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11B1 -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 Google Patents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11B1
KR101347711B1 KR1020130010767A KR20130010767A KR101347711B1 KR 101347711 B1 KR101347711 B1 KR 101347711B1 KR 1020130010767 A KR1020130010767 A KR 1020130010767A KR 20130010767 A KR20130010767 A KR 20130010767A KR 101347711 B1 KR101347711 B1 KR 10134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light distribution
fixing
rotation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100A (ko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EP13752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18795A4/en
Priority to JP2014558679A priority patent/JP5851634B2/ja
Priority to CN201380021461.0A priority patent/CN104246363A/zh
Priority to PCT/KR2013/001383 priority patent/WO2013125875A1/ko
Publication of KR2013009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11B1/ko
Priority to US14/466,436 priority patent/US94589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21V21/28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 F21V21/29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employing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홀에 틸팅 및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조정축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틸팅 및 회동에 따라 배광이 조절되는 광모듈부와, 상기 회동부를 고정 또는 틸팅 및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절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광모듈을 개별적으로 배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배광을 조절한 광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두어 등기구의 설치위치와 무관하게 임의로 배광의 조절이 가능하여, 주변 건물 내로 침투하는 침투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Random light distribution lamp}
본 발명은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등의 배광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부에서는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이 공표하였다. 이 법은 2013년 2월 1일부터 시행된다. 주된 내용은 인공조명의 오남용으로부터 국민건강을 지키고, 생태계에 미칠 위해 예방을 위한 것이며, 건축물 조명과 전광판, 각종 기반시설 조명의 빛방사 허용기준을 정하여, 지나친 빛과 침입광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야간에 도시기반시설 조명, 건축물의 조명, 전광판 등의 광이 주변 건물 내로 침입하는 침입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가로등이나 기타의 조명들은 빛방사 허용기준을 지켜야 함과 아울러 빛방사의 방향인 배광의 조절이 필요하다.
종래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들의 배광은, 공개특허 10-2011-0108269와 같이 조명모듈의 배광을 넓히는 구조에 관한 것이거나, 등록특허 10-0961676호와 같이 렌즈를 사용하여 배광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된 발명들이 있다.
그러나 조명모듈의 배광을 넓히는 구조들은 그 배광면적의 증가에 따라 침투광이 증가하여 빛공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렌즈를 사용하여 배광을 조절하는 기술들은 렌즈의 사용에 의해 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렌즈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각 조명마다 적당한 렌즈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임의로 배광을 조절할 수 있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체결판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결합 되어 상기 회동부의 틸팅 및 회동에 따라 배광이 조절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본 발명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다수의 광모듈을 개별적으로 배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배광을 조절한 광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두어 등기구의 설치위치와 무관하게 임의로 배광의 조절이 가능하여, 주변 건물 내로 침투하는 침투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설치자가 임의로 배광을 조절함이 가능하여 조명이 필요한 영역과 조명이 불필요한 영역을 구분하여 조명하게 됨으로써, 빛공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배광의 조절을 통해 임의배광이 조절된 일실시 상태의 본 발명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회동부인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1회전부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제1회전부의 측면이다.
도 12는 도 9에서 제2회전부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동제한부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동제한부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상부덮개(11)를 구비하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모듈부(20)와, 상기 광모듈부(20)를 상기 함체(10)의 바닥부(12)에 회동 및 틸팅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30)와, 상기 회동부(30)와 상기 광모듈부(20)를 연결하여 회동부(30)의 회동에 따라 광모듈부(20)를 회동 및 틸팅시키는 조정축부(40)와, 상기 회동부(30)의 회동과 틸팅에 의해 상기 광모듈부(20)의 배광이 조정된 상태에서 회동부(30)를 고정하는 고정부(50)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19는 함체(10)와 상부덮개(11)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이다.
상기 상부덮개(11)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체(10)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된 것이며, 그 함체(10)의 바닥부(12)에는 구상의 회동부(3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홀(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30)의 직경은 고정홀(13)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것이며, 따라서 회동부(30)가 고정홀(13)을 하부측인 함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13)의 가장자리 즉, 상기 회동부(30)와 접촉되는 접촉부는 회동부(30)의 하부측을 지지하며, 회동부(30)가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하도록 위쪽이 더 넓은 상태의 만곡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홀(13)의 주변의 바닥면(12)은 다른 영역의 바닥면(12) 보다 낮은 결합홈(14)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결합홈(14)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5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부(30)에 접촉해제 또는 접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홈(14)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에 따라 상기 고정부(50)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예들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홈(14)의 저면부의 형상은 상기 광모듈부(20)의 틸팅 각도를 한정하기에 적당하게 상기 고정홀(13)의 저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5)이 마련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함체(10)를 설치한 후 작업자는 상부덮개(11)를 열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된 고정부(50)를 풀어 상기 회동부(30)가 틸팅 및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조정축부(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30)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측은 상기 광모듈부(20)에 연결되며 상부측은 상기 회동부(3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함체(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조정축부(40)의 상부측을 손으로 잡아 조작하여 상기 광모듈부(20)를 틸팅 및 회동시켜 각 광모듈부(20)의 배광을 조절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조정축부(40)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그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선이 함체(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제어의 방식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자동제어를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구조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회동부(30)를 회동 또는 틸팅시켜 광모듈부(20)의 배광을 조절할 때, 상기 조정축부(40)의 하부측이 상기 경사면(15)이 제한하는 영역 내에서만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틸팅의 제한은 상기 다수의 광모듈부(20)의 배광이 상호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에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모듈부(20)의 배광이 상호 중첩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경사면(15)이 없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광모듈부(20)의 배광을 조절한 후에는 상기 고정부(50)를 회전시켜 잠금으로써, 상기 회동부(30)가 더 이상 회동 또는 틸팅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의 구성은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되며 그 결합홈(14)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구조가 외경에 마련된 삽입체결부(51)와, 상기 삽입체결부(51)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단차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바디(55)와, 상기 바디(55)의 외경부 양단에 결합되며 상부측으로 높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52)가 일체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50)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으로 잡아 풀거나 잠그는 조정이 가능하여, 배광의 조정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삽입체결부(51)의 저면측에는 상기 회동부(3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저면 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는 하부단턱(53)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하부단턱(53)과 상기 회동부(30)의 사이에는 오링(54)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오링(54)의 내경은 구상인 상기 회동부(30)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50)가 잠길 때 상기 회동부(3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재질이 통상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부(50)의 잠김으로 가압되면 옆으로 퍼지게 눌리는 상태를 갖게 되어 그 방수효과가 높게 된다. 고정부(50)가 풀린 상태에서는 회동부(30)의 회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광모듈부(20)는 단면이 종형상의 중공된 내부를 가지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는 도넛형의 기판(22)과, 상기 기판(22)의 저면측에 고정되어 광방출면이 아래로 향하게 설치된 엘이디(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모듈부(20)의 구조는 엘이디(23)를 사용하는 광모듈의 일반적인 형태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광모듈부(20)의 구체적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의 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모듈부(20)는 하우징(21)의 내측면 경사각도나 크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광모듈부(20)에 연결되는 조정축부(40)는 전선(도면 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된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전선이 상기 함체(10)의 내에서 상호 결선되어 함체(10) 외부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축부(40)의 상부일부에는 인출공(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에는 기구적으로 지지대(도면 미도시)에 결합고정할 수 있는 외부결합부(16)가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외부결합부(16)를 통해 외부의 전선이 함체(1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출공(41)은 장공으로 하여 상기 조정축부(40)의 유동에 의해 전선이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전선에 의해 조정축부(40)의 틸팅 및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배광의 조절을 통해 임의배광이 조절된 일실시 상태의 본 발명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광모듈부(20) 각각의 배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정함이 가능하여, 조명이 요구되는 영역과 조명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하여 정확한 배광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인 건물의 실내, 밭이나 논, 과수원 등에 불필요한 광이 조사되어 빛공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상기 함체(10)의 고정홀(13) 주변의 바닥부(12)가 평탄한 구조이며, 그 바닥부(12)의 고정홀(13) 주변에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결합부(18)가 돌출된 구조이다.
원통형의 상기 결합부(18)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50)의 삽입체결부(51)가 회전결합되며, 그 고정부(50)의 손잡이(52)를 조작하여 삽입체결부(51)의 체결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회동부(30)를 틸팅 및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30)와 광모듈부(20)를 연결하는 조정축부(40)의 주변부에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 결합홈(14)의 저면 경사면(15)의 구조가 없기 때문에 틸팅 각도가 제한되지 않고 최대의 틸팅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임의배광이 극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함체(10)의 설치각도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 등기구의 배광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조정축부(40)는 상기 회동부(3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도 2의 구성과는 다르게 회동부(30)와 광모듈부(20)를 연결하고, 그 회동부(30)의 상부측으로는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회동부(30)를 용이하게 틸팅 및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30)의 상부일부에 요철패턴부(31)를 마련한 형태로서, 작업자가 손가락을 요철패턴부(31)에 접촉시키고 그 요철패턴부(31)를 마찰시켜 회동부(30)를 틸팅 및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함체(10)의 두께를 보다 더 얇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회동부(30)를 틸팅 및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도 2 등에 도시한 고정부(50)의 구성 외에 볼트형 고정부(6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4의 결합부(18)와 유사한 형태의 결합부(61)가 마련되되, 그 결합부(61)의 내경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측면에 나사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나사홀에 삽입된 조정볼트(62)를 조정하여 회동부(30)를 고정하거나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체결판(17)에 마련된 고정홀에 상부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판(17)의 상부측에서 너트(150)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판(17)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회전부(100)와, 상기 제1회전부(10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체결판(17)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단에 광모듈부(20)가 고정되는 제2회전부(200)와, 상기 제1회전부(100)와 제2회전부(2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체결판(17)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광모듈부(2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선(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부(100)와 상기 제2회전부(20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회동부(30)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제1회전부(100)와 제2회전부(200)를 통칭할 때는 회동부라 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체결판(17)은 상기 회동부인 제1회전부(100)와 제2회전부(200)에 의해 광모듈부(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광모듈부(20)의 설치 수량과 동일한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17)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함체(10)의 바닥부(12)로 볼 수 있으나, 반드시 함체(10)의 바닥부(12)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판상의 구조물이면 설치가 가능하다.
도 9는 상기 회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1회전부(100)의 저면도이며, 도 11은 제1회전부(100)의 측면도, 도 12는 상기 제2회전부(200)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각각 참조하여 각 부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회전부(100)는 상기 체결판(17)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110)와, 호형의 제1가이드홈(121)이 마련되어 회전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제1눈금부(122)가 마련된 회전판(120)과,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며, 측면에서 상기 제2회전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회전부(200)는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서 고정나사(140)의 조임 정도에 따라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회동연결부(210)와, 상기 회동연결부(210)를 상기 광모듈부(20)에 고정하는 고정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부(210)에는 회전 중심에 체결돌출부(212)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체결돌출부(212)는 상기 연결부(130)의 체결공(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140)가 결합 된다.
이때 고정나사(140)가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연결부(210)는 체결판(1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그 하부측에 고정판(220)에 의해 고정되는 광모듈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선(300)은 상기 삽입관부(110)를 통해 삽입되며, 연결부(130)에 마련된 가이드돌출부(132)를 통해 제2회전부(200)의 제2가이드홈(211)으로 유입되며, 결국 통공부(222)를 통해 광모듈부(20)에 연결되어 광모듈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회전부(100)의 삽입관부(110)는 체결판(17)의 고정홀에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관통 삽입되며 외측에 체결나사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측은 상기 전선(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이다. 상기 체결판(17)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삽입관부(110)는 너트(150)로 고정된다. 이때 너트(150)는 체결판(17)에 제1회전부(100)를 완전하게 밀착 고정시키는 목적이 아니라, 제1회전부(100)가 체결판(17)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후에 볼트(160)를 상기 제1가이드홈(121)을 통해 상기 체결판(17)의 저면에 결합하여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120)은 상기 삽입관부(110)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관부(110)와 함께 체결판(17)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부(110)를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1가이드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121)은 180도의 반원호형으로 할 수 있어 그 제1가이드홈(121)에 체결되는 볼트(160)가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180도가 회전하여도, 제2회전부(200)가 체결판(17)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2회전부(200)의 하부에 결합된 광모듈부(20)는 실질적으로 체결판(17)과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과 회전판(1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1눈금부(122)가 위치하여, 회전판(12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20)의 회전정도는 상기 볼트(160)의 위치가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볼트(160)의 일측에서 상기 제1눈금부(122)를 향해 돌출되는 제1인디케이터(161)를 두어 정확한 눈금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며, 저면의 형상이 반구형이다.
상기 연결부(130)는 제2회전부(200)의 회동연결부(210)가 접하여, 고정나사(140)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나사(14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제2회전부(200)가 회전 가능한 상태 또는 회전이 불가능한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130)는 회동연결부(210)의 회전 중심 위치에 체결공(131)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연결부(210)에는 상기 체결공(131)에 삽입되는 체결돌출부(2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체결공(131)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공(131)에 삽입된 체결돌출부(212)에 결합 된다.
상기 회동연결부(210)는 상기 체결돌출부(212)를 중심으로 상기 체결판(1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돌출부(212)를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2가이드홈(2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가이드홈(211)은 회전의 가이드 역할뿐만 아니라 전선(300)을 연결하는 통로로도 사용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211)에는 상기 연결부(130)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출부(132)가 삽입되어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출부(132)는 중앙부가 빈 원통형의 구조이며, 상기 삽입관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전선(300)이 인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211)을 통해 광모듈부(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연결부(21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130)에는 제2눈금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눈금부(133)의 위치는 상기 회동연결부(210)와 접하는 연결부(310)의 일면의 반대면이다.
정확한 회동연결부(210)의 회전 정도의 판단을 위하여 상기 회동연결부(210)의 체결돌출부(212)의 하부측에는 제2인디케이터(21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연결부(210)를 포함하는 제2회전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광모듈부(20)의 체결판(17)의 직교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광모듈부(20)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간단한 체결구조로는 광 조사 각도의 유지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바람이나 중력의 작용에 의해 최초 설치된 각도로부터 변위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연결부(210)의 체결돌출부(212)와 상기 제2인디케이터(2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홈(213)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삽입홈(213)에는 회동제한부(214)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회동제한부(214)는 상기 고정나사(140)가 체결될 때 상기 연결부(130)와 회동연결부(21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바람이나 중력에 의해 회동연결부(2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동제한부(214)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동제한부(241)의 하부에는 고정판(220)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고정판(220)은 고정공(221)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삽입되어, 고정판(220)의 저면에 광모듈부(2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220)의 저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211)에 연통 되는 통공부(222)가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전선(100)이 상기 광모듈부(20)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공부(222)는 상기 고정판(220)의 저면에 이르는 경사면(225)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20)의 저면에는 상기 통공부(222)의 일부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배수유로(223,224)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수유로(223,224)는 혹시라도 유입될 수 있는 빗물에 의해 전선(300)이 연결되는 광모듈부(20)에 전기적인 쇼트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연결부(130)와 회동연결부(210)가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빗물의 유입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 만에 하나 회동연결부(310)의 제2가이드홈(211)을 통해 빗물의 유입되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유로(223,2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상기 회동제한부(214)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제한부(214)는 상기 회동연결부(210)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양단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절곡부(214-1, 214-2)가 마련된 판상의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절곡부(214-1)와 제2절곡부(214-2)는 서로 반대편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결합나사(140)의 체결에 따라 제1절곡부(214-1)과 제2절곡부(214-2)가 눌리고, 그 제1절곡부(214-1)과 제2절곡부(21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결부(130)와 회동연결부(21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바람이나 중력에 의해 광모듈부(20)가 결합된 제2회전부(20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는 상기 회동제한부(214)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A-A 방향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회동제한부(214)의 다른 실시예는 판상의 구조이며, 그 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향으로 절곡한 제3절곡부(214-3)과 하향으로 절곡한 제4절곡부(21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 역시 상기 제3절곡부(214-3) 및 제4절곡부(214-4)에 의해 연결부(130)와 회동연결부(21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어, 회동연결부(210)를 포함하는 제2회전부(200)가 바람이나 중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는, 광모듈부(20)를 모든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명의 설치 위치에서 주변 환경 여건에 부합하는 개별적인 배광을 가지도록 설치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함체 11:상부덮개
12:바닥부 13:고정홀
14:결합홈 15:경사면
16:외부결합부 20:광모듈부
21:하우징 22:기판
23:엘이디 30:회동부
31:요철패턴부 40:조정축부
41:인출공 50:고정부
51:삽입체결부 52:손잡이부
53:하부단턱 54:오링
55:바디 60:볼트형 고정부
61:결합부 62:조정볼트
17:체결판 100:제1회전부
110:삽입관부 120:회전판
121:제1가이드홈 122:제1눈금부
130:연결부 131:체결공
132:가이드돌출부 140:고정나사
150:너트 160:볼트
161:제1인디케이터 200:제2회전부
210:회동연결부 211:제2가이드홈
212:체결돌출부 213:삽입홈
214:회동제한부 215:제2인디케이터
220:고정판 221:고정공
222:통공부 223,224:배수유로

Claims (22)

  1. 체결판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와 조정축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틸팅 및 회동에 따라 배광이 조절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축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는 구형이며, 상기 회동부를 고정 또는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하향 이동시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 및 틸팅이 불가능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의 상기 회동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는 상기 회동부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며, 회동 및 틸팅이 용이하도록 위쪽이 더 넓은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 주변의 상기 체결판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결합홈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부를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저면은,
    상기 고정홀의 저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 주변의 상기 체결판의 일부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마련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부를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구조가 외경에 마련된 삽입체결부;
    상기 삽입체결부의 상부측에 마련되며, 상부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단차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경부 양단에 결합되며 상부측으로 높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결부의 저면에는 하부단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단턱과 상기 회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축부는,
    전선의 연결을 위하여 중공된 것이며, 측면 일부에 상기 전선을 인출하는 인출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은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2. 체결판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하며 회동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요철패턴부가 마련된 구형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틸팅 및 회동에 따라 배광이 조절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를 고정 또는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하향 이동시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 및 틸팅이 불가능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3. 제3항에 있어서,
    측면에 나사홀이 마련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상기 고정홀 주변의 상기 체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조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4. 체결판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동 및 틸팅이 가능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틸팅 및 회동에 따라 배광이 조절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는 상기 체결판에 마련된 고정홀에 상부일부가 상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체결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단에 상기 광모듈부가 고정되는 제2회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체결판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
    상기 삽입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안쪽에서 볼트가 상기 체결판에 체결되어 고정 또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홈과, 저면에 회전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1눈금부가 마련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회전부가 상기 체결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며, 상기 제2회전부의 회전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눈금부가 마련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상기 제1눈금부를 지시하는 제1인디케이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를 통해 인입된 전선은 상기 회전판의 내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회전부와 접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출부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제2회전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연결부에 접하며,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중심에서 상기 연결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돌출부를 구비하는 회동연결부; 및
    상기 회동연결부의 하부에 결합 되어 저면에 상기 광모듈부가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돌출부에서 인출된 상기 전선이 인입되는 호형의 제2가이드홈과,
    상기 연결부의 제2눈금부을 지시하여 정확한 회전정도를 가르키는 제2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에는,
    상기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판상이며, 상기 회동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과 연통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광모듈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통공부와,
    상기 통공부와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배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KR1020130010767A 2012-02-23 2013-01-31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KR101347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52506.9A EP2818795A4 (en) 2012-02-23 2013-02-21 LIGHTING DEVICE WITH ANY DISTRIBUTION OF LIGHT
JP2014558679A JP5851634B2 (ja) 2012-02-23 2013-02-21 任意配光が可能な灯器具
CN201380021461.0A CN104246363A (zh) 2012-02-23 2013-02-21 实现光的任意分布的照明设备
PCT/KR2013/001383 WO2013125875A1 (ko) 2012-02-23 2013-02-21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US14/466,436 US9458993B2 (en) 2012-02-23 2014-08-22 Lighting device enabling arbitrary distribution of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48 2012-02-23
KR20120018348 2012-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100A KR20130097100A (ko) 2013-09-02
KR101347711B1 true KR101347711B1 (ko) 2014-01-06

Family

ID=4944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767A KR101347711B1 (ko) 2012-02-23 2013-01-31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8993B2 (ko)
EP (1) EP2818795A4 (ko)
JP (1) JP5851634B2 (ko)
KR (1) KR101347711B1 (ko)
CN (1) CN104246363A (ko)
WO (1) WO2013125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33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출사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5339A (zh) * 2013-05-17 2014-11-26 全亿大科技(佛山)有限公司 发光二极管照明灯具
EP2924332B1 (en) 2014-03-28 2018-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device that switches light emission direction
KR101707662B1 (ko) * 2014-07-08 2017-02-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카메라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US9677754B2 (en) 2014-11-07 2017-06-13 Chm Industries, Inc. Rotating light emitting diode driver mount
CN104763888B (zh) * 2015-03-20 2016-09-21 江苏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式led灯结构
JP6954552B2 (ja) * 2016-10-05 2021-10-27 株式会社キルトプランニングオフィス 面発光装置
CN114738704B (zh) * 2022-05-16 2024-03-01 温州理工学院 一种用于制造舞台灯光炫酷效果的激光发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765Y1 (ko) * 2000-06-23 2000-12-01 이동철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KR200394755Y1 (ko) * 2005-06-24 2005-09-05 조병관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90080383A (ko) * 2008-01-21 2009-07-24 (주)보광라이팅 등기구
KR20110077237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아모럭스 볼 조인트 지지구조를 가지는 led조립체, 이를 이용한 착탈식 led조립블록 및 착탈식 블록 조립구조를 가지는 led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3400A (en) * 1972-09-25 1974-04-09 Ichikoh Industries Ltd Movable room lamp device for vehicle
US5070434A (en) * 1990-10-09 1991-12-03 Prince Corporation Overhead light
US5655829A (en) * 1995-06-26 1997-08-12 Kintron Industries (M) Sdn Bhd Floodlight assembly
US5630663A (en) * 1996-04-12 1997-05-20 Cooper Industries, Inc. Adjustable trim for recessed lighting fixture
AU751242B2 (en) 1998-01-21 2002-08-08 James Rosset Sealed spotlight
US6669355B2 (en) * 2000-07-28 2003-12-3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Housing rotation lock for a track lighting fixture
US7011439B1 (en) * 2002-10-11 2006-03-14 Lighting Services Inc. Adjustable spotlight fitting for fiber optic lighting
DE102004023358B3 (de) * 2004-05-12 2006-04-06 Michael Smit Leuchte, insbesondere Einbau- oder Aufbauleuchte
JP4463127B2 (ja) * 2005-02-25 2010-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US7614766B2 (en) * 2006-06-29 2009-11-10 Harvatek Corporation Modular illumination device with adjustable lighting angles
JP2008021615A (ja) * 2006-07-14 2008-01-31 In-Lite Design Bv 照明器具、ハウジング、及びかかる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20080096309A (ko) * 2007-04-27 2008-10-30 김종관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체결장치
KR100944521B1 (ko) * 2007-10-29 2010-03-03 주식회사 웰라이트 가로등용 조명장치
US8356920B2 (en) * 2007-12-12 2013-01-22 Levine Jonathan E Lighting device
CN201180919Y (zh) * 2007-12-28 2009-01-14 宁波燎原灯具股份有限公司 用于道路照明灯具的led模组装置
JP2009277479A (ja) * 2008-05-14 2009-11-2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led光源および車両用灯具
JP3145900U (ja) * 2008-08-14 2008-10-23 陳瑞照 多角度非常用照明装置
US20100039793A1 (en) * 2008-08-18 2010-02-18 Juei-Chao Chen Multi-directional standby lighting device
JP2010177140A (ja) * 2009-01-30 2010-08-12 Daiwa House Industry Co Ltd 天井取付け式led照明構造
JP5269640B2 (ja) * 2009-02-20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TWM372435U (en) * 2009-07-24 2010-01-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Light emitting diode lamp
EP2479742B1 (en) * 2009-09-18 2019-05-01 Pi Photonics Inc. Lighting device for pattern formation
KR101087230B1 (ko) * 2009-09-30 2011-11-29 (주)썬버드산업 조명장치
KR101051631B1 (ko) * 2009-10-20 2011-07-26 금호전기주식회사 전구형 엘이디 램프
KR100961676B1 (ko) 2009-11-04 2010-06-09 (주) 아주광학 배광을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등용 렌즈
CN201628145U (zh) * 2010-03-19 2010-11-10 林万炯 Led射灯
KR101579220B1 (ko) 2010-03-26 2015-12-23 주식회사 솔라코 컴퍼니 엘이디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램프
CN201706337U (zh) * 2010-06-08 2011-01-12 浙江捷莱照明有限公司 一种led投射灯
CN201803346U (zh) * 2010-09-16 2011-04-20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可绕性散热装置
CN202008106U (zh) * 2011-02-28 2011-10-12 林万炯 一种灯头能转动的灯具
CN202195436U (zh) * 2011-08-16 2012-04-18 宁波科拓进出口有限公司 一种led室内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765Y1 (ko) * 2000-06-23 2000-12-01 이동철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KR200394755Y1 (ko) * 2005-06-24 2005-09-05 조병관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90080383A (ko) * 2008-01-21 2009-07-24 (주)보광라이팅 등기구
KR20110077237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아모럭스 볼 조인트 지지구조를 가지는 led조립체, 이를 이용한 착탈식 led조립블록 및 착탈식 블록 조립구조를 가지는 led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33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출사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2352678B1 (ko) * 2014-03-28 202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출사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8993B2 (en) 2016-10-04
EP2818795A1 (en) 2014-12-31
CN104246363A (zh) 2014-12-24
EP2818795A4 (en) 2015-10-14
JP5851634B2 (ja) 2016-02-03
KR20130097100A (ko) 2013-09-02
JP2015508222A (ja) 2015-03-16
US20140362593A1 (en) 2014-12-11
WO2013125875A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711B1 (ko)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US7874709B1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with multiple adjustment axes
CN106796022B (zh) 光传感器组件
US8567991B2 (en) LED inground light
KR102068563B1 (ko) 조명 장치
US11067264B2 (en) Luminaire with adjustable lamp modules
ES2643888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elemento de inserción y recepción
KR101428440B1 (ko)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63021B1 (ko) 천장 매립등
KR10192761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66811Y1 (ko) 조명장치용 벽부 고정 브라켓
KR200453612Y1 (ko) 벽면 고정형 등기구
KR101098264B1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시스템
JP4409462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63526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천정 조명기구
KR101258201B1 (ko) 프레임 없는 천정매립형 반사갓
KR102041746B1 (ko) 에디슨 소켓용 조사각도설정 기능을 갖는 판상 led 램프 기구
KR101128770B1 (ko)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가로등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US7128435B1 (en) Luminaire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KR102316857B1 (ko) 조사각 및 배광곡선의 가변 제어가 가능한 듀얼타입 투광기
KR20090080383A (ko) 등기구
ES2767952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elemento de inserción y recepción
KR101591972B1 (ko) 천정매립식 원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