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386B1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2386B1 KR101342386B1 KR1020120023056A KR20120023056A KR101342386B1 KR 101342386 B1 KR101342386 B1 KR 101342386B1 KR 1020120023056 A KR1020120023056 A KR 1020120023056A KR 20120023056 A KR20120023056 A KR 20120023056A KR 101342386 B1 KR101342386 B1 KR 101342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assembly
- main body
- vacuum cleaner
- coupling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4—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height adjustment of nozzles or dust-loose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지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본체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킨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먼지 및 이물 등의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진공 청소기의 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집진통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의 상부에 본체가 안착되는 관계로 상기 집진통 등이 장착된 본체의 하중 압력을 상기 흡입 노즐이 모두 받게 된다. 따라서, 청소 수행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조향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상기 본체의 새로운 지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체를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탄하지 않은 피청소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지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 전방에 구비되는 흡입노즐;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양측에서의 회전 각도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양측에서의 회전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체를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세 개의 지점에서 나누어서 지지하기 때문에 본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레그 어셈블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좌우가 서로 경사진 피청소면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1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1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2)이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 노즐(30)과, 청소 수행시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손잡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흡입 노즐(3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손잡이(1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10)는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는 동작과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집진통(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통(12)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필터링하는 먼지 분리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 노즐(3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2)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통(1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에 의하여 필터링 되어 상기 집진통(12)의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통(12)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집진통(12)의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12)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진통(12)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통(12)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입 노즐(3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상기 흡입 노즐(3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 노즐(3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슬릿(slit) 형상의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에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 모터(미도시)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이 전달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한 핸디 청소기(100)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핸디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 즉 계단 등의 구간을 청소할 때에 상기 본체(10)로부터 탈거시켜서, 청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핸디 청소기(100)는 상기 본체(10)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공간에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핸디 청소기(100)가 없는 구성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본체(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흡입 노즐(30)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세 개의 지점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하중은 세 개의 지점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를 보다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노즐(30)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좌측,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분산해서 지지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본체(1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도록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특히 피청소면이 다양한 굴곡을 가지거나, 좌우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피청소면에서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각각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2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결합부(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회전 방향이 위의 예와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수용되어 설치가능하도록 양측에 함몰부(18)를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18)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함몰부(18)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전체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관은 보다 슬림해지기 때문에, 외관은 보다 미려해지고, 사용자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조향 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18)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면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회전 즉,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는 상기 함몰부(18)의 형상의 범위로 한정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또는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또는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일측이 상기 함몰부(18)에 접촉하게 되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두 개의 상기 함몰부(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상기 함몰부(18)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본체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면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우선 제1레그 어셈블리(50a)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2), 상기 하우징(52)을 상기 결합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편(54),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회동가능한 회전 부재(60)가 결합되는 제2결합편(56)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2)은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구성요소가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요소를 둘러싼다. 특히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하우징(52)의 외관만 노출되어서 사용자가 내부 구성요소에 쉽게 접근하지 못해서, 사용자의 접근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52)은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면(5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52)은 수직하게 이루어진 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기 상부면(52a)에 의해서 상측이 감싸진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면이 상기 상부면(52a)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면을 통해서 부품들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52a)은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함몰부(18)의 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상부면(52a)과 상기 함몰부(18)의 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상부면(52a), 즉 상기 하우징(52)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면(52a)에 의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회전 정도, 즉 기울어진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편(54)은 상기 하우징(52)의 일단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편(56)은 상기 하우징(52)의 타단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결합편(54)과 상기 제2결합편(56)은 상기 하우징(52)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1결합편(54)과 상기 제2결합편(56)에 접근하지 어려워, 결합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결합편(54)과 상기 제2결합편(56)은 서로 이격된 회전 중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편(54)은 상기 결합부(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60)는 상기 제2결합편(56)에 결합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결합편(54)의 회전축과 상기 제2결합편(56)의 회전축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편(54)에서 상기 하우징(52)이 회전되는 지와 무관하게 상기 제2결합편(56)에서 상기 회전 부재(6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60)는 원형을 이루는 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편(56)에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 부재(60)가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면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부재(60)는 피청소면과 항상 수직하게 접촉하지는 않고, 때로는 상기 회전 부재(60)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회전 부재(60)와 피청소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서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회전이 서로 상대적으로 제약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과도하게 서로 다르게 회전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연결하는 연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제약받지 않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 따라 위치가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운동 범위를 상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부(70)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부(7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80)를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20)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링크(80)와 상기 연결부(70)를 통해서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80)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서, 상기 연결부(70)가 상기 결합부(20)에 인접한 위치, 즉 상기 본체(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운동시키는 구조, 즉 상기 연결부(70)가 상기 본체(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후방 측에는 서로 이격된 공간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장애물에 방해를 받지 않고, 청소기의 조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70)에는 구 형상으로 제1돌출편(72)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80)에는 상기 제1돌출편(72)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8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편(72)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수용홈(82)의 내부에서 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의 경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돌출편(72)이 상기 링크(80)에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홈(82)이 상기 연결부(7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돌출편(72)은 상기 연결부(7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수용홈(82)은 상기 제1돌출편(72)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2)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돌출편(74)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80)에는 상기 제2돌출편(74)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편(74)과 상기 제2수용홈(84)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52)과 상기 링크(8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80)에는 상기 제1수용홈(82)과 상기 제2수용홈(84)을 연결하는 연결 마디(8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마디(86)는 상기 제1수용홈(82) 및 상기 제2수용홈(84)이 형성된 부분 보다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마디(86)의 두께는 상기 연결 마디(86)의 무게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상기 연결 마디(86)의 양단, 즉 상기 제1수용홈(82)과 상기 제2수용홈(84)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제1수용홈(82)과 상기 제2수용홈(84)에 의한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두께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반면에 상기 연결 마디(86)는 상기 제1수용홈(82) 및 상기 제2수용홈(84)과 같이 홈이 파져 있는 형상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링크(80)의 전체적인 두께나 폭은 상기 제1수용홈(82) 및 상기 제2수용홈(84)이 배치되는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고, 상기 연결 마디(86)에서는 상대적으로 얇아지도록 해서, 상기 링크(80)의 하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하중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작은 힘으로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마디(86)는 소정 길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제1수용홈(82)과 상기 제2수용홈(84)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하우징(52)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편(72)과 상기 제2돌출편(74)은 상기 링크(80)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링크(80)를 중심으로 상기 제1돌출편(72)과 상기 제2돌출편(74)이 서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수용홈(82) 및 상기 제2수용홈(84)의 함몰된 방향은 상기 링크(80)에 대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82) 및 상기 제2수용홈(84)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80)의 무게는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가중되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 대해서도 상술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배치와 형태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에 대칭을 이룬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 대해서는 상술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반영된다.
도 4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를 상부에서 바라보면 상기 하우징(52)의 상부면(52a)이 상기 제1결합편(54), 상기 제2결합편(56), 상기 링크(80) 등의 구성요소가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싼다. 다만 상기 회전 부재(60)의 일부는 도 4와 같이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도 5는 도 1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를 하부에서 바라보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상기 연결부(7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링크(80)에서는 상기 제1돌출편(72)과 상기 제2돌출편(74)이 양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제1수용홈(82)과 상기 제2수용홈(84)에 각각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에서 동일하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연결부(7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5에서는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연결부(70)에 가려져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상기 흡입 노즐(30)을 피청소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청소면을 따라 상기 본체(10)를 이동시켜서, 상기 흡입 노즐(30)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본체(10)를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해서 우측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해서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10)가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기 본체(10)의 좌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본체(10)의 우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결합부(2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우측으로 기울이기 전에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서로 동일한 형태와 위치로 배치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사용자가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부(20)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전되어서,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링크(80)는 각각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회전을 상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링크(80)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링크(80)는 서로 다른 형태로 배치되면서 회동된다.
특히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상기 제1돌출편(72) 및 상기 제2돌출편(74)은 각각 구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회동에 대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70)를 통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서로 연동되기 때문에 서로의 동작에 다른 구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반면 도 6 및 도 7에서와 달리, 상기 본체(1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동되면 도 6 및 도 7에서의 형상과 반대의 구조를 갖도록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링크(80)와 상기 연결부(70)의 배치도 도 6 및 도 7에서의 형태와 반대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변형 형태는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변형 형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는 도 6 및 도 7과는 달리, 상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해서 좌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후방으로만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전방에 위치한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흡입 노즐(30) 및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에 대해서 좌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본체의 하중은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한다. 특히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둘 다 동일하게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의 링크(80)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링크(80)는 서로 동일하게 이동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후방으로 과도하게 기울이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면(52a)이 상기 함몰부(18)의 구비된 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추가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함몰부(18)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기울어지면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구조가 변형된 점에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차이가 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20)의 양단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돌출편(9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편(54)에는 상기 제3돌출편(92)이 수용되는 제3수용홈(94)이 형성된다. 상기 제3돌출편(92)은 상기 제3수용홈(94)에 삽입되어서, 구 형상으로 인해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돌출편(92)은 상기 결합부(2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3수용홈(94)은 상기 제3돌출편(92)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3돌출편(92)도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돌출편(92)으로 인한 하중은 상기 본체(10)의 하중의 일부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하중이 줄어들 수 있어, 조향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3돌출편(92)과 상기 제3수용홈(94)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제1결합편(54)이 상기 결합부(20)에 대해서 상하는 물론 좌우로도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에 따른 자유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피청소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피청소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어, 상기 본체(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결합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결합부(20)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 양측에서의 회전 각도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본체(10)가 좌측 또는 우측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결합부(20)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양측에서의 회전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본체 12: 집진통
20: 결합부 30: 흡입 노즐
50a: 제1레그 어셈블리
50b: 제2레그 어셈블리
70: 연결부 80: 링크
20: 결합부 30: 흡입 노즐
50a: 제1레그 어셈블리
50b: 제2레그 어셈블리
70: 연결부 80: 링크
Claims (20)
-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레그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의 운동 범위가 상대적으로 제한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후방으로만 기울어지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편,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회동가능한 회전 부재가 결합되는 제2결합편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은 서로 이격된 회전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면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제1돌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에는 상기 제1돌출편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은 상기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제1돌출편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돌출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링크에는 상기 제2돌출편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링크에는 상기 제1수용홈과 상기 제2수용홈을 연결하는 연결 마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마디는 상기 제1수용홈 및 상기 제2수용홈이 형성된 부분 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과 상기 제2돌출편은 각각 상기 링크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돌출편이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편에는 상기 제3돌출편이 수용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편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3수용홈은 상기 제3돌출편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하부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가 기울어지면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측에 마련되어,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56A KR101342386B1 (ko) | 2012-03-06 | 2012-03-06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US13/775,668 US9009915B2 (en) | 2012-03-06 | 2013-02-25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56A KR101342386B1 (ko) | 2012-03-06 | 2012-03-06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1931A KR20130101931A (ko) | 2013-09-16 |
KR101342386B1 true KR101342386B1 (ko) | 2013-12-16 |
Family
ID=491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056A KR101342386B1 (ko) | 2012-03-06 | 2012-03-06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009915B2 (ko) |
KR (1) | KR1013423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8458B1 (ko) * | 2014-05-12 | 2020-1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KR102153348B1 (ko) * | 2013-09-05 | 2020-09-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US9254069B2 (en) * | 2013-09-05 | 2016-0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cuum cleaner |
US9357891B1 (en) * | 2015-08-04 | 2016-06-07 | Richard C. Chappel | Cleaning apparatus holder |
CN106983441B (zh) * | 2017-04-28 | 2019-03-12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立式吸尘器 |
CN106983442B (zh) * | 2017-04-28 | 2019-06-28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立式吸尘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0924B1 (ko) * | 2007-10-08 | 2014-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
KR101457430B1 (ko) * | 2008-01-02 | 2014-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
US8656552B2 (en) * | 2010-03-12 | 2014-02-25 |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 Vacuum cleaner with movable wheel |
KR101199397B1 (ko) | 2010-07-06 | 2012-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KR101187077B1 (ko) | 2010-08-09 | 2012-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KR101227517B1 (ko) * | 2011-01-18 | 2013-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2012
- 2012-03-06 KR KR1020120023056A patent/KR1013423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2-25 US US13/775,668 patent/US900991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32725A1 (en) | 2013-09-12 |
US9009915B2 (en) | 2015-04-21 |
KR20130101931A (ko) | 2013-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2386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CN102525351B (zh) | 自主式清洁装置 | |
EP3007603B1 (en) | Vacuum cleaner | |
CN107397506B (zh) | 吸尘器 | |
US20090165242A1 (en) |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 |
KR101187077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JP5686907B2 (ja) | 円筒型真空掃除機 | |
CN102711573A (zh) | 用于表面清洁装置的转向组件 | |
JP5686906B2 (ja) | 円筒型真空掃除機 | |
KR101208556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KR101187078B1 (ko)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
KR101227517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JP2016083310A (ja) | 携帯用掃除機 | |
TWI821709B (zh) | 清掃機器人 | |
KR101186616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US8720003B2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US11006794B2 (en) | Cleaner | |
KR102153348B1 (ko) | 진공 청소기 | |
CN215191299U (zh) | 表面清洁设备 | |
JP2016195632A (ja) | 電気掃除機 | |
TWI821708B (zh) | 清掃機器人 | |
KR100578337B1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
JPH11276389A (ja) | 掃除機 | |
KR101448657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KR100548936B1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