(73c)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56∼66%이고,
    f2) 원심소와(73b)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28∼138%이고,
    f3) 원심소와(73b)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68∼78%이고,
    f4) 원심소와(73b)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02∼112%이고,
    f5) 원심소와(73b)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58∼68%이고,
    g1) 중앙와(73c)와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82∼92%이고,
    g2) 중앙와(73c)와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78∼88%이고,
    g3) 중앙와(73c)와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70∼80%이고,
    g4) 중앙와(73c)와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88∼98%이고,
    h1)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90∼100%이고,
    h2)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12∼122%이고,
    h3) 근심 협측 교두정(71a)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54∼164%이고,
    i1)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25∼135%이고,
    i2) 원심 협측 교두정(71b)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106∼116%이고,
    j) 근심 설측 교두정(72a)과 원심 설측 교두정(72b)의 거리가 근심소와(73a)와 원심소와(73b)의 거리(S7)의 81∼91%이고,
    또한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의 중앙와(33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근심 협측 교두정(31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내사면 중 근심소와(73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내사면 중 중앙와(73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내사면 중 중앙와(73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교두정(31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내사면 중 원심소와(73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1대구치(30) 및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 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의 중앙와(33c)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의 근심 설측 교두정(72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근심 협측 교두정(31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내사면 중 근심소와(73a)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근심 협측 교두정(71a)의 내사면 중 중앙와(73c)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협측 교두정(3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내사면 중 중앙와(73c)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1대구치(30)의 원심 교두정(31c)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1대구치(70)의 원심 협측 교두정(71b)의 내사면 중 원심소와(73b)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1대구치(30) 및 상악 제1대구치(70) 인공치아 세트.
  7.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에 있어서,
    (Ⅰ) 근심 협측 교두정(41a)·원심 협측 교두정(41b)·근심 설측 교두정(42a)·원심 설측 교두정(42b)·근심소와(43a)·원심소와(43b)·중앙와(43c)를 갖는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중앙와(43c)를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를 잇는 선분을 53:47로 내분하는 점(M4a)과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을 잇는 선분을 57:43으로 내분하는 점(M4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43b)와 근심소와(4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4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43b)의 X좌표값보다 작아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근심면(44a)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원심면(44b)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40:60∼50:50이고,
    c)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협측면(4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중앙와(43c)로부터 치아의 설측면(44b)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56:44∼66:34이고,
    d)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가 치아(40)의 최대폭 지름(W4)의 56∼66%이고,
    e1) 근심소와(43a)와 중앙와(43c)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43∼53%이고,
    e2) 근심소와(43a)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58∼68%이고,
    e3) 근심소와(43a)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98∼108%이고,
    e4) 근심소와(43a)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44∼54%이고,
    e5) 근심소와(43a)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90∼80%이고,
    f1) 원심소와(43b)와 중앙와(43c)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48∼58%이고,
    f2) 원심소와(43b)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102∼112%이고,
    f3) 원심소와(43b)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46∼56%이고,
    f4) 원심소와(43b)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99∼109%이고,
    f5) 원심소와(43b)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42∼52%이고,
    g1) 중앙와(43c)와 근심 협측 교두정(41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70∼80%이고,
    g2) 중앙와(43c)와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64∼74%이고,
    g3) 중앙와(43c)와 근심 설측 교두정(42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57∼67%이고,
    g4) 중앙와(43c)와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52∼62%이고,
    h1)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74∼84%이고,
    h2)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근심 설측 교두정(42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89∼99%이고,
    h3) 근심 협측 교두정(41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113∼123%이고,
    i1) 원심 협측 교두정(41b)과 근심 설측 교두정(42a)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112∼122%이고,
    i2) 원심 협측 교두정(41b)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79∼89%이고,
    j) 근심 설측 교두정(42a)과 원심 설측 교두정(42b)의 거리가 근심소와(43a)와 원심소와(43b)의 거리(S4)의 71∼81%이고,
    (Ⅱ) 근심 협측 교두정(81a)·원심 협측 교두정(81b)·근심 설측 교두정(82a)·원심 설측 교두정(82b)·근심소와(83a)·원심소와(83b)·중앙와(83c)를 갖는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에 있어서,
    a)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이 치아의 XYZ-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하고, (ⅰ)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를 잇는 선분을 78:22로 내분하는 점(M8a)과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을 잇는 선분을 30:70로 내분하는 점(M8b)을 잇는 선분이 Z축에 평행하고, (ⅱ) 원심소와(83b)와 근심소와(83a)를 잇는 선분이 XYZ-직교 좌표계의 XZ평면과 평행하고, (ⅲ) 근심소와(83a)의 X좌표값이 원심소와(83b)의 X좌표값보다 커지는 조건으로 배치했을 때,
    b)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근심면(84a)까지의 X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원심면(84b)까지의 X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X축의 거리 비율이 32:68∼42:58이고,
    c)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협측면(84c)까지의 Y좌표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치아의 설측면(84d)까지의 Y좌표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까지의 Y축의 거리 비율이 85:15∼95:5이고,
    d)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가 치아(80)의 최대폭 지름(W8)의 40∼50%이고,
    el) 근심소와(83a)와 중앙와(83c)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42∼52%이고,
    e2) 근심소와(83a)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58∼68%이고,
    e3) 근심소와(83a)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01∼111%이고,
    e4) 근심소와(83a)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65∼75%이고,
    e5) 근심소와(83a)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02∼112%이고,
    f1) 원심소와(83b)와 중앙와(83c)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49∼59%이고,
    f2) 원심소와(83b)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03∼113%이고,
    f3) 원심소와(83b)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37∼47%이고,
    f4) 원심소와(83b)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94∼104%이고,
    f5) 원심소와(83b)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46∼56%이고,
    g1) 중앙와(83c)와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70∼80%이고,
    g2) 중앙와(83c)와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65∼75%이고,
    g3) 중앙와(83c)와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68∼78%이고,
    g4) 중앙와(83c)와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68∼78%이고,
    h1)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85∼95%이고,
    h2)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02∼112%이고,
    h3) 근심 협측 교두정(81a)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22∼132%이고,
    i1)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107∼117%이고,
    i2) 원심 협측 교두정(81b)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70∼80%이고,
    j) 근심 설측 교두정(82a)과 원심 설측 교두정(82b)의 거리가 근심소와(83a)와 원심소와(83b)의 거리(S8)의 65∼75%이고,
    또한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근심 협측 교두정(41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내사면 중 근심소와(83a)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내사면 중 중앙와(83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이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내사면 중 중앙와(83c)의 주위에 있는 교합면과 적어도 1개소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2대구치(40) 및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중앙와(43c)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설측 교두정(82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근심 협측 교두정(1a)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내사면 중 근심소와(83a)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근심 협측 교두정(81a)의 내사면 중 중앙와(83c)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고,
    상기 하악 제2대구치(40)의 원심 협측 교두정(41b)으로부터 반경 1.50mm 이내에 교합면이 있고, 상기 상악 제2대구치(80)의 원심 협측 교두정(81b)의 내사면 중 중앙와(83c)로부터 1.50mm 이내에 상기 교합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 제2대구치(40) 및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 세트.
  9. 청구항 1에 기재된 하악 제1소구치(1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소구치(50)의 인공치아의 세트와,
    청구항 3에 기재된 하악 제2소구치(2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소구치(60)의 인공치아의 세트와,
    청구항 5에 기재된 하악 제1대구치(3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1대구치(70)의 인공치아의 세트와,
    청구항 7에 기재된 하악 제2대구치(40)의 인공치아와 상악 제2대구치(80)의 인공치아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우측 또는 이것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구치 및 상악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102 내지 112%이며,
    상기 하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144 내지 154%이며,
    상기 하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하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125 내지 135%이며,
    상기 하악 제1소구치, 상기 하악 제2소구치, 상기 하악 제1대구치, 상기 하악 제2대구치를 포함한 4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총합이 28.Omm 내지 38mm이며,
    상기 상악 제2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85 내지 95%이며,
    상기 상악 제1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128 내지 138%이며,
    상기 상악 제2대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이 상기 상악 제1소구치의 인공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163 내지 173%이며,
    상기 상악 제1소구치, 상기 상악 제2소구치, 상기 상악 제1대구치, 상기 상악 제2대구치를 포함한 4치아의 최대폭 직경의 총합이 26.0mm 내지 3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우측 또는 이것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구치 및 상악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악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직경의 총합이 상기 하악구치의 인공치아 세트의 최대폭 직경의 총합의 92 내지 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측 또는 이것에 대칭한 좌측의 하악구치 및 상악구치의 인공치아 세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97021627A 2007-04-18 2007-04-18 인공치아 KR101348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423 WO2008129673A1 (ja) 2007-04-18 2007-04-18 人工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638A KR20100015638A (ko) 2010-02-12
KR101348050B1 true KR101348050B1 (ko) 2014-01-03

Family

ID=3987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27A KR101348050B1 (ko) 2007-04-18 2007-04-18 인공치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3669B2 (ko)
JP (1) JP5231398B2 (ko)
KR (1) KR101348050B1 (ko)
CN (1) CN101677846B (ko)
DE (1) DE112007003461B4 (ko)
WO (1) WO200812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8404B2 (en) * 2007-10-01 2012-03-06 Kabushiki Kaisha Shofu Artificial teeth easily enabling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US20110282248A1 (en) 2010-03-04 2011-11-17 Martin Ruth E Portable high frequency air pulse delivery device
KR101118721B1 (ko) * 2010-04-12 2012-03-12 정제교 구강 내 천공 술식을 위한 장치물의 가공장치, 가공방법 및 구강 내 천공 술식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
DE102010063124A1 (de) * 2010-12-15 2012-06-21 Sirona Dental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virtuellen 3D-Models mittels eines virtuellen Werkzeugs
WO2013007397A2 (de) * 2011-07-14 2013-01-17 Wolfgang Arnold "Zähne & Kultur" Zahnersatz
JP6259810B2 (ja) 2012-03-29 2018-01-10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口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135875A (ja) * 2013-02-25 2013-07-11 Shofu Inc 人工歯
KR101485000B1 (ko) * 2014-01-16 2015-01-21 (주) 이피덴트 교합만곡을 만족하는 4개의 구치를 구비하는 인공치아
KR101666982B1 (ko) * 2014-12-31 2016-10-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RU2606275C2 (ru) * 2015-05-07 2017-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Ом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технологии моделирования микрорельефа окклюзион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зуба
CN111317588B (zh) * 2015-06-09 2021-12-10 郑牧之 和固定义齿一样牢固的活动义齿及其装卸方法
EP3386460B1 (en) 2015-12-09 2021-02-03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Oral device
USD838368S1 (en) 2015-12-09 2019-01-15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Oral device
RU2612827C1 (ru) * 2016-02-16 2017-03-13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Ом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ронковой части многокорневого зуба
RU2618950C1 (ru) * 2016-05-05 2017-05-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Ом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ронковой части многокорневых зубов на основе модульных технологий
WO2018159507A1 (ja) * 2017-02-28 2018-09-07 三井化学株式会社 義歯床及びその製造方法、人工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有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720955A (zh) * 2018-05-17 2018-11-02 宁波蓝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点扫描用于牙齿咬合数据补偿的方法
CN110811873B (zh) * 2019-11-28 2021-07-06 四川大学 一种数字化磨牙咬合面龋齿修复方法
CN111973293B (zh) * 2020-07-24 2021-09-14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铸瓷牙贴面制作方法
CN115120372B (zh) * 2022-05-25 2023-04-14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三维修复体形态和位置确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294A (ja) * 1994-10-19 1996-05-07 Nikon Corp 形状計測装置及び形状計測方法
JP2002177301A (ja) 2000-12-17 2002-06-25 Gc Dental Products Corp 人工臼歯
JP2003102752A (ja) 2001-09-30 2003-04-08 Shiyoufuu:Kk 操作性の良い人工歯
JP3747251B2 (ja) * 1994-09-09 2006-02-22 クーラ,ギュンター ヒトの自然歯用の人工臼歯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13A (en) 1909-02-17 1909-12-14 Edwin J Greenfield Mounting for artificial teeth.
US2006717A (en) * 1934-05-18 1935-07-02 Dentists Supply Co Artificial teeth
US2095432A (en) * 1935-09-28 1937-10-12 George P Brenner Denture
US2104459A (en) * 1936-01-14 1938-01-04 Dentists Supply Co Artificial teeth
US2585857A (en) 1948-03-09 1952-02-12 Jacob D Schwartz Artificial tooth
US2874832A (en) 1958-01-02 1959-02-24 Gordon Eliot Prosthetic dental product
US3247844A (en) 1964-01-29 1966-04-26 Roberts Dental Mfg Co Inc Mouth guard
US3423831A (en) 1966-06-27 1969-01-28 Dentists Supply Co Composite artificial tooth
DD148857A3 (de) 1979-06-29 1981-06-17 Alfred Breustedt Mineralzahn mit silangekoppeltem plasthaft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D272465S (en) 1981-01-26 1984-01-31 Wolf Ehrenfried G B False tooth
US4481162A (en) 1981-02-02 1984-11-06 Kv33 Corporation Flexible mold for dental model bases and method of using it
US4445863A (en) * 1982-08-30 1984-05-01 Lang Brien R Artificial teeth
US4872840A (en) 1987-07-15 1989-10-10 Team Incorporated Dental implant and method
JPH0191853A (ja) 1987-10-02 1989-04-11 Jishi Toushi Kogyo Kk 人工歯
US4911641A (en) 1988-02-23 1990-03-27 Detsch Steven G Bone growing method and composition
JP2694223B2 (ja) 1988-05-27 1997-12-24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臼歯部用人工歯及びその咬合面部を置換する方法
US5051091A (en) 1990-10-17 1991-09-24 Rosenfeld Philip J Simplified dental implant operation
US5234339A (en) 1991-02-14 1993-08-10 Kulzer, Inc.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US5232370A (en) 1992-09-25 1993-08-03 Hoye Mary E Children's dental teaching toy
JP3477251B2 (ja) 1994-09-09 2003-12-10 高茂産業株式会社 蒸発器
DE19508762C1 (de) 1995-03-10 1996-05-15 Ivoclar Ag Zahnsatz
US5788490A (en) 1995-06-07 1998-08-04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base and method for forming stone dowels
US5788489A (en) 1995-06-07 1998-08-04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base assembly
CN2302772Y (zh) * 1997-08-26 1999-01-06 曾宪荣 具磁斥力增加附着性的全口义齿
JPH11290347A (ja) 1998-04-07 1999-10-26 Yamahachi Shizai Kogyo Kk 人工臼歯
US5906489A (en) 1998-06-10 1999-05-25 Biotech Medical Instruments Corp. Temporary dental implant
DE19837748B4 (de) * 1998-08-20 2007-06-06 Dental Consulting Mönkmeyer S.L. Zahnsatz
WO2000032132A1 (en) 1998-11-30 2000-06-08 Align Technology, Inc. Attachment devices and methods for a dental appliance
US6318994B1 (en) 1999-05-13 2001-11-20 Align Technology, Inc Tooth path treatment plan
US6193516B1 (en) 1999-06-18 2001-02-27 Sulzer Calcitek Inc. Dental implant having a force distribution shell to reduce stress shielding
KR200178291Y1 (ko) 1999-11-09 2000-04-15 최기선 치과용 보철물
US6488503B1 (en) 1999-12-21 2002-12-03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rosthetic teeth and method of making therefor
US20030031981A1 (en) 2000-10-21 2003-02-13 Robert Holt Prosthetic implant
US20040202983A1 (en) 2001-09-28 2004-10-14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kits for forming pontics in polymeric shell aligners
JP2003135489A (ja) * 2001-11-08 2003-05-13 Shiken:Kk 人工歯とこれを備える義歯
DE10163105A1 (de) * 2001-12-23 2003-07-03 Zahn Spektrum Entwicklungsgese Zahnsatz
US6935861B2 (en) * 2003-01-13 2005-08-30 Ivoclar Vivadent, Ag Sets of posterior teeth
JP4338649B2 (ja) 2003-05-01 2009-10-07 ヘレウスクルツァージャパン株式会社 人工歯
US7108511B1 (en) 2003-08-15 2006-09-19 Shatkin Todd E System of dental restoration of single stage dental implants and loading with a preformed crown restoration
US7699610B2 (en) 2004-07-22 2010-04-20 Bryan Childress Flexible denture and method to make same
GB2433444A (en) 2005-12-21 2007-06-27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Artificial teeth
US8128404B2 (en) 2007-10-01 2012-03-06 Kabushiki Kaisha Shofu Artificial teeth easily enabling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7251B2 (ja) * 1994-09-09 2006-02-22 クーラ,ギュンター ヒトの自然歯用の人工臼歯
JPH08112294A (ja) * 1994-10-19 1996-05-07 Nikon Corp 形状計測装置及び形状計測方法
JP2002177301A (ja) 2000-12-17 2002-06-25 Gc Dental Products Corp 人工臼歯
JP2003102752A (ja) 2001-09-30 2003-04-08 Shiyoufuu:Kk 操作性の良い人工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7846A (zh) 2010-03-24
WO2008129673A1 (ja) 2008-10-30
JPWO2008129673A1 (ja) 2010-07-22
JP5231398B2 (ja) 2013-07-10
DE112007003461T5 (de) 2010-05-12
KR20100015638A (ko) 2010-02-12
US20100119992A1 (en) 2010-05-13
US8403669B2 (en) 2013-03-26
CN101677846B (zh) 2013-05-22
DE112007003461B4 (de)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050B1 (ko) 인공치아
US10123856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Oladapo et al.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porcelain crowned tooth
US6231342B1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s and methods of preparing or selecting the same
US10980618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8308481B2 (en) Dental framework
US10426711B2 (en) Dental implant framework
US11690700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Yun et al. Comparison of the fit of cast gold crowns fabricated from the digital and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s
CN106821550B (zh) 分体式颌骨缺损赝复体制备方法
JP2024515044A (ja) 歯科用モデル、歯科用キット、及び方法
RU2401083C1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арегистрированных окклюзионных положений на компьютерных трехмерных моделях зубных рядов и ориентации компьютерных трехмерных моделей в пространстве
CA3017503C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ITCO970015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rotesi dentali fisse in resina inserti per le stesse e protesi fisse cosi&#39; ottenute
Gürel Predictable and precise tooth preparation techniques for porcelain laminate veneers in complex cases
Patel Evolution of indirect restorations for fixed prosthodontics: planning, preparation and cementation
Jagielska et al. Digit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sectional custom tray for a patient with microstomia: A case report
RU2440796C2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зуб
Alhasher et al. A Fully Digital Method to Fabricate Custom Hybrid Ceramic One-Piece Post-and-Core: A Proof of Concept
Sadid-Zadeh et al. Digital workflow to rehabilitate worn dentition on a non-hinge simulated patient
US20220117709A1 (en) Prosthetic tooth
Mata Mata The effect of digital implant analog design on the trueness of implant analog position in additively manufactured digital implant models.
Ryniewicz et al. The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shape imaging of prosthetic abutment
Wang et al. A 3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different marginal finish line design on stress distribution in posterior monolithic zirconia crown prosthetic system
RU2445044C1 (ru) Способ препарирования зубов под несъемный мостовидный зубной проте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