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57B1 - 분사기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분사기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57B1
KR101347057B1 KR1020120048788A KR20120048788A KR101347057B1 KR 101347057 B1 KR101347057 B1 KR 101347057B1 KR 1020120048788 A KR1020120048788 A KR 1020120048788A KR 20120048788 A KR20120048788 A KR 20120048788A KR 101347057 B1 KR101347057 B1 KR 10134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p
plate
post
rotat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217A (ko
Inventor
오갑석
Original Assignee
오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갑석 filed Critical 오갑석
Priority to KR102012004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8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the parts being continuously transported through the machine dur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기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캡을 공급할 수 있는 상부 캡 장착부, 그리고 실린더 뭉치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 장착부와 이송부는 서로 체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가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로부터 상부 캡을 공급받아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 분사기 제조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분사기 제조 장치{spray fabr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분사기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구강 청결제 및 향수 등은 크게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에 결합되는 분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 용기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기 분사기는 펌핑력에 의해 저장 용기 내의 저장물을 외무로 분사시킨다.
특히, 상기 분사기는 패킹, 실린더, 상부 캡 및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분사기 조립공정에 의하면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패킹, 실린더, 상부 캡 및 버튼을 조립하여 분사기를 제조 하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분사기의 개당 제작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베이어 밸트를 이용하여 분사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컨베이어 밸트는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넓은 작업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분사기의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으며, 분사기의 개당 제작단가를 낮추고 작업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조립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10457호 (1996.04.20)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8411호 (2011.04.14)
본 발명은 미스트,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구강 청결제 및 향수 등에 사용되는 분사기를 제조 함에 있어,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분사기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캡을 공급할 수 있는 상부 캡 장착부, 그리고 실린더 뭉치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 장착부와 이송부는 서로 체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가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로부터 상부 캡을 공급받아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캡 장착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포스트, 상기 회전 포스트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회전 포스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을 안내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의 상부에 위치되며 회전 포스트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포스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캡을 파지할 수 있는 상부 캡 파지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을 이송하는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판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 캡 파지홈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 상기 회전 포스트의 상부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끼움되며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이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이송부가 승강되면서 이송부에 이송된 상부 캡이 상기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의 저면에 의해 눌려져 상기 실린더 뭉치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편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저면에는 결합 포스트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 포스트에는 상기 이송부 및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 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레일이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 장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캡 파지홈에 상부 캡을 전달하는 상부 캡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그 로더, 상기 지그 로더의 하부측에 장착되며 전면 및 후면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롤러가 장착된 이동 롤러 설치부, 상기 이동 롤러 설치부를 사이에 두고 지그 로더의 외주연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체인이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부, 상기 한 쌍의 승강부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지그 로더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상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에는 실린더 뭉치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집 포스트, 그리고 상기 수집 포스트의 외주연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집 포스트의 수용홈에 수용된 실린더 뭉치를 감싸는 지그 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캡 장착부와 다수개의 이송부를 체인 연결하고, 다수개의 이송부가 체인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 하우징을 통해 승강하면서 상부 캡 장착부로부터 상부 캡을 공급받아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미스트,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구강 청결제 및 향수 등에 사용되는 분사기를 제조함에 있어 자동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와 제작단가 및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에 적용된 상부 캡 장착부의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제조 장치에 적용된 상부 캡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의 배열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 제조 장치(1)는,공지된 미스트,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구강 청결제 및 향수 등에 사용되는 분사기에서, 상기 분사기를 구성하는 상부 캡과 실린더 뭉치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캡(2)을 공급할 수 있는 상부 캡 장착부(10), 그리고 실린더 뭉치(3)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와 이송부(20)는 서로 체인(30)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20)가 체인(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로부터 상부 캡(2)을 공급받아 실린더 뭉치(3) 위에 상부 캡(2)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는 다수개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체인(3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패킹(미도시)을 이동시킬 수 있는 패킹 이동부(60)와, 상기 패킹 이동부(6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실린더 뭉치(2)를 공급할 수 있는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상기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실린더 뭉치(3)의 둘레부에 패킹을 장착시킬 수 있는 조립부(80)와, 상기 조립부(8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 뭉치 공급부(70)를 통해 공급된 상기 실린더 뭉치(3) 위에 상부 캡(2)을 공급할 수 있는 상부 캡 장착부(10)와,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 뭉치(3) 위에 분사 버튼(4)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사 버튼 장착부(100)를 차례 대로 이동하면서 상기 패킹과, 실린더 뭉치(3)와 상부 캡(2) 및 분사 버튼(4)을 공급받아 조립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에는 실린더 뭉치(3)를 전달받을 수 있는 실린더 뭉치 전달부(71)가 포함되고, 상기 분사 버튼 장착부(100)에는 분사 버튼(4)을 전달받을 수 있는 분사 버튼 전달부(101)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상기 분사 버튼 장착부(100)의 일측에는 조립부(80)와 상부 캡 장착부(10) 및 분사 버튼 장착부(100)에 의해 조립되어진 패킹과 실린더 뭉치(3)와 상부 캡(2) 및 분사 버튼(4)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110)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부(110)의 일측에는 이송부(20)를 복원시킨 다음 다시 패킹 이동부(60)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부(120)가 소정 간격 떨어져 있다.
더하여, 상기 체인(30)은 상부 캡 장착부(10)와 이송부(20) 외에도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조립부(80)와 분사 버튼 장착부(100)와 배출부(110) 및 복원부(1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체인(30)은 하나의 모터(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의 회전축(11) 하부에 스프로켓(111)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로켓(111)과 모터의 회전축(11)에 체인(30')을 연결한 다음 상기 모터(5)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11)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이송부(20)는 체인(30)을 따라 패킹 이동부(60), 실린더 뭉치 공급부(70), 조립부(80), 상부 캡 장착부(10), 분사 버튼 장착부(100), 배출부(110), 복원부(120)를 차례 대로 이동하면서 패킹, 실린더 뭉치(3), 상부캡(2) 및 분사 버튼(4)을 조립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부(80) 및 상부 캡 장착부(10)의 사이에는 패킹 이동부(60)와,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조립부(80)와, 상부 캡 장착부(10)와, 분사 버튼 장착부(100)와, 배출부(110) 및 복원부(120)를 연결하는 체인(30)이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션 유지부(90)가 더 설치된다.
한편, 상기 패킹 공급부(50)와, 패킹 이동부(60)와,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조립부(80)와, 텐션 유지부(90)와, 분사 버튼 공급부와, 배출부(110) 및 복원부(120)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특허 "분사기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사기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에서는 상부 캡 장착부(10)와 이송부(2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는 조립부(80)와 분사 버튼 장착부(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11)과, 상기 회전축(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포스트(12)와, 상기 회전 포스트(12)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이송부(20)의 이송을 안내하는 스프로켓(13)과, 상기 스프로켓(13)의 상부에 위치되며 회전 포스트(1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포스트(1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4)과, 상기 회전판(14)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14)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와,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판(14)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와, 상기 회전 포스트(12)의 상부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끼움되고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7)와, 그리고 상기 이송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하우징(18)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회전 포스트(12) 및 상기 회전 포스트(12)에 장착된 스프로켓(13)과 회전판(14)을 동시에 회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설치 플레이트(6)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치 플레이트(6)는 강철 또는 스테인리스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모양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모양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국한 되지 않고 직사각형, 원형 따위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포스트(12)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11)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용접 따위로 회전축(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로켓(13)은 상기 이송부(20)의 이송을 안내하면서 체인(3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포스트(1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가장자리에는 이송부(20)를 이송하면서 체인(30)이 연결되는 톱니부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로켓(13)이 회전 포스트(12)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톱니부들이 이송부(20)의 승강부(24)를 순차적으로 밀어 분사 버튼 장착부(100)에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14)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포스트(1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4)의 내경 보다 회전축(11)의 외경이 작을 경우 회전판(14)과 회전축(11)의 사이에는 공간 메꿈부(40)를 끼워 넣은 다음 용접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14)이 회전축(11)과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14)의 하부측에는 회전판(1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턱141)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141)의 직경은 회전판(14)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턱141)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부 캡 파지홈(151)과 상부 캡 전달부(19)의 출구 측이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편(142)이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 된다.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는 회전판(14)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내경은 회전 포스트(12)의 외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는 회전 포스트(12)에 억지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으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와 회전판(14)이 맞닿는 부분에는 용접으로 결합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캡을 파지할 수 있는 상부 캡 파지홈(1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캡 파지홈(151)은 상부 캡이 공급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캡 파지홈(151)의 형상은 상부 캡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가 상기 회전판(14)과 함께 회전하면 상부 캡 파지홈(151)에 공급된 상부 캡은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실린더 뭉치(3)에 전달된다.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는 회전 포스트(12)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의 내경은 회전판(14)의 외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는 회전 포스트(12)에 억지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으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와 회전판(14)이 맞닿는 부분에는 용접으로 결합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의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161)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 된다. 상기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161)는 상부 캡 파지홈(15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와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과 회전판(14)에 의해 함께 회전되더라도 상기 상부 캡 파지홈(151)과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161)는 항상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17)는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의 상부에 위치되며 회전 포스트(12)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7)는 스프로켓(13)과,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 및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16)와 달리 회전 포스트(12)의 상부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끼움된다.
예로써,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고정 서포트를 용접 따위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 서포트의 상부 측면에는 고정 플레이트(17)(36)를 용접 따위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17)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면서 회전 포스트(12)의 상부가 고정 플레이트(17)에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끼움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7)의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편(17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71)의 저면에는 결합 포스트(172)가 용접 따위를 통해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포스트(172)의 저면에는 상부 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레일(173)이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 레일(173)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가이드(174)와 결합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174)는 대략 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에는 결합 포스트(172)가 안착된다.
상기 결합부(175)는 가이드(174)와 동일하게 대략 활 형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75)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174)가 안착되는 고정편(176)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 포스트(172)와 고정편(176) 및 관통홀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75)와 고정편(176)과 관통홀 및 결합포스트에 볼트 따위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면 상기 결합 포스트(172)의 저면에 가이드(174) 및 결합부(175)를 연결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 레일(173)은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상부 캡 파지홈(151)(34a)과 함께 상부 캡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즉, 상기 이탈 방지 레일(173)은 상부 캡(2)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이송부(20) 및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 캡(2)이 원심력에 의해 상부 캡 파지홈(1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하우징(18)은 이송부(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상부 캡 파지홈(15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 플레이트(6)의 상면에 용접 따위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18)의 상단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된 부분은 이동 롤러(23)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곡선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하우징(18)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상기 이송부(20)는 이동 롤러(23)에 의해 가이드 하우징(18)의 상단 일 측을 따라 이동한 후, 가이드 하우징(18)의 돌출된 부분에서 상부 캡 파지홈(151)의 하면과 근접하도록 상승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20)가 상승되면 실린더 뭉치에 상부 캡이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 캡이 상기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161)의 저면에 의해 눌려져 상기 실린더 뭉치의 상부 외주연에 장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송부(20)는 다시 가이드 하우징(18)의 상단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원래의 높이로 복원되어 분사 버튼 장착부(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10)는 상부 캡 파지홈(151)에 상부 캡을 전달할 수 있는 상부 캡 전달부(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 전달부(19)는 상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바닥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캡 전달부(19)의 하측에 개방된 부분은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15)의 상부 캡 파지홈(151)과 수평을 이룬다.
즉, 상기 상부 캡 전달부(19)에 상부 캡을 순차적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상부 캡이 상부 캡 전달부(19)의 바닥부를 타고 내려가 각각의 상부 캡 파지홈(151)에 하나씩 전달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상부 캡 전달부(19)의 저면에는 고정 서포트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 서포트의 하측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6)의 상면에 볼트 따위로 결합하여 상기 상부 캡 전달부(19)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지그 로더(21)와, 이동 롤러 설치부(22)와, 한 쌍의 승강부(24)와, 연결편(25)과, 연결 블록(26)과, 수집 포스트(27), 그리고 지그 헤드(29)를 포함한다.
그 중 한 쌍의 지그 로더(21)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태이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이동 롤러 설치부(22)는 지그 로더(21)의 하부측에 장착된다. 상기 이동 롤러 설치부(22)는 지그 로더(2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이동 롤러 설치부(22)는 각각 분할되어 지그 로더(21)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분할된 이동 롤러 설치부(2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지그 로더(21)를 감쌀 수 있는 반 원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된 이동 롤러 설치부(22)가 지그 로더(21)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피스나 볼트 따위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 하여 상기 분할된 이동 롤러 설치부(22)를 지그 로더(21)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 설치부(22)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가이드 하우징(18)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롤러(23)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이동 롤러(23)는 볼트나 피스 따위를 통해 이동 롤러 설치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승강부(24)는 지그 로더(21)의 외주연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승강부(24)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그 로더(21)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24)의 내경은 지그 로더(2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부(24)가 지그 로더(21)를 타고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승강부(24) 사이에는 이송부(20)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스프로켓(13)의 톱니부가 수용된다. 즉, 스프로켓(13)이 회전하게 되면 톱니부들이 승강부(24)를 순차적으로 밀어 이송부(2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24)의 외주연에는 스프로켓(13)들을 연결하는 체인(30)이 장착된다.
상기 승강부(24)를 지그 로더(21)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는 이유는 상기 이송부(20)가 이동 롤러(23)에 의해 가이드 하우징(18)의 돌출된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승강부(24)가 지그 로더(21)를 타고 하강되도록 하여 체인(30)과 스프로켓(13)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20)가 가이드 하우징(18)을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승강부(24)가 지그 로더(21)를 타고 상승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에 따라 체인(30)과 스프로켓(13)의 연결 상태가 유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편(25)은 상기 한 쌍의 승강부(24)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24)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편(25)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24) 외주연에 각각 장착될 수 있는 두 개의 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연결편(25)을 평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25)과 승강부(24)가 맞닿는 부분에는 용접 따위를 실시하여 승강부(24)의 외주연에 연결편(25)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26)은 지그 로더(21)의 상부측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 블록(26)은 이동 롤러 설치부(22)와 달리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 로더(21)와 연결 블록(26)의 결합은 끼움 결합구조 또는 용접 따위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연결 블록(26)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지그 로더(21)용 끼움홀을 형성하여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그 로더(21)의 상부를 지그 로더(21)용 끼움홀에 각각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 로더(21)를 연결 블록(26)의 끼움홀에 끼움 결합했을 때 지그 로더(21)가 연결블록에서 빠질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지그 로더(21)용 끼움홀의 직경은 지그 로더(2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지그 로더(21)를 연결 블록(26)의 지그 로더(21)용 끼움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집 포스트(27)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블록(26)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26)의 중앙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집 포스트(27)용 끼움홀을 형성하여, 상기 수집 포스트(27)를 끼움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 포스트(27)를 수집 포스트(27)용 끼움홀에 끼움 결합했을 때 수집 포스트(27)가 끼움홀에서 빠질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끼움홀의 내경은 수집 포스트(27)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좁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수집 포스트(27)를 끼움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포스트(27)의 상부에는 실린더 뭉치 공급부(70)를 통해 전달되는 실린더 뭉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28)이 형성된다.
상기 지그 헤드(29)는 중앙에 수집 포스트(2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그 헤드(2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집 포스트(27)의 형상과 패킹 및 실린더 뭉치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계속해서, 상기 지그 헤드(29)의 내경은 수집 포스트(27)의 외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그 헤드(29)는 상기 수집 포스트(27)의 외주연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그 헤드(29)를 수집 포스트(27)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는 이유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특허 "분사기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사기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분사기 제조 장치에 적용된 패킹 이동부(60)와, 실린더 뭉치 공급부(70)와, 조립부(80)와, 상부 캡 장착부(10)와, 분사 버튼 장착부(100)와, 배출부(110)와, 복원부(120) 및 텐션 유지부(9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거나,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여도 이송부(20)를 통해 패킹(P)과, 실린더 뭉치(2)와, 상부 캡(3) 및 상기 분사 버튼(4)을 조립한 다음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상부 캡 장착부 11 : 회전축
111,13 : 스프로켓 12 : 회전 포스트
14 : 회전판 141 : 단턱
142,176 : 고정편 15 :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
151 : 상부 캡 파지홈 16 :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
161 :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 17 : 고정 플레이트
171 : 결합편 172 : 결합 포스트
173 : 이탈 방지 레일 174 : 가이드
175 : 결합부 18 : 가이드 하우징
19 : 상부 캡 전달부 20 : 이송부
21 : 지그 로더 22 : 이동 롤러 설치부
23 : 이동 롤러 24 : 승강부
25 : 연결편 26 : 연결 블록
27 : 수집 포스트 28 : 수용홈
29 : 지그 헤드 30,30': 체인
40 : 공간 메꿈부 50 : 패킹 공급부
60 : 패킹 이동부 70 : 실린더 뭉치 공급부
71 : 실린더 뭉치 전달부 80 : 조립부
90 : 텐션 유지부 100 : 분사 버튼 장착부
101 : 분사 버튼 전달부 110 : 배출부
120 : 복원부

Claims (4)

  1.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캡을 공급할 수 있는 상부 캡 장착부, 그리고
    실린더 뭉치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 장착부와 이송부는 서로 체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가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로부터 상부 캡을 공급받아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 분사기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캡 장착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포스트,
    상기 회전 포스트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회전 포스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을 안내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의 상부에 위치되며 회전 포스트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포스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캡을 파지할 수 있는 상부 캡 파지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실린더 뭉치 위에 상부 캡을 이송하는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판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 캡 파지홈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
    상기 회전 포스트의 상부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끼움되며 상기 상부 캡 푸쉬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이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이송부가 승강되면서 이송부에 이송된 상부 캡이 상기 상부 캡 푸쉬업 결합돌기의 저면에 의해 눌려져 상기 실린더 뭉치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산 형상을 이루는 분사기 제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편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저면에는 결합 포스트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 포스트에는 상기 이송부 및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 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레일이 상부 캡 이송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착된 분사기 제조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그 로더,
    상기 지그 로더의 하부측에 장착되며 전면 및 후면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롤러가 장착된 이동 롤러 설치부,
    상기 이동 롤러 설치부를 사이에 두고 지그 로더의 외주연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체인이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부,
    상기 한 쌍의 승강부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지그 로더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상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에는 실린더 뭉치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집 포스트, 그리고
    상기 수집 포스트의 외주연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집 포스트의 수용홈에 수용된 실린더 뭉치를 감싸는 지그 헤드를 포함하는 분사기 제조장치.
KR1020120048788A 2012-05-08 2012-05-08 분사기 제조 장치 KR10134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88A KR101347057B1 (ko) 2012-05-08 2012-05-08 분사기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88A KR101347057B1 (ko) 2012-05-08 2012-05-08 분사기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17A KR20130125217A (ko) 2013-11-18
KR101347057B1 true KR101347057B1 (ko) 2014-01-03

Family

ID=4985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788A KR101347057B1 (ko) 2012-05-08 2012-05-08 분사기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91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아이팩 펌프헤드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7543B (zh) * 2017-06-20 2019-02-19 安徽普伦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孔轴装配的链式装配装置
CN109986325B (zh) * 2019-04-24 2023-06-27 浙江新亚迪科技有限公司 一种喷雾器的组装生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395A (ja) * 1993-07-28 1995-11-28 Azionaria Costr Macc Autom Acma Spa ポンプ作動スプレイキャップ付壜を自動的に組立てるためのキャップ取付ユニット
KR20020022353A (ko) * 2000-09-20 2002-03-27 문진홍 액체용기의 액체토출용 펌핑캡조립장치
KR20080098593A (ko) * 2006-01-31 2008-11-11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유동성 식품의 포장에 개구 장치를 적용하는 유닛
JP4891321B2 (ja) * 2005-08-10 2012-03-07 ウェイトパック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キャッピング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395A (ja) * 1993-07-28 1995-11-28 Azionaria Costr Macc Autom Acma Spa ポンプ作動スプレイキャップ付壜を自動的に組立てるためのキャップ取付ユニット
KR20020022353A (ko) * 2000-09-20 2002-03-27 문진홍 액체용기의 액체토출용 펌핑캡조립장치
JP4891321B2 (ja) * 2005-08-10 2012-03-07 ウェイトパック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キャッピングヘッド
KR20080098593A (ko) * 2006-01-31 2008-11-11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유동성 식품의 포장에 개구 장치를 적용하는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91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아이팩 펌프헤드 조립장치
KR102578193B1 (ko) * 2021-03-25 2023-09-14 주식회사 아이팩 펌프헤드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17A (ko)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057B1 (ko) 분사기 제조 장치
KR100641846B1 (ko) 병버섯 재배용 배지병 세척 장치
EP2682197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CN210682559U (zh) 一种煤矿巷道皮带输送机自动洒水降尘装置
EP2196395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nditionnement de seringues en nests
CN114261937A (zh) 一种化工液体定量灌装设备
CN109527797A (zh) 一种毛刷自动植毛系统
KR101386769B1 (ko) 용기 세척기
KR101225538B1 (ko) 분사기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사기 제조 방법
CN204381032U (zh) 原水贮存筒清洗装置
KR101022610B1 (ko) 파이프 자동 세척 장치
KR101870771B1 (ko) 스팀세척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EP1029603A2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such as bottles in particular
CN115744225A (zh) 一种管材自动打塞机
KR20180101864A (ko) 화장품 용기용 캡 제조장치
CN112407365B (zh) 一种西林瓶内壁镀药膜流水线
KR101867560B1 (ko)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CN214289131U (zh) 一种充电盒自动组装生产线
CN104415935A (zh) 托盘清洗机器
CN209660777U (zh) 一种毛刷自动植毛系统
CN201280232Y (zh) 一种植物纤维餐饮具包装机
KR20220067348A (ko) 링형 회전도래 제조장치
EP2508433A1 (en) Device for assembling and feeding small sized articles to a packaging machine.
KR101408851B1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CN218619002U (zh) 一种管材自动打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