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765Y1 -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 Google Patents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765Y1
KR200204765Y1 KR2020000017918U KR20000017918U KR200204765Y1 KR 200204765 Y1 KR200204765 Y1 KR 200204765Y1 KR 2020000017918 U KR2020000017918 U KR 2020000017918U KR 20000017918 U KR20000017918 U KR 20000017918U KR 200204765 Y1 KR200204765 Y1 KR 200204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tical fiber
hole
lens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이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철 filed Critical 이동철
Priority to KR2020000017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내부에 볼형상의 회동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광섬유케이블축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은 제 1, 제 2 하우징 및 제 1, 제 2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회동부를 구비하고, 제 1, 제 2 하우징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제 1 하우징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광섬유케이블축 및 광섬유케이블축에 체결되는 조명갓을 구비한다. 이와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은 광섬유케이블축과 연결된 조명갓의 회전에 의해서 회동부가 회전하여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Lens housing for an optical fiber ligh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내부에 볼형상의 회동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광섬유케이블축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 및 전시장에 전시된 유적은 진공상태의 일정한 진열장 내에서 관리, 보관되어 관람객들에게 전시된다. 이렇게 보관된 유적을 감싸고있는 진열장에는 외부와 연결된 램프 및 램프가 장착된 렌즈하우징이 설치된다.
그런데, 전술한 램프하우징은 램프와 램프하우징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산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램프의 조사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렌즈하우징을 제거하고 진공진열장을 다시 제작하여야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내부에 볼형상의 회동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광섬유케이블축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하우징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렌즈 하우징 110 : 제 1 하우징
112 : 돌출부 116 : 제 1 안치부
130 : 회동부 132 : 외부케이스
134 : 회동볼 140 : 제 2 하우징
146 : 제 2 안치부 160 : 광섬유케이블축
164 : 연결봉 168 :촛점고정링
170 : 조명갓 174 : 연결 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상에는 환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제 1 안치부가 형성된 돌출부, 돌출부에 대응하는 하부면상에서 제 1 안치부의 하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제 1 안치부와 연통하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제 1 하우징;
제 1 안치부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내에 장착되어 제 1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구 형상의 회동볼을 가지는 회동부;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상에는 돌출부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제 1 안치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외부케이스를 한정하는 제 2 안치부가 형성된 요홈부, 요홈부에 대응하는 상부면상에서 제 2 안치부의 상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제 2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하우징;
제 3 관통공, 제 2 관통공 및 제 1 관통공을 지나 끝단이 제 1 테이퍼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봉을 구비하는 광섬유케이블축; 그리고
연결봉의 끝단에 결합되는 조명갓을 포함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내부에 볼형상의 회동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하우징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10), 회동부(130), 제 2 하우징(140), 광섬유케이블축(160) 및 조명갓(170)을 구비한다.
제 1 하우징(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하우징(110)은 돌출부(112), 제 1 테이퍼부(118), 플랜지(122), 밀착 링(124) 및 결합너트(126)를 구비한다. 돌출부(112)는 제 1 하우징(110)의 상부면상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돌출부(112)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상에는 제 1 수나사(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12)의 내부에는 제 1 안치부(116)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테이퍼부(118)는 제 1 하우징(110)의 하부에서부터 제 1 안치부(116)의 하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8)의 상부에는 제 1 안치부(116) 하부와 연통하는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한편, 제 1 하우징(110)의 원주면 하부에는 환형의 플랜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122)는 제 1 하우징(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연장된다. 제 1 하우징(110)의 원주면 상부에서부터 중앙부분까지 제 2 수나사(123)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하우징(110)의 원주면상에는 밀착 링(124)이 끼워지게되고, 밀착 링(124)이 끼워진 제 1 하우징(110)의 원주면상에는 제 2 수나사(123)에 대응하는 제 1 암나사(125)가 형성된 결합너트(126)가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된 결합너트(126)는 밀착 링(124)을 플랜지(122)의 상부면상에 밀착시킨다.
회동부(130)는 제 1 안치부(116)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외부케이스(132) 및 외부케이스(132)내에 장착되고, 외부케이스(132)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상을 가지는 회동볼(134)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동볼(134)에는 수직하게 천공되어 제 1 관통공(120)과 연통하는 제 2 관통공(136)이 형성된다.
제 2 하우징(140)은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하우징(140)은 요홈부(142) 및 제 2 테이퍼부(148)를 구비한다. 요홈부(142)는 제 2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며, 원주면상에는 제 1 수나사(114)에 대응하는 제 2 암나사(144)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142) 내에는 제 1 안치부(116)에 대응하는 제 2 안치부(146)가 형성된다. 제 2 안치부(146)는 요홈부(142)의 상부면상에서 제 2 하우징(1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 1 안치부(116)에서 돌출된 외부케이스(132)를 한정한다. 제 2 안치부(146)의 상부에는 제 2 테이퍼부(148)의 하부 및 제 2 관통공(136)과 연통하는 제 3 관통공(150)이 형성된다.
제 2 테이퍼부(148)는 제 2 하우징(140)의 상부에서부터 제 2 안치부(146)의 상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된다. 한편, 제 2 하우징(140)의 원주면 상부 인접위치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제 2 하우징(140)의 원주면에서부터 제 2 테이퍼부(148)의 내측까지 관통된 다수의 체결공(152)이 형성되며, 체결공(152)에는 결합나사(154)가 체결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제 1 하우징(110), 회동부(130) 및 제 2 하우징(140)에는 광섬유케이블축(160) 및 조명갓(170)이 배치된다.
광섬유케이블축(160)은 제 1 몸체(162), 연결봉(164) 및 촛점고정링(168)을 구비한다. 제 1 몸체(162)는 수직하게 연장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 1 가이드공(163)이 형성된다. 제 1 몸체(162)의 하부면상에는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연결봉(164)이 일체로 부착된다. 연결봉(164)의 내부에는 제 1 가이드공(163)과 연통하는 제 2 가이드공(165)이 형성되고, 연결봉(164)의 원주면상에는 제 3 수나사(166)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촛점고정링(168)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제 3 수나사(166)에 대응하는 제 3 암나사(169)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촛점고정링(168)이 결합된 연결봉(164)은 제 3 관통공(150), 제 2 관통공(136) 및 제 1 관통공(120)을 지나서 제 1 테이퍼부(118)까지 연장된다. 이때, 촛점고정링(168)은 제 2 테이퍼부(148) 내에 배치되어 다수의 체결나사(154)에 의해서 연결봉(160)의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조명갓(170)은 제 2 몸체(172) 및 연결 링(174)을 구비한다. 제 2 몸체(172)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몸체(172)의 하부에는 오목렌즈(A) 및 볼록렌즈(A')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제 2 몸체(172)의 상부에는 연결 링(174)이 일체로 부착된다. 연결 링(174)의 내측에는 제 3 수나사(166)에 대응하는 제 4 암나사(176)가 형성되어 연결봉(164)에 체결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렌즈 하우징(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렌즈 하우징(1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조명갓(170)내부에 광섬유케이블(L)을 장착시킨다. 이때, 광원장치에서 전달된 빛은 광섬유케이블축(160)의 제 1 가이드공(163) 및 제 2 가이드공(165)을 지나 광섬유케이블(L)의 끝단에 전달된다. 이와같이 렌즈 하우징(100) 내에 광섬유케이블(L)이 장착되면 전시물이 보관된 진공진열장(C)에 소정의 연결공(H)을 천공한 상태하에서 결합너트(126)가 분리된 렌즈 하우징(100)을 장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진공진열장(C)의 내부에서부터 렌즈 하우징(100)을 연결공(H)의 외부로 삽입시킨다. 이와같이 렌즈 하우징(100)이 연결공(H)에 삽입되면 제 1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 2 수나사(123)는 진공진열장(C)의 외부로 노출되고, 밀착 링(124)은 연결공(H)의 인접한 진공진열장(C)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 1 암나사(125)가 형성된 체결너트(126)를 제 1 하우징(110)에 체결시켜서 밀착 링(124)이 진공진열장(C)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렌즈 하우징(100)이 진공진열장(C)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조명갓(170)이 연결된 광섬유케이블축(160)을 전시물이 전시된 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동볼(134)은 조명갓(170) 및 광섬유케이블축(160)과 함께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광섬유케이블축(160)이 회전하면 다시 작업자는 다수의 결합나사(154)이 끝단이 촛점고정링(168)의 원주면상에 밀착되도록 체결시켜서 조명갓(170) 및 광섬유케이블축(160)을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40) 및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40)사이에 안치된 구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30)를 구비하고, 제 2 하우징(140), 회동부(130) 및 제 1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광섬유케이블축(160)과 광섬유케이블축(160)의 하부에 체결되는 조명갓(170)을 구비함으로써, 광섬유케이블축(160)과 연결된 조명갓(170)의 회전에 의해서 회동부(130)가 회전하여 렌즈의 조사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상에는 환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제 1 안치부(116)가 형성된 돌출부(112), 상기 돌출부(112)에 대응하는 하부면상에서 상기 제 1 안치부(116)의 하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 1 안치부(116)와 연통하는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8)를 구비하는 제 1 하우징(110);
    상기 제 1 안치부(116)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외부케이스(132), 상기 외부케이스(132)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관통공(120)과 연통하는 제 2 관통공(136)이 형성된 구 형상의 회동볼(134)을 가지는 회동부(130);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상에는 상기 돌출부(112)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제 1 안치부(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케이스(132)를 한정하는 제 2 안치부(146)가 형성된 요홈부(142), 상기 요홈부(142)에 대응하는 상부면상에서 상기 제 2 안치부(146)의 상부까지 방사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 2 관통공(136)과 연통하는 제 3 관통공(150)이 형성된 제 2 하우징(140);
    상기 제 3 관통공(150), 상기 제 2 관통공(136) 및 상기 제 1 관통공(120)을 지나 끝단이 상기 제 1 테이퍼부(118)까지 연장되는 연결봉(164)을 구비하는 광섬유케이블축(160); 그리고
    상기 연결봉(164)의 끝단에 결합되는 조명갓(170)을 포함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2)의 원주면상에는 제 1 수나사(114)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42)에는 상기 제 1 수나사(114)에 대응하는 제 2 암나사(1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원주면 하부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122)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플랜지(122)의 상부면상에는 환형의 밀착 링(124)이 끼워지며, 상기 원주면 상부에서부터 중앙부분까지에는 제 2 수나사(123)가 형성되고, 상기 2 수나사(123)에는 제 1 암나사(125)가 형성된 결합너트(12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케이블축(160)은 내부에 제 1 가이드공(163)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 1 몸체(16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몸체(162)의 하부면상에는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연결봉(16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64)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공(163)과 연통하는 제 2 가이드공(16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64)의 원주면상에는 제 3 수나사(166)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수나사(166)에는 상기 제 3 수나사(166)에 대응하는 제 3 암나사(169)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촛점고정링(168)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140)의 원주면에서부터 상기 제 2 테이퍼부(148)의 내측까지 관통된 다수의 체결공(15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52)에는 상기 광섬유케이블축(160)을 원하는 각도로 맞춘상태하에서 상기 광섬유케이블축(160)에 결합된 상기 초점고정링(168)의 원주면에 밀착되는 결합나사(154)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갓(170)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게 연장되며, 하부에는 오목렌즈(A) 또는 볼록렌즈(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몸체(172)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몸체(172)의 상부에는 상기 제 3 수나사(166)에 대응하는 제 4 암나사(176)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64)에 장착되는 연결 링(174)이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KR2020000017918U 2000-06-23 2000-06-23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KR200204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18U KR200204765Y1 (ko) 2000-06-23 2000-06-23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18U KR200204765Y1 (ko) 2000-06-23 2000-06-23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765Y1 true KR200204765Y1 (ko) 2000-12-01

Family

ID=1966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18U KR200204765Y1 (ko) 2000-06-23 2000-06-23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7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71B1 (ko) * 2001-06-21 2004-02-19 (주)반디플랙스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있어서 각도가 자유롭게조정되는 기구
KR101087762B1 (ko) 2010-04-26 2011-11-30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Led 투광등 및 가로등
KR101347711B1 (ko) * 2012-02-23 2014-01-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71B1 (ko) * 2001-06-21 2004-02-19 (주)반디플랙스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있어서 각도가 자유롭게조정되는 기구
KR101087762B1 (ko) 2010-04-26 2011-11-30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Led 투광등 및 가로등
KR101347711B1 (ko) * 2012-02-23 2014-01-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6409A (en) Halogen lamp
US7175298B2 (en) Lantern with a multiple lighting effect lens and swivel light source
KR200204765Y1 (ko)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 하우징
KR200394755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US5392204A (en) Lamp having a diffuser and shade
US6439748B1 (en) Overhead lamp with an upwardly opening lamp shade
US5467228A (en) Light control device
KR20080096309A (ko)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체결장치
US6793379B2 (en) Configurable track or monopoint light
CA2307182C (en) Halogen tasklight
JPH10312710A (ja) 照明器具
JP2550080Y2 (ja) 照明器具の反射鏡取付構造
CN211976684U (zh) 一种象鼻灯
CN219796999U (zh) 灯具组件及灯具
CN221004866U (zh) 一种昉眩杯面环一体式的天花射灯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KR950001456Y1 (ko) 양 방향 회전 기능을 갖는 원형소켓
CN215489344U (zh) 一种射灯隐藏式转动发声结构
CN210398595U (zh) 旋转调节型射灯
KR100418271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있어서 각도가 자유롭게조정되는 기구
KR200383329Y1 (ko) 조명장치
KR200192698Y1 (ko) 조명기구의 조절장치
GB2313184A (en) Reflector Lamp)
KR200309313Y1 (ko)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KR200183764Y1 (ko) 램프교환이 용이한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