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657B1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657B1
KR101448657B1 KR1020120023057A KR20120023057A KR101448657B1 KR 101448657 B1 KR101448657 B1 KR 101448657B1 KR 1020120023057 A KR1020120023057 A KR 1020120023057A KR 20120023057 A KR20120023057 A KR 20120023057A KR 101448657 B1 KR101448657 B1 KR 10144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opening
closing memb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932A (ko
Inventor
송승현
김효성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 흡입 노즐과 메인 집진통이 구비된 메인 본체; 보조 흡입 노즐과 보조 집진통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본체에 장탈착 가능한 보조 본체;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보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본체 및 상기 보조 본체에는 상기 전원선에서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본체에서 탈거시켜 별도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보조 본체를 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먼지 및 이물 등의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진공 청소기의 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집진통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의 상부에 본체가 안착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계단 등과 같이 협소한 장소를 청소할 때에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이동시키기에 많은 불편이 있다. 따라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본체에서 탈거시켜 별도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보조 본체를 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본체 및 보조 본체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본체의 청결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보조 집진통의 먼지를 비우는데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이용해서 보조 본체는 물론 메인 본체를 조향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흡입 노즐과 메인 집진통이 구비된 메인 본체; 보조 흡입 노즐과 보조 집진통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본체에 장탈착 가능한 보조 본체;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보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본체 및 상기 보조 본체에는 상기 전원선에서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흡입 노즐과 메인 집진통이 구비되는 메인 본체; 보조 흡입 노즐과 보조 집진통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본체의 장착부에 장탈착 가능한 보조 본체;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 본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메인 본체와 상기 보조 본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집진통과 연통되는 연통공; 그리고 상기 보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보조 집진통과 상기 메인 집진통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본체에 비해서 부피와 무게가 작은 보조 본체를 메인 본체로부터 분리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청소를 하는 데에 불편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본체에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보조 본체의 청소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집진통에 취합된 먼지 등의 이물을 메인 집진통으로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 집진통에 먼지 등의 이물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본체의 조향을 위한 별도의 손잡이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보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이용해서 메인 본체를 조향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본체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메인 본체와 보조 본체가 분리된 후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제1개폐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제1개폐 부재, 제2개폐 부재 및 제3개폐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 제3개폐 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메인 집진통(12)이 장착되는 메인 본체(10)와, 상기 메인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메인 흡입 노즐(30)과, 청소 수행시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손잡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본체(10)는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는 상기 메인 본체(1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손잡이(1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메인 본체(10)는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는 동작과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본체(10)의 전면에는 메인 집진통(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 집진통(12)에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필터링하는 먼지 분리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을 통하여 상기 메인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에 의하여 필터링 되어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메인 집진통(12)은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메인 집진통(12)을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메인 집진통(12)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은 상기 메인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슬릿(slit) 형상의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에 상기 메인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 모터(미도시)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이 전달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상기 메인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본체(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메인 본체(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세 개의 지점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본체(10)의 하중은 세 개의 지점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 본체(10)를 보다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은 상기 메인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방 좌측,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본체(10)의 하중을 분산해서 지지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메인 본체(1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도록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특히 피청소면이 다양한 굴곡을 가지거나, 좌우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피청소면에서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각각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메인 본체(10)를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2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수용되어 설치가능하도록 양측에 함몰부(18)를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18)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외관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는 상기 함몰부(18)에 의해서 상기 메인 본체(1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전체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관은 보다 슬림해지기 때문에, 외관은 보다 미려해지고, 사용자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조향 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18)는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면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회전 즉,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는 상기 함몰부(18)의 형상의 범위로 한정된다.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또는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또는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의 일측이 상기 함몰부(18)에 접촉하게 되어서,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 및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두 개의 상기 함몰부(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레그 어셈블리(50a)와 상기 제2레그 어셈블리(50b)가 상기 함몰부(18)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한 보조 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 본체(100)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 즉 계단 등의 구간을 청소할 때에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탈거시켜서, 청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본체(100)는 상기 메인 본체(10)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공간에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본체(100)는 피청소면에 접촉해서 이물을 흡입할 수 있는 보조 흡입 노즐(110)과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로부터 흡입된 이물을 수용하는 보조 집진통(12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본체(100)는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과 상기 보조 집진통(120)을 연결하는 연결관(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130)을 통해서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에서 흡입된 이물은 상기 보조 집진통(120)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보조 본체(100)는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전원선(9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90)의 생략된 일단은 건물의 외벽 등에 연결된 콘센트를 통해서 전기를 상기 보조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선(90)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기는 외부 전원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충전지에 비해서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용해서 청소를 할 때에는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전원선(90)을 통해서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본체(100)를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탈거시켜서,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선(90)은 상기 보조 본체(100)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을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메인 본체와 보조 본체가 분리된 후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메인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본체(100)가 장탈착 가능한 장착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80)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본체(100)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연결 단자(40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40a)는 상기 장착부(8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본체(100)이 상기 메인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장착부(80)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원선(90)에서 공급되는 전기는 상기 연결 단자(40a)를 통해서 상기 메인 본체(1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메인 본체(10)에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에서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본체(10)는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과 상기 메인 집진통(12)을 연결하는 연통관(6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로부터 흡입된 이물은 상기 연통관(60)을 통과해서 상승된 후에, 상기 메인 집진통(12)에 취합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0)은 상기 메인 본체(10)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구성요소로,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연통관(60)은 상기 메인 본체(10)와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0)의 일 측에는 상기 연통관(60)을 상기 메인 본체(10)의 외부에 연통시키는 연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62)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연통공(62)은 상기 장착부(80)에 구비되어서,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장착부(80)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보조 본체(100)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본체(100)는 상기 연결관(130)을 상기 연통공(62)을 통해서 상기 연통관(60)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개폐 부재(1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30)의 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62)에 맞닿는 관통공(1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통공(62)은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42)은 상기 보조 본체(100)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통공(62)과 상기 관통공(142)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 부재(140)는 회동이 가능한 노브(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노브(144)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노브(144)를 회전시켜서 상기 관통공(142)을 개폐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상기 메인 본체(10)에 구비된 연결 단자(40a)에 대응되는 연결 단자(40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40b)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상기 장착부(80)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 본체(100)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장착되면, 두 개의 연결 단자(40a, 40b)는 서로 접촉해서 상기 보조 본체(100)에 전달된 전기가 상기 메인 본체(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본체(10)에 구비된 연결 단자(40a)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후방에 마련된 반면, 상기 보조 본체(100)에 구비된 연결 단자(40b)는 상기 보조 본체(100)의 전방에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면과 달리 상기 두 개의 연결 단자(40a, 40b)는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장착된 경우, 상기 보조 본체(100)와 상기 메인 본체(10)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라도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130)에는 상기 연결관(13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공(14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2)은 전체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노브(1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공(142)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관통공(142)은 상기 제1개폐 부재(14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연통공(6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관(130)과 상기 연통관(60)은 상기 관통공(142) 및 상기 연통공(62)을 통해서 서로 연통이 가능하다.
도 5는 제1개폐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상기 노브(144)의 정면이 도시되는 방향의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후면이 도시된 도면으로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지 않아 상기 관통공(142)이 밀폐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 (c)는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어 상기 관통공(142)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노브(144)는 상기 연결관(130)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노브(144)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142)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노브(144)에는 사용자가 손을 용이하게 파지시켜서, 상기 노브(14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편(145)이 마련된다. 상기 조작편(145)은 전체적으로 '1'자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관통공(142)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5 (c)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14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142)이 개방되었을 때는 상기 연결관(130)의 측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노브(144)가 180도 회전하기 전에는 상기 관통공(142)이 도 5 (b)에서와 같이 폐쇄되다가, 상기 노브(144)가 180도 회전하면 상기 관통공(142)은 상기 도 5 (c)에서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13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됨)는 상기 연결관(130)을 통해서 이동되는 이물의 통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바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브(144) 중 상기 조작편(145)이 마련된 부분은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이고, 상기 관통공(142)에 인접한 부분도 반원 형의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이고,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바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개폐 부재(140)는 상기 관통공(142)을 개폐할 수 있는 구성요소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144)가 상기 관통공(14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걸림턱과 같은 구성을 설치해서, 상기 관통공(142)을 완전히 개방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은 소정의 두께를 갖기 위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1개폐 부재, 제2개폐 부재 및 제3개폐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연결관(130)에는 상기 제1개폐 부재(140)와 연동해서 상기 연결관(130)을 개폐하는 제2개폐 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히 말해서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개폐 부재(150)는 상기 연결관(130)을 개방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개폐 부재(140)는 상기 관통공(142)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상기 제2개폐 부재(150)는 상기 연결관(130)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개폐 부재(150)는 상기 연결관(13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편(15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152)은 전체적으로 중앙에 빈 공간이 형성된 환형(ring-type)을 이루고, 양 단이 상기 연결관(1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편(152)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를 폐쇄하다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편(152)이 회전되면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지지편(1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30)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 상기 지지편(152)의 형상은 상기 연결관(13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어서,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를 충분히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152)의 상단에는 일단이 상기 지지편(152)에 고정된 막(membrane)(15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막(154)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지지편(152)에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막(154)은 상기 지지편(15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편(152)의 내주면에 형성된 구멍 보다 큰 외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막(154)은 상기 지지편(152)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을 관통해서 상기 지지편(152)의 하부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막(154)은 고무와 같은 쉽게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지지편(152)의 하부로 이동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130)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미도시)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편(152)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연결관(130)에 수직하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막(154)이 흡입력에 의해서 상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가 개방되어서, 이물이 상기 연결관(130)을 통해서 수직하게 상승할 수 있다.
반면에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막(154)은 상기 지지편(152)의 상단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는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수용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이 상기 보조 집진통(120)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에는 상기 연동 부재(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동 부재(147)의 일단은 상기 몸체(146)에 결합되고, 상기 연동 부재(147)의 타단은 상기 지지편(15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연동 부재(147)는 상측은 상기 지지편(152)과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 사이의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와이어(147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 부재(147)의 하측, 즉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에 인접한 부위는 상기 와이어(147a)에 연결된 코일(14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47a)는 일정한 거리를 가질 수 있는 뻣뻣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코일(147b)은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면 상기 몸체(146)에 감기는 변형이 이루어졌다가, 상기 노브(14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시 감기는 변형이 풀리면서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연동 부재(147)를 와이어(147a) 없이 코일(147b)로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연동 부재(147)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편(152)이 상기 연결관(130)을 폐쇄하도록 회전시킬 때에 상기 코일(147b)이 휘어지는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편(152)을 충분히 회전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동 부재(147)를 코일(147b), 즉 코일 스프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 부재(147)의 전체 길이를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60)에는 상기 노브(144)와 연동해서 상기 연통관(60)을 개폐하는 제3개폐 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 부재(160)는 상기 연통관(60)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브(1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관(60)을 개방하거나 상기 연통관(60)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0)이 폐쇄되는 것은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과 상기 메인 집진통(12)의 사이의 경로가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개폐 부재(140), 상기 제2개폐 부재(150) 및 상기 제3개폐 부재(160)가 함께 설치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제3개폐 부재(160)를 생략하고 상기 제1개폐 부재(140)와 상기 제2개폐 부재(150)만이 적용되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개폐 부재(160)를 생략한 경우에는 상기 연통관(60)을 개폐하는 기능을 생략할 뿐, 상기 제1개폐 부재(140) 및 상기 제2개폐 부재(150)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은 당연히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 부재(160)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도 6은 상기 연통관(60)이 상기 제3개폐 부재(160)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이고, 도 7은 상기 연통관(60)이 상기 제3개폐 부재(16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 제3개폐 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3개폐 부재(160)는 상기 연통관(60)에 고정되어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편(162)과 상기 노브(144)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편(166)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편(166)은 상기 연통관(60)에 고정된 축(164)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상기 노브(144)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고정편(162)과 상기 이동편(166)이 겹쳐져서, 상기 이동편(166)이 위치한 구간의 유로는 개방된다. 반면 상기 노브(144)가 회전된 상태에는 상기 이동편(166)이 상기 축(16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한다. 이때 상기 이동편(166)과 상기 고정편(162)이 펼쳐진 상태에는 상기 연통관(60)의 내주면과 대응되어, 상기 연통관(60)의 유로가 충분히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편(166)과 상기 고정편(162)이 상하로 겹쳐진 도면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이고, 상기 이동편(166)과 상기 고정편(162)이 일렬로 펼쳐진 도면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상기 제1개폐 부재(140), 상기 제2개폐 부재(150) 및 상기 제3개폐 부재(16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용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제1개폐 부재(140)가 상기 관통공(142)을 폐쇄하도록 상기 노브(144)를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을 통해서 흡입된 이물은 상기 연통관(60)을 통해서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 축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1개폐 부재(140)가 상기 관통공(142)을 폐쇄하도록 상기 노브(144)를 조작한다. 상기 관통공(142)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을 통해서 이물이 흡입되면, 상기 관통공(142)을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보조 본체(100)에 설치된 모터가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지지편(152)은 상기 연결관(130)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막(154)이 상기 보조 집진통(120)을 향해서 휘어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관(130)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을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상기 보조 집진통(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모여진 이물을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 취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보조 본체(100)와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용해서 청소를 한 후에, 상기 보조 본체(100)의 상기 보조 집진통(120)과 상기 메인 본체(10)의 상기 메인 집진통(12)을 각각 탈거해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취합된 이물을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 모아서, 상기 메인 집진통(12)만을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취합된 이물을 정기적으로 상기 메인 집진통(12)에 수거하면, 상기 보조 집진통(120)의 청결도가 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노브(144)를 회전킨다. 이때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에 연결된 상기 연동 부재(147)가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를 따라 함께 운동한다. 특히 상기 코일(147b)은 상기 노브(144)의 몸체(146)를 따라 감기기 때문에, 상기 연동 부재(147)가 전체적으로 상기 노브(144)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지편(152)도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30)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이동편(166)은 상기 노브(144)의 회전을 따라 180도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편(162)과 일직선상에 위치해서, 상기 연통관(60)을 폐쇄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 본체(10)에 구비된 흡입 모터(미도시)를 구동해서,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수거된 이물을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에 연결된 상기 연통관(60)을 상기 제3개폐 부재(160)에 의해서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 집진통(120)으로부터 이물을 효율적으로 취합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를 구동하더라도 흡입력이 상기 메인 흡입 노즐(30)로 분산되지 않아, 상기 보조 집진통(120)으로부터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의 흡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본체(100)에 마련된 모터가 흡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모터가 배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상기 메인 본체(10)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보조 본체(100)에 마련된 모터를 구동시켜서 상기 보조 집진통(120)에 수거된 이물을 상기 메인 집진통(1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집진통(12)에서 상기 보조 집진통(120)의 이물을 충분히 수거한 이후에는 상기 노브(144)를 원상태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개폐 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142)은 폐쇄되고, 상기 제2개폐 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연결관(130)도 폐쇄되는 반면에, 상기 제3개폐 부재(160)에 의해서 상기 연통관(60)은 개방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 전원선(90)이 상기 보조 본체(100)가 아닌 상기 메인 본체(10)에 마련된다는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다.
특히 상기 메인 본체(10)와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상기 전원선(90)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메인 본체(10)에서 상기 보조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단자(40a, 40b)가 마련된다. 도 9에는 상기 연결 단자(40a, 40b)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 단자(40a, 40b)의 위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충전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선(90)이 외부 전원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미도시)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의 연결 단자(40a)로부터 접촉이 해지되더라도,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상기 충전지에 의해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을 통해서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본체(10)에는 상기 메인 본체(10)를 조향하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보조 본체(100)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보조 본체(100)는 물론 상기 메인 본체(10)를 조향하는 데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본체(100)가 상기 메인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메인 본체(10)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본체(10)의 높이보다는 사용자의 손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본체(10)를 조향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메인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보조 본체(100)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파지편(210)과, 상기 제1파지편(210)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제2파지편(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파지편(210)은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면으로, 사용자가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해 청소를 할 때에 손을 파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파지편(210)은 상기 보조 흡입 노즐(110)과 상기 연결관(130)에 대해서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해서 청소가 수행될 때에는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용해서 청소가 수행될 때의 청소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메인 본체(10)를 이용해서 청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본체(10)를 기울이기 때문에, 상기 제1파지편(210)을 이용해서 상기 메인 본체(10)를 조향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메인 본체(10)를 조향하기 위한 상기 제2파지편(220)이 추가된다.
특히 상기 제1파지편(210)과 상기 제2파지편(220)은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메인 본체(10)를 후방으로 기울인 상태에는 상기 제2파지편(220)이 사용자에게 전체적으로 수직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파지편(220)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을 파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본체(100)를 이용해서 청소를 하기 위해서 상기 제2파지편(220)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메인 본체 30: 메인 흡입 노즐
60: 연통관 62: 연통공
100: 보조 본체 110: 보조 흡입 노즐
130: 연결관 140: 제1개폐 부재
150: 제2개폐 부재 160: 제3개폐 부재
200: 손잡이부

Claims (21)

  1. 메인 흡입 노즐과 메인 집진통이 구비된 메인 본체;
    보조 흡입 노즐과 보조 집진통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본체에 장탈착 가능한 보조 본체;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보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본체 및 상기 보조 본체에는 전기적으로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 단자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 본체는 상기 보조 흡입 노즐과 상기 보조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흡입 노즐과 상기 메인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통관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관통공을 상기 연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개폐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상기 보조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상기 메인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본체에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회전에 의해 개폐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통공을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제1개폐 부재와 연동해서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제2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 부재는 상기 제1개폐 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면 상기 연결관을 개방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 접하고,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 부재는 상기 지지편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편의 내주면보다 큰 외관을 갖는 막을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보조 집진통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집진통에서 상기 막을 변형시킬 정도의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막은 상기 연결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에는 상기 제1개폐 부재와 연동해서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는 제3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 부재는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는 이동편을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면, 상기 이동편은 상기 연통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본체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메인 본체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보조 본체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파지편,
    상기 제1파지편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제2파지편을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편과 상기 제2파지편은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1. 삭제
KR1020120023057A 2012-03-06 2012-03-06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44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57A KR101448657B1 (ko) 2012-03-06 2012-03-06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57A KR101448657B1 (ko) 2012-03-06 2012-03-06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32A KR20130101932A (ko) 2013-09-16
KR101448657B1 true KR101448657B1 (ko) 2014-10-08

Family

ID=4945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057A KR101448657B1 (ko) 2012-03-06 2012-03-06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931B1 (ko) * 1996-08-31 1999-06-15 전주범 막대형 진공청소기의 분리버튼 조립구조
KR200331794Y1 (ko) 2003-07-24 2003-11-01 주식회사 우남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JP2007181652A (ja) * 2006-01-06 2007-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ロボット掃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931B1 (ko) * 1996-08-31 1999-06-15 전주범 막대형 진공청소기의 분리버튼 조립구조
KR200331794Y1 (ko) 2003-07-24 2003-11-01 주식회사 우남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JP2007181652A (ja) * 2006-01-06 2007-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ロボット掃除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32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001B2 (en) Vacuum cleaner
CN107072452B (zh) 真空吸尘器以及从真空吸尘器中移除电池的方法
KR20230121703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EP2392244B1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KR100730955B1 (ko) 진공 청소기
JP2016511671A (ja)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US20070226947A1 (en) Vacuum cleaner with an integrated handheld vacuum cleaner unit
EP1629758A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US20080172821A1 (en) Vacuum cleaner
KR20160015237A (ko) 핸드헬드 진공청소기 및 연장가능한 호스
KR102376142B1 (ko) 진공 청소기
KR20110132196A (ko)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KR20100039982A (ko) 진공 청소기
KR101208980B1 (ko) 분리형 로봇 청소기
KR100762323B1 (ko)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GB2550041A (en) Staubsauger
KR1014486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N209847061U (zh) 机器人吸尘器
JP6628511B2 (ja) 電気掃除装置
JP2022183353A (ja) 掃除機システム
JP2014023859A (ja) 電気掃除機
KR20220115253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2201586A1 (ja) 掃除システム
WO2019026882A1 (ja) 電気掃除機
JP3726734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