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313Y1 -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313Y1
KR200309313Y1 KR20-2003-0000019U KR20030000019U KR200309313Y1 KR 200309313 Y1 KR200309313 Y1 KR 200309313Y1 KR 20030000019 U KR20030000019 U KR 20030000019U KR 200309313 Y1 KR200309313 Y1 KR 200309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lamp shade
lighting device
lamp
indirec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달성
Original Assignee
오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달성 filed Critical 오달성
Priority to KR20-2003-000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4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or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램프와 램프소켓 등으로 이루어진 광원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파이프형 램프 갓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둘레에 임의 형상과 배열로 천공되어 내부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수 십개의 빛 투과공들과, 상기 램프 갓을 바닥 또는 천장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투광기를 구비하는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에 의하여 조명장치에 자연소재의 질감을 부여하여 미관을 높이고, 투광기에 의하여 조명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특정 위치나 피사체를 집중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spotlight) 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여, 각종 인테리어 설비에서 인테리어 테마 설정에 범용성을 부여하여 미관을 높이며, 조명 설비비와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device of indirect lighting combined with spotlight used a bamboo }
본 고안은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spotlight) 기능을 구비한 간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간접조명용 램프 갓으로 형성하고 이 램프 갓의 상단 또는 측단에 스포트라이트 장치를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대부분의 조명장치들에서 램프 갓은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미관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램프 갓이 금속재일 경우와 유리재, 목재 또는 기타의 자연소재인 경우에는 그 미관상 느낌에서 상당한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각종 인테리어 설비에 있어서 조명장치의 선택은 인테리어 구조물의 특성과 용도에 조화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특성을 갖고 있으나 자연소재의 재질감을 주는 조명장치는 매우 드물어서 조명설비 디자인에 한계성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조명장치들은 제작 단계에서부터 사용상의 목적에 맞추어 그 기능이 한정되어 제작됨으로서 인테리어 설비에서 조명장치의 설비가 어려웠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 또는 조명기구들은 단순하게 실내,외용 조명용이나, 특수용도의 조명등과 같이 단일 기능만으로 한정하여 제공되고 있어서, 인테리어 설비에서 조명등의 설치 수량이 한정적일 때는 조명설비 디자인도 한정되어 원하는 조명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명등의 설치 수량이 한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포트라이트 조명등은 각각 일반 조명등과는 별개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조명설비비가 높아지고 사용자의 전력소비량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인테리어 설비에 사용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간접조명용 램프 갓으로 형성하여 자연소재의 질감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파이프형 램프 갓의 어느 일측에 조명장치의 조명빛을 모아 램프 갓의 외측에 대하여 일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투사할 수 있는 투광기를 구비하여, 조명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특정 위치나 피사체를 집중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spotlight) 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여, 각종 인테리어 설비에서 인테리어 테마 설정에 범용성을 부여하고 미관을 높이며, 조명 설비비와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종 단면도
도 3은 도1의 구성 중 투광기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4의 종 단면도
도 6은 도4의 구성 중 투광기 부분의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투광기 결합구조 일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투광기 결합구조에 의한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본 고안의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20a: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조명장치
21:받침대 22,21a:램프 23,23a:램프소켓
30,30a:램프 갓 31,31a:투과공 40,40a:투광기
41,41a:조립링 42,42a:반사체 43,43a:투사구
44,44a:반사면 50:주름관
W: 천장 HR:행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의 구성은,
내부에 램프와 램프소켓 등으로 이루어진 광원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파이프형 램프 갓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둘레에 임의 형상과 배열로 천공되어 내부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수 십개의 빛 투과공과, 상기 램프 갓을 바닥 또는 천장 벽면에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투광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의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형 램프 갓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조립되는 투광기의 결합수단에는 투광위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투광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의 구성은, 일정 넓이의 원판으로 된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상단면 중앙에서 램프(22)를 상방을 향하게 끼울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는 램프소켓(23)과, 상기 받침대(21)의 상단면 둘레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파이프형 램프 갓(30)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 갓(30)의 둘레에는 임의 형상과 배열로 천공되어 내부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수 십개의 빛 투과공(31)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갓(30)의 상단 개구부에는 조립식으로 투광기(40)가 장착된다.
상기 투광기(40)는 램프 갓(30)의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압박되게 끼워지는일정 폭의 조립링(41)과, 상기 조립링(41)의 상단에 연장하여 구(球)와 유사한 형태이면서 일 측에 원형의 투사구(43)를 갖는 반사체(42)로 구성되고, 반사체(42)의 내면에는 반사물질이 증착 도포된 반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4는 램프소켓(23)에 연결된 전원선과 전원프러그이고, 부호 25는 전원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의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21)의 상단에서 램프 갓(30)을 분리한 상태에서 램프소켓(23)에 램프(22)를 끼우고 다시 램프 갓(30)을 조립한 후에, 전원선과 전원프러그(24)를 전원콘센트에 꽂고 전원스위치(25)를 온(on) 시키면, 램프소켓(23)에 전원이 공급되어 램프(22)가 점등된다.
램프(22)가 점등되면 램프 빛은 램프 갓(30)의 내부에서 전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일부 빛은 램프 갓(30)의 둘레에 형성한 수 십개의 빛 투과공(31)을 통하여 램프 갓(30)의 외부로 투사되어 스탠드형 간접조명기구로 작용한다.
한편 램프 갓(3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램프 빛은 상단 개구부에 조립된 투광기(40)의 하방측으로도 투사되는 바, 이와 같이 상방으로 투사된 빛들의 일부는 투광기(40)의 구형(球形) 반사체(42) 내벽에 형성된 반사면(44)에 의하여 굴절되어서 투사구(43)를 통하여 외측의 일정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투사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 갓(30) 내부에서 확산되는 램프 빛이 투광기(40)의 반사면(44)에 모아져 투사구(43)로부터 외부로 집중 투사되는 작용은, 램프 갓(30)의 상단에 조립된 투광기(40)를 임의의 방향으로 돌려줌에 따라서 투사구(43)의 투사방향이 조절되어 임의의 위치로 투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은, 램프 갓을 지지하는 수단에 따라서는 램프 갓을 천장에 달아매는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a)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a)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의 구성에 구현된 램프 갓과 투광기의 구성은 동일한 구조로 원용하여서, 임의의 길이로 형성되어 수 십개의 투과공(31a)을 갖는 램프 갓(30a)과, 상기 램프 갓(30a)의 양 측단 개구부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2개의 투광기(40a)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 갓(30a)은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천장 행거(HR)에 의하여 천장(W)의 하방에 횡형으로 설치된다.
램프소켓(23a)은 램프 갓(30a)의 내부 중앙에서 좌우로 램프(22a)를 끼울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고, 램프소켓(23a)에 연결되는 전원선은 행거(HR)를 통하여 천장(W) 내부의 전원선과 연결되고, 전원스위치는 별도로 설치된다.
도4 내지 도6 에서 미설명 부호 41a는 조립링, 43a는 투사구, 42a는 반사체, 44a는 반사면을 각각 가리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대나무를 이용한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a)의 구성에 의하면, 램프소켓(23a)에 좌우로 램프(22a)를 끼운 상태에서 전원스위치에 의하여 램프전원을 공급하면, 램프(22a)가 점등되면서 그 빛이 램프 갓(30a)의 내부에서 전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일부 빛은 램프 갓(30a)의 둘레에 형성한 수 십개의 빛 투과공(3a1)을 통하여 램프 갓(30a)의 외부로 투사되어 천장형 간접조명기구로 작용한다.
이러한 천장형 간접조명기구의 작용과 함께, 램프 갓(30a)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램프 빛은 램프 갓(30a)의 양 측단 개구부에 조립된 좌우 투광기(40a)들 측으로도 투사되는 바, 이 빛들은 좌우 투광기(40a)들의 구(球)형 반사체(42a) 내벽에 형성된 반사면(44a)에 의하여 각각 굴절되어서 각각의 투사구(43a)들을 통하여 외측의 일정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투사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 갓(30a) 내부에서 확산되는 램프 빛이 좌우 투광기(40a)들의 반사면(44a)들에 모아져 각각의 투사구(43a)들로부터 외부로 집중 투사되는 작용은, 램프 갓(30a)의 양 측단 개구부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된 좌우 투광기(40a)들을 임의의 방향으로 돌려 줌에 따라서 좌우 투사구(43a)들의 투사방향이 조절되어 임의의 위치로 투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또는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20a)들과 같이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에 있어서, 램프 갓의 상단 또는 측단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는 투광기의 결합수단에는, 투광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램프 갓의 개구부에 조립되는 투광기의 결합수단에 투광위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형에 투광위치 조절수단을 적용할 때는 도7- 도8과 같이, 절곡이 자유로우면서도 절곡 위치가 유지되는 중간 강성(强性)이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관 재질의 주름관(50)을 램프 갓(30a)의 양 측단 개구부와 투광기(40a)들 사이에 결합수단으로 개재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름관(50)의 특성에 의하여 투광기(40a)들을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시켜 투광각도를 조절 할 수 있게되고, 따라서 투광기에 의한 빛의 투광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작용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대나무를 이용한 스탠드형 또는 천장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20a)들의 구성은 본 고안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일 예들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술적 구성 내에서 설치장소나 사용방법의 변경에 따라서는 일부 구성요소들은 변경하여 응용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탠드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20)의 구성은 램프 갓의 길이와 관경을 임의 규격으로 증감하면서, 램프 갓의 받침수단을 벽 부착형 브라켓으로 변경 적용함으로서 벽걸이형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로도 응용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램프 갓의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 소켓과 램프의 구성은 예시한 피엘등(PL燈)형 형광등 외에도 사용용도와 램프 갓의 규격이나 형태에 따라서, 전구식 형광등, 백열등 및 할로겐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 갓의 상단 또는 양 측단 개구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투광기의 구성에서는, 램프 갓의 단면형태나 단부의 구성에 맞추어 임의 형태의 조립링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고, 외접형외에도 내접형이나 나사결합식으로 형성 할 수 도 있으며, 전체적인 외형도 예시한 구형(球形) 외에도 장방형 입방체 또는 피라밋형 등으로 하여 반사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반사면은 투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평면 또는 포물선면 등으로도 응용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스탠드형 또는 천장형 간접조명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램프 갓이 수 십개의 투과공이 천공된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서 조명장치에 자연소재의 질감을 부여하여 미관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며,
램프 갓의 상단 또는 좌우 측단의 개구부에 투광기를 결합함으로서, 별도의 조명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특정 위치나 피사체에 대하여 하나의 광원으로 집중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spotlight) 기능을 겸비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효과들은 궁극적으로 각종 인테리어 설비에서 인테리어 테마 설정에 범용성과 다양성을 부여하고 미관을 높이며, 조명 설비비와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내부에 램프와 램프소켓 등으로 이루어진 광원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파이프형 램프 갓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둘레에 임의 형상과 배열로 천공되어 내부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수 십개의 빛 투과공들과, 상기 램프 갓을 바닥 또는 천장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대나무 또는 대나무 질감의 합성수지재 파이프형 램프 갓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투광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갓은 받침대(21)에 의하여 수선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투광기는 램프 갓의 상단 개구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스탠드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갓은 천장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행거에 의하여 횡형으로 지지되고, 상기 투광기는 램프 갓의 좌우 어느 일측의 개구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천장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갓의 개구부에 조립되는 투광기의 결합수단에는, 주름관형의 투광위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KR20-2003-0000019U 2003-01-02 2003-01-02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KR200309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19U KR200309313Y1 (ko) 2003-01-02 2003-01-02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19U KR200309313Y1 (ko) 2003-01-02 2003-01-02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313Y1 true KR200309313Y1 (ko) 2003-03-31

Family

ID=4933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19U KR200309313Y1 (ko) 2003-01-02 2003-01-02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548B1 (ko) 2018-05-16 2018-12-07 이동학 대나무를 이용한 조명장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548B1 (ko) 2018-05-16 2018-12-07 이동학 대나무를 이용한 조명장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583A (en) Adjustable luminaire having pivotable lamp and reflector assembly
JP4655952B2 (ja) 照明器具
WO2006135595A2 (en)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ng neon or similar lighting in the shape of a toroid
KR100992555B1 (ko)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US5528473A (en) High output fluorescent lighting fixture
US5523931A (en) High lumen output fluorescent lamp fixture
KR20080044957A (ko) 회전식 조명등기구
KR200309313Y1 (ko)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US2451580A (en) Combined fluorescent and filament lamp reflector unit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US20160061394A1 (en) Stand-type led lighting device
KR100717994B1 (ko) 램프커버 회전형 직간접 조명기구
KR100884778B1 (ko) 배광효율을 높인 안정기 내장형 램프
KR20170001178U (ko) 천장형 led 조명 장치
KR200470160Y1 (ko) 다중 조명연출이 가능한 천정 매입등기구
KR200334562Y1 (ko) 조명등기구의 반사갓 체결구조
KR200262823Y1 (ko) 블랙라이트를 이용한 조명기구
JP2004171963A (ja) 照明器具
US3427446A (en) Lighting device
KR200313163Y1 (ko) 천정등기구
JP2007165337A (ja) 照明器具
KR20210146161A (ko) 천장등 조립체
KR200269104Y1 (ko) 장식 조명용 전등갓
JPS6125126Y2 (ko)
KR100420378B1 (ko) 반사식 방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