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145B1 -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145B1
KR101340145B1 KR1020117025485A KR20117025485A KR101340145B1 KR 101340145 B1 KR101340145 B1 KR 101340145B1 KR 1020117025485 A KR1020117025485 A KR 1020117025485A KR 20117025485 A KR20117025485 A KR 20117025485A KR 101340145 B1 KR101340145 B1 KR 10134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ata
measuring instrument
function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18A (ko
Inventor
?지 사이토
다스미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ublication of KR201200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safeguarding the apparatus, e.g. against abnormal operation, against breakdow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36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피측정물을 측정하는 계측기를, 복수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를 구비하고,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치에 기초하여 피측정물의 계측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 CPU(9)와, CPU(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3)와, 피측정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4)와,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 및 연산해서 구한 피측정물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와, 경과시간을 계측하는 리얼타임클록 IC(RTC)(11)과, CPU(9)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EEPROM(12)와,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를 격납하여,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에 기초하여 CPU(9)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격납하는 FeRAM(13)에 의해 구성한다.

Description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MAINTENANCE EXPERT SYSTEM FOR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기에 발생하는 작동 상태의 정보를 기록하여 계측기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 서비스 기술원에 대해서 원인 구명(究明)을 서포트할 수 있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측기에는,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이 있고, 이들 계측기는, 계측기의 계측 내용을 상시 관측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계측기에는, 계측기가 어떠한 상태에서 운전되고 있는지, 각종 센서로 상태 감시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량계의 경우에는, 유관 내를 유통하는 피측정 유체의 체적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내부에 설치한 계량실을 갖고 이 계량실 내로 유입하는 피측정 유체의 체적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의 회전으로부터 유량을 구하는 용적 유량계, 유관 내를 유통하는 피측정 유체가 유통하는 유관(流管)의 일단 또는 양단을 지지하고, 그 지지점 둘레에 유관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을 가한 때에, 유관(진동이 가해지는 유관을 플로우 튜브라 칭한다)에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이 질량 유량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질량 유량계인 코리올리 유량계 등이 있다.
또한, 밀도계, 농도계 등의 분석계는, 이온 원(源), 분석부, 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이온 원으로 이온화하여, 스펙트럼으로부터 화합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온도계는, 온도를 측정하는 계기(計器)로, 온도 변화에 따른 물성의 변화 등의 물리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압력계는,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힘인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계측기에서는, 계측기에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계측기에 트러블이 발생하면, 서비스 기술원이 현장에 나가서, 계측기의 점검 작업을 행한다. 이 서비스 기술원에 의한 계측기의 점검 작업에서는, 트러블 슈팅 (troubleshooting)이라고 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 트러블 슈팅의 방법은, 문제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가능성을 배제해 나가 트러블의 원인을 찾아내는 방법으로서, 시스템 관리 등의 분야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트러블 슈팅의 방법은, 예를 들면, 지금까지 동작되고 있던 계측기가 돌연 동작을 정지하여 계측할 수 없게 된 경우 등에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1개씩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계측기인 유량계로 대표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에 의해 설명한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피측정 유체가 유통하는 유관의 일단 또는 양단을 지지하고, 그 지지점 둘레에 유관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을 가한 때, 유관(이하, 진동이 가해져야 할 유관을 플로우 튜브라 한다)에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이 질량 유량에 비례함을 이용한 질량 유량계이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주지된 것으로, 코리올리 유량계에서의 플로우 튜브의 형상은 직관식과 만곡관식(灣曲管式)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계측기인 유량계로 대표되는 코리올리 유량계는, 피측정 유체가 흐르는 측정관을 양단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측정관의 중앙부를 지지선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교번(交番) 구동한 때, 측정관의 양단 지지부와 중앙부 사이의 대칭 위치에 질량 유량에 비례하는 위상차 신호를 검출하는 질량 유량계이다. 위상차 신호는 질량 유량에 비례하고 있는 양이지만, 구동 주파수를 일정하게 하면, 위상차 신호는 측정관의 관측 위치에서의 시간차 신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 측정관의 교번 구동의 주파수를 측정관의 고유의 진동수와 같게 하면, 피측정 유체의 밀도에 따른 일정한 구동 주파수가 얻어지고, 작은 구동 에너지로 구동함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측정관을 고유 진동수로 구동함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며, 위상차 신호는 시간차 신호로서 검출된다.
계측기에 트러블이 발생하여, 서비스 기술원이 현장에 나가서, 계측기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 서비스 기술원에 의한 유량계에서의 트러블 슈팅 작업은, 재현성이 없는 것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서비스 기술원의 경험칙에 의해 트러블의 원인을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기술원의 스킬에 따라서는, 트러블의 원인을 오인하여, 잘못된 추정 원인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트러블의 해결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었다.
제품의 메이커는, 자사가 납입한 제품에 대하여 미리 보수 기간을 두고, 납입으로부터 어느 일정 기간, 교환 부품의 확보 또는 메인터넌스의 인수를 제품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증하고 있다. 이 제품의 보수 기간은, 교환 부품의 공급 가능 기간 또는 부품 수명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005-327201호 공보에는, 기기(예를 들면 제품, 제품의 기종, 부품, 부품의 기종, 설비, 시스템, 장치, 제품의 형식, 부품의 형식, 플랜트 등, 여러가지 단위를 포함한다)의 운용 현장으로부터 피드백되는 기기의 고장 정보, 교환 정보, 갱신 정보 등을 포함한 설비 보전 정보와, 기기의 출하 일시 정보와 설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기의 출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신뢰성 해석을 행하는 보수지원 프로그램이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 2005-327201호 공보의 보수지원 프로그램은, 기기의 식별 정보의 일례인 제품의 기종, 부품의 기종, 형식, 기기의 고객 식별 정보의 일례인 업종, 고객명 등, 소망의 항목의 조합에 대하여 데이터 추출을 행하고, 이 데이터 추출 결과에 대한 고장발생 확률밀도함수, 불신뢰도 함수의 산출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2005-3272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는, 설정한 형식의 기기 또는 부품에 관해서 메인터넌스 시기를 설정하여,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이 가능하지만, 메인터넌스 대상의 기기를 결정하기 위한 우선 순위 부여는 할 수 없다고 해서 일본 공개특허 2009-178713호 공보에는, 막을 이용한 물처리에 의해서 안정된 수질 및 수량의 수도수 또는 재생수를 공급하기 위해, 막처리 시설의 설비기기의 보수점검 빈도설정지원을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물처리 시설의 관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 2005-327201호 공보는, 기기의 식별 정보의 일례인 제품의 기종, 부품의 기종, 형식, 기기의 고객식별정보의 일례인 업종, 고객명 등, 소망 항목의 조합에 대하여 데이터 추출을 행하고, 이 데이터 추출 결과에 대한 고장발생 확률밀도함수, 불신뢰도 함수의 산출 등을 실행하는 보수지원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과 같은 서비스 기술원의 메인터넌스 작업에서, 계측기의 트러블 슈팅에서의 서비스 기술원에 대한 원인 구명의 서포트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8713호는, 막을 이용한 물처리에 의해 안정된 수질 및 수량의 수도수 또는 재생수를 공급하기 위해, 막처리 시설의 설비기기의 보수점검빈도 설정지원을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물처리 시설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과 같은 서비스 기술원의 메인터넌스 작업에서, 계측기의 트러블 슈팅에서의 서비스 기술원에 대한 원인 구명의 서포트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계측기는 전원 공급을 받기 때문에, 피계측 물질, 혹은 분위기중에 가연성 가스가 있는 장소에 계측기를 설치하여 계측하는 경우, 방폭(防爆) 구조로 함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SRAM(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상시 유지하기 위해 전지에 의존하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업 전지가 필요하며, 전지의 용량이 주위의 가스에 점화할 우려가 있는 에너지 레벨 미만이거나, 혹은 전지에 안전 유지부품을 부속하고, 또한 그들이 가스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보호 기구가 갖추어지지 않은 한, 그러한 환경하에서는 계측기의 덮개를 열어 메인터넌스를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의 SRAM 등과 같이 데이터의 유지를 전지에 의존하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압 방폭 구조를 채택함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내압 방폭 구조로 되어 있는 기기에서는, 용이하게 백업 전지를 내장할 수 없고, 백업 전지를 내장해도, 폭발성 가스의 분위기 중에서는 실질적으로 보수·점검 작업을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기를 설치한 후의 보수·점검·수리시, 트러블 슈팅 작업시에 서비스 기술원에 대하여 원인 구명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를,
복수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센서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계측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 CPU와,
상기 계측기의 기동(ON)·정지(OFF)를 행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CPU에 입력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 상기 CPU에서 상기 피측정물의 계측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시간을 계측하는 리얼타임클록 IC(RTC)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EEPROM과,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의해서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를 격납하며, 이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CPU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격납하는 FeRAM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유량계의 EEPROM와 FeRAM을,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 혹은 연산 결과를 퇴피(退避)하는 타이밍, 데이터, 혹은 연산 결과를 퇴피하는 빈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표시부를, 계측기의 가동시간의 누계(累計)로부터, 계측기에 사용되고 있는 구성부품의 추장(推奬) 교환 시기, 혹은 상기 계측기의 보수·점검 시기의 도래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계측기를,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logging)하는 기능과, 계측기의 가동시간을 계시(計時)하는 기능과, 전원 투입 직후의 순간 정전에 의한 전원 이상(異常)을 검출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계측기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2, 3 또는 4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계측기를, CPU에 접속되고, 계측기의 밀폐된 상자체 내에 수납되며, 계측기의 내기(內器)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 IC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5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계측기를, 내기의 온도를 감시·로깅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4, 5 또는 6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을,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발생마다, 경과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FeRAM에,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동시에,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計時値)를 합하여 이벤트 로깅 데이터(「G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제1 기능과,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발생 이벤트 중 하나인 전원 오프(OFF)로 된 (경과) 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전원 오프(OFF)시에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의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를 「A 데이터」로서 EEPROM에 기록하는 제2 기능과,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의 선택 옵션으로서 실연월일, 실시간을 대응시켜 「G 데이터」로서 FeRAM에 기록하는 제3 기능과,
옵션 기능에 있어서의 동작시에서의 전원 오프(OFF)시, 실시간 타임 스탬프로서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를 「F 데이터」로서 EEPROM에 기록하는 제4 기능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4, 5, 6 또는 7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가동시간 계시기능을, 계측기의 가동시간을 계시하는 기능이며, 계측기를 기동한 직후부터 가동시간(경과시간)을 누적하기 위해, CPU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에 의해서 1h마다 계시한 가동시간 계시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FeRAM에 기록(로깅)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전원 이상 투입 검출기능을, 계측기에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오프(OFF)함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이며, 계측기 기동 직후(전원 투입 직후)부터 순간 정전(OFF)까지의 누적 시간을 빼고, 그것이 약간의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일 경우, 전원 이상으로 간주하여, 전원 이상 발생 횟수인 전원 이상 투입 검출 데이터를 「D 데이터」로서 FeRAM에 기록(로깅)하며, 이 전원 이상 투입 검출정보를 계측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4, 5, 6, 7, 8 또는 9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워밍업 시간중 표시 기능을, 계측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이며, 계측기에 전원을 투입(ON)한 때로부터의 경과시간을 CPU에 내장되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로 계시하고, 일정한 기간내, 계측기의 표시부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6, 7, 8, 9, 10 또는 11에 기재된 계측기에서의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을, 상자체에 밀봉된 계측기의 내부의 온도를 감시하여, 그 온도를 로깅하는 기능이며, 계측기를 기동한 후, 정기적으로 상기 온도계측 IC의 검출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와 함께, 내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내기 온도 로깅 데이터를 「H 데이터」로서 FeRAM에 기록(로깅)하는 동시에, 샘플 온도에 대하여 상한치, 하한치를 마련하여 기록(로깅)한 내기의 온도를 판정하는 동시에, 판정 결과가 NG인 경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에 기재된 EEPROM를,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3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1, 12 또는 13에 기재된 FeRAM를,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횟수 데이터(「D 데이터」)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alert),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alarm)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와, 밀폐된 계측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 데이터(「H 데이터」)와, 실시간 초기 설정치(「Z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4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또는 13에 기재된 리얼타임클록 IC(RTC)를,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스위칭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청구항 15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를, 피계측 유체의 질량 유량 및/또는 밀도를 얻는 계측 제어 기기를 밀봉하는 상자체에 수납해서 이루어지는 코리올리(Coriolis) 유량계로 구성하고,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를,
복수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플로우 튜브의 고유의 진동수와 동일한 교번 구동의 주파수로 이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켜, 이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에 비례한 위상차 및/또는 진동 주파수를, 전자 픽오프(electromagnetic pick-off)에 의해서 검출하여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 CPU와,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의 기동(ON)·정지(OFF)를 행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플로우 튜브에 코일과 마그넷의 조합에 의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이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킴으로써,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CPU에 입력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 상기 CPU에서 상기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에 기초하여 연산해서 구한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시간을 계측하는 리얼타임클록 IC(RTC)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EEPROM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의해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를 격납하며,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CPU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격납하는 FeRAM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측기를 설치한 후의 보수·점검·수리시에, 트러블 슈팅 작업시에 서비스 기술원에 대하여 원인 구명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업 전지를 내장하지 않고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점검 작업을 위해서, 계측기의 안을 열 수 있고, 또한, 언제든 보수·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측기 단체로 데이터의 로깅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 장소(설치 장소)로 나가지 않아도, 계측기 단체(單體)를 메이커로 반송해 받는 것만으로 현장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CPU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의 이상 투입 검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이벤트(에러 등) 발생시의 로깅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계측기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 오프(OFF)의 검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에러 로깅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CPU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3은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계측기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이란,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 특히 계측기에 발생하는 작동 상태의 정보(정상 상태, 이상 상태에서의 작동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계측기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 서비스 기술원에 대하여, 트러블 원인의 구명의 검증을 서포트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터넌스시의 계측기의 작동 상태의 검증을 서포트하는 시스템을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이라 칭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대하여, 계측기의 메인터넌스(보수·점검·수리) 작업을 행할 때의 서비스 기술원이 행하는 계측기의 작동 상태의 검증을 서포트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계측 유체의 질량 유량 및/또는 밀도를 얻는 계측 제어 기능을 구비한 유량계로 대표되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리올리 유량계에서의 계측 제어 기기(특허청구범위의 「계측기」에 상당하며, 이하, 동일)에 대한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개요도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에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을 실행하는 계측기의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서,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측기(1)는, CPU 회로 (2)와, 전원 회로(3)와, 플로우 튜브에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검출하는 검출기 (4)와, 계측치 등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와, 입출력(I/O) 회로(6)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7은, 원격으로 조작하는 통신제어기기 등의 커뮤니케이션 툴 (tool)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코리올리 유량계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CPU 회로(2)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에서, CPU 회로(2)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거나, 코일과 마그넷의 조합으로 이용되는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플로우 튜브 고유의 진동수와 동일한 교번 구동의 주파수로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켜, 플로우 튜브를 회전 방향으로 교번 구동한 때에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에 비례한 위상차 및/또는 진동 주파수를, 전자 픽오프에 의해서 검출하여, 플로우 튜브에 흐르는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연산하는 기능을 구비한 CPU(9)를 갖고 있다.
전원 회로(3)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기동(ON)·정지(OFF)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전원 회로(3)는, CPU 회로(2)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 회로(3)의 전원 투입(ON)에 의해, CPU 회로(2)에 전원이 공급되어, CPU 회로(2)는 기동한다. 이 CPU 회로(2)의 기동에 의해, 코리올리 유량계는, 구동하여, 플로우 튜브에 흐르는 피측정 유체의 유량 계측을 개시한다.
검출기(4)는, 플로우 튜브에 코일과 마그넷의 조합에 의한 구동 수단에 의해서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킴으로써, 플로우 튜브에 생기는 코리올리의 힘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검출기(4)는, 전원 회로(3)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아 구동하여, 검출한 플로우 튜브에 생기는 코리올리의 힘을 검출 데이터로서 CPU 회로(2)에 송출하고 있다.
표시부(5)는, 플로우 튜브에 생기는 코리올리의 힘에 기초하여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를, CPU 회로(2)에서 연산하여 구한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부(5)는, LED 표시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최근에는, 액정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액정 표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I/O) 회로(6)는, 각종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데이터를 CPU 회로(2)에 입력하거나, 외부 기기와 CPU(2)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거나 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입출력(I/O) 회로(6)는, 전원 회로(3)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구동하며,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나,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거나 한다.
커뮤니케이션 툴(7)은, 코리올리 유량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여, 통신케이블 등을 통하여 CPU 회로(2)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이 커뮤니케이션 툴(7)은, 원격의 장소에서 CPU 회로(2)를 제어하여, 실질적으로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어함이 가능하다.
CPU(2) 회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CPU(9)에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9B,9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CPU(9)에는, 부가 기능으로서 온도계측 IC(10)가 버스 라인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도시 안함). 또한, 이 CPU(9)에는, 버스 라인을 통하여 리얼타임클록 IC(RTC)(11)과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12)과, 강유전체(强誘電體)의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를 이용하여 정부(正負)의 자발분극(自發分極)을 1과 0에 대응시킨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인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리얼타임클록 IC(RTC)(11)과, EEPROM(12)과,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CPU(9)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1)의 주요한 기능은, 데이터 로깅이며, 계시 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내장 배터리(백업 전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리얼타임클록 IC(RTC)(11)을 구비하고 있어도, 진성의 리얼타임 계시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이용하여 계시를 실행하고 있다.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전원 ON으로부터, 0:00:00(0시 00분 00초)로부터 시작하여, 유량계(변환기)가 동작하는 중에는, 계시를 계속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는, 무효로 된다.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변환기로의 전원 투입 후에, 미리 사용자가 현실의 연월일과 실시간(시분초)을 설정하여 계시(유량계)를 시작한다. 이는 상기 시작시로부터 전원 OFF 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로 이행될 때까지의 계시를 계속하는 것이다.
이 2개의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 툴(7) 등을 이용하여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EEPROM(12)와,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에는, 상이한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EEPROM(12)에는,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라 칭한다)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라 칭한다)를 격납한다.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는, 유량계(변환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라 칭한다)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라 칭한다)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라 칭한다)와, 밀폐된 유량계(변환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 데이터(「H 데이터」라 칭한다)와, 실시간 초기설정치(「Z 데이터」라 칭한다)를 격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유량계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과, 내기의 온도를 감시·로깅하는 기능과, 유량계의 가동시간을 계시하는 기능과, 전원 투입 직후의 순간 정전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유량계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이들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1)유량계 상태 로깅기능
이는, 유량계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으로, 다음의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a)유량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발생마다, 경과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서, 비휘발성 메모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 유량계(변환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로깅한다. 이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의 로깅과 함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를 합하여 이벤트 로깅 데이터 (「G 데이터」)로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 로깅한다.
b)유량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발생 이벤트 중 하나인 전원 오프(OFF)로 된(경과) 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전원 오프(OFF)시에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를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를 「A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12)에 기록한다.
c)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의 선택 옵션으로서, 실연월일, 실시간을 대응시켜 「G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 기록한다.
d)옵션 기능에 있어서의 동작시에서의 전원 오프(OFF)시, 실시간 타임 스탬프로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를 「F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12)에 기록한다.
(2)가동시간 계시기능
이는, 유량계(변환기)의 가동시간을 계시하는 기능으로, 유량계(변환기)를 기동한 직후부터 가동시간(경과시간)을 누적하기 때문에,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에 의해서 1h마다 계시한 가동시간 계시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 기록(로깅)한다. 이 가동시간 계시 데이터는,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내에서 카운트업(count up)되어 정보가 갱신된다.
(3)전원 이상 투입 검출기능
이는,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오프(OFF)하는 것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으로, 유량계(변환기) 기동 직후(전원 투입 직후)부터 전원 오프(OFF)까지의 누적 시간을 빼고, 그것이 약간의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일 경우, 전원 이상으로 간주하여, 전원 이상 발생 횟수인 전원 이상 투입 검출 데이터를 「D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에 기록(로깅)한다. 이 전원 이상 투입 검출기능으로 검출된 정보는, 유량계(변환기)의 표시부(5)에 표시된다.
(4)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이는, 유량계(변환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으로,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한 때부터의 경과시간을 CPU(9)에 내장된 내부 타이머 카운터로 계시하여, 일정한 기간내, 유량계(변환기)의 표시부(5)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5)가동시간 계시기능
이는, 유량계(변환기)의 누적 경과시간에 문턱치를 설정해 두고,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에 의해서 1h마다 계시한 가동시간을 누적한 누적 경과시간이, 이 문턱치에 도달한 때에, 유량계(변환기)의 점검을 행하는 것을 추장하는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동작을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도 3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하면, 플로우가 시작된다. 시작되면, 먼저, 스텝 50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의 시각을 00년 1월 1일, 0:00:00(0시 00분 00초)로 셋팅한다.
이 스텝 50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의 시각을 셋팅하면, 스텝 51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 (interrupting)하여, 내부 타이머 카운터(9A)를 1h(1시간)로 설정한다.
이 스텝 51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를 1h(1시간)에 셋팅하면, 스텝 52에서, 00년 1월 1일, 0:00:00(0시 00분 00초)으로 시각을 셋팅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이 00년 1월 1일, 0:00:00(0시 00분 00초)로부터 계시를 시작한다.
이 스텝 5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이 계시를 시작하면, 스텝 53에서, 1h(1시간)으로 셋팅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가 시작된다.
이 스텝 53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가 시작되면, 스텝 53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처리가 행해진다. 이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처리는, 도 4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 처리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실행된다.
즉,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 처리가 시작되면, 먼저, 스텝 71에서,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를 행하고, 스텝 7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7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없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71로 돌아와,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를 행하고,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스텝 7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73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1h(1시간)의 경과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즉,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서는, 1h(1시간) 마다 1h(1시간)의 경과시간을 이미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에 적산하여, 유량계(변환기)의 가동시간으로서 격납된다.
스텝 73에서 1h(1시간)의 경과시간을 가동시간으로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에 적산하여 격납하면, 스텝 7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B 데이터」)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7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75에서, 표시부(5)에 점검을 장려하는 메시지를 점등하고, 스텝 76으로 옮긴다.
또한, 스텝 7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적산된 경과시간(「B 데이터」)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76으로 옮긴다.
스텝 75에서 표시부(5)에 점검을 장려하는 메시지를 점등하거나, 스텝 7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적산된 경과시간(「B 데이터」)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76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의 시각을 00년 1월 2일, 0:00:00(0시 00분 00초)로 셋팅하고, 스텝 71로 돌아온다.
이렇게 해서,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가 연속적으로 행하여져,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적산된 경과시간(「B 데이터」)을 계속 기록(로깅)한다.
유량계(변환기)는, 어떠한 원인(예를 들면, 작업원이 유량계측을 종료하거나, 기기의 이상에 의해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으로, 전원이 OFF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도 3의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에서의 스텝 54에서, 파워 OFF, 즉 전원 오프(OFF)의 신호가 발신되게 된다.
그래서, 도 3의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에서는, 스텝 70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 처리의 플로우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 스텝 55 및, 스텝 54에서 유량계(변환기)의 파워 OFF, 즉 전원 오프(OFF)의 신호가 발신되었는지의 여부, 즉, 전원 OFF 신호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55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OFF 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70으로 돌아와, 도 4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RTCIC(리얼타임클록)(11)의 계시 처리의 플로우의 실행을 계속한다. 또한, 스텝 55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OFF 신호를 검출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56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로 되었을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을 퇴피 데이터(「A 데이터」)로 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12)에 격납한다.
도 5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의 이상 검출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즉, 도 5의 전원의 이상 투입 검출 플로우차트는,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한 후, 순간적으로 전원 이상 투입에 의해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이 순간 정전(OFF)이 된 때의 처리 플로우이다.
먼저, 스텝 80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하면,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순간 전원의 이상 검출 플로우가 시작된다.
이 스텝 80에서 플로우가 시작되면, 먼저, 스텝 81에서,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이 오프(OFF) 되었을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스텝 81에서의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도 5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의 이상 투입 검출 플로우는, 무효로 된다.
이 스텝 81에서의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를 읽어내면, 스텝 82에서, 경과시간 데이터(「B 데이터」)에 유량계(변환기)가 전원 오프(OFF)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 즉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를 가산하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한다.
이 스텝 82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에 경과시간 데이터(「B 데이터」)를 가산하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하면, 스텝 83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한 후, 전원 오프(OFF)까지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시간이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함에 의해 셋팅된 00년 1월 1일, 0:00:00(0시00분00초)의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83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도 5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의 이상 투입 검출 플로우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83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라고 판정되면, 스텝 8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인 전원 이상 카운터(「D 데이터」)에 전원 이상 발생 횟수를 1인크리먼트(increment)하여 격납한다.
이 스텝 8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전원 이상 발생 횟수를 1인크리먼트하여 격납하면, 스텝 85에서, 표시부(5)에 전회의 동작에서 전원 이상이 있었음을 표시하고, 도 5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순간 전원의 이상 투입 검출 플로우를 종료한다.
도 6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에러 로깅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즉, 도 6의 에러 로깅 플로우차트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 기기의 동작 상태(알람, 얼러트 발생, 정지 및 자기 진단 결과 등)를 로깅(기록)할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스텝 90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알람, 얼러트의 발생/해제, 자기 진단 실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텝 91에서, 이 유량계(변환기)의 이벤트 발생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시간을 읽어낸다.
이 스텝 91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시간을 읽어내면, 스텝 92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B 데이터」)을 읽어낸다. 이 스텝 92에서 경과시간(「B 데이터」)을 읽어내면, 스텝 93에서, 유량계(변환기)에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알람, 얼러트의 발생/해제, 자기 진단 실시 등)과,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읽어낸 유량계(변환기)의 적산한 가동 경과시간(「B 데이터」)에 이벤트 발생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시간을 가산하여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하고, 도 6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에러 로깅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OFF 시간도 격납된다. 이 전원 OFF 시간은, 전원 ON와 함께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되었을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와 경과시간 데이터(「B 데이터」)를 가산한 것을 격납한다(도 5의 스텝 82 참조). 이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20건 격납할 수 있고, 21건째 이후의 신규 데이터는, 최초로 격납한 1건째의 데이터에 덮어쓰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시간은,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설정되어 있는 00년 1월 1일, 0:00:00(0시00분00초)에서, 시각 중, 연월일시까지를 버리고 연산한다. 즉,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시간은, 00:00(00분00초)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 7에는, 변환기(유량계)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차트는, 유량계(변환기)를 개시한(기동한) 직후에는, 유량계(변환기) 그 자체가 안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검출 데이터에 오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유량계(변환기)를 개시한(기동한) 직후의 검출 데이터는, 그 데이터를 이용할 때, 충분히 고려할 것을 사용자에게 환기시키기 위해서,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할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차트는, 스텝 100에서, 전원 ON에 의해 시작된다. 이 스텝 100에서 전원 ON에 의해 시작되면, 스텝 101에서,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이 스텝 101에서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하면, 스텝 102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인터럽팅이 일정시간마다 걸리도록(본 실시예에서는, 20분마다 인터럽팅 신호가 발생하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이 스텝 102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일정시간마다(본 실시예에서는, 20분마다)의 인터럽팅을 셋팅하면, 스텝 103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를 시작시킨다.
이 스텝 103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가 시작되면, 스텝 104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인터럽팅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104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인터럽팅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이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인터럽팅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이 스텝 104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C)에 인터럽팅이 발생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105에서,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는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소등하고, 도 7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는 종료한다.
도 8에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스텝 120에서, 유량계(변환기)에, 모드 전환을 설정하면, 플로우가 시작된다. 스텝 120에서 플로우가 시작되면, 스텝 121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의 시각을 실연월일, 실시각으로 셋팅한다. 이 실연월일, 실시각의 셋팅과 동시에,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A 데이터」)를 리셋팅한다.
이 스텝 121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에 실연월일, 실시각을 셋팅하면, 스텝 12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에 셋팅된 실연월일, 실시각을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Z 데이터」)에 격납한다.
이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에 셋팅된 실연월일, 실시각을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Z 데이터」)를 격납하는 동시에,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내부 레지스터에 셋팅된 실연월일, 실시각의 타임 스탬프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 타임 스탬프의 시작 시간은,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된다.
이 스텝 122에서 실연월일, 실시각을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Z 데이터」)에 격납하면, 스텝 123에서, CPU(2)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하여, 내부 타이머 카운터(2A)를 1h(1시간)로 설정(셋팅)한다.
이 스텝 123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를 1h(1시간)로 셋팅하면, 스텝 124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은 실연월일, 실시각으로부터 계시를 개시(시작)한다.
이 스텝 124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이 계시를 개시(시작)하면, 스텝 125에서, 1h(1시간)로 셋팅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가 시작된다.
이 스텝 125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9A)가 시작되면, 스텝 130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처리가 행해진다. 이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의 처리 플로우차트에 의해 실행된다.
즉,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 처리가 시작하면, 먼저, 스텝 131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를 행하고, 스텝 13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13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없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131로 돌아와,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를 행하고,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스텝 132에서 CPU(9)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9A)에 인터럽팅이 있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133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1h(1시간)의 경과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즉,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서는, 1h(1시간)마다 1h(1시간)의 경과시간을 이미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에 적산하여, 유량계(변환기)의 가동시간으로서 격납된다.
이 스텝 133에서 1h(1시간)의 경과시간을 가동시간으로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에 적산하여 격납하면, 스텝 13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B 데이터」)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13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131로 돌아온다.
또한, 이 스텝 134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면, 8000h)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135에서, 표시부(5)에 점검을 장려하는 메시지를 점등하여, 스텝 131로 돌아온다.
이렇게 해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가 연속적으로 행하여져,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적산된 경과시간(「B 데이터」)을 계속 기록(로깅)한다.
유량계(변환기)는, 어떠한 원인(예를 들면, 사용자가 유량계측을 종료하거나, 기기의 이상에 의해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으로, 전원이 OFF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도 8의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에서의 스텝 127에서, 파워 OFF, 즉 전원 오프(OFF)의 신호가 발신되게 된다.
그러면, 도 8의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계시 시스템의 기본 플로우차트에서는, 스텝 130에서, 도 8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의 처리 플로우가 실행되고 있을 때, 스텝 127 및, 스텝 126에서 유량계(변환기)의 파워 OFF, 즉 전원 오프(OFF)의 신호가 발신되었는지의 여부, 즉, 파워 OFF 신호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127에서 유량계(변환기)의 파워 OFF 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스텝 130으로 돌아와, 도 9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의 처리 플로우의 실행을 계속한다.
또한, 스텝 127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OFF 신호를 검출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128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되었을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 실시간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12)에 격납한다.
도 10에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 오프(OFF)의 검출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먼저, 스텝 140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전원을 투입(ON)하면,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 오프(OFF)의 검출 플로우가 시작한다.
이 스텝 140에서 플로우가 시작되면, 먼저, 스텝 141에서,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되었을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 실시간의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스텝 141에서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의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읽어내면, 스텝 142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를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으로서 EEPROM(12)에 격납되어 있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경과 실시간의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스텝 142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하고,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전원 오프(OFF)의 검출 플로우를 종료한다.
도 11에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에러 로깅 플로우챠트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1의 에러 로깅 플로우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 기기의 동작 상태(알람, 얼러트 발생, 정지 및 자기 진단 결과 등)를 로깅(기록)할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스텝 150에서, 유량계(변환기)에 알람, 얼러트의 발생/해제, 자기 진단 실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텝 151에서, 이 유량계(변환기)의 이벤트 발생시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실시간을 읽어낸다.
이 스텝 151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실시간을 읽어내면, 스텝 152에서, 유량계(변환기)에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알람, 얼러트의 발생/해제, 자기 진단 실시 등)과 리얼타임클록 IC(RTC)(11)에 의한 계측 실시간을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 격납하고, 도 11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에러 로깅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에는,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OFF 시간도 격납된다. 이 전원 OFF 시간은, 전원 ON와 함께 유량계(변환기)의 전원 오프(OFF)된 때의 리얼타임클록 IC(RTC)(11)의 계시치인 실시간의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격납한다(도 10의 스텝 142 참조). 이 FeRAM(강유전체 메모리)(13)의 특정의 어드레스(「G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20건 격납할 수 있고, 21건째 이후의 신규 데이터는, 최초에 격납된 1건째의 데이터에 덮어쓰기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12에는, 도 1에 도시한 코리올리 유량계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CPU 회로(2)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회로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서, CPU(2) 회로에는, CPU(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CPU(20)에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20A,20B,20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CPU(20)에는, 온도계측 IC(21)가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CPU(20)에는, 버스 라인을 통하여 리얼타임클록 IC(RTC)(22)와,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23)과, 강유전체의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를 이용하여 정부(正負)의 자발분극을 1과 0에 대응시킨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인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이 접속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CPU(20)는, 도 2에 도시한 CPU(9)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CPU(20)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20A,20B,20C)는, 도 2에 도시한 CPU(9)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9A,9B,9C)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리얼타임클록 IC(RTC)(22)와, EEPROM(23)과,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CPU(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의 주요한 기능은, 데이터 로깅이며, 계시 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내장 배터리(백업 전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리얼타임클록 IC(RTC)(22)를 구비하고 있어도, 진성의 리얼타임의 계시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이용하여 계시를 실행하고 있다.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전원 ON으로부터, 0:00:00(0시00분00초)로부터 시작하여, 유량계(변환기)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계시를 계속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는, 무효로 된다.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변환기로의 전원 투입 후에, 미리 사용자가 현실의 연월일과 실시간(시분초)을 설정하여 계시(유량계)를 시작한다. 이는 상기 시작으로부터 전원 OFF 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로 이행될 때까지의 계시를 계속하는 것이다.
이 2개의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 툴 등을 이용하여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EEPROM(23)과,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에는, 상이한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EEPROM(23)에는,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라 칭한다)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라 칭한다)를 격납한다.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에는, 유량계(변환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라 칭한다)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라 칭한다)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라 칭한다)와, 밀폐된 유량계 (변환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H 데이터」라 칭한다)와, 실시간 초기설정치(「Z 데이터」라 칭한다)를 격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은, 유량계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과, 내기의 온도를 감시·로깅하는 기능과, 유량계의 가동시간을 계시하는 기능과, 전원 투입 직후의 순간 정전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유량계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이들 기능중에서, (1) 유량계 상태 로깅기능, (2) 가동시간 계시기능, (3) 전원 이상 투입 검출기능, (4)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5) 가동시간 계시기능의 5가지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는, (6)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6)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
이는,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를 감시하여, 그 온도를 로깅 하는 기능으로, 다음의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량계(변환기)를 기동한 후, 정기적으로 온도계측 IC(21)의 검출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와 함께, 내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내기 온도 로깅 데이터를 「H 데이터」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에 기록(로깅)한다. 이 기록(로깅)과 함께, 샘플 온도에 대해서 상한치, 하한치를 마련하여 기록(로깅)한 내기의 온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 결과를 기록(로깅)하는 동시에, 판정 결과가 NG인 경우, 표시부(5)에 표시한다.
또한, 선택 옵션으로서, 내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에 실시간 스탬프를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에서 온도계측 IC (21)의 검출 데이터가 어느 문턱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 워밍업 시간 시간중 표시 기능을 정지한다.
도 13에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3의 내기 온도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 내기 온도)를 감시하고, 이 내기 온도 데이터를 로깅(기록)하여,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이상으로 된 때에 이상 메시지(경고)를 보낼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3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는,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적(예를 들면, 10분마다)으로 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스텝 200에서, 도 13에 도시한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가 시작되면, 스텝 201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스텝 201에서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내면, 스텝 20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22)의 계시치를 읽어낸다.
이 스텝 20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22)의 계시치를 읽어내면, 스텝 203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경과시간(「B 데이터」)을 읽어낸다. 이 스텝 203에서 경과시간(「B 데이터」)을 읽어내면, 스텝 204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22)의 계시치에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읽어낸 경과시간(「B 데이터」)을 가산하여, 유량계(변환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을 산출한다.
이 스텝 204에서의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 시간은, 리얼타임클록 IC(RTC)(22)에 설정되어 있는 00년 1월 1일, 0:00:00(0시00분00초)의 시각중, 연월일시까지를 버리고 연산한다. 즉, 리얼타임클록 IC(RTC)(22)의 계시 시간은, 00:00(00분00초)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스텝 204에서 유량계(변환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을 산출하면, 스텝 205에서, 유량계(변환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05에서 유량계(변환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중임이 판정되면, 스텝 208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205에서 유량계(변환기)는 워밍업중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스텝 206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06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스텝 207에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이상임을 나타내는 이상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또한, 이 스텝 206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인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08에서, 온도계측 IC(21)의 검출 데이터와, 리얼타임클록 IC(RTC)(22)의 계시치에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읽어낸 경과시간(「B 데이터」)을 가산하여,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H 데이터」)에 격납한다.
이 스텝 208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H 데이터」)에 격납하면, 스텝 209에서, CPU(20)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을 셋팅한다. 이 스텝 209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들어가면, 스텝 210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가 시작된다.
이 스텝 210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가 시작되면, 스텝 211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본 실시예에서는, 10분마다 인터럽팅 신호가 발생한다)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11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이 스텝 211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10분마다)이 발생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201로 돌아와, 온도계측 IC (21)의 검출 데이터를 읽어내고, 스텝 202 ~ 스텝 211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에 대해서, 도 14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차트는, 유량계(변환기)를 시작한(기동한) 직후는, 유량계(변환기) 그 자체가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검출 데이터에 오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유량계(변환기)를 시작한(기동한) 직후의 검출 데이터는, 그 데이터를 이용할 때, 충분히 고려할 것을 사용자에게 환기시키기 위해,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할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는, 스텝 220에서, 전원 ON에 의해 시작된다. 이 스텝 220에서 전원 ON에 의해서 시작되면, 스텝 221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온도계측 IC (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스텝 221에서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내면, 스텝 222에서, 검출된 온도계측 IC(21)의 계측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50℃)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22에서 온도계측 IC(21)에 의해서 검출된 계측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50℃)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도 14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 표시 기능 기본 플로우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 222에서 온도계측 IC(21)에 의해 검출된 계측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50℃)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23에서,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이 스텝 223에서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하면, 스텝 224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인터럽팅이 일정시간마다 걸리도록(본 실시예에서는, 20분마다 인터럽팅 신호가 발생하도록) 셋팅한다.
그리고, 이 스텝 224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일정시간마다(본 실시예에서는, 20분마다)의 인터럽팅을 셋팅하면, 스텝 225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 (20C)를 시작시킨다.
이 스텝 225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가 시작되면, 스텝 226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인터럽팅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26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인터럽팅이 발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이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인터럽팅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이 스텝 226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C)에 인터럽팅이 발생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227에서,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는 워밍업 기간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소등하고, 도 14에 도시한 워밍업 기간중 표시기능 기본 플로우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에 대해서, 도 15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내기 온도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차트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를 감시하여, 이 내기 온도 데이터를 로깅(기록)하고,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이상(異常)으로 되었을 때 이상 메시지(경고)를 보낼 때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5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는,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적(예를 들면, 10분마다)으로 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스텝 230에서, 도 15에 도시한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에서의 내기 온도의 감시 기능의 기본 플로우가 시작되면, 스텝 231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스텝 231에서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를 읽어내면, 스텝 23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 실시간을 읽어낸다.
이 스텝 232에서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 실시간을 읽어내면, 스텝 233에서, 유량계(변환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33에서 유량계(변환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중인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36으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233에서 유량계(변환기)는 워밍업중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34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34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35에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이상임을 나타내는 이상 메시지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또한, 이 스텝 234에서 밀봉된 유량계(변환기)의 내부의 온도(내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인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236에서, 온도계측 IC(21)의 검출(계측 온도) 데이터와,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 실시간을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H 데이터」)에 격납한다.
이 스텝 236에서 FeRAM(강유전체 메모리)(24)의 특정의 어드레스(「H 데이터」)에 격납하면, 스텝 237에서, CPU(20)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을 셋팅한다. 이 스텝 237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들어가면, 스텝 238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가 시작된다.
이 스텝 238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가 시작하면, 스텝 239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본 실시예에서는, 10분마다 인터럽팅 신호가 발생한다)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239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이 스텝 239에서 내부 타이머 카운터(20B)에 인터럽팅(10분마다)이 발생했다고 판정되면, 스텝 231로 돌아와, 온도계측 IC(21)의 검출 데이터를 읽어내어 스텝 232 ~ 스텝 239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색이 있다.
(1) 본 시스템에는,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가 있다.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미리 사용자가 전원 투입(ON) 후에 유량계에 실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실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로깅 등에 부여되는 타임 스탬프를 발행한다.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는, 전원 투입(ON)과 동시에 제로로부터 시작하여, 경과시간으로 타임 스탬프를 발행한다.
(2) 본 시스템은, 기기의 동작 상태(알람, 얼러트 발생, 정지 및 자기 진단 결과등)를 로깅한다.
(3) 본 시스템은, 기기 전원 투입(ON)∼오프(OFF)까지의 시간을 감시하여, 전원 이상(단시간 전원 ON) 횟수의 기록을 행한다.
(4) 본 시스템은, 기기 전원 투입(ON)∼오프(OFF)까지의 시간 기록을 누적하고, 문턱치를 설정하여, 설정 문턱치에 도달한 경우, 점검 추장 시기 메시지를 발령한다.
(5) 전원 투입(ON) 직후의 워밍업 기간중에는, 표시기에 의해 그 요지를 표시한다.
(6) 본 시스템은, 기기 내기 온도를 온도 센서로 계측 감시하고, 이 데이터를 로깅한다. 또한 온도 이상에 따라 표시기에 경고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에 납입한 후의 서비스 메인터넌스 업무에 참고 데이터(트러블 슈팅시의 참고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납입 직후부터를 기기 가동시간으로 하고 있으며, 복수 납입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각 기기마다, 더 구체적으로 가동시간을 알 수 있으며, 보전(保全)의 타이밍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유량계의 사용 온도의 범위를 감시하는 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전회(前回) 전원 투입(ON) 시에 전원 이상이 있었다는 취지의 경고를 발령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백업 전지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 교환의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워밍업 기간중이라는 취지를 고지(告知)할 수 있어, 적절한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

Claims (29)

  1.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를,
    복수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센서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피측정물의 계측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 CPU와,
    상기 계측기의 기동(ON)·정지(OFF)를 행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CPU에 입력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 상기 CPU에서 상기 피측정물의 계측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시간을 계측하는 리얼타임클록 IC(RTC)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EEPROM과,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의해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를 격납하며, 이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CPU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격납하는 FeRAM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와 FeRAM는,
    상기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 혹은 연산 결과를 퇴피(退避)하는 타이밍, 데이터, 혹은 연산 결과를 퇴피하는 빈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계측기의 가동시간의 누계로부터, 이 계측기에 사용되고 있는 구성부품의 추장(推奬) 교환 시기, 혹은 상기 계측기의 보수·점검 시기의 도래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logging)하는 기능과, 계측기의 가동시간을 계시(計時)하는 기능과, 전원 투입 직후의 순간 정전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계측기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인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CPU에 접속되고, 상기 계측기의 밀폐된 상자체 내에 수납되며, 상기 계측기의 내기(內器)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 IC를 설치한 것인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에는,
    내기의 온도를 감시·로깅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인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은,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발생마다, 경과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FeRAM에,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동시에,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를 합하여 이벤트 로깅 데이터(「G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제1 기능과,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발생 이벤트 중 하나인 전원 오프(OFF)된 (경과) 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전원 오프(OFF)시에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의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를 「A 데이터」로서 상기 EEPROM에 기록하는 제2 기능과,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의 선택 옵션으로서, 실연월일, 실시간을 대응시켜 「G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하는 제3 기능과,
    옵션 기능으로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OFF)시, 실시간 타임 스탬프로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를 「F 데이터」로서 상기 EEPROM에 기록하는 제4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시간 계시기능은,
    상기 계측기의 가동시간을 계시하는 기능으로,
    상기 계측기를 기동한 직후부터 가동시간(경과시간)을 누적하기 위해, 상기 CPU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에 의해 1h마다 계시한 가동시간 계시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로깅)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이상 투입 검출기능은,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순간 정전(OFF)됨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으로,
    상기 계측기 기동 직후(전원 투입 직후)부터 순간 정전(OFF)까지의 누적 시간을 빼어, 그것이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일 경우, 전원 이상으로 간주하여, 전원 이상 발생 횟수인 전원 이상 투입 검출 데이터를 「D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로깅)하고, 이 전원 이상 투입 검출정보를 상기 계측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밍업 시간표시기능은,
    상기 계측기가,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으로,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투입(ON)한 때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상기 CPU에 내장되는 내부 타이머 카운터로 계시하고, 일정한 기간내, 상기 계측기의 표시부에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은,
    상기 상자체에 밀봉된 계측기의 내부의 온도를 감시하여, 그 온도를 로깅하는 기능으로,
    상기 계측기를 기동한 후, 정기적으로 상기 온도계측 IC의 검출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와 함께, 내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를 「H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로깅)하는 동시에, 샘플 온도에 대해 상한치, 하한치를 마련하여 기록(로깅)한 내기의 온도를 판정하는 동시에, 판정 결과가 NG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는,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eRAM는,
    상기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와, 밀폐된 계측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H 데이터」)와, 실시간 초기 설정치(「Z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5. 유량계나 온도계, 압력계, 분석계(밀도계, 농도계) 등의 계측기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피계측 유체의 질량 유량 또는 밀도를 얻는 계측기를 밀봉하는 상자체에 수납하여 이루어진 코리올리 유량계이며,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를,
    복수의 내부 타이머 카운터를 구비하여,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플로우 튜브의 고유의 진동수와 동일한 교번(交番) 구동의 주파수로 이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켜, 이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에 비례한 위상차 또는 진동 주파수를, 전자 픽오프(electromagnetic pick-off)에 의해 검출하여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 CPU와,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의 기동(ON)·정지(OFF)를 행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플로우 튜브에 코일과 마그넷의 조합에 의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이 플로우 튜브를 교번 구동시킴으로써, 플로우 튜브에 발행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CPU에 입력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입력 데이터, 상기 CPU에서 상기 플로우 튜브에 발생하는 코리올리의 힘에 기초하여 연산해서 구한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시간을 계측하는 리얼타임클록 IC(RTC)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EEPROM와,
    상기 CPU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고, 이 CPU에 의해서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를 격납하며, 이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CPU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격납하는 FeRAM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계측기의 가동시간의 누계로부터, 이 계측기에 사용되고 있는 구성부품의 추장(推奬) 교환 시기, 혹은 상기 계측기의 보수·점검 시기의 도래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logging)하는 기능과, 계측기의 가동시간을 계시(計時)하는 기능과, 전원 투입 직후의 순간 정전에 의한 전원 이상을 검출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계측기가 워밍업 기간중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인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CPU에 접속되고, 상기 계측기의 밀폐된 상자체 내에 수납되며, 상기 계측기의 내기(內器)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 IC를 설치한 것인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1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의 상태를 로깅하는 기능은,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발생마다, 경과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FeRAM에,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를 「B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동시에,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를 합하여 이벤트 로깅 데이터(「G 데이터」)로서 로깅하는 제1 기능과,
    계측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발생 이벤트 중 하나인 전원 오프(OFF)된 (경과) 시간의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해, 전원 오프(OFF)시에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의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를 「A 데이터」로서 상기 EEPROM에 기록하는 제2 기능과,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기록(로깅)하는 기능의 선택 옵션으로서, 실연월일, 실시간을 대응시켜 「G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하는 제3 기능과,
    옵션 기능으로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OFF)시, 실시간 타임 스탬프로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의 계시치를 「F 데이터」로서 상기 EEPROM에 기록하는 제4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온도 감시·로깅기능은,
    상기 상자체에 밀봉된 계측기의 내부의 온도를 감시하여, 그 온도를 로깅하는 기능으로,
    상기 계측기를 기동한 후, 정기적으로 상기 온도계측 IC의 검출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와 함께, 내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를 「H 데이터」로서 상기 FeRAM에 기록(로깅)하는 동시에, 샘플 온도에 대해 상한치, 하한치를 마련하여 기록(로깅)한 내기의 온도를 판정하는 동시에, 판정 결과가 NG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는,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는,
    경과시간 퇴피 데이터(「A 데이터」)와, 경과 실시간 퇴피 데이터(「F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FeRAM는,
    상기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와, 밀폐된 계측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H 데이터」)와, 실시간 초기 설정치(「Z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FeRAM는,
    상기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와, 밀폐된 계측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H 데이터」)와, 실시간 초기 설정치(「Z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FeRAM는,
    상기 계측기의 운전 시간의 합계 시간인 운전경과시간(누적 시간) 데이터(「B 데이터」)와,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전원 이상 발생 횟수 데이터(「D 데이터」)와, 경고를 보내는 메시지인 얼러트, 주의를 환기하는 경보인 알람 발생/해제, 자기 진단 결과, 전원 OFF 시간을 로깅하는 데이터(「G 데이터」)와, 밀폐된 계측기 내의 온도를 계측하여 기록하는 내기 온도 로깅데이터(「H 데이터」)와, 실시간 초기 설정치(「Z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2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클록 IC(RTC)는,
    경과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와, 실시간 타임 스탬프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각 모드별로 계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KR1020117025485A 2009-10-09 2010-10-04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KR101340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5787 2009-10-09
JP2009235787A JP4842359B2 (ja) 2009-10-09 2009-10-09 計測器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PCT/JP2010/067711 WO2011043450A1 (ja) 2009-10-09 2010-10-04 計測器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18A KR20120011018A (ko) 2012-02-06
KR101340145B1 true KR101340145B1 (ko) 2013-12-10

Family

ID=4385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485A KR101340145B1 (ko) 2009-10-09 2010-10-04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62434B2 (ko)
EP (1) EP2407757B1 (ko)
JP (1) JP4842359B2 (ko)
KR (1) KR101340145B1 (ko)
CN (1) CN102575947A (ko)
SG (1) SG175024A1 (ko)
TW (1) TWI444912B (ko)
WO (1) WO2011043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9563B2 (ja) * 2011-07-25 2016-03-22 株式会社 堀場アドバンスドテクノ 水質分析計、水質分析計用管理装置、水質分析計用プログラム、水質分析計用管理プログラム及び水質分析システム
JP2013115726A (ja) * 2011-11-30 2013-06-10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US10495014B2 (en) 2011-12-29 2019-12-03 Ge Global Sourc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est details of an engine control test
AU2012362593B2 (en) * 2011-12-29 2016-02-04 Ge Global Sourcing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365762A (zh) * 2012-04-06 2013-10-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服务器及其记录环境参数的方法
USD800739S1 (en) 2016-02-16 2017-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test details of an engine control test
CN106448017A (zh) * 2016-10-09 2017-02-22 四川赛科安全技术有限公司 记录火灾报警控制器关机和复位时间的系统及其实现方法
US11196359B2 (en) * 2018-05-11 2021-12-07 Micro Motion Inc. Supervisory monitor for energy measurement
JP7117948B2 (ja) * 2018-09-05 2022-08-15 アズビル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8129590A1 (de) * 2018-11-23 2020-05-28 Endress + Hauser Wetzer Gmbh + Co. Kg Feldgerät mit prozessspezifischer Zustandsüberwachung
JP7251263B2 (ja) * 2019-03-28 2023-04-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測定機器
CN112087277B (zh) * 2020-07-06 2023-05-23 宁波三星医疗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电池异常的电力采集终端时间对时测试验证方法
CN114489816B (zh) * 2021-12-22 2024-05-14 瑞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定时器装置和提供定时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157A (ja) * 1993-12-08 1995-06-2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21393A (ja)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データ蓄積装置
JP2004138541A (ja) 2002-10-18 2004-05-13 Yazaki Corp 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028A (ja) * 1984-10-29 1986-05-2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遠赤外線ヒ−タ加湿器
JP2714091B2 (ja) * 1989-01-09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ィールド計器
US5463905A (en) * 1993-02-23 1995-11-07 Baird; James D. Portable non-invasive flowmeter for partially filled pipe
JP3292658B2 (ja) * 1996-04-05 2002-06-17 株式会社新興製作所 停電時間検知装置
US6546811B2 (en) * 1997-09-24 2003-04-15 Bechtel Bwxt Idaho, Llc Multiphase flow calculation software
JP4373511B2 (ja) * 1998-11-17 2009-11-25 Hoya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6513392B1 (en) * 1998-12-08 2003-02-04 Emerson Electric Co. Coriolis mass flow controller
JP2000181583A (ja) * 1998-12-16 2000-06-30 Shinko Seisakusho Co Ltd 瞬断検出装置
JP2002016947A (ja) * 2000-06-27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機器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2002230200A (ja) * 2001-02-06 2002-08-16 Shimadzu Corp 分析機器保守システム
JP4309803B2 (ja) 2004-05-17 2009-08-05 株式会社東芝 保守支援プログラム
JP2006195502A (ja) * 2005-01-11 2006-07-27 Teruya:Kk センサ入力機能付きバッテリーレス型rfidセンサ
US7236835B2 (en) * 2005-05-24 2007-06-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Remote maintenance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enter device
CN1794124A (zh) * 2005-11-04 2006-06-28 刘宗明 无人维护系统
CN101110163A (zh) * 2006-07-17 2008-01-23 李貌 具有gsm网络接入功能的汽车行驶记录仪及中心监控软件
JP4964273B2 (ja) 2009-05-07 2012-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処理施設の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157A (ja) * 1993-12-08 1995-06-2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21393A (ja)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データ蓄積装置
JP2004138541A (ja) 2002-10-18 2004-05-13 Yazaki Corp 流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42359B2 (ja) 2011-12-21
TWI444912B (zh) 2014-07-11
EP2407757B1 (en) 2015-09-16
KR20120011018A (ko) 2012-02-06
TW201137769A (en) 2011-11-01
WO2011043450A1 (ja) 2011-04-14
CN102575947A (zh) 2012-07-11
EP2407757A4 (en) 2012-06-06
US20120029876A1 (en) 2012-02-02
JP2011080968A (ja) 2011-04-21
EP2407757A1 (en) 2012-01-18
SG175024A1 (en) 2011-11-28
US8862434B2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145B1 (ko) 계측기에서의 메인터넌스 엑스퍼트 시스템
US20140216945A1 (en) Passive water heater anode rod depletion sensor algorithm
US8994552B2 (en) MEMS utility meters with exchangeable metrology unit
JP4110908B2 (ja) ガス遮断装置
EP3008429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processing fuel meter measurements
JP3381835B2 (ja) 電子式ガス計量装置
EP3872456A1 (en) Rotary gas meter work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a rotary gas meter having a rotary gas meter work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3322939B2 (ja) プロセス計装ラック
JP3866975B2 (ja) ガスメータ及びガスメータの検査方法
JP2000215366A (ja) 水道管漏水監視装置
KR102190244B1 (ko) 외부 자력에 의한 부정사용 체크 및 알람 기능을 갖는 전자식 가스계량기
JP6125320B2 (ja) ガス漏れ警報器
JP2009186300A (ja) ガスメータ診断装置、該ガスメータ診断装置を備えたガスメータ、及びガスメータ診断方法
KR100894184B1 (ko) 적산계량기의 원격표시장치
KR100471959B1 (ko) 광역상수도 요금고지용 전기식 수도계량기의 정지시간 누적계측장치
JP4949922B2 (ja) ガスメータ
JP2003130705A (ja) 計測機器制御装置
JP2002181606A (ja) ガスメータ
JP2002181595A (ja) 流量計測装置および流量計測装置用表示ユニット
JP2008309616A (ja) 流量計
JP2784405B2 (ja) ガス配管漏洩検査装置
JPH1196490A (ja) 計量器
JP2007256199A (ja) 集中検針装置
JP2001065864A (ja) ガス保安装置
JPH06345200A (ja) タンクの受払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