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324B1 -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 Google Patents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324B1
KR101346324B1 KR1020110062199A KR20110062199A KR101346324B1 KR 101346324 B1 KR101346324 B1 KR 101346324B1 KR 1020110062199 A KR1020110062199 A KR 1020110062199A KR 20110062199 A KR20110062199 A KR 20110062199A KR 101346324 B1 KR101346324 B1 KR 10134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m
vacuum
pattern layer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48A (ko
Inventor
박오선
Original Assignee
박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오선 filed Critical 박오선
Priority to KR102011006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3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진공 포장시 진공팩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진공포장재는,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진공팩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과;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과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구비하며, 제1패턴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제2패턴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통로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WRAPPER FOR VACUUM PACK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VACUUM PACK USING THE WRAPPER FOR VACUUM PACKING}
본 발명은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공 포장시 진공팩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 등을 위하여 진공 포장이 이용된다. 진공포장용 진공팩은 시트(sheet) 형태의 진공포장재를 재단 및 접합하여 제조된다. 이 진공팩은 그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진공팩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밀봉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진공포장재는 일반적인 비닐팩용 포장재와는 달리 진공 포장 과정에서 팩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진공포장재는 소정 금형을 이용하여 엠보싱(embossing) 가공 처리함으로써, 진공포장재의 내부면에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진공포장기에 의하여 진공팩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진공팩의 앞면과 뒷면이 밀착되더라도, 공기 흡입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진공팩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포장재를 엠보싱 가공하여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그 형성 과정에서 진공포장재가 늘어나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재가 약해져 쉽게 찢어질 수 있으며, 진공포장재를 늘이는 과정에서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포장재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곤란하다.
또한, 엠보싱 가공을 위한 엠보싱 금형의 경우, 엠보싱 가공 부분이 마모에 취약하여, 장시간 사용시 일반적인 금형에 비하여 쉽게 마모되므로 금형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는 포장재 전체에 걸쳐 동일한 패턴의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진공팩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서, 진공팩의 구조적 특성상 진공팩의 폭방향 양 쪽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공기 흡입력이 중앙부분에 비하여 약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진공포장재를 이용하여 진공팩을 제조한 경우,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거나, 진공포장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포장재는 공기유동통로의 형성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공기 이외에 진공 포장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액체(예컨대, 고기류를 진공포장하는 경우의 혈액)가 공기유동통로를 따라 진공포장기로 유입되어 진공포장기의 고장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포장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일 없이 공기유동통로 형성함과 아울러,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서의 공기 흡입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동통로를 따라 대상물로부터 흘러나온 액체가 진공포장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는,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진공팩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과; 상기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과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가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턴층의 높이가 상기 제1패턴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의 패턴층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팩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상기 진공팩 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진공팩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액상의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지가 수용되는 복수의 패턴홈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 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형성롤러와; 상기 패턴형성롤러와의 사이에 소정 성형닙을 형성하며, 상기 패턴형성롤러의 복수의 패턴홈에 형성되는 수지 패턴을 상기 성형닙을 통과하는 상기 필름 상에 돌출 형성하여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패턴층을 성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형성롤러의 복수의 패턴홈은,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수지 패턴에 대응되는 제1패턴홈과,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수지 패턴에 대응되는 제2패턴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홈의 깊이가 상기 제1패턴홈의 깊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의 패턴형성롤러의 패턴홈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홈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팩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상기 진공팩 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팩에 있어서,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접합되어 팩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필름과;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과 상기 필름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가 상기 필름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턴층의 높이가 상기 제1패턴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팩의 패턴층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필름과 상기 제2필름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재, 그 제조방법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은 필름 상에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패턴층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진공포장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일 없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공팩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가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서의 공기 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재, 그 제조방법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은 필름 상에 패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동통로로서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진공팩 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포장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액체가 공기유동통로를 따라 진공포장기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일 예에 따른 패턴형성롤러의 부분 단면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예에 따른 패턴형성롤러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이를 이용한 진공팩 및 진공포장재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10)는 필름(11)과, 필름(11)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17)를 형성하는 패턴층(15)을 포함한다.
필름(11)은 인체에 무해하며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진공포장재의 베이스 층을 구성한다. 여기서 필름(11)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Nylon), 에티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EVOH; Ethylene Vinyl Alcoho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름(11)은 지관(13)에 롤 형태로 감겨 공급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진공팩(도 7의 200)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은 필름(11)이 5개의 영역(11a,...,11e)으로 구획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각 영역을 구분하는 구획선은 미도시된 커팅장치에 의하여 구획되는 선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실선 뿐만 아니라 가상선일 수 있다. 또한, 필름(11)의 폭은 진공팩(200)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패턴층(15)은 후술하는 진공포장재 제조장치(도 4의 100)에 의하여 필름(11) 상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되는 층으로서 공기유동통로(17)를 형성한다. 이 패턴층(15)은 열 압착에 의하여 필름(11) 상에 접착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등의 열경화성 접착 수지로서, 제1 및 제2패턴층(15a)(15b)을 포함한다.
제1패턴층(15a)은 필름(11)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도 2의 A영역)에 형성되는 패턴층이고, 제2패턴층(15b)은 필름(11)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도 2의 B영역)에 형성되는 패턴층이다. 여기서, 제1패턴층(15a)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통로(17a)에 비하여 제2패턴층(15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통로(17b)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2패턴층(15b)의 높이(H2)가 제1패턴층(15a)의 높이(H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공기유동통로(17b)가 제1공기유동통로(17a)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진공팩(200)을 제조 후 진공포장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진공팩(200)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서의 공기 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를 보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는 필름(21)과, 필름(21)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는 패턴층(2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와 비교하여 볼 때, 패턴층(25)의 형상을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질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패턴층(25)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실시예와 실질상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패턴층(25)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25a)을 포함한다. 단위패턴(25a)은 그 외형이 다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내부는 오목하게 인입된 형상을 가진다. 도 3은 단위패턴(25a)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패턴층(25)은 공기유동통로(27)로서 저장부(27a)와 채널(27b)이 형성되도록 한다. 저장부(27a)는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진공팩(도 7의 200)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단위패턴(25a)의 내부 공간이 이에 해당된다. 채널(27b)은 진공팩(200) 내의 공기가 진공포장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통과하는 통로이다. 도 3은 채널(27b)이 단위패턴(25a)의 상, 하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패턴층(15)을 구성함으로써, 진공 포장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액체가 공기유동통로(27)의 저장부(27a)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채널(27b)을 통과하여 진공포장기(미도시)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일 예에 따른 패턴형성롤러의 부분 단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진공팩(도 7의 200)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101) 및 필름(101) 상에 형성되는 패턴층(105)을 포함하는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100)는 액상의 수지(110)를 공급하는 공급부(120)와, 소정 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형성롤러(130) 및 가압롤러(150)를 포함한다.
패턴형성롤러(130)는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수지(110)가 수용되는 복수의 패턴홈(131)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의 패턴홈(131)은 제1 및 제2패턴홈(131a)(131b)을 포함한다.
제1패턴홈(131a)은 필름(11)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도 2의 A)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도 2의 15a)을 형성하기 위한 홈이고, 제2패턴홈(131b)은 필름(11)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도 2의 B)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도 2의 15b)를 형성하기 위한 홈이다. 여기서, 제2패턴홈(131b)의 깊이(H4)가 제1패턴홈(131a)의 깊이(H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제2패턴층(15b)이 제1패턴층(15a)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필름(11)의 제1영역(도 1의 11a)에 대응되는 패턴형성롤러(130)의 제1영역(130a)에 형성된 제1 및 제2패턴홈(131a)(131b)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가압롤러(150)는 패턴형성롤러(130)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 가압력에 의하여 패턴형성롤러(130)와의 사이에 소정 성형닙을 형성한다. 패턴층(15)이 형성되지 않은 필름(101)은 지관(103)에 감긴 상태로 진공포장재 제조장치(100)에 설치되며, 상기 성형닙을 통과한다. 이때, 패턴형성롤러(130)의 복수의 패턴홈(131)에 형성되는 수지 패턴은 성형닙을 통과하는 필름(101) 상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소정 높이의 패턴층(105)이 필름(101) 상에 성형됨으로써,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진공포장재(10)가 제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재 제조장치(100)는 패턴형성롤러(130)이 외주에 마련되어, 패턴홈(131)에 공급되는 수지(110)의 높이를 규제하는 규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규제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규제롤러 또는 규제블레이드(미도시) 형태로 마련되어, 패턴형성롤러(130) 상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패턴홈(131)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4의 다른 예에 따른 패턴형성롤러(135)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턴홈(136)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마름모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홈(136a)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위패턴홈(136a)은 도 3에 도시된 패턴층(25)을 형성하기 위한 홈이다. 이와 같이 단위패턴홈(136a)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공기유동통로(17)로서의 저장부(27a)와 채널(27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진공팩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그 가장자리부 각각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의 크기가 더 큰 구조의 진공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기를 이용한 진공 포장시, 진공팩의 양측 모서리에 잔존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통로로서 저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진공 포장 대상물이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액체가 진공포장기로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팩(200)은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접합되어 팩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필름(210)(250)과, 패턴층(230)을 포함한다.
패턴층(230)은 제1필름(210) 및 제2필름(250) 중 적어도 어느 한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270)를 형성한다. 도 7은 제1필름(210) 상에 패턴층(230)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패턴층(230)은 제1필름(210)의 폭방향 중심부(C)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231)과, 제1필름(21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D)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2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필름(210)의 폭방향 중심부(C)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통로(271)에 비하여 제1필름(21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D)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통로(275)가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2패턴층(235)의 높이가 제1패턴층(231)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공기유동통로(275)가 제1공기유동통로(271)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진공포장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서의 공기 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진공팩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패턴층(23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마름모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을 포함하여,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진공팩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장기를 이용한 진공 포장시, 진공 포장 대상물이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액체가 진공포장기로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진공포장재 11, 21, 101: 필름
15, 25, 105, 230: 패턴층 15a, 231: 제1패턴층
15b, 235: 제2패턴층 17, 27, 270: 공기유동통로
17a: 제1공기유동통로 17b: 제2공기유동통로
25a: 단위패턴 27a: 저장부
27b: 채널 100: 진공포장재 제조장치
110: 수지 120: 공급부
130: 패턴형성롤러 131, 136: 패턴홈
131a: 제1패턴홈 131b: 제2패턴홈
136a: 단위패턴홈 150: 가압롤러
160: 규제부 200: 진공팩
210: 제1필름 250: 제2필름

Claims (8)

  1.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에 있어서,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진공팩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과;
    상기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과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패턴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상기 제2패턴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통로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층의 높이가 상기 제1패턴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팩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상기 진공팩 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재.
  4.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진공팩의 폭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진공팩 제조용 진공포장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액상의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지가 수용되는 복수의 패턴홈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 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형성롤러와;
    상기 패턴형성롤러와의 사이에 소정 성형닙을 형성하며, 상기 패턴형성롤러의 복수의 패턴홈에 형성되는 수지 패턴을 상기 성형닙을 통과하는 상기 필름 상에 돌출 형성하여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패턴층을 성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형성롤러의 복수의 패턴홈은,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수지 패턴에 대응되는 제1패턴홈과, 상기 필름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수지 패턴에 대응되는 제2패턴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홈의 깊이가 상기 제1패턴홈의 깊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홈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홈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팩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상기 진공팩 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재 제조장치.
  6. 진공팩에 있어서,
    공기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접합되어 팩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필름과;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 필름 상에 소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패턴층과 상기 필름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가 상기 필름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층의 높이가 상기 제1패턴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동통로로서, 진공 포장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필름과 상기 제2필름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공기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팩.
KR1020110062199A 2011-06-27 2011-06-27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KR10134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99A KR101346324B1 (ko) 2011-06-27 2011-06-27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99A KR101346324B1 (ko) 2011-06-27 2011-06-27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48A KR20130001448A (ko) 2013-01-04
KR101346324B1 true KR101346324B1 (ko) 2013-12-31

Family

ID=4783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199A KR101346324B1 (ko) 2011-06-27 2011-06-27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3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02B1 (ko) 2001-02-21 2004-08-16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26277A (ko) * 2003-09-09 2005-03-15 (주)씨에스씨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KR100573441B1 (ko) 2005-02-07 2006-04-26 (주)씨에스이 반복된 웨지패턴을 갖는 진공포장백용 시트의 제조를 위한롤러, 이 롤러를 이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시트
KR200453776Y1 (ko) 2009-09-08 2011-05-27 (주)씨에스이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02B1 (ko) 2001-02-21 2004-08-16 이걸주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26277A (ko) * 2003-09-09 2005-03-15 (주)씨에스씨 다층돌기가 형성된 진공포장용 필름, 이 필름을 이용한진공포장용 백
KR100573441B1 (ko) 2005-02-07 2006-04-26 (주)씨에스이 반복된 웨지패턴을 갖는 진공포장백용 시트의 제조를 위한롤러, 이 롤러를 이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시트
KR200453776Y1 (ko) 2009-09-08 2011-05-27 (주)씨에스이 진공포장용 필름 및 이 필름을 이용한 진공포장용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48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9356A (ja) 流路を有する真空包装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273020B (en) Molded parts with fabric surface area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TWI519287B (zh)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bsorbent body,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EP2451636B1 (en) Packaging material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KR101043022B1 (ko)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US20120312713A1 (en) Wet tissue packag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CN102149614A (zh) 复合型空气和泡沫保护性包装
JP2015527266A5 (ko)
KR101346324B1 (ko) 진공포장재, 그 제조장치 및 진공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팩
JP6850353B2 (ja) 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サ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22014B (zh) 可透氣鞋
KR100444402B1 (ko)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0731542B1 (ko)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65508B1 (ko) 진공 포장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JP5595718B2 (ja) 空気セル緩衝材
JP4142775B2 (ja)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5925B1 (ko) 공기 배출용 유로를 갖는 진공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상기 필름을 사용한 진공 포장용 백의 제조방법
CN114423684A (zh) 组装式纸容器和薄膜粘贴成型机
KR100605263B1 (ko) 에어버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621299B1 (ja) 気泡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129821B1 (ko) 진공 포장팩용 비닐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원단
JP2020063092A (ja) 逆止弁付き米袋
JP7456334B2 (ja) フェイスシールド用シート、フェイスシールド用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20100104755A (ko) 용융압출 합지를 이용한 에어채널을 형성시킨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진공포장팩
JP4932950B1 (ja) 逆止弁及び逆止弁付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