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26A -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26A
KR20200113626A KR1020190034110A KR20190034110A KR20200113626A KR 20200113626 A KR20200113626 A KR 20200113626A KR 1020190034110 A KR1020190034110 A KR 1020190034110A KR 20190034110 A KR20190034110 A KR 20190034110A KR 20200113626 A KR20200113626 A KR 2020011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ir cylinder
cylinder
opening
lif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475B1 (ko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3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3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only one pump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2Disc valves
    • F04B53/1032Spring-actuated dis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04B53/144Adaptation of piston-rods
    • F04B53/147Mounting or detaching of piston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펌핑장치에 이중의 판상형 밸브를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오일을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의 오일펌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에어공급으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에어실린더수단(100)과,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의 하단부에 연결로 연동되도록 하여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형상의 오일펌핑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로서,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은,
상 하부 수직관체(111,112)를 체결 연결하고 상단에 체결하는 상단캡(120)의 저면에 압축스프링(121)을 구비하고 하부 수직관체(112)에 제1닛플(113)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부(110);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방부에 스냅 링(131)으로 상 하단을 지지하면서 밀폐되도록 구비하는 구획구(130); 상기 구획구(130)의 중앙부를 관통되도록 끼워지고 상부위치로 제1실린더부(110)의 내면에 구비하는 패킹(p)에 끼워져 위치하면서 중심선상의 상부에 형성하는 통로(141)가 하단에서 한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제1승강봉(140);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으로 통로(141)에 체결되는 수직연동관(151)의 상단에 체결되어 구비하는 피스톤(150); 상기 피스톤(150)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면서 피스톤(150)과 사이에 패킹을 내입시키는 시트(170); 상기 피스톤(150)의 하방에 위치되어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면서 둘레에 고정되는 연결핀(171)에 오링(172)을 각각 끼운 상태로 피스톤(150)과 시트(170)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개폐판(170); 상기 시트(170)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결핀(171)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되면서 하부에 개폐편(181)을 형성하는 개폐구(180);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에 받쳐지면서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191)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기 오일펌핑수단(200)은,
상기 제2실린더부(210)는,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단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수직관체(211) 및 상기 수직관체(211)의 하단에 제2닛플(220)을 체결하여 구성하는 제2실린더부; 상기 제2닛플(220)의 내부 상단에 스냅링(231)에 의해 받쳐지는 스프링(232)에 의해 하단에 탄력 지지되어 흡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제2개폐판(230)이 올려지면서 오일이 수직관체(211) 내로 상승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개폐판(230); 상기 제2실린더부(210)의 수직관체(211) 내부에 수직상으로 위치되어 제1승강봉(140)과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제2승강봉(240);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단에 끼워져 체결 고정하면서 수직관체(211) 내면에 패킹으로 밀착된 상태로 피스톤(150)과 같이 승강되도록 구비함과, 외면 둘레에 2단으로 "U"형 패킹(261)이 끼워지면서 방사상으로 오일 통로(262)가 형성하여 구비하는 흡입구(260);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승강봉(240)에 형성한 단턱부(241)에 받쳐지는 스프링(242)에 의해 흡입구(260)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압지되는 제3개폐판(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Air cylinder oil pump unit for automobile maintenance}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밋션 오일 등을 교환하는 정비기기에 에어실린더에 의한 오일 펌핑장치를 적용하여 오일의 원활한 교환이나 폐유의 배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설정된 운행주기로 엔진오일 밋션오일 등을 교환하게 되는데 일례로 엔진오일을 자동차에 주입할 때 오일통에 담겨진 오일을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식으로 대용량의 오일 저장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엔진에 주입건으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그리고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는 모터에 의한 방식과 에어펌프에 의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적용되는 펌프는 개폐수단의 기능으로 대부분 오일의 통로를 볼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개폐수단으로 볼을 적용하는 경우 오일을 최초로 주입할 경우 주입건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작동시키어야만 오일이 나오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이리 확인하고 주입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하는 과정에서 긴혹 펌핑이 원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그 이유는 볼의 자중과 스프링의 장력이나 겨울철과 같이 오일의 점도가 증가할 때 개폐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볼이 통로를 막아주는 부분에 이물질 등이 끼일 경우 볼이 통로를 확실히 폐쇄하지 못하여 오일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1998-0059248호(공개일자: 1998.10.26)공개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펌핑장치에 이중의 판상형 밸브를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오일을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실린더 형상으로 내부에 에어공급으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에어실린더수단과, 상기 에어실린더수단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형상의 오일펌핑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실린더수단은,
상부 및 하부 제1수직관체를 체결하면서 체결위치에 단턱부를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부 수직관체의 상단에 압축스프링을 저면에 구비하는 상단캡을 체결하고 하단 수직관체에 제1닛플을 체결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하방부에 스냅 링으로 상 하단을 지지하면서 밀폐되도록 구비하는 구획구와, 상기 구획구의 중앙부를 관통되도록 끼워지고 상부위치로 몸체의 내면에 구비하는 패킹에 끼워져 위치하면서 중심선상의 상부에 형성하는 통로가 중간부에서 한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제1승강봉과, 상기 제1승강봉의 상단으로 통로에 체결되는 수직연동관의 상단에 체결되어 구비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면서 피스톤과 사이에 패킹을 내입시키는 시트와, 상기 피스톤의 하방에 위치되어 수직연동관에 끼워지면서 둘레에 고정되는 연결핀에 오링을 각각 끼운 상태로 피스톤과 시트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개폐판과, 상기 시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결핀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되면서 중앙부에 개폐편을 형성하는 개폐구와,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받쳐지면서 수직연동관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하는 받침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펌핑수단은,
상기 제1실린더부의 하단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수직관체의 하단에 제2닛플을 체결하여 구비하는 제2실린더부와, 상기 제2닛플의 내부 하방에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되면서 둘레에 통공을 형성하는 제2개폐판과,
상기 제2실린더부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위치되어 상단에 제1실린더부에 구비하는 제1승강봉의 하단과 나사연결봉으로 연결하는 제2승강봉과,
상기 제2승강봉의 하단에 끼워져 체결 고정하면서 오일 통로가 형성되고 수직관체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는 흡입구와,
상기 제2승강봉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승강봉에 형성한 단턱부에 받쳐지는 스프링에 의해 흡입구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압지되면서 둘레에 통공을 형성하는 제3개폐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실린더수단에 의하여 오일펌핑수단이 승강작동을 수행할 때 상 하부에 구비하는 개폐판이 오일 통로를 개폐되는 과정에서 오일 통로를 폐쇄시 개폐판이 극대화된 접촉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미세한 이물질이 있어도 안정적으로 오일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오일의 흡입 및 배출을 안정적으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에어실린더수단의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에어실린더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오일펌핑수단을 보인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오일펌핑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3개폐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는 상부에 실린더 형상으로 내부에 에어공급으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에어실린더수단(100)과,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의 하단부에 연결로 연동되도록 하여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형상의 오일펌핑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에어실린더수단의 확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에어실린더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들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은, 제1실린더부(110), 구획구(130), 제1승강봉(140), 피스톤(150), 시트(160), 제1개폐판(170), 개폐구(180), 받침판(19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실린더부(110)는, 상 하부 수직관체(111,112)를 체결로 연결하고 체결위치에 단턱부(112a)를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부 수직관체(111)의 상단에 체결하는 상단캡(120)의 저면에 압축스프링(121)을 저면에 구비하고 하부 수직관체(112)에 제1닛플(113)을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구(130)는,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방부에 스냅 링(131)으로 상 하단을 지지하면서 하부 수직관체(112)의 내부에 밀폐되게 구획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승강봉(140)은,
상기 구획구(130)의 중앙부를 관통되도록 끼워지고 상부위치로 하부 수직관(112)의 내면에 구비하는 패킹(p1)에 끼워져 승강하면서 중심선상의 상부에 형성하는 통로(141)가 하단에서 한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출되는 에어가 빠져나오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으로 통로(141)에 체결되는 수직연동관(151)의 상단에 체결되어 제1수직관체(111)의 내면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160)는, 상기 피스톤(150)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면서 중앙에 통공(161)에 패킹(p2)을 내입한 상태로 구비한다.
상기 제1개폐판(170)은, 상기 피스톤(150)의 하방에 위치되어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면서 둘레에 고정되는 연결핀(171)에 오링(172)을 각각 끼운 상태로 피스톤(150)과 시트(160)를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150)에 연결핀(171)이 끼워지는 구멍은 에어가 빠져 나올 수 있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개폐구(180)는, 상기 시트(160)의 상부에 위치되게 연결핀(171)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되면서 중앙부에 개폐편(181)을 형성하여 시트(160)의 중앙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190)은,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에 받쳐지면서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는 스프링(191)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190)은 양측으로 압축공기가 위로 공급되도록 통공(192)가 형성되면서 제1승강봉(140)의 상단에 자성부재(142)를 매입시키어 받침판(190)이 자성을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수직관체(112)에는 어느 한측으로 구획구(130)가 위치하는 하방에 오일배출공(a)을, 상기 구획구(130)와 패킹(p1)이 위치하는 사이로 에어배출공(b)을, 상기 패킹(p1)이 위치하는 상부에 에어공급공(c)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에어 및 오일배출공과 에어공급공에는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닛플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오일펌핑수단을 보인 확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오일펌핑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3개폐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이들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오일상펌핑수단(200)은, 제2실린더부(210)와, 제2개폐판(230)과, 제2승강봉(240)과, 흡입구(260)와, 제3개폐판(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실린더부(210)는,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단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수직관체(211) 및 상기 수직관체(211)의 하단에 제2닛플(220)을 체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2개폐판(230)은, 상기 제2닛플(220)의 내부 상단에 스냅링(231)에 의해 받쳐지는 스프링(232)에 의해 하단에 탄력 지지되면서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통공(233)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제2개폐판(230)이 올려지면서 통공이 오픈되어 오일이 수직관체(211) 내로 상승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승강봉(240)은, 상기 제2실린더부(210)의 수직관채(211) 내부에 수직상으로 위치되어 상단에 제1실린더부(110)에 구비하는 제1승강봉(140)의 하단과 나사연결봉(250)으로 연결하여 제1승강봉(140)과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구(260)는,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단에 끼워져 체결 고정하면서 수직관체(211) 내면에 패킹으로 밀착된 상태로 피스톤(150)과 같이 승강되도록 구비함과, 외면 둘레에 2단으로 "U"형 패킹(261)이 끼워지면서 방사상으로 오일 통로(262)가 형성된다.
상기 제3개폐판(270)은,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승강봉(240)에 형성한 단턱부(241)에 받쳐지는 스프링(242)에 의해 흡입구(260)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압지되면서 둘레에 통공(271)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실린더수단(100)에 대하여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1실린더부(110)의 하부 수직관체(112)에 형성된 에어공급공(c)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면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191)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받침판(190)의 둘레 형성한 에어통로(192)트 통해 위로 에어 압력이 미치게 된다.
상기 에어 압력은 피스톤(1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개폐판(170)을 상승시킴에 따라 연결핀(171)으로 연동되게 구비한 개폐구(180)도 함께 상승되면서 동시에 피스톤(150)이 상승되어 피스톤(150)과 수직연동관(151)으로 연결한 제1승강봉(140)도 함께 위로 상승된다.
여기서 제1개폐판(170)이 상승상태에서는 연결핀(171)에 끼워진 오링(172)이 피스톤(150)에 연결핀(171)이 끼어진 여유공간의 틈새 구멍을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승하는 피스톤(150)의 상부에 위치한 개폐구(180)가 상단 마감캡(120)의 저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21)에 부딪치면서 탄발력으로 개폐구(180)를 눌러주면 개폐구(180)와 연결핀(171)으로 연결된 제1개폐판(170)이 하방으로 내려옴에 따라 피스톤(150)에 가해지는 에어압력이 피스톤(150)에 연결핀(171)이 끼워지는 구멍의 여유공간을 통해 위로 순식간으로 빠져 나가면서 피스톤(150)에 가해지는 에어 압력은 상실되어 피스톤(150)의 상승이 중단된다.
이렇게 피스톤(150)에 형성한 구멍의 틈새를 통해 빠져 나가는 에어압력은 피스톤(150) 상부의 좁은 공간에 순식간에 채워지면서 역으로 피스톤(150)의 상면에 에어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올라온 개폐구(180)를 눌러 피스톤(150)에 체결된 수직연동관(151)의 통로(152)를 차단하는 동시에 피스톤(150)에 에어압력이 가해져 피스톤(150)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하강하는 피스톤(150)의 하방에 위치한 제1개폐판(170)이 제1승강봉(140)의 상단에 위치하는 받침판(190)에 접촉으로 제1개폐판(170)이 탄력적으로 밀려 상승하면 함께 개폐구(180)도 상승됨에 따라 수직연동관(151)의 통로(141)가 개방됨에 따라 통로를 통해 빠져나와 에어배출공(b)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에서 기술한 과정에 의해 피스톤(150)이 연속적으로 승강작동이 이루어져 피스톤(150)에 연결된 제1승강봉(140)이 함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오일펌핑수단(200)을 에어실린더수단(100)과 연계하여 상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피스톤(150)에 의한 제1승강봉(140)이 상승하는 상태에서는 제1승강봉(140)과 나사연결봉(250)으로 연결한 제2승강봉(240)이 상승하고 제2승강봉(240)에 체결된 흡입구(260)가 상승으로 그 하방에 흡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제2실린더부(210)의 하단부에 체결된 제2닛플(220)의 내부 하방에 탄성 지지되게 구비된 제2개폐판(222)이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동시에 제2닛플(220)의 하단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오일이 연속 흡입되어 제2개폐판(230)의 둘레에 형성된 통공(233)를 통해 유입되고 흡입되는 오일은 수직관체(211)에 채워지며 이는 흡입구(260)가 상승할 때까지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150)이 하강하면 제2승강봉(240) 및 흡입구(260)가 하강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흡입 압력의 상실로 동시에 제2개폐판(222)이 스프링(221)의 탄발로 오일의 유입을 차단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수직관체(211)내에 유입된 오일은 흡입구(260)에 형성한 오일 통로(262)를 통해 위로 빠져나가게 되면 흡입구(260)의 상부에 위치한 제3개폐판(270)이 오일 상승 압력에 의해 들어올려져 오일이 제3개폐판(270)이 둘레에 형성한 통공(271)을 통해 위로 상승되는 과정에 의해 흡입구(260)의 하방에 위치한 오일이 위로 이동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시 피스톤(150)이 상승하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오일의 흡입과정이 이루어져 제2실린더부(210)의 수직관체(211)에 채워지며 이는 흡입구(260)가 상승할 때까지 흡입이 다시 이루어지게 되면서 동시에 흡입구(260)가 상승시 제3개폐판(270)이 흡입구(260)의 오일 통로(261)를 차단하게 됨에 따라 흡입구(260)의 상부에 유입된 오일은 오일배출공(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150)의 승강에 따라 오일의 흡입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엔진오일 및 밋션오일, 부동액 등을 교체하거나 폐유수거기에 장착하여 폐유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실린더수단(100)에 의하여 오일펌핑수단(200)이 승강작동을 수행할 때 상 하부에 구비하는 각 개폐판이 통로를 유기적으로 개폐되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통로를 폐쇄시 각 개폐판에 의한 극대화된 접촉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미세한 이물질이 있어도 안정적으로 오일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오일의 흡입 및 배출을 안정적으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에어실린더부 200: 오일펌핑수단
110: 제1실린더부 120: 상단캡
121: 스프링 130: 구획구
140: 제1승강봉 150: 피스톤
160: 시트 170: 제1개폐판
171: 연결핀 180: 개폐구
190: 받침판
210: 제2실린더부 211: 수직관체
220: 제2닛플 230: 제2개폐판
240: 제2승강봉 250: 나사연결봉
260: 흡입구 270: 제3개폐판

Claims (4)

  1. 상부에 실린더 형상으로 내부에 에어공급으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에어실린더수단(100)과,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의 하단부에 연결로 연동되도록 하여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형상의 오일펌핑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의 오일펌핑장치로서,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은,
    상 하부 수직관체(111,112)를 체결로 연결하고 체결위치에 단턱부(112a)를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부 수직관체(111)의 상단에 체결하는 상단캡(120)의 저면에 압축스프링(121)을 저면에 구비하고 하단 수직관체(112)에 제1닛플(113)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부(110);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방부에 스냅 링(131)으로 상 하단을 지지하면서 밀폐되도록 구비하는 구획구(130); 상기 구획구(130)의 중앙부를 관통되도록 끼워지고 상부위치로 제1실린더부(110)의 내면에 구비하는 패킹(p)에 끼워져 위치하면서 중심선상의 상부에 형성하는 통로(141)가 하단에서 한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제1승강봉(140);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으로 통로(141)에 체결되는 수직연동관(151)의 상단에 체결되어 구비하는 피스톤(150); 상기 피스톤(150)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면서 피스톤(150)과 사이에 패킹을 내입시키는 시트(170); 상기 피스톤(150)의 하방에 위치되어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면서 둘레에 고정되는 연결핀(171)에 오링(172)을 각각 끼운 상태로 피스톤(150)과 시트(170)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제1개폐판(170); 상기 시트(170)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결핀(171)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되면서 하부에 개폐편(181)을 형성하는 개폐구(180); 상기 제1승강봉(140)의 상단에 받쳐지면서 수직연동관(151)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191)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하는 받침판(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2. 상부에 실린더 형상으로 내부에 에어공급으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에어실린더수단(100)과, 상기 에어실린더수단(100)의 하단부에 연결로 연동되도록 하여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형상의 오일펌핑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로서,
    상기 오일펌핑수단(200)은,
    상기 제2실린더부(210)는, 상기 제1실린더부(110)의 하단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수직관체(211) 및 상기 수직관체(211)의 하단에 제2닛플(220)을 체결하여 구성하는 제2실린더부;
    상기 제2닛플(220)의 내부 상단에 스냅링(231)에 의해 받쳐지는 스프링(232)에 의해 하단에 탄력 지지되어 흡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제2개폐판(230)이 올려지면서 오일이 수직관체(211) 내로 상승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개폐판(230);
    상기 제2실린더부(210)의 수직관체(211) 내부에 수직상으로 위치되어 제1승강봉(140)과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제2승강봉(240);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단에 끼워져 체결 고정하면서 수직관체(211) 내면에 패킹으로 밀착된 상태로 피스톤(150)과 같이 승강되도록 구비함과, 외면 둘레에 2단으로 "U"형 패킹(261)이 끼워지면서 방사상으로 오일 통로(262)가 형성하여 구비하는 흡입구(260);
    상기 제2승강봉(240)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승강봉(240)에 형성한 단턱부(241)에 받쳐지는 스프링(242)에 의해 흡입구(260)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압지되는 제3개폐판(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봉(240)을 제1승강봉(140)과 나사연결봉(250)으로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판(230)과 제3개폐판(270)은 판체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둘레에 통공(233,2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KR1020190034110A 2019-03-26 2019-03-26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KR10220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10A KR102206475B1 (ko) 2019-03-26 2019-03-26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10A KR102206475B1 (ko) 2019-03-26 2019-03-26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26A true KR20200113626A (ko) 2020-10-07
KR102206475B1 KR102206475B1 (ko) 2021-01-25

Family

ID=7288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10A KR102206475B1 (ko) 2019-03-26 2019-03-26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7857A (zh) * 2021-07-20 2021-11-12 朱辰宇 一种稀土提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48A (ko) 1996-12-31 1998-10-07 임경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
JP2000345957A (ja) * 1999-06-04 2000-12-12 Nippon Oirumikisaa Kk 弁開放機構付ピストンポンプ
KR20120083622A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48A (ko) 1996-12-31 1998-10-07 임경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
JP2000345957A (ja) * 1999-06-04 2000-12-12 Nippon Oirumikisaa Kk 弁開放機構付ピストンポンプ
KR20120083622A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7857A (zh) * 2021-07-20 2021-11-12 朱辰宇 一种稀土提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475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475B1 (ko)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AU650774B2 (en) Improved diaphragm pump, particularly suitable for gas-containing fluid
CN116534454B (zh) 一种用于石油开采的储存油罐
KR102122642B1 (ko) 에어 그리스 펌프
KR102175047B1 (ko) 자동차 정비용 폐유수거기
KR100414910B1 (ko) 그리스 공급기
JP2004083043A (ja) 充填ノズル
CN208200361U (zh) 高粘度液体供给装置
KR200393241Y1 (ko) 액체봉입식 부싱 조립장치
JP2819172B2 (ja) 液体の供給装置
JPH10281070A (ja) 等分布荷重で作動する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S632620Y2 (ko)
CN211260308U (zh) 一种油料供给往复提升泵体装置
JPH0410387Y2 (ko)
JP2531179Y2 (ja) 液垂れ防止のチャッキ弁
CN220854033U (zh) 一种泵体保压设备
KR20030064690A (ko) 자동차용 그리스 주유장치
KR101919289B1 (ko) 타이어 공기주입장치
KR102476802B1 (ko) 액상 약품 주입기용 밸브
JPS5823985Y2 (ja) 高粘度液用ポンプ
KR20030043527A (ko) 물의 중량과 부력을 응용한 양수방법 및 그 장치
KR200447996Y1 (ko) 부스터 펌프
KR100685276B1 (ko) 탱크로리용 적재물 입출장치
JPS641627Y2 (ko)
CN117030136A (zh) 一种泵体保压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