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96Y1 -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96Y1
KR200494396Y1 KR2020190003415U KR20190003415U KR200494396Y1 KR 200494396 Y1 KR200494396 Y1 KR 200494396Y1 KR 2020190003415 U KR2020190003415 U KR 2020190003415U KR 20190003415 U KR20190003415 U KR 20190003415U KR 200494396 Y1 KR200494396 Y1 KR 200494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nit
sealing material
unit
viscosity seal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68U (ko
Inventor
배상용
Original Assignee
배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용 filed Critical 배상용
Priority to KR2020190003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9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구되고 각종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플런저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도포유닛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는 고점도 실링재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이 하강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 내부로 고점도 실링재를 배출하는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high viscosity sealing material to a coating unit}
본 고안은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체의 노즐을 결합시키기 위해 실링재를 도포하는 도포유닛 내부에 점도가 높은 실링재를 주입 및 충전하여 도포유닛을 재사용하기 위한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500,000CP 이상의 고점도 실링재는 두 개의 분리된 부품을 결합한 후 틈새를 메우면서 접착력을 통해 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산업 전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미사일 또는 로켓에 노즐을 접합하는 경우 880,000CP 이상의 고점도 실링재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고점도 실링재는 실린지 형상으로 된 도포유닛에 충전된 후 서버모터 또는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도포유닛 내부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가 배출되면서 부품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포유닛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가 모두 소진되고 나면 도포유닛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실링재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도포유닛 내부로 유입되는데 큰 힘이 발생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 내부에 충전할 때 도포유닛 내부에 공기가 함께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되며 도포유닛이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할 때 공기가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고점도 실링재의 양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3698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점도 실링재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도포유닛 내부의 빈공간 없이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하여 도포유닛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할 때 도포유닛 내부에 공기가 제거되면서 충전되어 도포유닛이 도포할 때 공기에 의한 배출량 제어가 용이하게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포유닛 내부에 충전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고점도 실링재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내부 압력에 따라 도포유닛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는 전면이 개구되고 각종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플런저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도포유닛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는 고점도 실링재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이 하강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 내부로 고점도 실링재를 배출하는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고점도 실링재가 저장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하강되면 고점도 실링재를 상기 배출홀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대가 하강될 때 상기 가압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상기 고점도 실링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까지 하강되면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대 및 상기 도포유닛에 유입된 상기 고점도 실링재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봉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상기 도포유닛의 상기 플런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유닛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패킹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링에는 공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트리지 유닛을 통해 고점도 실링재가 유입되면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도포유닛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도포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볼스크루와, 상기 승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될 때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상기 승강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플런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유닛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가 유입될 때 내부 압력 또는 투입량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플런저가 밀리는 압력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이 하강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의하면 고점도 실링재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도포유닛 내부의 빈공간 없이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하여 도포유닛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의하면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할 때 도포유닛 내부에 공기가 제거되면서 충전되어 도포유닛이 도포할 때 공기에 의한 배출량 제어가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의하면 도포유닛 내부에 충전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고점도 실링재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내부 압력에 따라 도포유닛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카트리지유닛 및 도포유닛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카트리지유닛 및 도포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도포유닛에 고점도 실링재가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과충전, 누출방지, 분리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도포유닛에 고점도 실링재가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체의 노즐을 결합시키기 위해 실링재를 도포하는 도포유닛 내부에 점도가 높은 실링재를 주입 및 충전하여 도포유닛을 재사용하기 위한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는 전면이 개구되고 각종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플런저(420)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유닛(400)과,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되며 도포유닛(400)과 결합되어 도포유닛(40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200)과,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형성되며 도포유닛(400)과 결합되며 내부에는 고점도 실링재(L)가 저장되어 있어 승강유닛(200)에 의해 도포유닛(400)이 하강되면 압력에 의해 도포유닛(400) 내부로 고점도 실링재(L)를 배출하는 카트리지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점도 실링재(L)은 500,000 CP 이상의 점도를 가진 물질을 말하며, 본 고안에서는 로켓 또는 미사일의 노즐을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880,000 CP 이상의 고점도 실링재(L)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00)은 전면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에는 승강유닛(200)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유닛(200)에 장착된 도포유닛(400)을 프레임(100)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승강유닛(2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24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시켜 도포유닛(40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도포유닛(400)을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도 있다.
카트리지유닛(300)의 내부에는 원통형으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를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외면은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10)을 따라 프레임(100) 하부에 위치되면 카트리지 유닛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포유닛(400)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유입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승강유닛(200)에 장착되면 승강유닛(200)에 의해 하강되면서 카트리지유닛(300)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가 유입되면서 도포유닛(400)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충전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카트리지유닛(300) 및 도포유닛(400)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카트리지유닛(300) 및 도포유닛(40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카트리지유닛(300)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고점도 실링재(L)가 저장되어 있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배출홀(321)이 형성되어 있어 하강되면 고점도 실링재(L)를 배출홀(321)을 통해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대(320)와, 가압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가압대(320)가 하강될 때 가압대(320)와 하우징(310)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고점도 실링재(L)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폐링(3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310)은 고점도 실링재(L)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우징(310)의 양측과 하부면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후 남아있는 고점도 실링재(L)는 하우징(310)을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310) 분리되는 부위에는 내부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조립부위에 다수 개의 고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대(320)는 하우징(310)의 개구된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우징(310)의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홀(321)이 형성되어 있어 가압대(320)가 하강될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하우징(310) 내부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가 배출홀(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출홀(321)이 형성된 가압대(320)의 중앙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포유닛(400)의 하단에 삽입되어 배출홀(321)을 통해 배출되는 고점도 실링재(L)가 도포유닛(4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링(322)은 가압대(3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하우징(310)의 내측면과 가압대(320)의 외주면 사이의 틈을 메워 압력에 의해 고점도 실링재(L)가 배출홀(321)이 아닌 부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포유닛(40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어 고점도 실링재(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럴(410)과, 배럴(410)의 상단에 위치되며 수직으로 이동되어 배럴(410) 내부에 수용된 고점도 실링재(L)를 배럴(410)의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420)와, 플런저(4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도포유닛(400)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패킹링(42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럴(4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의 지름은 상단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플런저(420)가 배럴(410)의 하단까지 이동되었을 때 배럴(410)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럴(4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게 된다.
배럴(410)의 상단은 승강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름을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배럴(410)의 상단이 승강유닛(200)과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승강유닛(200)에 배럴(410)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럴(410)의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한 후에는 플런저(420)을 제거한 후 개구된 상단과 하단을 통해 배럴(410) 내부에 잔류하는 고점도 실링재(L)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플런저(4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배럴(41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럴(410) 내부의 고점도 실링재(L)를 가압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플런저(420)의 외주면에는 패킹링(4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링(421)은 플런저(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패킹링(421)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배럴(410)과 플런저(420) 사이의 틈을 메워 플런저(420)가 하강될 때 고점도 실링재(L)가 배럴(410)과 플런저(420)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유닛(200)은 도포유닛(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도포유닛(400)을 승강시키는 승강대(210)와, 승강유닛(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승강유닛(200)이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볼스크루(220)와, 승강유닛(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승강유닛(200)이 승강될 때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스크루(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대(210)와 결합되어 있어 볼스크루(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대(210)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되며, 볼스크루(22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어 제자리에서 자유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스크루(22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230)은 각각 승강대(210)와 연결되어 볼스크루(220)가 회전될 때 승강대(210)가 볼스크루(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지 않고 수직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승강대(21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프레임(100)의 전면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타단은 볼스크루(220) 및 가이드레일(2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대(210)의 일단 하부면은 도포유닛(400)의 배럴(410) 상부면과 결합될 있게 된다.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볼스크루(220)의 상단과 결합되는 핸들(240)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40)을 통해 볼스크루(2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볼스크루(220)의 회전에 따라 승강대(210)는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도포유닛(400)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될 수 있게 된다.
도포유닛(400)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되는 원리는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도포유닛(400)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유닛(400)의 배럴(410)을 승강유닛(200)의 승강대(2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승강유닛(200)을 하강시키면 카트리지유닛(300)의 가압대(320)가 배럴(410)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도포유닛(400)과 카트리지유닛(300)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유닛(200)이 하강하게 되면 도포유닛(400)이 승강유닛(200)에 의해 하강되면서 가압대(320)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시키게 되고, 가압대(320)가 하강함에 따라 하우징(310) 내부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는 가압대(320)의 배출홀(321)을 통해 압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배럴(4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가압대(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밀폐링(322)은 가압대(320)와 하우징(310) 사이의 틈새로 고점도 실링재(L)가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고, 플런저(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패킹링(421)은 플런저(420)와 배럴(410)사이의 틈새로 고점도 실링재(L)가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패킹링(421)에는 공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카트리지 유닛을 통해 고점도 실링재(L)가 유입되면 공기를 배출시켜 도포유닛(400)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킹링(421)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미세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배럴(410) 내부로 고점도 실링재(L)가 투입되면 배럴(410) 내부에 잔존하던 공기가 패킹링(421)의 미세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럴(410) 상단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세홀(도시되지 않음)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플런저(420)가 승강될 때는 패킹링(421)의 외면이 가압, 압축되면서 미세홀(도시되지 않음)이 닫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세홀(도시되지 않음) 대신 플런저(420)에 다수의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런저(420)를 회전시키면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이 개방되어 공기가 배럴(4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미세홀(도시되지 않음) 또는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럴(410)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될 때 배럴(41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럴(410) 외부로 배출되면서 고점도 실링재(L)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공기배출에 의해 고점도 실링재(L)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도포유닛(400)을 통해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할 때 정량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과충전, 누출방지, 분리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도포유닛(400)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L)를 도포유닛(40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카트리지유닛(300)은 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가압대(320)가 하우징(310)의 바닥면까지 하강되면 배출홀(321)에 결합되어 가압대(320) 및 도포유닛(400)에 유입된 고점도 실링재(L)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봉캡(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봉캡(330)은 하우징(31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대(320)가 하우징(310)의 바닥면까지 하강되는 경우 가압대(320)의 배출홀(321)에 결합되어 배출홀(321)을 통해 도포유닛(400) 내부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L)가 중력 또는 진공압에 의해 하우징(310)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밀봉캡(330)의 하부면 중앙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단(331)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에 파여진 지지홈(311)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즉, 위치고정단(331)은 가압대(320)가 하강되면서 하우징(310) 내부의 고점도 실링재(L)가 배럴(410) 내부로 삽입될 때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밀봉캡(33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봉캡(330)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결합단(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단(332)은 배출홀(321)에 형성된 고정홈(323)에 삽입됨으로써 밀봉캡(330)이 가압대(32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밀봉캡(330)이 고정홈(32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홈(323)의 크기가 결합단(3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밀봉캡(330)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포유닛(400)에 고점도 실링재(L)를 충전한 후 승강유닛(200)에 의해 도포유닛(400)이 상승되면서 가압대(320)가 상승될 때 하우징(310) 내부의 진공압 또는 중력에 의해 도포유닛(400) 내부의 고점도 실링재(L)가 하우징(310)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10) 내부의 진공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밀폐링(322)에 다수 개의 압력조절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시켜 가압대(320)가 상승될 때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압대(320)가 하강될 때는 밀폐링(322)이 하우징(310)의 내측면에 밀리면서 압력조절홀(도시되지 않음)이 하우징(310) 내측면을 향해 위치되면서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통로가 막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310)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위치되며 탄성체(341)에 의해 하우징(31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판(340)을 더 포함하며, 지지판(340)은 하우징(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지지판(340)은 도포유닛(400)에 고점도 실링재(L)를 충전한 후 도포유닛(400)과 함께 가압대(320)가 상승될 때 가압대(320)가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판(340)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체(341)에 의해 하우징(310) 내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가압대(320)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가압대(320)가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충전이 완료된 도포유닛(400)이 상승되면 가압대(3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포유닛(400)의 배럴(410)이 가압대(32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충전이 완료된 도포유닛(400)을 가압대(3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승강유닛(200)을 통해 도포유닛(400)을 승강시키면 자동으로 카트리지유닛(300)과 분리되므로 도포유닛(400)을 손쉽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340)은 별도로 형성된 버튼을 가압하면 링크구조에 의해 지지판(340)이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되어 가압대(320)가 자유롭게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승강유닛(200)의 하부면에서 플런저(4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도포유닛(400)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유입될 때 내부 압력 또는 투입량에 의해 플런저(420)가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50)를 더 포함하며, 압력센서(250)는 플런저(420)가 밀리는 압력에 따라 승강유닛(200)이 하강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센서(250)는 승강대(210)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런저(420)와 접촉되어 플런저(420)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며, 도포유닛(400)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L)가 충전될 때 고점도 실링재(L)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배럴(4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플런저(420)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압력센서(250)는 플런저(420)의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승강유닛(200)이 하강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설정된 압력값에 도달되는 경우 볼스크루(2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핸들(240)의 토크를 변경하여 핸들(24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볼스크루(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외부 동력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도포유닛(400)의 충전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압력센서(250)에 의해 발생된 상태를 확인하고 플런저(420)를 회전시켜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럴(410) 내부의 압축된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조치하거나 승강유닛(200)을 상승시켜 충전이 완료된 도포유닛(40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의하면 고점도 실링재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도포유닛 내부의 빈공간 없이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하여 도포유닛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할 때 도포유닛 내부에 공기가 제거되면서 충전되어 도포유닛이 도포할 때 공기에 의한 배출량 제어가 용이하게 하고, 도포유닛 내부에 충전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고점도 실링재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내부 압력에 따라 도포유닛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L : 고점도 실링재
100 : 프레임
110 : 삽입홈
200 : 승강유닛
210 : 승강대
220 : 볼스크루
230 : 가이드레일
240 : 핸들
250 : 압력센서
300 : 카트리지유닛
310 : 하우징
311 : 지지홈
320 : 가압대
321 : 배출홀
322 : 밀폐링
323 : 고정홈
330 : 밀봉캡
331 : 위치고정단
332 : 결합단
340 : 지지판
341 : 탄성체
400 : 도포유닛
410 : 배럴
420 : 플런저
421 : 패킹링

Claims (6)

  1. 전면이 개구되고 각종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플런저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도포유닛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도포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는 고점도 실링재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이 하강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도포유닛 내부로 고점도 실링재를 배출하는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고점도 실링재가 저장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하강되면 고점도 실링재를 상기 배출홀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대가 하강될 때 상기 가압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상기 고점도 실링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까지 하강되면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대 및 상기 도포유닛에 유입된 상기 고점도 실링재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봉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캡의 하부면 중앙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지지홈에 상기 위치고정단이 삽입되어 상기 밀봉캡의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위치되며 탄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판은 상기 도포유닛에 고점도 실링재를 충전한 후 상기 도포유닛과 함께 상기 가압대가 상승될 때 상기 가압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의 상기 플런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유닛에 저장된 고점도 실링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패킹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링에는 공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트리지 유닛을 통해 고점도 실링재가 유입되면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도포유닛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도포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볼스크루와;
    상기 승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될 때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플런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유닛 내부에 고점도 실링재가 유입될 때 내부 압력 또는 투입량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플런저가 밀리는 압력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이 하강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KR2020190003415U 2019-08-20 2019-08-20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KR200494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15U KR200494396Y1 (ko) 2019-08-20 2019-08-20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15U KR200494396Y1 (ko) 2019-08-20 2019-08-20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68U KR20210000468U (ko) 2021-03-03
KR200494396Y1 true KR200494396Y1 (ko) 2021-10-05

Family

ID=7487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415U KR200494396Y1 (ko) 2019-08-20 2019-08-20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9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245A (ja) * 2008-12-01 2010-06-10 Thinky Corp 材料充填装置及び材料充填方法
JP2019094107A (ja) * 2017-11-24 2019-06-20 株式会社Ihi 充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9716B1 (en) * 1996-11-04 2001-10-04 SINGAPORE ASAHI CHEMICAL & SOLDER INDUSTRIES PTE. LIMI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KR101390247B1 (ko) 2009-09-18 2014-04-30 가부시키가이샤 이엠이 유체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245A (ja) * 2008-12-01 2010-06-10 Thinky Corp 材料充填装置及び材料充填方法
JP2019094107A (ja) * 2017-11-24 2019-06-20 株式会社Ihi 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68U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428B2 (en) Emptying device
KR102004249B1 (ko) 기포 제거와 형성 방지를 위한 액체 시린지 충진기
KR102323915B1 (ko) 점성 물질용 비움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
CN108438941A (zh) 一种锥形阀卸料站
JP2008267307A (ja) 汲出し装置及び貯留流体の汲出し方法
KR200494396Y1 (ko) 고점도 실링재를 도포유닛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CN111063557A (zh) 一种薄膜电容器灌封装置及灌封工艺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CN110950289A (zh) 一种液体胶定量灌装设备
CN109678100A (zh) 设药液输出斗的药桶倾倒机构及药桶倒药方法
CN209957341U (zh) 一种容量可调节的全自动灌装机
JP2000033901A (ja) 粉体等の流動体の注入装置
KR20190008079A (ko) 에어 그리스 펌프
JPH07124257A (ja) 密封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255743B1 (ko) 원료 공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공급 방법
JPS632620Y2 (ko)
CN110844385A (zh) 快换出料机
KR20200113626A (ko)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CN109738126A (zh) 一种新型缸盖气密性检测设备
CN211944342U (zh) 一种高精度液压控制阀用盛装装置
US8802030B2 (en) Capillary dispenser
KR200188284Y1 (ko) 화장품용기의 배출장치용 볼 지지구
CN113594642B (zh) 一种电池生产用注液装置
JP2004066039A (ja) 加圧型混練機
CN220010212U (zh) 一种固体饮料充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