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93B1 - 펌프헤드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펌프헤드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193B1 KR102578193B1 KR1020210038657A KR20210038657A KR102578193B1 KR 102578193 B1 KR102578193 B1 KR 102578193B1 KR 1020210038657 A KR1020210038657 A KR 1020210038657A KR 20210038657 A KR20210038657 A KR 20210038657A KR 102578193 B1 KR102578193 B1 KR 102578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discharge
- control
- jig
- pump h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3—Adding propellants in flu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2—Filling or charg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펌프(120), 숄더캡(110), 버튼캡(130) 및 오버캡(140)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펌프헤드(100)를 조립제조하도록;
장치본체(10)와;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구성하는 상기 펌프하우징(b)이 관통되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지그수단(20)들과;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일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지그수단(20)들을 순환이송궤도를 형성하면서 각각 순환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수단(40)과;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으로 공급및 투입하여 각각의 구성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된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숄더캡공급수단(B), 버튼캡공급수단(C) 및 오버캡공급수단(D)과; 조립된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지그수단(20)의 외부로 토출배출하도록 된 토출수단(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본체(10)와;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구성하는 상기 펌프하우징(b)이 관통되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지그수단(20)들과;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일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지그수단(20)들을 순환이송궤도를 형성하면서 각각 순환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수단(40)과;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으로 공급및 투입하여 각각의 구성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된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숄더캡공급수단(B), 버튼캡공급수단(C) 및 오버캡공급수단(D)과; 조립된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지그수단(20)의 외부로 토출배출하도록 된 토출수단(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의 개구에 결속고정되며 내용물을 미립자하여 분사하도록 된 펌프헤드를 조립하여 제조하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동력을 통해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오버캡)들이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투입되면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조립되는 자동화공정이 적용되어 제조됨에 따라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 오버캡)들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제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오버캡)들이 장치본체상에 형성되는 순환운동궤도상에서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 펌프헤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저장 및 보관하도록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본체에는, 그 주입구(개구)에 결속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된 펌프헤드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펌프헤드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펌핑에 따라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압축한 후 그 압축공기에 의해 내용물을 펌핑하여 공급함과 동시에 특히, 내용물이 회오리 형태로 토출하도록 되면서 미립자화하여 분하하도록 구조가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의 주입구(개구)에 결합되는 숄더캡과; 상기 숄더캡의 내부에 밀폐결합되는 미스트펌프와; 상기 미스트펌프의 유체이동관로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가압시 상기 미스트펌프를 구동하여 펌핑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경로를 형성하도록 된 버튼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구조가 기재되어 잇다.
즉, 사용자에 의한 상기 버튼캡의 펌핑가압운동시 상기 미스트펌프를 구성하는 피스톤이 펌프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형성되는 유체펌핑압이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입구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 개폐하면서 내용물을 일정량씩 상기 버튼캡의 유체분사경로로 펌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버튼캡에는, 상기 버튼캡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외부에 대한 충격 및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오버캡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미스트펌프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캡의 내측에 결속되며 외주면에 상기 용기와 상기 숄더캡의 결합공을 사이를 공간적으로 밀폐하도록 된 밀폐링이 결합되며 내부에 양단이 관통형성되어 유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펌핑압력을 형성하며 내부에 유체의 이동통로가 형성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서 유체의 유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구동에 따른 펌핑압력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여 내용물의 펌핑을 개폐하도록 된 상기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피스톤부재는, 양단이 관통되며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시 상기 체크밸브로 펌핑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압력부가 구비된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측면에 기밀성을 거지면서 밀착되는 피스톤링과; 양단이 관통되며 내부에 상기 가압관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가압관의 하단과의 사이에 상기 피스톤링을 결속하도록 된 하단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버튼캡이 결속되는 안내관과; 양단이 관통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의 상단내측에 결속되며 하단에 상기 안내관의 외측단을 걸림지지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언더캡과; 상기 언더캡과 상기 안내관의 상단플랜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에 대한 복귀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펌프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08323호(명칭: 친환경 산소미스트 용기/2018.09.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한 채 플라스틱재질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외부 압력에 의한 누름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상측 둘레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펌프헤드가 기재되어 있다.
즉,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부결합하우징(용기본체)에 미스트분사수단(미스트펌프)가 결합된 상부결합하우징(숄더캡)이 결합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하부결합하우징(용기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면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미스트분사수단(미스트펌프)에 결속된 누름부재(버튼캡)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펌핑동작을 통해 내용물을 펌핑하여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내부에 상기 누름부재(버튼캡)을 수용하면서 상기 상부결합하우징(숄더캡)의 상부에 결속되는 상부캡(오버캡)을 통해 외부에 대한 충격 및 산화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6536호(명칭: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2016.03.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에 밑면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튜브가 결합되며, 내부로 볼 밸브 및 리턴 스프링이 내장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부에 외부공기의 유입 및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복수의 출입공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피스톤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압축되도록 형성되는 압축실; 상기 피스톤 하우징에 삽입되어 승강되면서 압축공기와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공과 연결되는 배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내측면과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피스톤 하강시 내용물과 압축공기가 배출되고, 승강시에는 외부공기가 압축실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노즐로가 형성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내용물을 회오리 형태로 토출하여 미립화하는 미립화부를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가압 캡;을 포함하는 미스트펌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헤드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오버캡)들의 크기가 작고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각각의 구성들을 수작업을 통해 조립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각각의 구성물들에 대한 조립 결속상태가 균일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불량발생률이 높아 제조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의 개구에 결속고정되며 내용물을 미립자하여 분사하도록 된 펌프헤드를 조립하여 제조하도록 된 것으로, 동력을 통해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오버캡)들이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투입되면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조립되는 자동화공정이 적용되어 제조됨에 따라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 오버캡)들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제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미스트펌프,숄더캡,버튼캡,오버캡)들이 장치본체상에 형성되는 순환운동궤도상에서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는, 장치본체와; 펌프를 구성하는 미스트펌프가 괸통되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지그수단들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일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지그수단들을 순환이송궤도를 형성하면서 각각 순환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스트펌프를 상기 지그수단에 투입하여 배치고정하도록 된 미스트펌프공급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숄더캡을 상기 미스트펌프의 펌프하우징에 결속고정하면서 상기 지그수단에 투입하여 배치고정하도록 된 숄더캡공급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숄더캡공급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버튼캡을 상기 미스트펌프의 안내관에 결속고정하도록 된 버튼캡공급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버튼캡공급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버캡을 상기 숄더캡에 결속고정하여 펌프헤드를 조립하도록 된 오버캡공급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오버캡공급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지그수단에서 조립된 상기 펌프해드를 외부로 토출하여 배출하도록 된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는, 장치본체상에서 이동수단을 통해 순환궤도상에서 순환이동운동하도록 된 지그수단에 대하여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미스트펌프, 숄더캡, 버튼캡, 오버캡 등을 각각의 미스트펌프공급수단, 숄더캡공급수단, 버튼캡공급수단, 오버캡공급수단 등을 통해 공급 및 투입 결속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여 수행하여 펌프헤드를 제조하도록 됨에 따라, 동력을 통한 자동화공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제조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지그수단이 장치본체상에서 이동수단을 통해 순환운동궤도를 가지면서 순환이동운동하면서 제조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에 적용되어 제조되는 펌프헤드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 적용되어 제조되는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미스트펌프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통한 펌프헤드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투입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지그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공급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정량배치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정량배치부재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검출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검출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토출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퇴출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퇴출부재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적재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토출정렬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미스트펌프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숄더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버튼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오버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 적용되어 제조되는 펌프헤드를 구성하는 미스트펌프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통한 펌프헤드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투입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지그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공급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정량배치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정량배치부재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검출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검출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토출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퇴출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퇴출부재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적재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토출정렬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미스트펌프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숄더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버튼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오버캡포집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숄더캡(110)과; 상기 숄더캡(110)의 내부에 밀폐결합되는 미스트펌프(120)와;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유체이동관로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가압시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구동하여 펌핑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경로를 형성하도록 된 버튼캡(130); 및 상기 버튼캡(130)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외부에 대한 충격 및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오버캡(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펌프헤드(100)를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및 상기 오버캡(140)들이 순차적으로 결속결합하여 상기 펌프헤드(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펌프(1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캡(110)의 내측에 결속되며 외주면에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숄더캡(110)의 결합공을 사이를 공간적으로 밀폐하도록 된 밀폐링(a)이 결합되며 내부에 양단이 관통형성되어 유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펌프하우징(b)과; 상기 펌프하우징(b)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펌핑압력을 형성하며 내부에 유체의 이동통로가 형성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펌프하우징(b)의 내부에서 유체의 유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구동에 따른 펌핑압력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여 내용물의 펌핑을 개폐하도록 된 체크밸브(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피스톤부재는, 양단이 관통되며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시 상기 체크밸브(c)로 펌핑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압력부가 구비된 가압관(d)과; 상기 가압관(d)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펌프하우징(b)의 내측면에 기밀성을 가지면서 밀착되는 피스톤링(e)과; 양단이 관통되며 내부에 상기 가압관(d)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가압관(d)의 하단과의 사이에 상기 피스톤링(e)을 결속하도록 된 하단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버튼캡(130)이 결속되는 안내관(h)과; 양단이 관통되며 상기 펌프하우징(b)의 상단내측에 결속되며 하단에 상기 안내관(h)의 외측단을 걸림지지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언더캡(f)과; 상기 언더캡(f)과 상기 안내관(h)의 상단플랜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에 대한 복귀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펌프스프링(g);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링(a), 상기 펌프하우징(b), 상기 체크밸브(c), 상기 가압관(d), 상기 피스톤링(e), 상기 언더캡(f), 상기 펌프스프링(g), 상기 안내관(h)들이 순차적으로 결속결합하여 상기 미스프펌프(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는, 장치본체(10)와;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구성하는 상기 펌프하우징(b)이 관통되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지그수단(20)들과;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일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지그수단(20)들을 순환이송궤도를 형성하면서 각각 순환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상기 이송수단(40)을 통해 상기 지그수단(20)이 상기 장치본체(10)의 순환궤도상에서 순환이동운동하게 될 수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공급 및 투입결합하도록 되는 각각의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숄더캡공급수단(B), 버튼캡공급수단(C), 오버캡공급수단(D)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조립한 후, 토출수단(E)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상기 펌프헤드(100)를 자동화공정을 통해 제조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장치본체(10)는,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며 수평적으로 간격을 형성하면서 배치 지지되는 수직프레임(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11)들을 수평상으로 연결하여 수평적 길이를 형성하도록 된 수평프레임(12)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2) 및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2)의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이동수단(40)은,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길이를 가지는 순환운동경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순환이동벨트(41)와; 상기 장치본체(10)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순환이동벨트(41)가 권취되어 지지하도록 된 종동풀리(미도시됨)들과;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형성하여 상기 순환이동벨트(41)를 이동운동시키도록 된 가동풀리(미도시됨)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이동모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이동모터(42)가 구동하여 상기 가동풀리가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순환이동벨트(41)가 순환운동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을 순환 이동운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순환이송벨트(41)는, '체인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에서 지그수단(20)에는, 상기 순환이동벨트(41)에 맞물림면서 끼움결속되어 상기 순환이동벨트(4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운동하도록 된 '지그결속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그결속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은, 상기 이송수단(40)에 '지그결속구조'를 통해 결속되는 지그결속부(21)가 일부위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미스트펌프(120)에서 상기 안내관(h)이 상부에 위치하면서 직립된 자세로 고정지지되도록 된 지그공(22)이 구비된 지그몸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미스트펌프(120)가 직립된 자세로 상기 지그몸체(23)의 상기 지그결속부(21)가 상기 이송수단(40)의 상기 순환이동벨트(41)에 결속되어 상기 장치본체(10)의 순환운동궤도를 가지면서 순환이동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상기 지그수단(20)에 직립된 자세로 투입하여 배치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20)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숄더캡(110)을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펌프하우징(b)에 결속고정하면서 상기 지그수단에 투입하여 배치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20)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버튼캡(130)을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안내관(h)에 결속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오버캡공급수단(D)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20)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오버캡(140)을 상기 숄더캡(110)에 결속고정하여 상기 펌프헤드(100)를 조립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토출수단(E)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에 대하여 상기 지그수단(20)의 이송방향측에 상기 순환이송궤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지그수단(20)에서 조립된 상기 펌프해드(100)를 외부로 토출하여 배출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구성하면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의 근처의 투입위치에 배치되는 투입구에 공급하도록 된 각각의 공급수단(50)들과; 상기 공급수단(50)들을 통해 상기 투입구로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구성(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들을 각각 포집한 후, 상기 지그몸체(23)로 투입하면서 고정배치하도록 된 각각의 투입수단(60);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각각의 상기 공급수단(50)들을 통해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의 투입구로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적으로 투입한 후, 각각의 상기 투입수단(60)들을 통해 각각의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포집하고 상기 지그수단(20)으로 순차적으로 투입 및 결합고정하여 상기 펌프헤드(100)를 조립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공급수단(50)은,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직립되게 정렬하면서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투입구로 공급하도록 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각각 직립되게 배열되면서 상기 투입구로 정렬하면서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을 구성하는 공급수단(50)은,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통해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가 정렬되면서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진동정렬공급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각각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공급수단(50)은, 다수의 트레이(51)들에서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상기 투입구로 정렬하면서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되는 '트레이정렬공급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각각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공급수단(50)은,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각각 직립되게 배치배열된 다수의 트레이(51)들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공급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도록 된 트레이정렬부재(52)들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들에 각각 배열배치된 각각의 상기 트레이(51)에 배열된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포집하여 상기 투입구로 운반하여 배열배치하면서 투입하도록 된 투입부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각각 직립되게 배치배열된 상기 트레이(51)들이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를 통해 공급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각각의 상기 투입부재(3)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각각의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면서 각각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51)들은, 외부에서 미도시된 수단 및 작업자를 통해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에 지속적으로 공급 및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트레이정렬부재(52)는, 상기 트레이(51)가 고정지지되는 정렬프레임(521)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렬프레임(521)을 승강시키어 상기 트레이(51)를 상기 공급위치로 배치 및 이격시키도록 된 정렬승강기(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렬승강기(52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정렬프레임(521)을 승강시키어 상기 트레이(51)의 공급위치로의 투입 및 이격하여 상기 트레이(51)를 교체위치로 배치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각각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공급수단(50)은, 단일의 상기 투입부재(53)에 대하여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를 각각 구비하도록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하나의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51)에 담긴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의 공급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트레이(51)를 공급위치에서 교체위치로 이송시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타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에서는 상기 트레이(51)를 교체위치에서 공급위치로 이송시켜 상기 투입부재(53)에 의한 공급작업이 중단됨 없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공급수단(50)은,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들의 투입위치에서 상기 투입부재(53)의 포집위치로 순차적으로 정량식 배치하도록 된 정량배치부재(5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정량배치부재(54)를 통해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상기 투입부재(53)가 포집하도록 되는 포집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량으로 이동시켜 공급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정량배치부재(54)는, 상기 투입구에서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구성들이 수용되는 정량수용홈(541)들이 맞춤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정량배치판(542)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정량배치판(542)을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정량수용홈(541)들이 상기 투입위치에서 상기 투입부재(53)의 포집위치로 각각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정량배치운동기(5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정량수용홈(541)이 상기 투입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구성들을 맞춤되게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량배치운동기(543)가 구동하여 상기 정량배치판(542)을 직선이동시키면 상기 정량수용홈(541)이 상기 포집위치에 직선이동하여 위치되어, 상기 투입부재(53)를 통해 각각의 구성들이 포집되어 상기 지그수단(20)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입부재(53)에 의해 상기 포집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구성들이 상기 지그수단(20)으로 투입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량배치운동기(543)가 역구동하면서 상기 정량배치판(542)을 역방향으로 직선이동운동시키거 상기 정량수용홈(541)이 상기 투입위치로 복귀하면서 각각의 구성들을 재 수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 각각의 구성들에 대한 투입위에서 포집위치로 정량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의 조립장치(1)는, 상기 투입수단(6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투입브라켓(61)과; 상기 투입브라켓(6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투입몸체(62)와; 상기 투입브라켓(6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투입몸체(6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직투입운동부재(63)와; 상기 투입브라켓(6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투입운동부재(63)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평투입운동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투입운동부재(63)의 수직운동 및 상기 수평투입운동부재(64)의 수평운동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2차원궤도운동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몸체(62)가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2차원궤도운동을 순차적이면서 연속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포집위치로 정량적이면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각각의 구성들을 각각 포집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지그몸체(23)의 상부를 주행운동하는 2차원궤도운동을 통해 각각의 구성들을 투입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투입운동부재(63) 및 상기 수직투입운동부재(64)는, 종래 공지된 '유압/공압실린더 구조체' 및 '스크류실린더 구조체'의 기술이 적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입몸체(62)에서 각각의 구성들이 포집되는 부위에는,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들의 상단부를 각각 맞춤되게 포집하도록 된 '포집구조'를 가지는 각각의 미스트펌프포집체(64a), 숄더캡포집체(64b), 버튼캡포집체(64c), 오버캡포집체(64d)들이 각각 결속되어, 각각의 맞춤되는 각각의 구성들을 맞춤되게 포집하여 투입공급하는 과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투입몸체(62)에 구비되는 각각의 포집구조인 상기 미스트펌프포집체(64a), 상기 숄더캡포집체(64b), 상기 버튼캡포집체(64c), 상기 오버캡포집체(64d)는, '끼움결속구조', '진공흡착구조' 등과 같이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순환운동궤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지지되어 이송되는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불량유무 및 상기 버튼캡의 조립된 상태의 불량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30)으로 전달하도록 된 검출수단(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잇다.
즉, 상기 검출수단(70)을 통해 각각의 구성들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불량유무 및 상기 버튼캡(130)의 조립된 상태의 불량유무를 검출하도록 될 수 있어, 제조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검출수단(70)은,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과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의 사이공간 및 상기 버튼캡공급공급수단(C)과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의 사이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과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의 사이공간에 배치된 상기 검출수단(70)을 통해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불량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버튼캡공급공급수단(C)과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의 사이공간에 배치된 상기 검출수단(70)을 통해 상기 버튼캡의 조립된 상태의 불량유무를 검출하여, 조립품질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불량상태를 검출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검출수단(70)은,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내부에서의 유체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상기 체크밸브(c)의 동작상태 및 상기 안내관(h)의 내부에서의 개폐부의 동작상태를 공급 및 회수되는 공기압을 통해 검출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출수단(7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지그수단(20)측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각각 구동되어 각각 승강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상부검출운동부재(71) 및 하부검출운동부재(72)와; 상기 하부검출운동부재(72)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펌프하우징(b)의 유입구로 공기의 공급압을 검출하여 상기 체크밸브(c)의 동작상태 및 상기 안내관(h)의 내부에서의 개폐부의 동작상태에 대한 불량유무를 검출하도록 된 공기압검출기(73)와; 상기 상부검출운동부재(7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안내관(h)의 상단 및 상기 버튼캡(130)의 상단을 가압체(741)를 통해 각각 가압 및 가압해제 하여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펌프운동을 구현하도록 된 검출펌핑기(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상부검출운동부재(71) 및 상기 하부검출운동부재(72)가 각각 구동하여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상기 미스트펌프(120) 및 상기 버튼캡(130)에 대하여 각각의 상단부에 상기 가압체가 밀착되게 근접되며 상기 공기압검출기(73)가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펌프하우징(b)의 유입구에 접속하고 공기압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출펌핑기(74)가 구동되어 상기 가압체(741)이 상기 상기 안내관(h)의 상단 및 상기 버튼캡(130)의 상단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펌핑동작을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헤드(100)의 불량유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검출운동부재(71)와 상기 하부검출운동부재(72) 및 상기 검출펌핑기(74)는,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될 수 있는 종래 공지된 '유압/공압실린더 구조체' 및 '스크류실린더 구조체'의 기술이 적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과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의 사이공간 및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과 상기 토출수단(E)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순환운동궤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숄더캡(110) 및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가압하여 억지끼움결속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된 가압수단(80);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가압수단(80)을 통해 상기 숄더캡(110)이 가압되어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언더캡(f)과 억지 끼움되면서 걸림결속되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가압수단(80)을 통해 상기 오버캡(140)이 가압되어 상기 숄더캡(110)에 억지 끼움되면서 결속되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성들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져,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압수단(8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가압브라켓(81)과; 상기 가압브라켓(8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몸체(82)와; 상기 가압브라켓(8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가압몸체(8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숄더캡(110) 및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맞춤되게 각각 가압하도록 된 수직가압운동부재(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상기 수직가압운동부재(93)의 수직운동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검사위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지그수단(20)에 지지고정된 상기 펌프하우징(b)측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체크밸브(a) 및 상기 안내관(h)을 각각 가압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가압운동부재(83)은, 종래 공지된 '유압/공압실린더 구조체' 및 '스크류실린더 구조체'의 기술이 적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에서, 상기 토출수단(E)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상기 지그수단(20)을 통해 이송운동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들 중에서 상기 검출수단(70)들을 통해 각각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되어 판단된 양품을 토출하도록 된 토출부재(91)과; 불량품을 퇴출하도록 된 퇴출부재(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부재(91) 및 상기 퇴출부재(92)들을 통해 각각의 양품 및 불량품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회수하여 처리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토출부재(91) 및 상기 퇴출부재(92)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판단되는 상기 펌프헤드(100)의 불량유무에 따른 정품 및 불량품을 각각 별도로 토출 및 퇴출하여 별도로 회수하도록 됨에 따라, 제품관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토출부재(91)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토출브라켓(911)과; 상기 토출브라켓(91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토출몸체(912)와; 상기 토출브라켓(91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토출몸체(91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직토출운동부재(913)와; 상기 토출브라켓(91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토출운동부재(913)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평토출운동부재(9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토출운동부재(913)의 수직운동 및 상기 수평토출운동부재(914)의 수평운동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2차원궤도운동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몸체(912)가 상기 제어수단(3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2차원궤도운동을 순차적이면서 연속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지그몸체(23)의 상부와 상기 장치본체(10)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토출조(미도시됨)를 주행운동하는 2차원궤도운동을 통해 양품의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장치체(10)에서 외부로 토출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토출운동부재(913) 및 상기 수직토출운동부재(914)는, 종래 공지된 '유압/공압실린더 구조체' 및 '스크류실린더 구조체'의 기술이 적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출몸체(912)에서 상기 펌프헤드(100)가 포집되는 부위에는, 상기 오버캡(140)의 상면에 대하여 맞춤되게 포집하도록 된 구조를 가질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구도오디어 진공흡착 및 해제하도록 된 '진공흡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잇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퇴출부재(92)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퇴출브라켓(921)과; 상기 퇴출브라켓(92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퇴출몸체(922)와; 상기 퇴출브라켓(9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퇴출몸체(92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불량품의 상기 펌프헤드(100)를 타격하여 외부로 퇴출하도록 된 수직퇴출운동부재(923)와;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퇴출운동부재(923)의 구동에 따라 외부로 튕겨서 퇴출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를 포집하여 외부로 유도하도록 된 퇴출유도관(9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상기 수직퇴출운동부재(923)의 구동에 따른 상기 퇴출몸체(922)를 통해 상기 펌프헤드(100)를 타격하여 상기 지그수단(20)에서 상기 펌프헤드(100)가 튕기면서 상기 퇴출유도관(924)을 통해 외부로 퇴출될 수 있댜.
상기에서 수직퇴출운동부재(923)는, 종래 공지된 '유압/공압실린더 구조체' 및 '스크류실린더 구조체'의 기술이 적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에서, 상기 토출수단(E)은, 상기 토출부재(91)를 통해 상기 지그수단(20)에서 토출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를 다수의 적재트레이(931)들에 정렬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재하도록 된 투입되도록 된 적재부재(9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적배부재(93)를 통해 조립된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적재트레이(931)에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적재부재(93)는, 다수의 적재트레이(931)들에서 상기 펌프헤드(100)들을 정렬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적재하도록 되는 '트레이정렬공급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에서 적재부재(93)는, 상부에 상기 펌프헤드(100)들을 각각 수용하면서 적재하도록 된 다수의 적재홈들이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적재트레이(931)들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적재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도록 된 적재트레이정렬기(932)들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부재(91)를 통해 토출위치로 토출된 상기 펌프헤드(100)들을 포집하여 상기 적재트레이(931)들의 적재홈들에 각각 배열배치하면서 운반 적재하도록 된 적재기(9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토출위치로 토출된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적재기(933)을 통해 포집하여 상기 적재트레이(931)로 운반 한 후, 적재하면 상기 펌프헤드(100)의 토출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트레이(931)들은, 외부에서 미도시된 수단 및 작업자를 통해 상기 적재트레이정렬기(932)에 지속적으로 공급 및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구조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적재트레이정렬기(932)는, 상기 적재트레이(931)가 고정지지되는 적재정렬프레임(934)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적재정렬프레임(934)을 승강시키어 상기 적제트레이(931)를 상기 적재위치로 배치 및 이격시키도록 된 적재정렬승강기(9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적재정렬승강기(935)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적재정렬프레임(934)을 승강시키어 상기 적재트레이(931)의 적재위치로의 투입 및 이격하여 상기 적재트레이(931)를 교체위치로 배치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재부재(93)은, 단일의 상기 적재기(933)에 대하여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기 적재트레이정렬부재(934)를 각각 구비하도록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하나의 상기 적재트레이정렬부재(934)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적재트레이(931)에 상기 펌프헤드(100)의 적재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적재트레이(931)를 적재위치에서 교체위치로 이송시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타 상기 적재트레이정렬기(932)에서는 상기 적재트레이(931)를 교체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기(933)에 의한 적재작업이 중단됨 없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출수단(E)은, 상기 펌프헤드(100)의 토출위치에서 상기 적재기(933)의 적재포집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 배치하도록 된 토출정렬부재(9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토출정렬부재(94)를 통해 각각의 상기 퍼프헤드(100)를 상기 포집기(933)가 안정적으로 포집하도록 되는 적재포집위치로 이동시켜 적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토출정렬부재(94)는, 상기 토출구에서 지속적으로 토출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부에 안치한 상태로 순환운동하도록 된 토출순환밸트(941)와;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순환밸트(941)를 순환운동시키어 상기 펌프헤드(100)를 이송운동시키도록 된 토출모터(9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적재기(933)의 적재부위가 상기 토출순환밸트(941)상의 적재위치에 상기 펌프헤드(100)를 지속적으로 이송하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헤드(100)의 적재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프헤드 조립장치(1)은, 상기 제어수단(30)을 통해 형성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펌프헤드(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들이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투입되면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조립되는 자동화공정을 통해 조립함은 물론, 상기 검출수단(70)을 통해 각각의 구성물들이 결합되는 실시간으로 불량유무를 검출하고, 각각의 상기 토출수단(E)들을 통해 조립되는 상기 펌프헤드(100)의 불량유무에 따른 정품 및 불량품을 각각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펌프헤드 조립장치
10 : 장치본체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20 : 지그수단
21 : 지그결속부 22 : 지그공
23 : 지그몸체 30 : 제어수단
31 : 전원공급부 40 : 이송수단
41 : 순환이동벨트 42 : 이동모터
50 : 공급수단 51 : 트레이
52 : 트레이정렬부재 521 : 정렬프레임
522 : 정렬승강기 53 : 투입부재
54 : 정량배치부재 541 : 정량수용홈
542 : 정량배치판 543 : 정량배치운동기
60 : 투입수단 61 : 투입브라켓
62 : 투입몸체 63 : 수직투입운동부재
64 : 수평투입운동부재 64a : 미스트펌프포집체
64b : 숄더캡포집체 64c : 버튼캡포집체
64d : 오버캡포집체 70 : 검출수단
71 ; 상부검출운동부재 72 : 하부검출운동부재
73 : 공기압검출기 74 : 검출펌핑기
741 : 가압체 80 : 가압수단
81 : 가압브라켓 82 : 가압몸체
83 : 수직가압운동부재 91 : 토출부재
911 : 토출브라켓 912 : 토출몸체
913 : 수직토출운동부재 914 : 수평토출운동부재
92 : 퇴출부재 921 : 퇴출브라켓
922 : 퇴출몸체 923 : 수직퇴출운동부재
924 : 퇴출관 93 : 적재부재
931 : 적재트레이 932 : 적재트레이정렬기
933 : 적재기 934 : 적재정렬프레임
935 : 적재정렬승강기 94 : 토출정렬부재
941 : 토출순환밸트 942 : 토출모터
100 : 펌프헤드 110 : 숄더캡
120 : 미스트펌프 130 : 버튼캡
140 : 오버캡 A : 미스트펌프공급수단
B : 숄더캡공급수단 C : 버튼캡공급수단
D : 오버캡공급수단 E : 토출수단
a : 밀폐링 b : 펌프하우징
c : 체크밸브 d : 가압관
e : 피스톤링 f : 언더캡
g : 펌프스프링 h : 안내관
10 : 장치본체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20 : 지그수단
21 : 지그결속부 22 : 지그공
23 : 지그몸체 30 : 제어수단
31 : 전원공급부 40 : 이송수단
41 : 순환이동벨트 42 : 이동모터
50 : 공급수단 51 : 트레이
52 : 트레이정렬부재 521 : 정렬프레임
522 : 정렬승강기 53 : 투입부재
54 : 정량배치부재 541 : 정량수용홈
542 : 정량배치판 543 : 정량배치운동기
60 : 투입수단 61 : 투입브라켓
62 : 투입몸체 63 : 수직투입운동부재
64 : 수평투입운동부재 64a : 미스트펌프포집체
64b : 숄더캡포집체 64c : 버튼캡포집체
64d : 오버캡포집체 70 : 검출수단
71 ; 상부검출운동부재 72 : 하부검출운동부재
73 : 공기압검출기 74 : 검출펌핑기
741 : 가압체 80 : 가압수단
81 : 가압브라켓 82 : 가압몸체
83 : 수직가압운동부재 91 : 토출부재
911 : 토출브라켓 912 : 토출몸체
913 : 수직토출운동부재 914 : 수평토출운동부재
92 : 퇴출부재 921 : 퇴출브라켓
922 : 퇴출몸체 923 : 수직퇴출운동부재
924 : 퇴출관 93 : 적재부재
931 : 적재트레이 932 : 적재트레이정렬기
933 : 적재기 934 : 적재정렬프레임
935 : 적재정렬승강기 94 : 토출정렬부재
941 : 토출순환밸트 942 : 토출모터
100 : 펌프헤드 110 : 숄더캡
120 : 미스트펌프 130 : 버튼캡
140 : 오버캡 A : 미스트펌프공급수단
B : 숄더캡공급수단 C : 버튼캡공급수단
D : 오버캡공급수단 E : 토출수단
a : 밀폐링 b : 펌프하우징
c : 체크밸브 d : 가압관
e : 피스톤링 f : 언더캡
g : 펌프스프링 h : 안내관
Claims (16)
- 미스트펌프(120), 숄더캡(110), 버튼캡(130) 및 오버캡(140)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펌프헤드(100)를 조립제조하도록 된 펌프헤드 조립장치(1)에 있어서;
장치본체(10)와;
상기 미스트펌프(120)를 구성하는 펌프하우징(b)이 관통되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지그수단(20)들과;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일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지그수단(20)들을 순환이송궤도를 형성하면서 각각 순환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수단(40)과;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으로 공급 및 투입하여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된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숄더캡공급수단(B), 버튼캡공급수단(C) 및 오버캡공급수단(D)과;
조립된 상기 펌프헤드(100)를 상기 지그수단(20)의 외부로 토출배출하도록 된 토출수단(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미스트펌프공급수단(A),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및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구성하면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및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지그수단(20)의 근처의 투입위치에 배치되는 투입구에 공급하도록 된 각각의 공급수단(50)들과;
상기 공급수단(50)들을 통해 상기 투입구로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구성들을 각각 포집한 후, 상기 지그수단(20)으로 투입하면서 고정배치하도록 된 각각의 투입수단(60);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을 각각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공급수단(50)은,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이 각각 직립되게 배치배열된 다수의 트레이(51)들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공급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도록 된 트레이정렬부재(52)들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트레이정렬부재(52)들에 각각 배열배치된 각각의 상기 트레이(51)에 배열된 각각의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을 포집하여 상기 투입구로 운반하여 배열배치하면서 투입하도록 된 투입부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수단(20)은,
상기 이송수단(40)에 '지그결속구조'를 통해 결속되는 지그결속부(21)가 일부위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미스트펌프(120)가 직립된 자세로 고정지지 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지그공(22)이 구비된 지그몸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50)은,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및 상기 오버캡(140)을 정렬하면서 각각 주기적이면서 연속반복하면서 상기 투입구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6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투입브라켓(61)과;
상기 투입브라켓(6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투입몸체(62)와;
상기 투입브라켓(6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투입몸체(6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직투입운동부재(63)와;
상기 투입브라켓(6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투입운동부재(63)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평투입운동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몸체(62)에서 각각의 구성들이 포집되는 부위에는,
각각의 상기 미스트펌프(120), 상기 숄더캡(110), 상기 버튼캡(130), 상기 오버캡(140)들의 상단부를 각각 맞춤되게 포집하도록 된 '포집구조'를 가지는 각각의 미스트펌프포집체(64a), 숄더캡포집체(64b), 버튼캡포집체(64c), 오버캡포집체(64d)들이 각각 결속되어, 각각의 맞춤되는 각각의 구성들을 맞춤되게 포집하여 투입공급하는 과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순환운동궤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지지되어 이송되는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불량유무 및 상기 버튼캡의 조립된 상태의 불량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30)으로 전달하도록 된 검출수단(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7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지그수단(20)측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각각 구동되어 각각 승강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상부검출운동부재(71) 및 하부검출운동부재(72)와;
상기 하부검출운동부재(72)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펌프하우징(b)의 유입구로 공기의 공급압을 검출하여 체크밸브(c)의 동작상태 및 안내관(h)의 내부에서의 개폐부의 동작상태에 대한 불량유무를 검출하도록 된 공기압검출기(73)와;
상기 상부검출운동부재(7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상기 안내관(h)의 상단 및 상기 버튼캡(130)의 상단을 가압체(741)를 통해 각각 가압 및 가압해제 하여 상기 미스트펌프(120)의 펌프운동을 구현하도록 된 검출펌핑기(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숄더캡공급수단(B)과 상기 버튼캡공급수단(C)의 사이공간 및 상기 오버캡공급수단(D)과 상기 토출수단(E)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지그수단(20)의 순환운동궤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숄더캡(110) 및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가압하여 억지끼움결속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된 가압수단(80);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80)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가압브라켓(81)과;
상기 가압브라켓(8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몸체(82)와;
상기 가압브라켓(8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가압몸체(8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숄더캡(110) 및 상기 오버캡(140)을 각각 맞춤되게 각각 가압하도록 된 수직가압운동부재(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E)은,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상기 지그수단(20)을 통해 이송운동되는 상기 펌프헤드들 중에서 검출수단(70)들을 통해 각각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되어 판단된 양품을 토출하도록 된 토출부재(91)와;
불량품을 퇴출하도록 된 퇴출부재(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91)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토출브라켓(911)과;
상기 토출브라켓(91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토출몸체(912)와;
상기 토출브라켓(91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토출몸체(91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직토출운동부재(913)와;
상기 토출브라켓(91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토출운동부재(913)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수평토출운동부재(9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부재(92)는,
상기 장치본체(10)에서 상기 순환이송궤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퇴출브라켓(921)과;
상기 퇴출브라켓(92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퇴출몸체(922)와;
상기 퇴출브라켓(9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퇴출몸체(922)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지그수단(20)에 고정된 불량품의 상기 펌프헤드(100)를 타격하여 외부로 퇴출하도록 된 수직퇴출운동부재(923)와;
상기 장치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퇴출운동부재(923)의 구동에 따라 외부로 튕겨서 퇴출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를 포집하여 외부로 유도하도록 된 퇴출유도관(9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E)은,
상기 토출부재(91)를 통해 상기 지그수단(20)에서 토출되는 상기 펌프헤드(100)를 다수의 적재트레이(931)들에 정렬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재하도록 된 투입되도록 된 적재부재(9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93)는,
상부에 상기 펌프헤드(100)들을 각각 수용하면서 적재하도록 된 다수의 적재홈들이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적재트레이(931)들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10)상에서 적재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도록 된 적재트레이정렬기(932)들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부재(91)를 통해 토출위치로 토출된 상기 펌프헤드(100)들을 포집하여 상기 적재트레이정렬기(932)들의 적재홈들에 각각 배열배치하면서 운반 적재하도록 된 적재기(9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헤드 조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657A KR102578193B1 (ko) | 2021-03-25 | 2021-03-25 | 펌프헤드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657A KR102578193B1 (ko) | 2021-03-25 | 2021-03-25 | 펌프헤드 조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3491A KR20220133491A (ko) | 2022-10-05 |
KR102578193B1 true KR102578193B1 (ko) | 2023-09-14 |
Family
ID=8359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8657A KR102578193B1 (ko) | 2021-03-25 | 2021-03-25 | 펌프헤드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819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1182B1 (ko) | 2012-05-04 | 2013-10-14 | 전태섭 | 충전 및 밀봉 과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마무리 공정 장치 |
KR101347057B1 (ko) * | 2012-05-08 | 2014-01-03 | 오갑석 | 분사기 제조 장치 |
KR101860311B1 (ko) | 2017-12-23 | 2018-05-23 | (주)대호실업 | 화장품 용기의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
KR102196054B1 (ko) | 2020-06-12 | 2020-12-29 | 장홍석 | 디스펜서 조립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2353A (ko) * | 2000-09-20 | 2002-03-27 | 문진홍 | 액체용기의 액체토출용 펌핑캡조립장치 |
KR20110038411A (ko) * | 2009-10-08 | 2011-04-14 | (주)연우 |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 |
KR101739477B1 (ko) | 2016-03-15 | 2017-05-24 | 박영웅 | 흡착제의 라돈 흡착성능 시험방법 |
KR101909076B1 (ko) | 2017-03-24 | 2018-10-17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나일론 4 호모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 |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8657A patent/KR1025781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1182B1 (ko) | 2012-05-04 | 2013-10-14 | 전태섭 | 충전 및 밀봉 과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마무리 공정 장치 |
KR101347057B1 (ko) * | 2012-05-08 | 2014-01-03 | 오갑석 | 분사기 제조 장치 |
KR101860311B1 (ko) | 2017-12-23 | 2018-05-23 | (주)대호실업 | 화장품 용기의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
KR102196054B1 (ko) | 2020-06-12 | 2020-12-29 | 장홍석 | 디스펜서 조립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3491A (ko) | 202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9859B2 (ja) | 吸収材の内容物吸収工程を含む化粧品製造装置 | |
US7687033B2 (en) | Specimen aliquoting/dispensing device incorporated reference | |
US4559664A (en) | Automatic washing- and rinsing device for titration plates or the like | |
KR101458224B1 (ko) | 표면 처리 장치 | |
KR102578193B1 (ko) | 펌프헤드 조립장치 | |
JP2009519826A (ja) | 粉体塗装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粉体供給装置 | |
KR200464671Y1 (ko) | 액체용기용 펌프디스펜서 | |
KR102467413B1 (ko) | 미스트펌프의 조립장치 | |
KR20210017800A (ko) | 실린더 구조를 갖는 정량 시약 분사 장치 | |
CN109648331A (zh) | 一种全自动阀体装配机 | |
KR101681379B1 (ko) | 화장품 용기용 힌지 핀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및 화장품 용기의 힌지 핀 조립방법 | |
KR20110006008U (ko) | 반도체 부품들을 위한 먼지 제거 장치 | |
KR200451727Y1 (ko) | 복합식 블라스트 기계 | |
KR102505647B1 (ko) | 제품 분사용 장치의 제조 방법 | |
CN114101083A (zh) | 一种喷瓶用喷头的性能检测装置 | |
KR100306614B1 (ko) | 화장품액 자동 충전장치 | |
CN209506150U (zh) | 一种药膏罐装机 | |
US200800352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syringe barrels | |
JP7129923B2 (ja) | 成形装置 | |
US10973237B2 (en) | Needle cleaning system including a needle cleaning machine and a plurality of needles for injecting fluids into meat products | |
JPH11102692A (ja) | 注液ヘッド及び注液装置 | |
KR102402101B1 (ko) | 스프레이 펌프의 검사액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펌프의 검사 시스템 | |
JP2011173092A (ja) |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 |
KR200494396Y1 (ko) |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 |
JPH10297618A (ja) | 異物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充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