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63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63B1
KR102068563B1 KR1020120104930A KR20120104930A KR102068563B1 KR 102068563 B1 KR102068563 B1 KR 102068563B1 KR 1020120104930 A KR1020120104930 A KR 1020120104930A KR 20120104930 A KR20120104930 A KR 20120104930A KR 102068563 B1 KR102068563 B1 KR 10206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main body
support member
tooth portion
til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633A (ko
Inventor
안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63B1/ko
Priority to US13/693,264 priority patent/US9062862B2/en
Publication of KR2014003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 공간에 맞도록 본체의 조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설치 현장 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 공간에 맞도록 본체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크며, 방전등의 경우 고가격, 고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를 들 수 있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또한, 상기 LED는 가로등, 보안등, 공원등 또는 방범등과 같은 등기구에 빠르게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등기구는 벽체에 고정된 기둥 부재에 매달리는 구조로 설치되며 주변환경에 따라 조명 공간을 향하여 빛의 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가로등과 같은 등기구는 도로면 또는 설치면에 대한 기울임(틸트) 각도가 미리 고정된 상태로 생산 및 제작된 상태에서 조명 공간에 설치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등기구는 실제 조명 공간에 설치될 때 도로면 또는 설치면에 대한 기울임 각도가 조절될 수 없거나, 한번 설치가 끝나고나면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면 또는 설치면에 대한 기울임 각도가 조절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가로등이 잘못 설치된 경우 도로면 또는 설치면에 대한 각도가 바르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조명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조명이 필요한 영역의 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설치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도 조명 공간에 대한 등기구의 배광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조명 공간에 맞도록 본체의 조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현장 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와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및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본체와 일측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타측에 톱니부가 마련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톱니부가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가 상기 톱니부의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톱니부의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본체의 자중이 작용하는 제1 틸트 방향에 따른 상기 톱니부의 회전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1 틸트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틸트 방향을 따른 상기 톱니부의 회전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와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및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본체가 소정 틸트 각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홀딩부재에 상기 본체의 자중이 작용하는 제1 틸트 방향 또는 상기 제1 틸트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틸트 방향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본체의 틸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조명 공간에 맞도록 본체의 조사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에 따르면, 설치 현장 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조사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며, 광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는 도로면(S)과 같은 배광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재(110) 및 상기 연결부재(1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등기구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로등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 등기구라 함은 벽체 등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본체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지칭하며, 상기 지지부재(120)는 직접 도로면(S)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둥부재(P)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기둥부재(P)에 장착될 경우 상기 기둥부재(P)가 도로면(S)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에서는 지지부재(120)에 대한 본체(1)의 틸트 각도(기울임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배광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배광이 필요한 영역의 조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에서는 상기 본체(1)가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 방향으로 틸트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제1 틸트방향(T2)은 본체(1)의 자중(W)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제2 틸트방향(T1)은 본체의 자중(W)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에서는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 조절시 상기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를 분리시키기 않고도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명 장치(100)는 설치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조명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공간의 특성(예를 들어, 배광영역의 변경)이 변경하는 경우 상기 조명 장치(100)를 철거한 후 각 구성요소를 분리 및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설치 상태에서 용이하게 본체(1)의 틸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와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및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본체(1)와 일측(111)이 상기 본체(1)에 구비되고, 타측(112)에 톱니부(113)가 마련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를 지지하며, 상기 톱니부(113)가 배치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샤프트(130)와 상기 지지부재(120)에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113)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래치부(141)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1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홀딩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141)가 상기 톱니부의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톱니부의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141)는 상기 본체(1)의 자중이 작용하는 제1 틸트 방향(T1)에 따른 상기 톱니부(113)의 회전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1 틸트 방향(T1)과 반대 방향인 제2 틸트 방향(T2)을 따른 상기 톱니부(113)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톱니부(113)의 톱니(114)들은 대칭된 형상(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지 않고, 상기 본체(1)가 상기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의 래치부(141)를 상기 톱니부(113)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톱니(114)는 왼쪽 변(114a) 길이가 오른쪽 변(114b)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와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및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1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120) 및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기 본체(1)가 소정 틸트 각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부재(11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홀딩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 또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상기 본체(1)의 자중(W)이 작용하는 제1 틸트 방향(T1) 또는 상기 제1 틸트 방향(T1)과 반대 방향인 제2 틸트 방향(T2)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특정 틸트 각도에서 상기 본체(1) 또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홀딩부재(140)는 상기 본체(1)가 해당 틸트 각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부재(11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상기 본체(1) 또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한다는 것은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본체(1) 또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조작이 수행됨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 조절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1) 또는 상기 홀딩부재(140)를 특정 틸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00)에는 항상 본체(1)의 자중(W)에 의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일단 특정 틸트 각도로 상기 조명 장치(100)를 설치한 이후에는 자중 등에 의하여 임의로 틸트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본체(1)에 제2 틸트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틸트 방향(T2)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가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고 함은 상기 본체(1)가 특정 틸트 각도로 유지됨을 의미하고, 임의로 틸트 각도가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고 함은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가능한 상태, 즉 상기 연결부재(110)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본체(1)는 제2 틸트 방향(T2)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본체(1)를 제2 틸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특정 틸트 각도로 조절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1)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홀딩부재(140)는 상기 연결부재(10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상기 본체(1)는 특정 틸트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본체(1)에 제1 틸트방향(T1)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틸트 방향(T2)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본체(1)를 제1 틸트방향으로 회전시키려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틸트 방향(T2)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1 틸트방향(T1)으로는 사용자가 본체(1)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제1 틸트방향(T1)으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는 자중(W)이 작용하고 있고, 상기 본체(1)에는 기판, LED, 전장부 및 히트싱크가 각각 마련되므로 자체 무게가 상당하므로, 상기 조명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1)에 제1 틸트방향(T1)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외력과 자중에 의한 힘이 합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가 급격히 변화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가 상기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틸트 방향(T1) 및 상기 제2 틸트 방향(T2)으로 상기 연결부재(10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이 가해진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홀딩부재(140)를 상기 연결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40)의 래치부(141)를 제1 틸트방향(T1)으로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홀딩부재(140)의 래치부(141)를 제1 틸트방향(T1)으로 회전시킨다는 것은 상기 홀딩부재(140)의 래치부(141)를 상기 연결부재(100)로부터 분리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구현되는 연결부재(110) 및 지지부재(1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본체(1)의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본체(1)에 장착되는 제1 부재(111)와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11)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로는 상기 본체(1)의 전장부(50, 도 6참조)와 외부전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12)에는 상기 연결부재(110)를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제1 샤프트(13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1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112)에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톱니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113)는 복수의 톱니(1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112)에는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1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120)와 접촉되는 스토퍼(11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틸트 각도는 제2 틸트방향으로의 최대 틸트 각도일 수 있고, 180˚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20)는 실질적으로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도로면(S)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도의 기둥부재(P)에 장착되는 제3 부재(121)와 제1 측벽(122) 및 상기 제1 측벽(12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 제2 측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122)과 상기 제2 측벽(123)은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측벽(122)과 상기 제2 측벽(123)은 상기 제3 부재(121)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에는 지지부재(120)에 대한 연결부재(110)의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표시부(12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각도표시부(129)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어느 한 측벽(12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3) 및 상기 제3 부재(121) 사이의 공간(A)에 상기 연결부재(110)의 제2 부재(1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112)는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어느 한 측벽(122 또는 123) 및 상기 연결부재(11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상기 제1 샤프트(130)가 삽입되는 관통홀(1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느 한 측벽(122)에는 상기 제1 샤프트(130)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40)는 상기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3) 사이 공간부(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40)는 제2 샤프트(15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어느 한 측벽(122 또는 123) 및 상기 홀딩부재(14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40)에는 상기 제2 샤프트(15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43)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어느 한 측벽(122)에는 상기 제2 샤프트(150)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12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140)에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톱니부(13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래치부(141)가 마련된다. 상기 제2 부재(112)와 상기 홀딩부재(140)는 톱니부(130)와 상기 래치부(141)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100)는 상기 지지부재(12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10)의 톱니부(113)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핀(160)은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는 상기 홀딩부재(140)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지만, 본체(1)의 하중 및 설치 상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고정핀(160)은 추가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제1 고정핀(160)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고정핀(160)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느 한 측벽(122)에는 상기 제1 고정핀(160)이 삽입되는 제3 관통공(1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핀(160)은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톱니부(113)의 인접하는 톱니(11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10)의 제2 부재(112)의 일부 영역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핀(160) 및 제3 관통공(128)의 개수와 상기 제1 고정핀(160)이 삽입되는 위치는 상기 본체(1)의 자중 및 외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20)에는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3)을 연결하는 제 3측벽(12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40)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3 측벽(124)을 통해 외부로 일부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3 측벽(124)에는 상기 홀딩부재(140)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24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1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120)와 접촉하는 스토퍼(116)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스토퍼(116)는 상기 제3 측벽(124)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최대 틸트 각도는 180˚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100)에서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톱니부(113)가 마련되고, 상기 홀딩부재(140)에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에서 상기 톱니부(113)에 고정되는 래치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홀딩부재(140)와 상기 연결부재(110)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본체(1)가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부재(140)는 래치부(141)를 기준으로 볼때 제1 틸트방향(T3) 및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홀딩부재(140)는 래치부(1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와 상기 연결부재(100)의 톱니부(113)가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를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부재(140)는 래치부(141)를 기준으로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의 래치부(141)가 상기 연결부재(100)의 톱니부(113) 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래치부(141)는 상기 톱니부(113)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에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상기 홀딩부재(150)가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되고, 상기 래치부(141)가 상기 톱니부(113)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2 틸트 방향으로 상기 홀딩부재(140)의 회전은 억제되어야 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홀딩부재(140)의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홀딩부재(140)는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140)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의 바닥면(142)과 상기 지지부재(12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140)가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40)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의 바닥면(142)과 상기 지지부재(120)의 제3 부재(121)가 접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40)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의 바닥면(142)과 상기 공간부(A)의 바닥면(125, 제3 부재의 상부면)이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명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140)를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본체(1)에 외력을 가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40)는 래치부(1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되고, 제2 틸트방향(T4)으로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 제2 틸트방향(T2)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홀딩부재(140)의 회전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가 제2 틸트방향(T2)으로 힘을 받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140)는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홀딩부재(140)는 래치부(1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제2 틸트방향(T2)을 따라 상기 본체(1)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에 제1 틸트 방향(T1)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홀딩부재(140)는 지지부재(120)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140)는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홀딩부재(14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제1 틸트 방향(T1)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제2 틸트 방향(T2)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본체(1)에 외력을 가하거나 상기 홀딩부재(14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1)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1)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와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에서 모두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는 LED모듈(21)과 상기 LED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는 히트싱크(30)와 상기 LED모듈(21)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투과부재(40)와 상기 광투과부재(40)가 위치되는 제1 개구부(15)와 상기 히트싱크(30)가 위치되는 제2 개구부(16)를 갖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2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ED모듈(21)은 기판(22)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모듈(21)과 히트싱크(30) 및 광투과부재(40)는 발광모듈(20)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30)는 상기 LED모듈(21)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트싱크(30)에는 리세스(32)가 마련되며, 상기 LED모듈(21)은 상기 리세스(32)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부재(40)는 상기 LED모듈(21)과 리세스(32)를 둘러싼다.
상기 광투과부재(40)는 LED모듈(21)로부터 조사된 빛을 조명 공간으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광투과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LED모듈(21)로부터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LED모듈(21)로부터 조사된 빛을 안내하여 특정 영역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장부(50)는 외부 전원을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51)와 벼락 등으로부터 상기 전장부(50)를 보호하기 위한 서지 프로텍터(Surge Protector, 53)와 상기 컨버터(51)와 외부 전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시키기 위한 단자대(54) 및 상기 컨버터(51)와 상기 서지 프로텍터(53)와 상기 단자대(54)를 각각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발광유닛(20)의 LED모듈(21)과 전장부(50, 특히 컨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 개구부(15) 및 제2 개구부(16)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 개구부(15)로 유입된 물이 직접 전장부(5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광투과부재(40)가 위치되는 제1 개구부(15)와 상기 히트싱크가 위치되는 제2 개구부(16)를 갖는다.
상기 제1 개구부(15)는 상기 광투과부재(40)로부터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 개구부(16)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히트싱크(30)를 방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LED모듈(21)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S1)와 상기 전장부(50)가 배치되는 제2 공간부(S2)를 포함하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상기 전장부(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제2 공간부(S2)에는 상기 전장부(50)를 둘러싸는 격벽(1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부(S2)에는 상기 연결부재(110)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19)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발광유닛(20)이 배치되고, 격벽(18)이 마련된 제 1바디(11)와 상기 전장부(50)를 둘러싸며, 상기 격벽(18)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바디(13)는 상기 제1 바디(11)에 힌지장치(8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는 상기 제2 바디(13)를 제1 바디(11)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장부(50)를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전장부(50)의 수리 또는 교체시 서비스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제1 개구부를 갖는(15)를 갖는 제3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바디(14)는 제1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바디(11)로부터 제3 바디(14)를 분리시킴으로써, 발광유닛(20)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바디(11)는 상기 제1 공간부(S1)를 형성하는 제1 영역(11a)과 제2 공간부(S2)를 형성하는 제2 영역(11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11b)에 제2 개구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1)가 지지부재(100)에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제1 바디(11)는 직접 비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비를 설치면(W)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 1바디(11)는 제1 공간부(S1)를 형성하는 제1 영역(11a)과 제2 공간부(S2)를 형성하는 제2 영역(11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 또는 유선형 형상을 통해, 제1 바디(11)로 떨어지는 빗물이 도로면(S)으로 신속히 안내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2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200)는 본체(1, 도1 참조)와 상기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220)와 상기 지지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하여 상기 본체(1)가 소정 틸트 각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1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홀딩부재(2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1)와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본체(1)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200)에서는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20) 및 상기 홀딩부재(240)가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 및 홀딩부재(140)와 다소 상이하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본체(1)에 장착되는 제1 부재(211)와 상기 지지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211)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로는 상기 본체(1)의 전장부(50, 도 6 참조)와 외부전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212)에는 상기 연결부재(210)를 상기 지지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제1 샤프트(23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21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212)에는 상기 홀딩부재(2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톱니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213)는 복수의 톱니(2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12)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220)와 접촉되는 스토퍼(21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틸트 각도는 제2 틸트방향으로의 최대 틸트 각도일 수 있고, 180˚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20)는 실질적으로 직선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톱니부(213)는 제1 톱니부(213-1)와 상기 제1 톱니부(213-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린 제2 톱니부(213-2)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재(240)는 상기 제1 톱니부(213-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 홀딩부재(240-1)와 상기 제2 톱니부(213-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2 홀딩부재(240-2)를 포함한다.
즉,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200)에서는 상기 톱니부(213)와 상기 홀딩부재(240)가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톱니부(213)와 상기 홀딩부재(240)가 각각 2개씩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톱니부(213-1)는 복수의 톱니(2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톱니부(213-2)는 복수의 톱니(2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는 동일한 원주 피치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톱니부(213-1) 및 제2 톱니부(213-2)에 의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위 조절 각도는 각각 10˚일 수 있다.
여기서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의 비틀림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의 원주 피치보다 작은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제1 톱니부(213-1) 및 제2 톱니부(213-2)는 각각 10˚의 단위 조절 각도를 가지고 제1 톱니부(213-1) 및 제2 톱니부(213-2)는 5˚의 비틀림 각도를 갖는 경우,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11)에 상기 톱니부(213-1, 213-2)를 복수로 구비함으로써 본체(1)의 단위 조절 각도를 정밀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상기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 사이에 연결부(2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는 연결부(217)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소정의 비틀림 각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7)에는 슬롯(219) 마련되며, 전장부(50)와 연결되는 케이블(C)은 제1 부재(211)와 상기 연결부(217)의 슬롯(219) 및 지지부재(220)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20)는 도로면(S)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도의 기둥부재(P)에 장착되는 제3 부재(221)와 제1 측벽(222) 및 상기 제1 측벽(22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 제2 측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222)과 상기 제2 측벽(223)은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측벽(222)과 상기 제2 측벽(223)은 상기 제3 부재(221)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에는 지지부재(220)에 대한 연결부재(210)의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표시부(22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각도표시부(229)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어느 한 측벽(12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측벽(222)과 제2 측벽(223) 및 상기 제3 부재(221) 사이의 공간(A)에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2 부재(2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212)는 제1 샤프트(23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230)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어느 한 측벽(222 또는 223) 및 상기 연결부재(21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상기 제1 샤프트(230)가 삽입되는 관통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느 한 측벽(222)에는 상기 제1 샤프트(230)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는 각각 상기 제1 측벽(222)과 제2 측벽(223) 사이 공간부(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는 제2 샤프트(25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2 샤프트(250)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어느 한 측벽(222 또는 223) 및 상기 홀딩부재들(240-1, 240-2)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들(240-1, 240-2)에는 상기 제2 샤프트(25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243)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어느 한 측벽(222)에는 상기 제2 샤프트(250)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22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 2홀딩부재(240-1, 240-2)에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 및 제2 톱니부(213-1, 213-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래치부(241)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2 부재(212)와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는 해당 톱니부(213-1, 213-2)와 해당 홀딩부재(240-1, 240-2)의 래치부(241)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지지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 톱니부(213-1) 또는 제2 톱니부(213-2)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 고정핀(2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핀(260)은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한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는 제1 또는 제 2 홀딩부재(240-1, 240-2)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지만, 본체(1)의 하중 및 설치 상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고정핀(260)은 추가로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제1 고정핀(260)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고정핀(260)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느 한 측벽(222)에는 상기 제1 고정핀(260)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3 관통공(2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핀(260)은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톱니부(213-1, 213-2)의 인접하는 톱니(114)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고정핀(260)은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2 부재(212)의 일부 영역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핀(260) 및 제3 관통공(228)의 개수와 상기 제2 고정핀(160)이 삽입되는 위치는 상기 본체(1)의 자중 및 외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20)에는 제1 측벽(222)과 제2 측벽(223)을 연결하는 제 3측벽(22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3 측벽(224)을 통해 외부로 일부영역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3 측벽(224)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를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124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측벽(223)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220)와 접촉하는 스토퍼(216)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스토퍼(216)는 상기 제3 측벽(224)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최대 틸트 각도는 180˚일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연결부재(210)는 톱니부(213-1, 213-2)가 복수로 구비되는 점과 상기 톱니부들(213-1, 213-2) 사이에 연결부(217)가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연결부재(110)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홀딩부재(240)은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로 구비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홀딩부재(140)와 동일하다. 즉, 제1 및 제2 홀딩부재(240-1, 240-2)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홀딩부재(1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복수의 홀딩부재(240-1, 240-2)를 장착시키고, 해당 홀딩부재(240-1, 240-2)의 일부 영역을 각각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3 측벽(224)의 형상에서만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부재(120)와 차이를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100)에서 본체(1)의 틸트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톱니부(213)와 홀딩부재(240)가 복수로 구비되는 점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제1 톱니부(213-1)와 제1 홀딩부재(240-1)의 회전 잠금 구조 및 제2 톱니부(213-2)와 제2 홀딩부재(240-2)의 회전 잠금 구조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톱니부(113)와 홀딩부재(140)의 회전 잠금 구조와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톱니부(213-1)와 제1 홀딩부재(240-1)의 회전 잠금 구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제1 톱니부(213-1)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에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톱니부(213-1)에 고정되는 래치부(24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본체(1)가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래치부(241)를 기준으로 볼때 제1 틸트방향(T3) 및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래치부(2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와 상기 연결부재(100)의 제1 톱니부(213-1)가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를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홀딩부재(240-1)가 래치부(241)를 기준으로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래치부(241)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제1 톱니부(213-1) 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래치부(241)는 상기 제1 톱니부(213-1)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에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상기 홀딩부재(150)가 제2 틸트방향(T4)으로 회전되고, 상기 래치부(241)가 상기 제1 톱니부(213-1)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2 틸트 방향으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회전은 억제되어야 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2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바닥면(242)과 상기 지지부재(22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 홀딩부재(240-1)가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바닥면(142)과 상기 지지부재(220)의 제3 부재(221)가 접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가 제2 틸트 방향(T4)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바닥면(142)과 상기 공간부(A)의 바닥면(225, 제3 부재의 상부면)이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명 장치(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를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1 홀딩부재(240-1)에 외력을 가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본체(1)에 외력을 가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래치부(2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되고, 제2 틸트방향(T4)으로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 제2 틸트방향(T2)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회전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가 제2 틸트방향(T2)으로 힘을 받는 경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제1 틸트방향(T3)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래치부(241)를 기준으로 제1 틸트방향(T3)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제2 틸트방향(T2)을 따라 상기 본체(1)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본체(1)에 제1 틸트 방향(T1)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지지부재(220)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홀딩부재(240-1)는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제1 틸트 방향(T1)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 홀딩부재(240-1)에 외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제2 틸트 방향(T2)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본체(1)에 외력을 가하거나 상기 제1 홀딩부재(240-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톱니부(213-1)는 복수의 톱니(2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톱니부(213-2)는 복수의 톱니(214)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간격, 즉 피치(예를 들어,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의 비틀림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의 원주 피치보다 작은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가 소정의 각도로 비틀린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210)가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제1 톱니부(213-1)가 제1 홀딩부재(240-1)에 고정된 상태일 수도 있고, 제2 톱니부(213-2)가 제2 홀딩부재(240-2)에 고정된 상태일 수도 있다. 즉,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의 비틀림 각도로 인하여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도 10은 제1 홀딩부재(240-1)가 상기 지지부재(220)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되고, 제2 홀딩부재(240-2)가 상기 연결부재(21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 홀딩부재(240-1)를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도 12는 제2 홀딩부재(240-2)를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에 제1 틸트 방향(T1)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재(210)는 상기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는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2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회전 잠금 상태인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에 외력을 가하여 해당 홀딩부재(예를 들어 240-2)와 지지부재(240)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본체(1)가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홀딩부재(140)와 톱니부(113)의 관계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본체(1)에 제2 틸트방향(T2)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홀딩부재(240-1) 또는 제2 홀딩부재(240-2)의 회전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조명 상태(200)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제2 홀딩부재(240-2)에 제2 틸트방향(T4)을 따라 외력을 가하면, 제2 홀딩부재(240-2)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2 톱니부(213-2)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재(210)는 회전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틸트방향(T1) 또는 제2 틸트방향(T2)을 따라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조명 상태(200)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상기 본체(1)에 제2 틸트방향(T2)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본체(1)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틸트 각도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220)와 접촉하는 스토퍼(216)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스토퍼(216)는 상기 제3 측벽(224)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최대 틸트 각도는 180˚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톱니부(213)에는 상기 제1 톱니부(213-1)와 제 2 톱니부(213-2) 사이에 연결부(217)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17)의 종단부에 상기 스토퍼(216)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장치(200)는 연결부재(210)의 최대 틸팅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217)에 삽입되는 제2 고정핀(2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연결부재(210)는 실질적으로 직선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틸트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제2 고정핀(270)을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연결부재(2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연결부(217)에는 삽입홀(218)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제3 측벽(224)에는 관통홀(224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핀(270)은 상기 관통홀(224b)을 통과한 후 상기 삽입홀(218)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0)의 스토퍼(216)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제3 측벽(224)에 접촉된다.
지금까지는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가 소정의 비틀림 각도를 갖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톱니부(213-1)와 제2 톱니부(213-2)가 비틀림 없이 각각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제1 톱니부(213-1) 및 제2 톱니부(213-2)는 동시에 제1 홀딩부재(240-1) 및 제2 홀딩부재(240-2)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되거나 동시에 회전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조명 공간에 맞도록 본체의 조사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에 따르면, 설치 현장 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조사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며, 광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본체
100: 조명장치
110: 연결부재
120: 지지부재
130: 제1 샤프트
140: 홀딩부재
150: 제2 샤프트
160: 제1 고정핀

Claims (28)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와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및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타측에 톱니부가 마련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톱니부가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홀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부가 상기 톱니부의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톱니부의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지 않되,
    상기 톱니부는 제1 톱니부와 상기 제1 톱니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린 제2 톱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제1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 홀딩부재와 상기 제2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2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본체의 자중이 작용하는 제1 틸트 방향에 따른 상기 톱니부의 회전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1 틸트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틸트 방향을 따른 상기 톱니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외력을 가하여 홀딩부재의 래치부를 상기 연결부재의 톱니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틸트 방향과 상기 제2 틸트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1 틸트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홀딩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홀딩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홀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본체가 제1 틸트방향 또는 제2 틸트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2 틸트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홀딩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톱니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톱니부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지지부재에 대한 연결부재의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본체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는 동일한 원주 피치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의 비틀림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 조절 각도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의 원주 피치보다 작은 원주 피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1 틸트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홀딩부재 또는 상기 제2 홀딩부재에 의하여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재 또는 상기 제2 홀딩부재는 일부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홀딩부재 또는 상기 제2 홀딩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회전 잠금 상태인 상기 제1 홀딩부재 또는 상기 제2 홀딩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해당 홀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본체가 제1 틸트방향 또는 제2 틸트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2 틸트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홀딩부재 또는 상기 제2 홀딩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톱니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 중 어느 한 측벽과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재와 상기 제2 홀딩부재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공간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홀딩부재와 상기 제2 홀딩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측벽 중 어느 한 측벽을 관통하는 제2 샤프트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측벽 중 어느 한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톱니부 또는 상기 제2 톱니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톱니부 또는 상기 제2 톱니부의 인접하는 톱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에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 사이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의 종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틸트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틸팅 각도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제2 고정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슬롯이 마련되며,
    상기 전장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의 슬롯 및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8. 삭제
KR1020120104930A 2012-09-21 2012-09-21 조명 장치 KR10206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30A KR102068563B1 (ko) 2012-09-21 2012-09-21 조명 장치
US13/693,264 US9062862B2 (en) 2012-09-21 2012-12-04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30A KR102068563B1 (ko) 2012-09-21 2012-09-21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33A KR20140038633A (ko) 2014-03-31
KR102068563B1 true KR102068563B1 (ko) 2020-01-21

Family

ID=5033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930A KR102068563B1 (ko) 2012-09-21 2012-09-2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62862B2 (ko)
KR (1) KR102068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728B2 (en) 2012-07-13 2017-06-13 Gary L. Toner Flagpole illumination device
US9970611B2 (en) 2012-07-13 2018-05-15 Gary L. Toner Flagpole illumination device
US9523484B2 (en) * 2012-07-13 2016-12-20 Gary L. Toner Flagpole illumination device
US10480774B2 (en) 2013-05-16 2019-11-19 Mckeon Products, Inc. Light emitter with communication or power connector
US9267653B2 (en) 2013-05-16 2016-02-23 Mckeon Products, Inc. Light fixture with communication or power connector
US9228722B2 (en) * 2013-06-05 2016-01-05 Ming-Yuan Wu Outdoor LED lighting device structure with easy installation features
US9316365B1 (en) * 2014-04-01 2016-04-19 Gordon Ko Retrofit solar powered lighting assembly for flagpole
US10274177B2 (en) 2014-05-23 2019-04-30 Hubbell Incorpoated Luminaire with adjustable lamp modules
ES2687382T3 (es) * 2014-05-27 2018-10-24 Hangzhou Hpwinner Opto Corporation Dispositivo de iluminación LED
CN204042801U (zh) * 2014-06-09 2014-12-24 深圳市耀嵘科技有限公司 一种led灯具
TWI557365B (zh) * 2014-06-27 2016-11-11 燈具及其操作方法
CN104132278B (zh) * 2014-07-23 2016-11-23 深圳市超频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道路灯
US20160084450A1 (en) * 2014-09-18 2016-03-24 Ningbo Gemay Industry Co., Ltd LED Projector Capable of Emitting Light in 180°
CN104373874A (zh) * 2014-11-06 2015-02-25 常州市鹰皇冠进出口有限公司 旋转型路灯
CN107781758A (zh) * 2016-08-24 2018-03-09 晟大国际股份有限公司 太阳能路灯结构
US10323834B2 (en) * 2017-06-06 2019-06-18 Middle Atlantic Products, Inc. Rotable light assembly for an electronics rack
WO2019022543A1 (ko) * 2017-07-27 2019-01-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모듈
CN108105681A (zh) * 2018-01-22 2018-06-01 厦门佳因特科技有限公司 一种路灯灯杆的衔接装置
CN109084219B (zh) * 2018-07-23 2020-07-31 江门沃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球形led投光灯
JP7027613B2 (ja) * 2018-09-19 2022-03-01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照明器具の取り付け
NL2022347B1 (en) * 2019-01-07 2020-08-13 Schreder Sa Tiltable luminaire joint
KR200492475Y1 (ko) * 2019-01-09 2020-10-21 박용주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위험구역 표시 경고등
US10674842B1 (en) * 2019-09-30 2020-06-09 Protomet Corporation Hinged deployable mirror bracket
US11149936B2 (en) * 2020-02-18 2021-10-19 Exposure Illumination Architects, Inc. Uniformly lit planar field of illumination
DE202020103721U1 (de) 2020-06-29 2021-10-04 Zumtobel Lighting Gmbh Stehleuchte
NL2026604B1 (en) * 2020-10-01 2022-06-02 Schreder Sa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a luminaire
WO2022069368A1 (en) * 2020-10-01 2022-04-07 Schreder S.A.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a luminaire and attaching a luminaire he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485A (ja) 2001-03-27 2002-10-03 Green Service:Kk 伸縮支柱用ウインチ及び投光機
KR100977723B1 (ko) 2010-02-08 2010-08-24 (주)이지스테크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0982189B1 (ko) 2009-06-03 2010-09-14 주식회사 삼립전기 각도 조절 가능한 등기구
KR100994448B1 (ko) * 2010-06-18 2010-11-15 박영민 가로등용 조명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07A (ko) * 2001-07-30 2001-09-28 이태삼 자동차 덴트작업용 조명등
CA2898489A1 (en) * 2012-02-17 2013-08-22 Lumenoptix, Llc Light fixtures and processes for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485A (ja) 2001-03-27 2002-10-03 Green Service:Kk 伸縮支柱用ウインチ及び投光機
KR100982189B1 (ko) 2009-06-03 2010-09-14 주식회사 삼립전기 각도 조절 가능한 등기구
KR100977723B1 (ko) 2010-02-08 2010-08-24 (주)이지스테크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0994448B1 (ko) * 2010-06-18 2010-11-15 박영민 가로등용 조명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33A (ko) 2014-03-31
US9062862B2 (en) 2015-06-23
US20140085909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563B1 (ko) 조명 장치
KR101215381B1 (ko) 조명 장치
JP6180052B2 (ja) Ledランプ
KR101181784B1 (ko) 조명 장치
JP2007265646A (ja) 照明器具
KR20110035514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등기구
KR101105394B1 (ko) 형광램프 대체용 리니어 엘이디 램프
KR200466811Y1 (ko) 조명장치용 벽부 고정 브라켓
TW201317498A (zh) 可旋式照明裝置
EP2778517B1 (en) Led lighting apparatus
KR20170064433A (ko) 벌브형 led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0929356B1 (ko) 엘이디기판에 반사갓이 결합되는 엘이디 가로등
CN210860971U (zh) 光源单元以及车辆用灯具
JP5294438B2 (ja) 照明器具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161684B1 (ko) 방수장치를 구비한 경관조명기구
KR20100100451A (ko) 엘이디 형광등
KR20140137934A (ko) 로테이션 및 틸팅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11465B1 (ko) 형광등 형태의 led 조명등
KR101614381B1 (ko) Led 형광등 어셈블리
KR101625063B1 (ko) 조명장치
KR20120061284A (ko) 조명기구
JP2012094279A (ja) Led照明器具及び回転規制部材
KR101233637B1 (ko) Pla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벌브형 등기구
JP2011198525A (ja) 埋め込み型ダウン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