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383B1 -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383B1
KR101346383B1 KR1020110144501A KR20110144501A KR101346383B1 KR 101346383 B1 KR101346383 B1 KR 101346383B1 KR 1020110144501 A KR1020110144501 A KR 1020110144501A KR 20110144501 A KR20110144501 A KR 20110144501A KR 101346383 B1 KR101346383 B1 KR 10134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ain
cage
ba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398A (ko
Inventor
다까시 고또오
Original Assignee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원은, 기둥이나 말뚝 등에 사용되는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릴 때에 철근 케이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서로 평행을 이루는 직선형상의 다수의 주근(11)을 포함하는 철근 케이지(10)가 수평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철근 케이지(10)의 일단부에 있어서, 최하위의 주근(11)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11)의 일단부를 U자형을 이루는 보강근(14)으로 연결한다. 철근 케이지(1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편이한 개소를 파지해서 매달아 올림으로써, 철근 케이지(10)를 상기 일단부가 접지된 비스듬한 자세로 한다. 이때, 보강근(14)에 의해 철근 케이지(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케이지(10)를 매달아 올려서 수직 자세로 해서 지면에서 띄운다. 그 후에, 보강근(14)을 주근(11)으로부터 제거한다.

Description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REINFORCEMENT CAGE}
본 발명은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리는 도중에 철근 케이지가 변형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현장에서 수직 자세의 철근 케이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의해, 기둥이나 기초 말뚝을 구축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철근 케이지는 서로 평행을 이루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철근(이하, "주근"이라 함)과, 이들 주근을 둘러싸도록 해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환상의 다수의 철근(이하, "후프근"라고 한다)을 갖고 있다. 이들 주근과 후프근은 그 교차부에 있어서 가는 금속 와이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철근 케이지는 공장 또는 건축 현장에서 조립되고, 건축 현장에 있어서 수평 자세로 지면 등에 놓여 있고, 필요할 때,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려, 기둥이나 기초 말뚝의 구축 예정 개소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4137173호 공보
상기 철근 케이지는 보통 1대의 크레인을 사용해서 매달아 올린다. 상술하면, 크레인의 붐 선단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현수 장치가 철근 케이지를 그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개소에서 파지하고, 이 상태에서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린다. 이로써, 철근 케이지는 최초의 수평 자세로부터 비스듬하게 세워져, 이윽고 수직 자세로 되고, 지면에서 이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가 기울어졌을 때에는, 철근 케이지의 일단부가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로 된다. 철근 케이지의 다수의 주근은 서로 이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그 중에서 최하위에 위치하는 주근의 일단부만이 지면에 닿은 상태로 된다. 다른 주근은 스스로의 중력에 기인한 길이방향의 힘을 받기 때문에, 최하위의 철근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어긋난다. 최상위의 주근의 위치 어긋남이 가장 크다. 이들 주근의 위치 어긋남에 수반하여, 후프근이 주근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로부터 기울어지게 되어, 철근 케이지의 단면 형상의 세로 치수(최하위 주근과 최상위 주근의 간격)가 감소한다. 이러한 철근 케이지의 변형은 상하의 철근 케이지끼리의 연결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철근 케이지가 기운 상태에서,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만이 지면으로부터 철근 케이지의 중량에 기인한 큰 반력을 받는 동시에 지면에 부딪치면서 끌리게 된다. 그 결과,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가 변형되거나 손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철근 케이지 전체의 변형이나 주근의 일단부의 변형은 철근 케이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철근 케이지의 중량이 증대할수록,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철근 케이지가 길고 중량이 클 경우에는, 철근 케이지 내부에 다수의 보강근을 끼워넣어서, 철근 케이지 전체의 변형을 회피하고 있지만, 이들 내부 보강근은 콘크리트에 매설후의 기둥 등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지 않아, 쓸모없다. 게다가, 상술한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의 변형이나 손상의 방지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메인 크레인 이외의 서브 크레인을 사용하여, 철근 케이지를 지면에서 띄운 상태에서 수평 자세로부터 수직 자세로 이행시키고 있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크레인 조작에 숙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서로 평행을 이루는 직선형상의 다수의 주근을 포함하는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림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수평 자세로부터 일단부가 접지된 비스듬한 자세로 하고, 또한 수직 자세로 하는 과정에 있어서, 철근 케이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이며,
상기 철근 케이지의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를 보강근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철근 케이지가 기운 상태에서, 최하위의 주근과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가 보강근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하위의 주근에 대한 최상위의 주근의 길이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없어져 철근 케이지 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철근 케이지 전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보강근을 없애거나, 그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 케이지는 일단부를 접지시킨 상태에서 매달아 올리므로, 복잡한 크레인 조작도 불필요하다.
또한, 지면으로부터의 반력을 최하위의 주근 뿐만 아니라 최상위의 주근에서도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의 변형도 회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근은, 직선형상의 주부(主部)와, 이 주부의 양단부에 이어져 주부와 직교해서 연장되는 한쌍의 결합 단부를 갖고, 이들 한쌍의 결합 단부가 상기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보강근을 제거해서 재이용할 수 있어, 재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보강근은 한쌍의 결합 단부를 통해 주근의 일단부에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기 보강근의 한쌍의 결합 단부마다 통형상의 커플러를 구비하고, 각 커플러에 상기 철근 케이지의 주근의 일단부와 상기 보강근의 결합 단부가 일직선을 이루어 삽입된다.
이에 의하면, 보강근의 연결 작업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 케이지의 최하위 및 최상위의 주근의 적어도 상기 일단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근의 적어도 상기 한쌍의 결합 단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주근의 일단부와 상기 보강근의 결합 단부가 상기 커플러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 작업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제거 작업도 용이해진다. 게다가, 보강근과 주근의 연결 강도가 높기 때문에, 철근 케이지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철근 케이지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직선형상의 다수의 주근을 포함하는 철근 케이지가 수평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의 일단부에 있어서,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를 보강근으로 연결하고,
상기 철근 케이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편이(偏移)한 개소를 파지해서 매달아 올림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상기 일단부가 접지된 비스듬한 자세로 하고, 또한 수직 자세로 하여 지면으로부터 띄우고, 상기 철근 케이지를 지면에서 띄운 후, 상기 보강근을 상기 주근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근을 사용함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올리는 도중에 있어서 철근 케이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철근 케이지의 개략 측면도로, (A)는 단부를 보강된 수평 자세의 기둥용 철근 케이지를 크레인으로 매달아올리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철근 케이지가 매달아올려져서 비스듬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중 Ⅱ-Ⅱ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A)중 Ⅲ-Ⅲ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의 철근 케이지를 일부 생략해서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1의 (B)의 철근 케이지를 일부 생략해서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의 철근 케이지를 도시하는 측면도로, (A)는 하단부에 보강근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보강근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C)는 아래 층의 기둥용 철근 케이지의 상단부에 위치 정렬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D)는 아래 층의 철근 케이지의 상단부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A)의 주요부인 철근 케이지의 일단부의 보강 구조를 더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의 (A) 및 도 4는 공장 또는 건축 현장에서 제조된 기둥(수직 구조체)용의 철근 케이지(10)를 도시한다. 이 철근 케이지(10)는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철근(봉강)(11)(이하, "주근"이라 함)과, 환상을 이루는 다수의 철근(봉강)(12)(이하, "후프근"이라 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근(11)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코너부 및 변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근(11)은 이 사각형의 내측에도 추가적으로 배치해도 좋다.
상기 후프근(12)은 주근(11)을 둘러싸도록 해서 사각형을 이루고, 주근(1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상기 후프근(12)과 상기 주근(11)은 직각으로 교차하고, 이 교차부에 있어서 가는 금속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근(11)에는 소위 "나사 철근"이 사용되고 있다. 이 "나사 철근"은 압연 공정에 있어서 수나사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철근이다. 도 7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11a)는 주근(11)의 직경방향으로 대치하는 2개의 가늘고 긴 영역(11x)에 있어서, 180°보다 작은 각도 범위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나사 형상의 절(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영역(11x) 사이의 영역(11y)에는 나사 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후프근(12)은 나사 철근이라도 좋고, 나사 철근이 아니어도 좋다.
도 1의 (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의 일단부, 즉 우측의 단부에 있어서, 모든 주근(11)의 일단부에는 커플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커플러(1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을 이루고, 그 내주에는 암나사(13a)가 형성되고 있다. 이 암나사(13a)에 주근(11)의 일단부의 수나사(11a)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1의 (A),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케이지(10)의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 최하위의 주근(11)[즉, 철근 케이지(10)의 사각의 단면형상의 하변에 위치하는 주근(11)]은 모두, 대응하는 최상위의 주근(11)과, U자형의 보강근(14)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근(14)은 상기 주근(11)과 마찬가지로 나사 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길이에 걸쳐 수나사(14a)를 갖고 있다. 이 보강근(14)은 압연에 의해 얻어진 똑바른(眞直)의 나사 철근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부 근방을 절곡함으로써 얻어진다. 보강근(14)은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주부(14x)와, 이 주부(14x)의 양단부에 이어져 주부(14x)와 직교해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짧은 결합 단부(14y)를 갖고 있다.
도 1의 (A),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근(14)의 한쌍의 결합 단부(14y)는 커플러(13)를 통해서 상하의 주근(11)에 각각 연결된다. 이하, 이 연결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결 이전은, 최하위와 최상위의 주근(11)의 커플러(13)는, 다른 중간의 주근(11) 커플러(13)와 마찬가지로, 전체 길이에 걸쳐 주근(11)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주근(11)의 선단이 커플러(13)의 단부면과 일치하거나 이보다 약간량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강근(14)의 한쌍의 결합 단부(14y)를 상하의 주근(11)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시켜서 근접시킨 후, 커플러(13)를 결합 단부(14y)를 향해서 돌리면서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13)의 한쪽의 절반이 주근(11)의 단부에 나사 결합하고, 다른 쪽의 절반이 결합 단부(14y)에 나사 결합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보강근(14)의 각 결합 단부(14y)가 커플러(13)를 통해, 대응하는 주근(11)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철근 케이지(10)의 보강 구조(S)는 모든 보강근(14)과, 이들 보강근(14)의 한쌍의 결합 단부(14y)를 이것과 대응하는 주근(11)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커플러(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철근 케이지(10)의 매달아 올리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구성의 보강 구조(S)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의 (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는 각재(20)를 통해서 지면에 수평으로 놓여 있다.
한편,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의 붐 선단으로부터 크레인 케이블(30)이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그 하단부에는 후크 등의 지지구(31)[도 1의 (A)에서는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31)에 현수 장치(40)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현수 장치(40)는 천칭식의 지지 바(41)를 갖고 있다. 이 지지 바아(41)의 중앙은 제1 케이블(42)을 통해서 상기 지지구(31)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바아(41)의 양단부에는 각각 짧은 제2 케이블(43)을 통해서 풀리(4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풀리(44)에는 제3 케이블(45)의 중간부가 걸려져 있고, 각 제3 케이블(45)의 양단부에는 클램프(4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4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의 사각형의 단면 형상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4개의 주근(11)을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고 있다. 이 파지 위치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보강 구조(S)의 반대측에 치우쳐 있다.
이어서, 크레인을 조작해서, 상기 철근 케이지(10)를 매달아 올린다. 그 도중에 철근 케이지(10)는 도 1의 (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세워져, 그 일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최하위의 주근(11)과 최상위의 주근(11)이 보강근(14)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상위의 주근(11)이 최하위의 주근(11)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중간의 주근(11)도, 최하위 및 최상위의 주근(11)과 후프근(12)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철근 케이지(10) 전체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철근 케이지(10)의 중량에 기인한 지면으로부터의 반력은, 최하위의 주근(11)의 일단부에 가해지는 동시에, 보강근(14)을 통해서 상측의 주근(11)의 일단부에도 가해진다. 그 결과, 최하위의 주근(11)이 부담하는 반력을 반감할 수 있어, 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케이지(10)가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에서, 최하위의 주근(11)의 단부는 직접 접지하지 않고, 보강근(14)의 만곡부[주부(14x)와 한쪽의 결합 단부(14y)가 연결되는 부위]가 접지되므로, 철근 케이지(10)가 지면을 따라 끌리더라도, 최하위의 주근(11)의 일단부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철근 케이지(10)를 매달아 올리면, 철근 케이지(10)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자세로 되고, 더욱 매달아 올리면 지면에서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근(14)을 제거한다. 이 보강근(14)의 제거 작업은, 대응하는 커플러(13)를 회전시키면서 주근(11)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제거한 보강근(14)은 재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를 하층의 철근 케이지(10')의 바로 위까지 이동시킨다. 이 하층의 철근 케이지(10')는 매달아진 철근 케이지(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다수의 주근(11')과 후프근(12')을 갖고 있고, 이미 상단부를 제외하고 콘크리트(50)에 매설되어 있다.
도 6의 (C)의 공정에서는, 매달린 철근 케이지(10)의 주근(11)을 하층의 철근 케이지(10')의 주근(11')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위치 정렬하는 동시에, 주근(11, 11')을 접근시킨다.
이어서,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10)의 모든 커플러(13)를 돌려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절반을 하층의 철근 케이지(10')의 주근(11')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로써, 상하의 철근 케이지(10, 10')의 주근(11, 11')끼리가 커플러(13)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이 커플러(13)의 중앙에 도시하지 않은 주입구를 형성하고, 이 주입구로부터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트를 주입해서 연결 강도를 높여도 좋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층의 철근 케이지(10, 10')의 주근(11, 11')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13)를 주근(11)과 보강근(14)을 연결하기 위해서 겸용하고 있고, 철근 케이지(10)의 보강 구조(S)를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보강근(14)만이면 된다. 이 때문에, 보강을 위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각종의 형태가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근과 보강근으로서, 압연에 의해 형성된 수나사를 갖는 나사 철근을 사용했지만, 이들 주근, 보강근으로서 통상의 이형 철근을 사용하고, 절삭 가공에 의해, 주근의 일단부 및 보강근의 한쌍의 결합 단부에만 수나사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근의 일단부와 보강근의 결합 단부를 나사 결합에 의해 커플러에 연결했지만, 나사 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해도 좋다. 예를 들어, 통형상을 갖는 커플러에 단순히 주근의 일단부와 보강근의 결합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클램프 지그로 이들 주근의 일단부 및 보강근의 결합 단부를 커플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해도 좋다. 이 경우, 주근 및 보강근으로서 , 통상의 이형 철근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주근의 일단부 및 보강근의 결합 단부를 일직선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지그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해도 좋다.
또한, 주근의 일단부 및 보강근의 결합 단부를 서로 평행하게 해서 인접시키고, 이들을 클램프 지그 또는 가는 금속 와이어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해도 좋다.
주근의 일단부 및 보강근의 결합 단부는 용접 등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최하위의 주근의 모두를 보강근에 의해 대응하는 최상위의 주근에 연결했지만, 최하위의 주근중 선택한 주근만을 대응하는 최상위의 주근에 연결해도 좋다. 이 경우, 보강근에 연결되지 않는 주근의 단부는 철근 케이지가 비스듬히 세워졌을 때에,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주로 기둥이나 말뚝 등의 수직 구조체를 위한 철근 케이지에 적용되지만, 다른 구조체를 위한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반송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철근 케이지를 매다는 장치에는 특별한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양단부에 클램프를 갖는 케이블의 중간부를 크레인 케이블의 하단부에 설치한 후크에 걸기만 해도 좋다.
본 발명은 기둥이나 말뚝 등에 사용되는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릴 때에 철근 케이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용할 수 있다.
10 : 철근 케이지
11 : 주근
11a : 수나사
12 : 후프근
13 : 커플러
13a : 암나사
14 : 보강근
14a : 수나사
14x : 주부
14y : 결합 단부
S : 보강 구조

Claims (5)

  1. a) 서로 평행을 이루는 직선형상의 다수의 주근을 포함하는 기둥용의 철근 케이지가 수평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의 일단부에 있어서,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를 보강근으로 연결하는 공정이며, 이 연결에 사용되는 보강근은, 직선 형상의 주부와, 이 주부의 양단부에 이어져 주부와 직교해서 연장되는 한쌍의 결합 단부를 갖고, 이들 한쌍의 결합 단부가 상기 최하위의 주근의 일단부와 최상위의 주근의 일단부에 각각 통형상의 커플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연결 상태에서, 각 커플러에 상기 철근 케이지의 주근의 일단부와 상기 보강근의 결합 단부가 일직선을 이루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철근 케이지의 최하위 및 최상위의 주근의 적어도 상기 일단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근의 적어도 상기 한쌍의 결합 단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주근의 일단부와 상기 보강근의 결합 단부가 상기 커플러에 나사 결합되는 공정과,
    b) 상기 철근 케이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편이(偏移)한 개소를 파지해서 매달아 올리는 것에 의해, 철근 케이지를 비스듬한 자세로 하고, 이 비스듬한 자세로, 상기 보강근의 상기 주부와 하측의 결합 단부가 이어지는 부위를 접지시키는 공정과,
    c) 또한, 철근 케이지를 매달아 올리는 것에 의해 수직 자세로 해서 지면으로부터 띄우는 공정과,
    d) 상기 철근 케이지를 지면에서 띄운 후, 상기 커플러를 돌려서 상기 주근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강근을 상기 주근으로부터 제거하는 공정과,
    e) 또한, 그 후에 상기 커플러를 돌려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하층의 기둥용 철근 케이지의 주근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 시킴으로써, 상하의 철근 케이지의 주근끼리를 연결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의 보강 방법.
  2. 제1항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의 단면이 사각형이며, 그 하변의 주근의 전부 또는 선택된 주근과 상변의 대응하는 주근이, 상기 보강근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의 보강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44501A 2011-02-25 2011-12-28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101346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9286 2011-02-25
JP2011039286A JP4988050B1 (ja) 2011-02-25 2011-02-25 鉄筋籠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98A KR20120098398A (ko) 2012-09-05
KR101346383B1 true KR101346383B1 (ko) 2014-01-02

Family

ID=4679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01A KR101346383B1 (ko) 2011-02-25 2011-12-28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88050B1 (ko)
KR (1) KR101346383B1 (ko)
SG (1) SG183614A1 (ko)
TW (1) TWI4804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581B1 (ko) 2018-11-22 2019-04-19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용 지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절첩 가능한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4744B2 (ja) * 2012-10-05 2014-09-03 株式会社 Cup商会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CN103061265B (zh) * 2013-01-05 2015-03-04 广东省基础工程公司 一种组合式钢筋笼吊装的施工方法
CN103266779B (zh) * 2013-05-23 2016-03-30 广州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越过水平障碍物的提升滑移施工设备及其方法
CN103255917B (zh) * 2013-05-23 2016-03-30 广州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越过竖向障碍物的平面异位整体提升施工设备及其方法
CN105862728B (zh) * 2016-04-08 2018-02-0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人工挖孔桩钢筋笼简易抗浮装置
CN108382993A (zh) * 2018-04-28 2018-08-10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钢筋笼横向吊运时控制变形的方法
CN109914388A (zh) * 2019-03-05 2019-06-21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超深地下连续墙超重钢筋笼加固装置及方法
CN111119161A (zh) * 2019-12-23 2020-05-08 周正直 一种超深地连墙钢筋笼加长套筒对接施工方法
CN113931378A (zh) * 2021-10-28 2022-01-14 上海宝冶冶金工程有限公司 一种复杂截面结构柱的安装方法
CN114703835B (zh) * 2022-05-07 2023-06-0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防止混凝土浇注时钢筋笼上浮的可拆卸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46Y1 (ko) * 2006-02-09 2006-05-15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현장타설말뚝용 철근망 구조체
KR100612662B1 (ko) 2004-11-03 2006-08-14 서광석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KR100719909B1 (ko) 2006-05-30 2007-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
KR100863974B1 (ko) * 2008-06-11 2008-10-17 (주)화인테크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214A (ja) * 1993-04-07 1994-10-21 Taisei Corp 柱鉄筋先組用治具
TWM241456U (en) * 2003-10-03 2004-08-21 Runhorn Pretech Eng Co Ltd Round spiral reinforcement cage used in square colum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662B1 (ko) 2004-11-03 2006-08-14 서광석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KR200416146Y1 (ko) * 2006-02-09 2006-05-15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현장타설말뚝용 철근망 구조체
KR100719909B1 (ko) 2006-05-30 2007-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
KR100863974B1 (ko) * 2008-06-11 2008-10-17 (주)화인테크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581B1 (ko) 2018-11-22 2019-04-19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용 지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절첩 가능한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88050B1 (ja) 2012-08-01
TW201235534A (en) 2012-09-01
SG183614A1 (en) 2012-09-27
TWI480452B (zh) 2015-04-11
JP2012177226A (ja) 2012-09-13
KR20120098398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383B1 (ko) 철근 케이지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CN106988455B (zh) 钢板混凝土剪力墙现场拼接节点及其施工方法
JP5914095B2 (ja) 鉄筋篭建込方法
US20220098862A1 (en) Reinforcing assemblies having downwardly-extending working members on structurally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slabs or other structures
JP6543077B2 (ja) 構造物の施工方法
CN206917094U (zh) 一种用于控制剪力墙钢筋排距的简易定位装置
KR101119050B1 (ko)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JP2010248781A (ja) 地盤改良体
US20180016788A1 (en) Reinforcing assemblies having downwardly-extending working members on structurally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slabs or other structures
JP2006316543A (ja) ケーソンの移動式足場工法
JP2015187330A (ja) 仮締切兼用鋼管矢板基礎の施工方法
JP2013032682A (ja) 建築用杭及び該建築用杭を用いる建築用杭の施工方法
JP6322490B2 (ja) 分断材および現場造成杭の杭頭処理方法
JP2012225019A (ja) 案内管および該案内管を用いた中空柱の補強補助方法
JP7023066B2 (ja) 円柱状部材の構築方法
JP6677564B2 (ja) 鉄筋籠及び鉄筋籠の接続方法
CN218668663U (zh) 一种方形构筑物防台加固结构
JP5764079B2 (ja) 吊上げ装置
CN212656546U (zh) 卸荷模板支撑系统
CN213805377U (zh) 咬合桩桩头破除结构
CN110172965B (zh) 地下连续墙钢筋分段式施工装置及施工方法
JP200431636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剪断補強方法
CN105064537B (zh) 桥架式预制混凝土内外剪力墙连接施工方法
JP564969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