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235B1 - 쉽핑 박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쉽핑 박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235B1
KR101343235B1 KR1020110118099A KR20110118099A KR101343235B1 KR 101343235 B1 KR101343235 B1 KR 101343235B1 KR 1020110118099 A KR1020110118099 A KR 1020110118099A KR 20110118099 A KR20110118099 A KR 20110118099A KR 101343235 B1 KR101343235 B1 KR 10134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ping box
arms
pair
rear surfaces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482A (ko
Inventor
이은창
용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1011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2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와 디자인의 쉽핑 박스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위치결정부재들에 의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밀어주어 정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쉽핑 박스의 하부 양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접촉 롤러들에 의해 클램핑하고, 쉽핑 박스의 상부 양측면을 에어 백들에 의해 클램핑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와 디자인의 쉽핑 박스를 클램핑할 수 있고, 여러 지점으로 클램핑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쉽핑 박스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 정확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쉽핑 박스 이송장치 {SHIPPING BOX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와 디자인의 쉽핑 박스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쉽핑 박스(Shipping Box)는 수지로 사출된 것으로써, 최종 세정공정과 검사를 거친 실리콘 웨이퍼가 담겨지는 일종의 포장재이다.
실리콘 웨이퍼들은 웨이퍼는 50mm ~ 300mm까지 다양한 크기의 종류가 있으며, 직경이 클수록 웨이퍼 상에 많은 집적회로 칩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구경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실리콘 웨이퍼들이 담겨지는 쉽핑 박스도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뿐 아니라 제작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을 가진 쉽핑 박스에 실리콘 웨이퍼가 담겨진 다음, 적재, 보관, 출하 시에 지그에 의해 기구적인 적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종래의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암과, 상기 암들의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암들이 쉽핑 박스의 양측면을 향하여 모아지면, 상기 롤러들이 쉽핑 박스의 양측면을 잡아주고, 상기 암들이 이동됨에 따라 쉽핑 박스가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한 쌍의 암에 고정된 롤러들에 의해 쉽핑 박스가 클램핑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이 혼재된 쉽핑 박스들을 클램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쉽핑 박스의 양측면 하부 두 부분에서만 클램핑 되기 때문에 클램핑되는 힘이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제한된 면적만에 가해짐에 따라 쉽핑 박스를 감싸고 있는 포장재가 찢어지기 쉽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핑 박스의 흔들림, 넘어짐, 탈거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암들 사이에서 쉽핑 박스가 틀러진 위치에 있으면 클램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반복적인 클램핑 재작업으로 인하여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쉽핑 박스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하기 적합한 위치에 쉽핑 박스가 오도록 조정할 수 있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암들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완충 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롤러들은 상기 쉽핑 박스의 단차진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완충 백들은 상기 쉽핑 박스의 단차진 상부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재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암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될수록 상기 탄성 접촉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적어도 네 부분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암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될수록 상기 탄성 접촉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 상기 암들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완충 백;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적어도 네 부분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한 쌍의 암에 접촉 롤러들이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쉽핑 박스를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완충 가능한 접촉 롤러들 및 완충 백들이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접촉하도록 클램핑되기 때문에 여러 지점으로 클램핑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쉽핑 박스 또는 이를 감싸는 포장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밀어주어 정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접촉 롤러들 및 완충 백에 의해 쉽핑 박스의 양측면이 클램핑되기 때문에 쉽핑 박스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 정확하게 클램핑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의 작동 일예가 도시된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11,12)과, 한 쌍의 접촉 롤러(21,22)와, 한 쌍의 완충부재(31,33)과, 네 개의 완충 백(41,42,43,44)과, 네 개의 위치결정부재(51,52,53,54)와, 센서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들(11,1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클램핑하는 힘을 가해주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들(11,1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암들(11,12)의 하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암들(11,12)의 상측 단부는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들(11,12)의 하측 단부에 클램핑된 쉽핑 박스(1)를 원하는 위치에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은 상기 암들(11,12)의 하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램핑 시에 쉽핑 박스(1)의 하부 즉, 손잡이 양측면(1a,1b)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은 소정의 탄성을 지닌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클램핑 시에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들(31,32)은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을 각각의 암(11,12)에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하는데, 일예로 코일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압축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들(31,32)은 상기 암들(11,12)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접촉 롤러들(21,22)에 다른 일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들(31,32)은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쉽핑 박스(1)의 손잡이 양측면(1a,1b)과 접촉한 상태에서 클램핑하는 힘(이하, 클램핑력)이 커질수록 압축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은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암들(11,12)의 상부에 각각 두 개씩, 전체 네 개가 설치되며, 클램핑 시에 쉽핑 박스(1)의 상부 즉, 커버 양측면(1c,1d)과 접촉할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을 지닌 에어 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이 쉽핑 박스(1)의 커버 양측면(1c,1d)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이 부풀어 오르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이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쉽핑 박스(1)의 커버 양측면(1c,1d)을 잡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 백들(41,42,43,44) 대신에 별도의 지지돌기 및 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이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쉽핑 박스(1)를 클램핑하기 용이하다.
상기 위치결정부재들(51,52,53,54)은 상기 암들(11,12)로부터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지지하도록 상기 암들(11,12)에 각각 두 개씩, 전체 네 개가 설치되며, 클램핑 전에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과 접촉하여 밀어주면서 쉽핑 박스(1)의 뒤틀린 위치에 있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쉽핑 박스(1)를 클랭핑하기 유리한 위치에 오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부재들(51,52,53,54)은 상기 접촉 롤러들(21,22)보다 높지만, 상기 완충 백들(31,32)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암들(11,12)의 중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재들(51,52,53,54)은 상기 암들(11,12)로부터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들(51a,52a,53a,54a)과,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로부터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향하도록 돌출된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비롯하여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은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연결된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패킹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랭핑 전에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이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향하여 회전되면,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1e,1f)을 탄성 지지하면서 밀어주고, 쉽핑 박스(1)의 뒤틀림을 잡아주어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움직여준다. 이때, 쉽핑 박스(1)의 정확한 위치는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에 의해 정확하게 클램핑될 수 있는 위치이며,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이 클램핑 시에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에 수직하게 접촉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이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과 접촉한 것을 감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상기 완충 백들(41,42,43,44)보다 강한 클램핑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쉽핑 박스(1)를 클램핑한 것을 감지하고, 그 신호에 따라 상기 암들(11,12)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이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과 접촉한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암들(11,12)과 지지대들(51a,52a,53a,54a)의 작동을 조정한다. 일예로, 클램핑 전에는,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과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이 접촉한 다음, 그 사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을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램핑 시에는, 상기 접촉 롤러들(21,22) 및 완충 백들(41,42,43,44)과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이 접촉한 다음, 그 사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암들(11,12)을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쉽핑 박스 이송장치의 작동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클램핑 작업하기 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부재들(51,52,53,54)이 작동되면, 쉽핑 박스(1)가 상기 암들(11,12) 사이에의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조정된다.
상기 지지대들(51a,52a,53a,54a)이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향하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이 쉽핑 박스(1)와 가까워지고,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이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과 맞닿게 된 다음, 상기 탄성 접촉부들(51b,52b,53b,54b)이 쉽핑 박스(1)의 전후면(1e,1f)을 밀어주면서 그 사이에 맞물린 쉽핑 박스(1)는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쉽핑 박스(1)의 정위치는 클램핑하기 용이한 위치로써, 쉽핑 박스(1)가 전후 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과 나란히 위치하게 한다.
클램핑 작업 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들(11,1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쉽핑 박스(1)가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에 의해 클램핑된다.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쉽핑 박스(1)의 양측면 하부에 단차진 부분 즉, 쉽핑 박스(1)의 손잡이 양측면(1a,1b)에 걸려지도록 맞닿으며, 상기 완충부재들(31,32)에 의해 상기 접촉 롤러들(21,22)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완충 백들(41,42,43,44)은 쉽핑 박스(1)의 양측면 상부에 단차진 부분 즉, 쉽핑 박스(1)의 커버 양측면(1c,1d)에 걸려지도록 맞닿으며, 상기 완충 백들(41,42,43,44) 역시 소정의 탄성을 지닌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의 쉽핑 박스(1)가 섞여 있더라도 본 발명의 쉽핑 박스 이송장치는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에 의해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쉽핑 박스(1)가 상기 접촉 롤러들(21,22)과 완충 백들(41,42,43,44)에 의해 클램핑되면,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암들(11,12)이 움직이고, 쉽핑 박스(1)가 정해진 장소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접촉 롤러들(21,22)과 네 개의 완충 백들(41,42,43,44)은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에 수직하게 접촉하도록 클램핑하기 때문에 쉽핑 박스(1)의 양측면(1a,1b,1c,1d)에서 전체 여섯 부분을 통하여 클램핑력이 분산됨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림, 넘어짐, 탈거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클램핑이 가능할 뿐 아니라 쉽핑 박스(1)를 감싸고 있는 포장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12 : 암 21,22 : 접촉 롤러
31,32 : 완충부재 41,42,43,44 : 완충 백
51,52,53,54 : 위치결정부재

Claims (10)

  1.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들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완충 백;을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롤러들은 상기 쉽핑 박스의 단차진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완충 백들은 상기 쉽핑 박스의 단차진 상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은 코일 스프링인 쉽핑 박스 이송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암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될수록 상기 탄성 접촉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7.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적어도 네 부분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을 더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암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로부터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향하여 회전될수록 상기 탄성 접촉부들이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탄성 지지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10. 쉽핑 박스를 잡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암;
    상기 암들의 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롤러;
    상기 접촉 롤러들을 상기 암들에 쉽핑 박스의 양측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
    상기 암들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완충 백; 및
    상기 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쉽핑 박스의 전후면을 적어도 네 부분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쉽핑 박스 이송장치.
KR1020110118099A 2011-11-14 2011-11-14 쉽핑 박스 이송장치 KR10134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99A KR101343235B1 (ko) 2011-11-14 2011-11-14 쉽핑 박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99A KR101343235B1 (ko) 2011-11-14 2011-11-14 쉽핑 박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82A KR20130053482A (ko) 2013-05-24
KR101343235B1 true KR101343235B1 (ko) 2013-12-18

Family

ID=4866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99A KR101343235B1 (ko) 2011-11-14 2011-11-14 쉽핑 박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43A (ko) * 2020-01-15 2021-07-23 세메스 주식회사 반송 유닛 및 척킹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430A (ja) * 2003-06-06 2004-12-24 Murata Mach Ltd 移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430A (ja) * 2003-06-06 2004-12-24 Murata Mach Ltd 移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82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192B1 (ko) 식품의 투입 장치
US9243738B2 (en) Overturning machine and workbench thereof
KR102008201B1 (ko) Fosb 언패킹 시스템 및 방법
JP2005527446A5 (ko)
KR101343235B1 (ko) 쉽핑 박스 이송장치
US9759484B2 (en) Centrifugal moisture removal device
KR101511731B1 (ko) 웨이퍼 운반장치
JP2009200247A (ja) 梱包方法および梱包装置
KR102594507B1 (ko) 트레이 이송 장치
KR100931327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의 트레이 회전장치
JPH10502602A (ja) ウェーハ用コンベヤカセット
KR102105616B1 (ko)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JP5751550B2 (ja) 果実の容器詰め装置及び果実搬送機構
JP3148508U (ja) ワゴン用被搬送物の保持装置
KR20080014779A (ko) 기판 반송 장치
KR102428369B1 (ko) 기판 이송 시스템
JP5527463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
KR101430665B1 (ko) Led 이송장치
CN204946880U (zh) 一种平面基板装卸转存装置
JP2010005731A (ja) 物品保持装置
JP2013043730A (ja) 柔軟変形物を含む物品の立て掛け装置及び立て掛け方法
CN113232032A (zh) 用于移动晶片载具及包装材的机械夹爪及其操作方法
JP6401099B2 (ja) 容器取出し装置
JP2011020818A (ja) カセット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KR102154304B1 (ko) 기판수납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