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42B1 -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42B1
KR101342142B1 KR1020120063296A KR20120063296A KR101342142B1 KR 101342142 B1 KR101342142 B1 KR 101342142B1 KR 1020120063296 A KR1020120063296 A KR 1020120063296A KR 20120063296 A KR20120063296 A KR 20120063296A KR 101342142 B1 KR101342142 B1 KR 10134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coating
coating liquid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2006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을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고정된 고정지그유닛에서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도포유닛; 을 포함하고, 도포유닛은, 코팅액이 배출되는 노즐부; 노즐부로 코팅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공급부; 노즐부를 3차원으로 이동시키는 3차원구동부; 가압력을 단속하거나 3차원구동부의 동작을 단속하는 도포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COATING SOLUTION SPREADING DEVICE AND SPREADING METHOD OF 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위치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정량의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단자는 전선의 단부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커넥터 등에 삽입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예로, 터미널 단자는 차량 등에 설치한 후 전선이 고정되는 전선 지지부 또는 전선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전선과 통전되는 전선 접속부에 산화부식이 발생하여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2680호 (2011. 04. 27. 공개, 발명의 명칭 : 터미널단자)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위치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정량의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을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고정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도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상기 코팅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공급부; 상기 노즐부를 3차원으로 이동시키는 3차원구동부; 및 상기 가압력을 단속하거나 상기 3차원구동부의 동작을 단속하는 도포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구동부는,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x축구동부;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승강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y축구동부; 및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이송 방향과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승강 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z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전선 접속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제어부는, 상기 전선 측의 상기 전선 접속부 단부에 상기 노즐부가 정체될 때,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을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고정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도포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코팅액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하강시키는 도포준비단계; 하강된 상기 노즐부를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단계; 상기 배출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노즐부를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전선 접속부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키는 처리이동단계; 및 상기 처리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노즐부를 상기 도포준비단계에서 하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복귀단계를 거침에 따라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귀단계를 거친 상기 노즐부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 상기 터미널 단자에 대응하여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모두 도포된 경우, 상기 복귀단계를 거친 상기 노즐부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액은, 상기 배출이동단계에서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노즐부가 정체되는 1차정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액은, 상기 1차정체단계에서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전선 접속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노즐부가 정체되는 2차정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은 정위치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정량의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액의 도포 품질 산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 단자의 정위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정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정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도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도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검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검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지그유닛의 위치에 따른 회수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터미널 단자(20)는 전선(10)의 단부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커넥터 등에 삽입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일예로, 전선(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터미널 단자(2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단자(20)는 주석 또는 금으로 도금됨으로써,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20)는 전선 지지부(21)와, 전선 접속부(22)와, 바렐부(23)를 포함한다.
전선 지지부(21)는 전선(10)의 단부를 감쌈으로써, 전선(10)의 단부에 터미널 단자(20)가 고정되도록 한다.
전선 접속부(22)는 전선 지지부(21)에서 연장 형성되고, 전선(1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선 접속부(22)에는 클립부(22a)가 구비됨으로써, 전선(10)과의 통전을 용이하게 한다.
바렐부(23)는 전선 접속부(22)에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 등에 삽입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전선 접속부(22)에 발생되는 산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팅액은 28000CPS 내지 38000CPS 의 점도를 나타내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30)은 터미널 단자(2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유닛(30)은 전선(10)의 단부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터미널 단자(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나란하게 정렬할 수 있다.
고정지그유닛(30)은 하부플레이트(40)와, 단자블럭(50)과, 카트리지(60)를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40)는 고정지그유닛(30)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단자블럭(50)과 카트리지(60)가 장착되도록 한다.
하부플레이트(40)에는 제1고정부(41)가 구비되어 단자블럭(5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40)에는 제2고정부(42)가 구비되어 카트리지(6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60)는 하부플레이트(40)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플레이트(40)에는 유동방지부(43)가 구비되어 단자블럭(50)이 하부플레이트(4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방지부(43)를 통해 단자블럭(50)을 하부플레이트(4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는 하부플레이트(40)에 돌출 형성되어 각각 단자블럭(50)과 카트리지(60)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는 하부플레이트(4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단자블럭(50)은 하부플레이트(40) 상에 구비되고, 터미널 단자(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나란하게 정렬한다.
단자블럭(50)에는 터미널 단자(2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삽입부(51)가 구비된다. 삽입부(51)에는 터미널 단자(20)의 바렐부(23)가 삽입 안착되도록 삽입홈부(52)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단자블럭(50)에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터미널 단자(20)에 연결된 전선(10)이 안착 지지되는 전선 안착부(53)가 구비된다. 전선 안착부(53)에는 전선(10)이 삽입 지지되는 안착홈부(54)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전선 안착부(53)는 단자블럭(5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삽입부(51)에 안착된 터미널 단자(20)를 나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전선 안착부(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블럭(50)에서 터미널 단자(2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일직선을 나타내는 가장자리 단부가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지지부(21)의 단부에 접촉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전선 안착부(53)의 가장자리 단부가 전선 지지부(21)의 단부를 일직선으로 정렬함으로써, 터미널 단자(20)를 나란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단자블럭(50)에는 삽입부(51)의 삽입홈부(52)에서 터미널 단자(20)의 바렐부(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개부(55)가 구비된다.
덮개부(55)는 회동축부(56)에 의해 삽입부(51) 또는 단자블럭(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삽입부(51)의 삽입홈부(52) 상측을 개폐할 수 있고, 터미널 단자(20)를 정렬할 때, 삽입홈부(52) 내에서 바렐부(23)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홈부(52)의 상측을 개폐함에 따라 삽입홈부(52)에 안착된 바렐부(23)의 안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삽입홈부(52)에 삽입된 바렐부(23)를 1차로 정렬할 수 있으며, 삽입홈부(52)에 바렐부(23)를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카트리지(60)는 터미널 단자(20)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전선(10)을 상호 이격 고정시킨다.
카트리지(60)는 단자블럭(50)에서 이격되어 하부플레이트(40)에 구비된다. 카트리지(60)는 하부플레이트(40)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60)는 작업자가 탈부착하거나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60)는 바디부(61)와, 전선 고정부(63)를 포함한다.
바디부(61)는 단자블럭(50)에 인접하여 하부플레이트(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부(61)의 양단부에는 하부플레이트(40)에서 분리된 카트리지(60)를 별도로 구비된 걸이부재(미도시)에 걸림 결합되도록 홈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전선 고정부(63)는 바디부(61)에 구비되어 전선(10)을 상호 이격 고정시킨다. 전선 고정부(63)는 바디부(61)에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전선 고정부(63)는 고정축부(64)와, 고정홈부(66)를 포함한다.
고정축부(64)는 터미널 단자(20)가 정렬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디부(61)에 고정된다. 고정축부(64)는 바디부(61)에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부(66)는 고정축부(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함몰 형성된다. 고정홈부(66)에는 전선(10)이 삽입 안착된다. 터미널 단자(20)에 연결된 전선(10)은 고정홈부(66)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부(66)는 단자블럭(50)의 삽입부(51)에 형성된 삽입홈부(5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선 고정부(63)는 스프링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68)는 고정축부(64)에 결합되어 고정홈부(66)에 안착되는 전선(10)을 탄성 고정시킨다. 스프링부(68)는 고정축부(64)에 권취 고정되어 고정홈부(66)에 안착되는 전선(10)을 탄성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61)와 전선 고정부(63) 사이에는 간격부(69)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부(69)는 스프링부(68)가 고정축부(64)에 결합될 때, 스프링부(68)가 바디부(61) 또는 전선 고정부(6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부(68)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안정되게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이송유닛(100)과, 고정유닛(200)과, 도포유닛(300)을 포함한다.
이송유닛(100)은 터미널 단자(20)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시킨다. 이송유닛(100)은 제1회전부(110)와, 제1벨트부(120)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11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1벨트부(120)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1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시킨다.
고정유닛(200)은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킨다. 고정유닛(200)은 정렬용 고정유닛(201)과, 도포용 고정유닛(202)과, 검사용 고정유닛(2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렬용 고정유닛(201)은 고정지그유닛(30)에 터미널 단자(20)를 정렬하기 위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킨다.
정렬용 고정유닛(201)은 정렬용 정지유닛(210)과, 정렬용 지지유닛(220)을 포함한다.
정렬용 정지유닛(21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정렬용 정지유닛(210)은 정렬용 정지부(211)와, 정렬용 정지구동부(212)와,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를 포함한다.
정렬용 정지부(211)는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정렬용 정지구동부(212)는 정렬용 정지부(21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용 정지구동부(212)는 정렬용 정지부(211)를 승강시킨다.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한다.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는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를 지나가는 경우,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는 정렬용 정지구동부(21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용 정지감지부(21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정지구동부(212)가 동작됨에 따라 정렬용 정지부(21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정렬용 지지유닛(220)은 정렬용 정지유닛(21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용 지지유닛(220)은 고정지그유닛(30)을 승강시킴으로써, 이송유닛(100)에서 고정지그유닛(30)이 이격되도록 한다.
정렬용 지지유닛(220)은 정렬용 지지부(221)와, 정렬용 지지구동부(222)와,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를 포함한다.
정렬용 지지부(221)는 정렬용 정지부(211)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용 지지부(221)는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의 하측에 이격 구비된다.
정렬용 지지구동부(222)는 정렬용 지지부(22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용 지지구동부(222)는 정렬용 지지부(221)를 승강시킨다.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정지 여부를 감지한다.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는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와 정렬용 정지감지부(213)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는 정렬용 정지감지부(213)에 인접하여 정렬용 정지부(211)를 향해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정렬용 지지감지부(223)가 정렬용 정지유닛(21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는 정렬용 지지구동부(2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용 지지감지부(22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지지구동부(222)가 동작됨에 따라 정렬용 지지부(22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포용 고정유닛(202)은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킨다.
도포용 고정유닛(202)은 도포용 정지유닛(230)과, 도포용 지지유닛(240)을 포함한다.
도포용 정지유닛(23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도포용 정지유닛(230)은 도포용 정지부(231)와, 도포용 정지구동부(232)와,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를 포함한다.
도포용 정지부(231)는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도포용 정지구동부(232)는 도포용 정지부(23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용 정지구동부(232)는 도포용 정지부(231)를 승강시킨다.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한다.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는 정렬용 정지감지부(213)에서 이격되고,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를 지나가는 경우,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는 도포용 정지구동부(23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용 정지감지부(23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정지구동부(232)가 동작됨에 따라 도포용 정지부(231)를 왕복 이동시켜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또한, 도포용 정지유닛(230)이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키면, 도포유닛(300)이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하도록 고정지그유닛(30)은 도포유닛(300)의 하측에 정위치된다.
도포용 지지유닛(240)은 도포용 정지유닛(23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용 지지유닛(240)은 고정지그유닛(30)을 승강시킴으로써, 이송유닛(100)에서 고정지그유닛(30)이 이격되도록 한다.
도포용 지지유닛(240)은 도포용 지지부(241)와, 도포용 지지구동부(242)와,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를 포함한다.
도포용 지지부(241)는 도포용 정지부(231)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용 지지부(241)는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의 하측에 이격 구비된다.
도포용 지지구동부(242)는 도포용 지지부(24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용 지지구동부(242)는 도포용 지지부(241)를 승강시킨다.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정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는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와 도포용 정지감지부(233)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는 도포용 정지감지부(233)에 인접하여 도포용 정지부(231)를 향해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도포용 지지감지부(243)가 도포용 정지유닛(23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는 도포용 지지구동부(2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용 지지감지부(24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지지구동부(242)가 동작됨에 따라 도포용 지지부(24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포용 지지유닛(24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된 고정지그유닛(30)은 도포유닛(300)의 하측에서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검사용 고정유닛(203)은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킨다.
한편, 검사용 고정유닛(203)은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경화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검사용 고정유닛(203)은 검사용 정지유닛(250)과, 검사용 지지유닛(260)을 포함한다.
검사용 정지유닛(25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검사용 정지유닛(250)은 검사용 정지부(251)와, 검사용 정지구동부(252)와,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를 포함한다.
검사용 정지부(251)는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검사용 정지구동부(252)는 검사용 정지부(25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사용 정지구동부(252)는 검사용 정지부(251)를 승강시킨다.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한다.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는 도포용 정지감지부(233)에서 이격되고,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를 지나가는 경우,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는 검사용 정지구동부(25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용 정지감지부(25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정지구동부(252)가 동작됨에 따라 검사용 정지부(251)를 왕복 이동시켜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또한, 검사용 정지유닛(250)이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키면, 검사유닛(400)이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도록 고정지그유닛(30)은 검사유닛(400)의 하측에 정위치된다.
검사용 지지유닛(260)은 검사용 정지유닛(25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사용 지지유닛(260)은 고정지그유닛(30)을 승강시킴으로써, 이송유닛(100)에서 고정지그유닛(30)이 이격되도록 한다.
검사용 지지유닛(260)은 검사용 지지부(261)와, 검사용 지지구동부(262)와,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를 포함한다.
검사용 지지부(261)는 검사용 정지부(251)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사용 지지부(261)는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의 하측에 이격 구비된다.
검사용 지지구동부(262)는 검사용 지지부(261)를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사용 지지구동부(262)는 검사용 지지부(261)를 승강시킨다.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의 정지 여부를 감지한다.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는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와 검사용 정지감지부(253)에 인접하여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는 검사용 정지감지부(253)에 인접하여 검사용 정지부(251)를 향해 이송유닛(100)에 구비된다.
검사용 지지감지부(263)가 검사용 정지유닛(25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는 검사용 지지구동부(26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용 지지감지부(26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지지구동부(262)가 동작됨에 따라 검사용 지지부(26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검사용 지지유닛(26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된 고정지그유닛(30)은 검사유닛(400)의 하측에서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포유닛(300)은 고정유닛(200)에 의해 지지 고정된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도포유닛(300)은 고정유닛(200) 중 도포용 고정유닛(202)에 의해 고정지그유닛(30)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고정되는 경우,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도포유닛(300)은 노즐부(310)와, 공급부(320)와, 3차원구동부(301)와, 도포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노즐부(310)에서는 코팅액이 배출된다. 코팅액이 배출되는 노즐부(310)의 내부 직경 또는 노즐부(3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노즐부(310)를 적용할 수 있다.
공급부(320)는 노즐부(310)로 코팅액을 배출시키기 위해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공급부(320)는 내부에 코팅액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코팅액은 노즐부(310)에 연결된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부(320)는 내부에 코팅액이 저장된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공급부(3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 등과 같은 가압력이 발생됨으로써, 가압력에 따라 코팅액이 노즐부(3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3차원구동부(301)는 노즐부(310)를 3차원으로 이동시킨다.
3차원구동부(301)는 x축구동부(330)와, y축구동부(340)와, z축구동부(350)를 포함한다.
x축구동부(330)는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방향에서 노즐부(310)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y축구동부(340)는 고정지그유닛(30)의 승강 방향에서 노즐부(310)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z축구동부(350)는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방향과 고정지그유닛(30)의 승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노즐부(310)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x축구동부(330) 또는 y축구동부(340) 또는 z축구동부(350)의 구동메카니즘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노즐부(31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x축구동부(330)와 y축구동부(340)와 z축구동부(350) 상호 간의 결합 구조를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노즐부(310)를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방향과, 고정지그유닛(30)의 승강 방향과, 고정지그유닛(30)의 이송 방향과 고정지그유닛(30)의 승강 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에서 노즐부(31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포제어부(360)는 공급부(320)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을 단속하거나 3차원구동부(301)의 동작을 단속한다.
도포제어부(360)는 공급부(320)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을 단속함에 따라 노즐부(310)에서 코팅액이 배출되는 시기를 제어한다.
좀더 자세하게, 도포제어부(360)는 노즐부(310)가 전선 접속부(22)에 인접한 상태에서 전선(10)을 향해 이동될 때, 노즐부(310)에서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포제어부(360)는 전선(10) 측의 전선 접속부(22) 단부에 노즐부(310)가 정체될 때, 노즐부(310)에서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포제어부(360)는 3차원구동부(301)의 동작을 단속함에 따라 코팅액의 배출과 연동되어 노즐부(310)의 위치를 단속한다.
좀더 자세하게, 도포제어부(360)는 전선 접속부(22)에 인접하도록 노즐부(310)를 하강시키고, 전선(10) 측의 전선 접속부(22)의 단부로 하강된 노즐부(310)를 이동시키며, 전선(10) 측의 전선 접속부(22)의 단부에서 노즐부(310)를 정체시키고, 전선(10) 측에서 정체된 노즐부(310)를 바렐부(23) 측의 전선 접속부(22)의 단부로 이동시키며, 바렐부(23) 측의 전선 접속부(22)의 단부에 노즐부(310)를 정체시키며, 바렐부(23) 측에서 정체된 노즐부(310)를 하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포제어부는 터미널 단자(20)의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노즐부(310)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추가적으로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검사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사유닛(400)은 도포유닛(3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에서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한다. 검사유닛(400)은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여부 또는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범위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유닛(400)은 고정유닛(200) 중 검사용 고정유닛(203)에 의해 고정지그유닛(30)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고정되는 경우,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한다.
검사유닛(400)은 검사감지부(410)와, 검사구동부(420)와, 검사제어부(430)를 포함한다.
검사감지부(410)는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감지한다.
검사구동부(420)는 터미널 단자(20)의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검사감지부(410)를 이동시킨다.
검사제어부(430)는 검사감지부(410)에서 감지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판별한다.
그러면, 판별 결과에 따라 도포 상태가 정상이면, 검사제어부(430)는 검사구동부(420)를 동작시켜 검사감지부(41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검사감지부(410)가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판별 결과에 따라 도포 상태가 비정상이면, 검사제어부(430)는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검사제어부(430)는 비정상으로 판별된 터미널 단자(20) 또는 이것이 포함된 고정지그유닛(3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주변 유닛들을 단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건조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유닛(500)은 도포유닛(300) 또는 검사유닛(4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을 경화시킨다. 건조유닛(500)은 고정지그유닛(30)이 통과될 때, 열에 의해 코팅액이 경화되도록 한다.
건조유닛(500)은 제2회전부(510)와, 제2벨트부(520)와, 건조바디부(530)와, 가열부(540)를 포함하고, 온도조절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51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2벨트부(520)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2회전부(510)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시킨다.
건조바디부(530)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향해 열을 배출한다. 건조바디부(530)는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통과되는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540)는 건조바디부(53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정지그유닛(30)을 향해 배출되는 열을 발생시킨다. 가열부(540)를 통해 발생되는 열은 복사열 또는 대류열의 형태로 고정지그유닛(30)에 전달됨으로써,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이 전달되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550)는 코팅액의 경화 조건에 대응하여 가열부(5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속한다. 이에 따라 건조바디부(530)에서는 고정지그유닛(30)을 향해 코팅액의 경화 조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전달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유닛(600)은 코팅액이 도포된 터미널 단자(20)를 고정지그유닛(30)에서 분리하기 위해 도포유닛(3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된다.
한편, 전달유닛(600)은 건조유닛(5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되어 가열된 고정지그유닛(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전달유닛(600)은 검사유닛(400) 또는 건조유닛(5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될 수 있다.
전달유닛(600)은 제3회전부(610)와, 제3벨트부(620)를 포함한다.
제3회전부(61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3벨트부(620)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3회전부(610)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시킨다.
전달유닛(600)은 전달구동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유닛(600)을 왕복 이동시키는 전달구동부(630)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고정지그유닛(30)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달구동부(630)가 구비됨으로써, 전달유닛(600)에서 고정지그유닛(30)의 카트리지를 편리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카트리지(60)가 분리되는 경우, 바렐부(23)는 삽입홈부(52)에서 이탈되고, 전선(10)은 안착홈부(54)에서 이탈됨으로써,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가 분리해 낼 수 있다.
고정지그유닛(30)에서 카트리지(60)를 분리한 다음에는 새로운 카트리지(60)를 고정지그유닛(30)에 장착한다.
특히, 건조유닛(500)을 통과한 고정지그유닛(30)이 전달유닛(600)에 안착되면, 고정지그유닛(30)에서 분리된 카트리지(60)는 별도의 걸이부재(미도시)에 걸림 결합되고, 카트리지(60)에 고정된 터미널 단자(20)는 걸이부재(미도시)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추가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는 회수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유닛(700)은 터미널 단자(20)가 분리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으로 회송시킨다.
고정지그유닛(30)에서 카트리지(60)를 분리함으로써,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를 분리할 수 있다. 터미널 단자(20)가 분리되면, 고정지그유닛(30)에 새로운 카트리지(60)를 장착함으로써, 새로운 터미널 단자(20)를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할 수 있다.
새로운 카트리지(60)가 장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회수유닛(700)을 통해 이송유닛(100)으로 회송된다.
회수유닛(700)은 제1반송유닛(710)과, 제2반송유닛(720)과, 제1구동부(730)와, 제3반송유닛(740)과, 제2구동부(750)를 포함한다.
제1반송유닛(710)은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되어 고정지그유닛(30)이 회송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반송유닛(710)의 이송유닛(10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1반송유닛(710)이 이송유닛(100)의 하측에 구비됨에 따라 도포 장치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반송유닛(710)은 제4회전부(711)와, 제4벨트부(712)를 포함한다.
제4회전부(71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4벨트부(712)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4회전부(711)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회송시킨다.
제2반송유닛(720)은 새로운 카트리지(60)가 장착된 고정지그유닛(30)을 제1반송유닛(710)으로 전달한다.
제2반송유닛(720)은 제5회전부(721)와, 제5벨트부(722)를 포함한다.
제5회전부(72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5벨트부(722)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5회전부(721)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제1반송유닛(710)으로 전달한다.
제1구동부(730)는 제2반송유닛(720)을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반송유닛(710)이 이송유닛(100)의 하측에 구비됨에 따라 제1구동부(730)는 제2반송유닛(720)을 승강시킨다.
제3반송유닛(740)은 제1반송유닛(710)으로 회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으로 전달한다.
제3반송유닛(740)은 제6회전부(741)와, 제6벨트부(742)를 포함한다.
제6회전부(74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된다. 제6벨트부(742)는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고, 제6회전부(741)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으로 전달한다.
제2구동부(750)는 제3반송유닛(740)을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반송유닛(710)이 이송유닛(100)의 하측에 구비됨에 따라 제2구동부(750)는 제3반송유닛(740)을 승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지그유닛(30)은 전달유닛(600)에서 새로운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그러면, 전달유닛(60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제2반송유닛(720)과, 제1반송유닛(710)과, 제3반송유닛(740)을 차례로 거치면서 이송유닛(100)으로 회송된다.
이렇게 회송된 고정지그유닛(30)에는 다시 터미널 단자(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정렬하고,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써,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이송단계(S20)와, 고정단계(S30)와, 도포단계(S40)를 포함한다.
이송단계(S20)는 이송유닛(100)을 통해 터미널 단자(20)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시킨다.
고정단계(S30)는 이송단계(S20)를 통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킨다.
고정단계(S30)는 정렬용 고정단계(S31)와, 도포용 고정단계(S32)와, 검사용 고정단계(S33)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정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정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정렬용 고정단계(S31)는 정렬용 고정유닛(201)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은 정렬용 정지유닛(210)에 의해 정지되고, 정렬용 지지유닛(22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됨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에 터미널 단자(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할 수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를 지나가는 경우, 정렬용 정지감지부(213)는 정렬용 정지구동부(21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용 정지감지부(21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정지구동부(212)가 동작됨에 따라 정렬용 정지부(21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정렬용 지지감지부(223)가 정렬용 정지유닛(21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지지감지부(223)는 정렬용 지지구동부(2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용 지지감지부(22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정렬용 지지구동부(222)가 동작됨에 따라 정렬용 지지부(22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에 단자정렬단계(S10)가 더 포함되는 경우, 고정단계(S30)에는 정렬용 고정단계(S3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도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도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도포용 고정단계(S32)는 도포용 고정유닛(202)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은 도포용 정지유닛(230)에 의해 정지되고, 도포용 지지유닛(24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됨에 따라 도포유닛(300)의 하측에 정위치된다.
그러면, 도포유닛(300)은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를 지나가는 경우, 도포용 정지감지부(233)는 도포용 정지구동부(23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용 정지감지부(23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정지구동부(232)가 동작됨에 따라 도포용 정지부(231)를 왕복 이동시켜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포용 지지감지부(243)가 도포용 정지유닛(23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지지감지부(243)는 도포용 지지구동부(2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용 지지감지부(24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도포용 지지구동부(242)가 동작됨에 따라 도포용 지지부(24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포용 정지유닛(230)이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키면, 도포유닛(300)이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하도록 고정지그유닛(30)은 도포유닛(300)의 하측에 정위치된다.
또한, 도포용 지지유닛(24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된 고정지그유닛(30)은 도포유닛(300)의 하측에서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에서 도포단계(S40)를 실시하기 위해 고정단계(S30)에는 도포용 고정단계(S32)가 포함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검사용 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중 검사용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검사용 고정단계(S33)는 검사용 고정유닛(203)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은 검사용 정지유닛(250)에 의해 정지되고, 검사용 지지유닛(26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됨에 따라 검사유닛(400)이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이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를 지나가는 경우, 검사용 정지감지부(253)는 검사용 정지구동부(25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용 정지감지부(25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정지구동부(252)가 동작됨에 따라 검사용 정지부(251)를 왕복 이동시켜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검사용 지지감지부(263)가 검사용 정지유닛(250)에 의해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지지감지부(263)는 검사용 지지구동부(26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용 지지감지부(263)가 고정지그유닛(30)을 감지하는 경우, 검사용 지지구동부(262)가 동작됨에 따라 검사용 지지부(26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정지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의 제1벨트부(1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제1벨트부(120)에 고정지그유닛(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검사용 정지유닛(250)이 고정지그유닛(30)을 정지시키면, 검사유닛(400)이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도록 고정지그유닛(30)은 검사유닛(400)의 하측에 정위치된다.
또한, 검사용 지지유닛(260)에 의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된 고정지그유닛(30)은 검사유닛(400)의 하측에서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에서 검사단계(S50)가 더 포함되는 경우, 고정단계(S30)에는 검사용 고정단계(S33)가 포함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고정된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단계(S40)는 도포유닛(300)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포단계(S40)는 고정된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한다.
도포단계(S40)는 노즐부(310)가 전선 접속부(22)에 인접되어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와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노즐부(310)에서 코팅액이 배출됨으로서,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도포준비단계(S41)와, 배출이동단계(S42)와, 처리이동단계(S44)와, 복귀단계(S46)를 포함한다.
도포준비단계(S41)는 고정된 고정지그유닛(30)에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인접하도록 노즐부(310)를 하강시킨다. 이때, 노즐부(310)는 전선 접속부(22)의 클립부(22a) 상측에 이격되도록 한다.
배출이동단계(S42)는 도포준비단계(S41)를 통해 하강된 노즐부(310)를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로 이동시킨다.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는 전선(10) 측의 전선 접속부(22) 단부이다.
이때, 노즐부(310)에서는 도포제어부(360)의 동작에 의해 코팅액이 배출될 수 있고,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에 도착되면, 공급부(320)가 정지될 수 있다.
처리이동단계(S44)는 노즐부(310)를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에서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는 바렐부(23) 측의 전선 접속부(22)의 단부이다.
이때, 공급부(320)가 정지되더라도 코팅액의 점성에 의해 노즐부(310)에서는 잔류 코팅액이 계속 배출되므로, 노즐부(310)는 잔류 코팅액에 의해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를 도포할 수 있다.
복귀단계(S46)는 노즐부(310)를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에서 노즐부(310)가 하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노즐부(310)에서 잔류 코팅액이 배출되는 경우, 복귀단계(S46)를 통해 잔류 코팅액은 최종적으로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 접속부(22)에 안정되게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고, 노즐부(310)에서 배출되는 잔류 코팅액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1차정체단계(S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정체단계(S43)는 배출이동단계(S42) 이후에 전선 접속부(22)의 일측 단부에서 노즐부(310)가 정체된다. 이때, 노즐부(310)에서는 도포제어부(360)의 동작에 의해 코팅액이 배출될 수 있고, 처리이동단계(S44)로 전환될 때, 공급부(320)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310)에서는 도포제어부(360)의 동작에 의해 배출이동단계(S42)와 1차정체단계(S43)에서 모두 코팅액을 배출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2차정체단계(S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정체단계(S45)는 처리이동단계(S44) 이후에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에서 노즐부(310)가 정체된다. 이때, 노즐부(310)에서는 잔류 코팅액이 배출되어 추가로 전선 접속부(22)의 타측 단부를 도포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완료판단단계(S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료판단단계(S47)는 복귀단계(S46)를 거침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에서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완료판단단계(S47)는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완료판단단계(S47)는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개수와 도포유닛(300)의 노즐부(310) 개수를 고려하여 도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노즐이동단계(S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이동단계(S48)는 완료판단단계(S47)를 거치면서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이 도포되지 않은 경우, 복귀단계(S46) 이후에 노즐부(31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에 대응하여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노즐이동단계(S48) 이후에 이동된 노즐부(310)는 도포준비단계(S41)부터 복귀단계(S46)를 실시함으로써,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도포단계(S40)는 초기화단계(S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단계(S49)는 완료판단단계(S47)를 거치면서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이 모두 도포된 경우, 복귀단계(S46) 이후에 노즐부(310)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킨다.
초기화단계(S49) 이후에 노즐부(310)가 최초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후속으로 고정되는 고정지그유닛(30)에서 도포단계(S40)를 통해 전선 접속부(22)에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초기화단계(S49) 이후에 고정지그유닛(3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모두 코팅액이 도포되면, 고정유닛(200) 중 도포용 고정유닛(202)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에 안착시킨다.
이송유닛(10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다시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단자정렬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정렬단계(S10)는 이송단계(S20)에 앞서 고정지그유닛(30)에 터미널 단자(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시킨다. 단자정렬단계(S10)를 거침에 따라 고정지그유닛(30)에는 터미널 단자(2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다.
단자정렬단계(S10)는 고정유닛(200) 중 정렬용 고정유닛(201)의 동작에 의해 고정지그유닛(30)이 이송유닛(100)에서 이격 고정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단자정렬단계(S10) 이후에 고정유닛(200) 중 정렬용 고정유닛(201)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에 안착시킨다.
이송유닛(10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다시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검사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사단계(S50)는 도포단계(S40)를 거친 다음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한다.
검사단계(S50)는 검사유닛(400)을 통해 이루어진다.
검사단계(S50)는 고정유닛(200) 중 검사용 고정유닛(203)이 이송되는 고정지그유닛(30)을 지지 고정시키는 경우에 실시된다.
검사단계(S50)는 고정지그유닛(30)이 검사유닛(400)의 하측에 정위치되면,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 터미널 단자(20)에 대응하여 검사구동부(420)가 동작됨 따라 검사감지부(410)가 이동하면서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검사제어부(430)가 도포 상태를 판별하는데, 판별 결과에 따라 도포 상태가 정상이면, 검사제어부(430)는 검사구동부(420)를 동작시켜 검사감지부(41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검사감지부(410)가 인접한 전선 접속부(22)에서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사제어부(430)의 판별 결과에 따라 도포 상태가 비정상이면, 검사제어부(430)는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검사제어부(430)는 비정상으로 판별된 터미널 단자(20) 또는 이것이 포함된 고정지그유닛(3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주변 유닛들을 단속한다.
검사단계(S50) 이후에 고정유닛(200) 중 검사용 고정유닛(203)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유닛(100)에 안착시킨다.
이송유닛(10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다시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건조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단계(S60)는 도포단계(S40) 또는 검사단계(S50) 이후에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을 경화시킨다.
건조단계(S60)는 건조유닛(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지그유닛(30)은 이송유닛(100)에서 건조유닛(50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고정지그유닛(30)은 제2벨트부(520)에 의해 건조바디부(530)를 통과하도록 이동되고, 건조바디부(530)에서는 복사열 또는 대류열에 의해 터미널 단자(20)의 전선 접속부(22)에 도포된 코팅액을 경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탈거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거단계(S70)는 도포단계(S40) 이후에 고정지그유닛(30)에서 코팅액이 도포된 터미널 단자(20)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탈거단계(S70)는 건조단계(S60) 이후에 전달유닛(600)에 고정지그유닛(30)이 안착 지지되는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탈거단계(S70)는 고정지그유닛(30)에서 전선(10)이 고정된 카트리지(60)를 하부플레이트(40)에서 분리함으로써, 단자블럭(50)에 정렬된 터미널 단자(20)를 고정지그유닛(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카트리지(60)를 고정지그유닛(30)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은 회수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지그유닛의 위치에 따른 회수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회수단계(S80)는 탈거단계(S70) 이후에 새로운 카트리지(60)가 장착된 고정지그유닛(30)을 이송단계(S20)로 회송시킨다.
회수단계(S80)는 회수유닛(700)을 통해 이루어진다.
고정지그유닛(30)은 전달유닛(600)을 통과하여 제2반송유닛(720)과 제1반송유닛(710)과 제3반송유닛(740)을 차례로 거치면서 이송유닛(100)으로 회송된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전달유닛(60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제2반송유닛(72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반송유닛(720)은 제1구동부(730)에 의해 제1반송유닛(710)으로 이동되고, 제2반송유닛(72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제1반송유닛(71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지그유닛(30)은 제1반송유닛(710)을 따라 이동되어 제3반송유닛(740)으로 이동된다. 제3반송유닛(74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100)으로 이동되고, 제3반송유닛(740)에 안착된 고정지그유닛(30)은 이송유닛(100)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선 20: 터미널 단자
21: 전선 지지부 22: 전선 접속부
22a: 클립부 23: 바렐부
30: 고정지그유닛 40: 하부플레이트
41: 제1고정부 42: 제2고정부
43: 유동방지부 50: 단자블럭
51: 삽입부 52: 삽입홈부
53: 전선 안착부 54: 안착홈부
55: 덮개부 56: 회동축부
60: 카트리지 61: 바디부
63: 전선 고정부 64: 고정축부
66: 고정홈부 68: 스프링부
69: 간격부 100: 이송유닛
110: 제1회전부 120: 제1벨트부
200: 고정유닛 201: 정렬용 고정유닛
202: 도포용 고정유닛 203: 검사용 고정유닛
210: 정렬용 정지유닛 211: 정렬용 정지부
212: 정렬용 정지구동부 213: 정렬용 정지감지부
220: 정렬용 지지유닛 221: 정렬용 지지부
222: 정렬용 지지구동부 223: 정렬용 지지감지부
230: 도포용 정지유닛 231: 도포용 정지부
232: 도포용 정지구동부 233: 도포용 정지감지부
240: 도포용 지지유닛 241: 도포용 지지부
242: 도포용 지지구동부 243: 도포용 지지감지부
250: 검사용 정지유닛 251: 검사용 정지부
252: 검사용 정지구동부 253: 검사용 정지감지부
260: 검사용 지지유닛 261: 검사용 지지부
262: 검사용 지지구동부 263: 검사용 지지감지부
300: 도포유닛 301: 3차원구동부
310: 노즐부 320: 공급부
330: x축구동부 340: y축구동부
350: z축구동부 360: 도포제어부
400: 검사유닛 410: 검사감지부
420: 검사구동부 430: 검사제어부
500: 건조유닛 510: 제2회전부
520: 제2벨트부 530: 건조바디부
540: 가열부 550: 온도조절부
600: 전달유닛 610: 제3회전부
620: 제3벨트부 630: 전달구동부
700: 회수유닛 710: 제1반송유닛
711: 제4회전부 712: 제4벨트부
720: 제2반송유닛 721: 제5회전부
722: 제5벨트부 730: 제1구동부
740: 제3반송유닛 741: 제6회전부
742: 제6벨트부 750: 제2구동부
S10: 단자정렬단계 S20: 이송단계
S30: 고정단계 S31: 정렬용 고정단계
S32: 도포용 고정단계 S33: 검사용 고정단계
S40: 도포단계 S41: 도포준비단계
S42: 배출이동단계 S43: 1차정체단계
S44: 처리이동단계 S45: 2차정체단계
S46: 복귀단계 S47: 완료판단단계
S48: 노즐이동단계 S49: 초기화단계
S50: 검사단계 S60: 건조단계
S70: 탈거단계 S80: 회수단계

Claims (12)

  1.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이송되는 상기 고정지그유닛을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고정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도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상기 코팅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공급부;
    상기 노즐부를 3차원으로 이동시키는 3차원구동부; 및
    상기 가압력을 단속하거나 상기 3차원구동부의 동작을 단속하는 도포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유닛을 통과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전선 접속부에 도포된 상기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과,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상기 터미널 단자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도포유닛을 통과한 상기 고정지그유닛이 안착되는 전달유닛; 과,
    상기 터미널 단자가 분리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을 상기 이송유닛으로 회송시키는 회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구동부는,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x축구동부;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승강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y축구동부; 및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이송 방향과 상기 고정지그유닛의 승강 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노즐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z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전선 접속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제어부는,
    상기 전선 측의 상기 전선 접속부 단부에 상기 노즐부가 정체될 때,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
  5.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고정지그유닛을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고정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도포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코팅액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하강시키는 도포준비단계;
    하강된 상기 노즐부를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단계;
    상기 배출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노즐부를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전선 접속부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키는 처리이동단계; 및
    상기 처리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노즐부를 상기 도포준비단계에서 하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복귀단계를 거침에 따라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귀단계를 거친 상기 노즐부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된 상기 터미널 단자에 대응하여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전선 접속부에 상기 코팅액이 모두 도포된 경우,
    상기 복귀단계를 거친 상기 노즐부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정렬된 상기 고정지그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단계에 앞서 상기 고정지그유닛에 상기 터미널 단자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정렬시키는 단자정렬단계; 와,
    상기 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전선 접속부에 도포된 상기 코팅액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 와,
    상기 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고정지그유닛에서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상기 터미널 단자를 분리하는 탈거단계; 와,
    상기 탈거단계 이후에 상기 고정지그유닛을 상기 이송단계로 회송시키는 회수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상기 배출이동단계에서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배출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노즐부가 정체되는 1차정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상기 1차정체단계에서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12.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처리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전선 접속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노즐부가 정체되는 2차정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방법.
KR1020120063296A 2012-06-13 2012-06-13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KR10134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96A KR101342142B1 (ko) 2012-06-13 2012-06-13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96A KR101342142B1 (ko) 2012-06-13 2012-06-13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142B1 true KR101342142B1 (ko) 2013-12-13

Family

ID=4998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296A KR101342142B1 (ko) 2012-06-13 2012-06-13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92A (ko) * 2014-10-21 2016-04-29 (주)창성코팅 모바일 기기 카메라 부품의 코팅 지그
KR20160062327A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코팅용 도포장치
KR101654292B1 (ko) * 2015-12-18 2016-09-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도포장치 및 와이어 연결용 터미널
KR102183250B1 (ko) 2020-08-21 2020-11-25 제이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납땜공정장치
CN113522615A (zh) * 2021-07-31 2021-10-22 桐乡市凯盛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压缩机活塞表面喷涂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475717A (zh) * 2022-10-11 2022-12-16 苏州华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工装喷涂设备,应用该喷涂设备的工作台及其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436A (ko) * 2004-11-19 2006-05-24 대우전자부품(주) 리드단자 실리콘 자동 도포장치.
JP2009054511A (ja) * 2007-08-29 2009-03-12 Mie Univ 液体金属塗布方法、液体金属塗布装置、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端子付電線
JP2011087381A (ja) * 2009-10-14 2011-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食剤塗布装置、端子付き電線保持部材、防食剤塗布方法及び防食剤塗布端子付き電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436A (ko) * 2004-11-19 2006-05-24 대우전자부품(주) 리드단자 실리콘 자동 도포장치.
JP2009054511A (ja) * 2007-08-29 2009-03-12 Mie Univ 液体金属塗布方法、液体金属塗布装置、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端子付電線
JP2011087381A (ja) * 2009-10-14 2011-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食剤塗布装置、端子付き電線保持部材、防食剤塗布方法及び防食剤塗布端子付き電線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92A (ko) * 2014-10-21 2016-04-29 (주)창성코팅 모바일 기기 카메라 부품의 코팅 지그
KR101665629B1 (ko) * 2014-10-21 2016-10-13 (주)창성코팅 모바일 기기 카메라 부품의 코팅 지그
KR20160062327A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코팅용 도포장치
KR101641733B1 (ko) * 2014-11-24 2016-07-2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코팅용 도포장치
KR101654292B1 (ko) * 2015-12-18 2016-09-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도포장치 및 와이어 연결용 터미널
KR102183250B1 (ko) 2020-08-21 2020-11-25 제이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납땜공정장치
CN113522615A (zh) * 2021-07-31 2021-10-22 桐乡市凯盛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压缩机活塞表面喷涂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475717A (zh) * 2022-10-11 2022-12-16 苏州华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工装喷涂设备,应用该喷涂设备的工作台及其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42B1 (ko)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JP6727117B2 (ja) 基板着脱装置、めっき装置、基板着脱装置の制御装置、基板着脱装置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60054028A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KR102421298B1 (ko) 기판 홀더, 도금 장치, 기판 홀더의 제조 방법 및 기판을 유지하는 방법
JP2002005990A (ja) コンタクトアー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試験装置
JP5563718B2 (ja) ピストン供給装置及びピストン供給方法
TW201810131A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JP6739307B2 (ja) 基板ホルダ、めっき装置、及び基板ホルダの製造方法
KR101327902B1 (ko) 터미널 단자의 코팅액 도포 장치와 도포 방법
CN111005059A (zh) 清洗装置、具备该清洗装置的电镀装置以及清洗方法
US9157680B2 (en) Drum-type drying device
KR20120110612A (ko) 핸들러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스템
JP5359809B2 (ja) 電子部品把持装置及び電子部品検査装置
JP5152379B2 (ja) 位置決め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icハンドラの位置決め装置
KR101150865B1 (ko) 엘이디 검사장치
KR101699862B1 (ko) 전해도금장치용 지그의 불량여부 검사장치
KR20160128668A (ko) 엘이디검사용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콘텍장치
KR101730039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에지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20063711A (ko) 칩 테스트용 프로브 장치 및 칩 테스트 방법
KR20090030643A (ko)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의 챔버장치
KR101641733B1 (ko) 와이어의 코팅용 도포장치
KR101463162B1 (ko) 차량 슬라이딩도어용 와이어링의 내구성 검출장치
KR101683755B1 (ko) 레귤레이터용 검사장치
KR102066881B1 (ko) 표면 실장형 집적회로 패키지용 테스트 소켓 제작 방법
KR101847607B1 (ko) 반도체 모듈의 인서트 및 이젝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