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952B1 - 학습 보조기 - Google Patents

학습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952B1
KR101338952B1 KR1020120079377A KR20120079377A KR101338952B1 KR 101338952 B1 KR101338952 B1 KR 101338952B1 KR 1020120079377 A KR1020120079377 A KR 1020120079377A KR 20120079377 A KR20120079377 A KR 20120079377A KR 101338952 B1 KR101338952 B1 KR 101338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ed
content
mask screen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상복
Original Assignee
길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상복 filed Critical 길상복
Priority to KR102012007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제1컨텐츠와,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창을 통해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복수의 창을 통해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제2컨텐츠가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학습 보조기{Learn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어 지문과 이에 대한 해석과 같이 일정한 내용과 이에 대응되는 내용이 함께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영어, 수학 등 일반적인 학습 컨텐츠의 경우 물음과 응답으로 내용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영어 단어장의 경우 영문으로 단어가 나오고, 그 옆이나 아래에 한글로 뜻이 나타나 있는 경우가 많으며, 독해학습지의 경우 한 문단이 나오고 그에 대한 해석이 잇달아 나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사람이 영어로 대화를 하는 경우 물음과 답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는 서로 대응되는 내용들이 교대로 기재되어 이다.
학생들은 문제는 볼 수 있고 답은 가린 상태에서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답을 결정한 후, 정답란을 열어서 자신이 생각한 답이 정답인지를 확인한다. 다만, 문제와 답이 교대로 나오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일정한 내용에 대한 대응되는 내용이 번갈아 기재되어 있는 컨텐츠를 볼 때에는 상기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열람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나 필통과 같은 학습도구를 이용하여 답을 가린 상태로 컨텐츠를 학습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문답이 번갈아 기재되어 있는 학습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하게 고안된 학습 보조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학습 보조기에 대한 개발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내용과 이에 대하여 대응되는 내용이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거나 또는 양옆에 배치되어 있는 학습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학습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제1컨텐츠와, 상기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상기 창을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 또는 중공형의 삽입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삽입핀 또는 삽입관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관 또는 끼움핀을 더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이 상기 끼움관 또는 끼움핀으로부터 이탈되기 전에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제1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는 제1자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자력에 의하여 위치고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학습컨텐츠의 일측에는 낱장의 페이퍼를 묶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바인더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바인더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와 마스크 스크린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자석과 부착되는 제2자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3자석과 부착되는 제3자성부재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학습컨텐츠는 비닐에 컨텐츠가 기재된 시트를 끼워넣을 수 있는 복수의 클리어파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된 클리어파일의 일측에는 적층되어 상기 낱장의 클리어 파일이 적층된 학습컨텐츠를 바인딩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인더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학습컨텐츠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상기 스프링과의 부착을 위한 제4자석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학습컨텐츠 낱장의 클리어파일이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학습컨텐츠와 밀착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학습컨텐츠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보호덮개의 전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창이 마련되어 상기 보호창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으로 구현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보호창에 회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서로 대응되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학습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학습보조기를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1위치에 놓인 상태이며 (b)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2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 케이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평면도로서 (a)와 (b)는 학습 컨텐츠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위치시켰을 때의 상태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마스크 스크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학습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는 학습컨텐츠(c)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학습컨텐츠(c)는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형태의 프린트물이나 노트 또는 전자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한다.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는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영어 문장이나 수학 문제가 제1컨텐츠(a)이고 이에 대한 해석이나 수학문제에 대한 해답이 제2컨텐츠(b)가 될 수 있다. 또는 2명이 영어 대화를 할 때 한 명의 대화 내용이 제1컨텐츠(a)가 되고 다른 한 명의 대화 내용이 제2컨텐츠(b)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반드시 문제와 답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대응관계가 있는 모든 컨텐츠가 위와 같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학습컨텐츠(c)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 제1실시예)는 케이스(10), 마스크 스크린(30), 커버(5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학습컨텐츠(c)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학습컨텐츠(c)는 복수의 종이가 스프링으로 바인딩되어 있는 스프링노트이다. 스프링노트의 스프링은 종이들보다 두꺼우므로 스프링노트가 수평하게 놓이지 않고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제1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의 바닥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의 홈부(1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노트의 스프링 부분이 이 홈부(12)에 들어감으로써 스프링노트는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놓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노트가 모든 종이의 앞면만을 보이게해서 사용한다면 홈부(12)는 케이스(10)의 어느 일측에만 있으면 되지만, 종이의 뒷면도 보이게 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프링노트를 거꾸로 뒤집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홈부(12)는 케이스(10)의 바닥면 양측에 형성된다.
마스크 스크린(30)은 상하방향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는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교대로 놓인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케이스(10)에 결합된다. 마스크 스크린(3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폭 간격으로 복수의 창(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위치에 놓일 때에는 제1컨텐츠(a)들이 복수의 창(31)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고 제2컨텐츠(b)는 마스크 스크린(30)에 가려서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거꾸로, 마스크 스크린(3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에 놓일 때에는 제2컨텐츠(b)들이 복수의 창(31)에 의하여 노출되고 제1컨텐츠(a)는 마스크 스크린(30)에 가리게 된다. 사용자는 마스크 스크린(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를 번갈아 가면서 보면서 학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마스크 스크린(30)은 케이스(10)에 삽입핀(13)과 삽입관(32)에 의하여 상하 왕복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컨텐츠의 배치방향)을 따라 삽입핀(13)이 결합되며, 마스크 스크린(30)의 일측에는 삽입핀(13)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끼움관(32)이 결합된다. 삽입핀(13)과 끼움관(32)은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 배치된다.
끼움관(32)을 통해 삽입핀(13)이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핀(13)은 끼움관(32)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스크린(30)은 삽입핀(13)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스크린(30)은 삽입핀(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학습을 하는 도중, 마스크 스크린(30)이 삽입핀(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다시 마스크 스크린(30)을 끼워야 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삽입핀(13)과 끼움관(3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즉,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면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케이스(10)의 상단에 막혀 이동거리가 제한되지만,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단에 막히기 전에 삽입핀(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해야 한다. 따라서 삽입핀(13)에 끼움관(32)이 끼워지는 길이가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상단에 막힐 때까지의 이동거리보다 크게 제조함으로써 케이스(10) 내부에서 마스크 스크린(30)이 삽입핀(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마스크 스크린(30)을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을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외부에 놓인 상태가 되면 마스크 스크린(30)은 케이스(10)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핀(13)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거나 다시 끼워질 수 있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에 삽입핀(13)이 결합되고 마스크 스크린(30)에 끼움관(32)이 결합된다고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꾸로 삽입핀이 마스크 스크린(30)에 마련되고 끼움관이 케이스(30)에 설치되어도 된다. 청구항 제2항 및 제3항에서는 삽입핀(13)과 동일한 구성이 마스크 스크린(30)에 설치되는 경우를 끼움핀으로 명명하였고, 끼움관(32)과 동일한 구성이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삽입관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삽입핀과 삽입관을 이용하여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통의 힌지 결합과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회동 및 상하이동만 가능한 형태로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에 학습컨텐츠(c)를 넣은 상태에서 케이스(10)를 수직하게 세우거나 경사지게 배치하면 마스크 스크린(30)이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마스크 스크린(30)을 상측에 위치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일정 시간 학습을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상측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스크린(30)의 상부에는 제1자석(33)이 결합되고,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제1자성부재(14)가 결합된다. 이에 마스크 스크린(3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자석(33)과 제1자성부재(14)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마스크 스크린(30)의 하방 이동이 방지된다. 역으로, 제1자석이 케이스(10)에, 제1자성부재가 마스크 스크린(30)에 결합되어도 된다.
한편, 커버(50)는 케이스(1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케이스(10)와 커버(50)는 2개의 경첩(51)에 의하여 결합되어, 커버(50)는 경첩(5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커버(50)는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버(5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측을 볼 수 있다.
또한, 커버(50)의 중앙부에는 제2자석(52)이 결합되며 마스크 스크린(30)에는 제2자성부재(34)가 결합되어 커버(50)와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역으로, 제2자석이 마스크 스크린에 결합되고 제2자성부재가 커버에 결합되어도 된다. 이렇게 커버(50)와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커버(50)를 열면서 마스크 스크린(30)도 함께 오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50)와 케이스(10)도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된다. 커버(50)와 케이스(10)의 모서리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15)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3자성부재(53)이 결합되어 커버(50)와 케이스(1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10)의 하부와 측부에는 각각 절개부(16,17)가 마련된다. 이 절개부(16,17)는 케이스(10)를 절개하여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50)를 여닫을 때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마스크 스크린(30) 하부에 마련된 손잡이(35)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의 사용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위치에 놓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학습컨텐츠의 제1컨텐츠가 복수의 창(31)에 의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해 케이스(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를 세우는 경우에도 마스크 스크린(30)이 하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마스크 스크린(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도 3의 (b)와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30)의 하단에 접촉되며 이 상태에서는 복수의 창(31)을 통해 제2컨텐츠(b)가 노출되며 제1컨텐츠(a)는 가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학습컨텐츠(c)가 스프링 노트 형태를 채용한 것이었으나, 후술할 제2실시예에서는 학습컨텐츠(c)가 일명 클리어 파일로서 스프링에 의해 바인딩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 케이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평면도로서 (a)와 (b)는 학습 컨텐츠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위치시켰을 때의 상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서 채용하는 학습컨텐츠(c2)는 비닐 소재로 내부에 시트를 끼울 수 있는 클리어파일(f)이 스프링(s)에 의해 바인딩되어 있고, 클리어파일(f)에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인쇄지(p)가 끼워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200)의 경우 클리어파일(f)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만 제1실시예와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서 상이한 점은 클리어파일(f)은 종이를 스프링으로 바인딩한 스프링노트와 달리 좌우로 잘 유동된다는 점이다. 이에 제2실시예에서는 클리어파일(f)을 스프링(s)으로 바인딩한 학습컨텐츠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4자석(18)과 스토퍼(19)가 구비된다.
즉, 케이스(10)의 양쪽 내측면에는 각각 제4자석(18)을 부착하였다. 제4자석(18)은 주로 철재로 만들어진 스프링(s)을 자력에 의하여 부착시켜 학습컨텐츠(c)를 위치고정 시킨다. 또한, 제4자석(18)에 의해 스프링(s)이 고정된 경우에도 낱장의 클리어파일(f)은 밀려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케이스(10)의 양쪽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클리어파일(f)의 비닐 시트에 밀착되는 스토퍼(1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학습컨텐츠(c)는 종이 노트나 클리어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태블릿 PC 등 전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전자장치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제3실시예에서는 아이패드와 같은 전자장치가 학습컨텐츠로 제공되는 형태에 적합한 학습 보조기(300)가 제공된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300)에서는 케이스(10)에 아이패드 등의 전자장치가 수용되며, 이 전자장치에서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300)에서는 제1,2실시예와 달리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제3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40)가 마련된다. 보호덮개(40)는 프레임(41)이 투명재질의 보호창(42)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케이스(10)에 경첩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보호덮개(40) 위에 마스크 스크린(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스크 스크린(30)이 결합되는 위치만이 제1,2실시예와 상이하며 결합되는 방식은 완전히 동일하다. 그 외에 보호덮개(40)를 커버(50)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자석, 커버(50)를 케이스(10)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자석 등은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에서도 마련된다.
이상에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200,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앞의 실시예들에서는 마스크 스크린(30)의 형태가 일정하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 스크린이 채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마스크 스크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기본 형태로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창(31)이 텍스트 한 줄을 노출시키는 형태이다. (b) 및 (c) 형태는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37,38)이 형성된 점은 동일하지만, (a) 형태에 비하여 창(37)의 폭이 넓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b) 형태의 경우 창(37)에 2줄의 텍스트가 노출되며, (c) 형태에서는 창(38)에 3줄의 텍스트가 노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창들 사이에 가려지는 부분도 창(36,37)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d) 형태의 경우 창(39)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마스크 스크린(30)의 창(31,37~39)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학습컨텐츠(c)의 다양한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서로 대응되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 ... 학습 보조기 10 ... 케이스
11 ... 수용부 12 ... 홈부
13 ... 삽입핀 14 ... 제1자성부재
30 ... 마스크 스크린 31,37,38,39 ... 창
32 ... 끼움관 40 ... 보호덮개
50 .. 커버 52 ... 제2자석
53 ... 제3자석

Claims (14)

  1. 제1컨텐츠와, 상기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상기 창을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 또는 중공형의 삽입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삽입핀 또는 삽입관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관 또는 끼움핀을 더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삽입핀 또는 삽입관은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에 결합되는 끼움관 또는 끼움핀도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의 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이 상기 끼움관 또는 끼움핀으로부터 이탈되기 전에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제1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는 제1자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자력에 의하여 위치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의 일측에는 낱장의 페이퍼를 묶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바인더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바인더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마스크 스크린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자석과 부착되는 제2자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3자석과 부착되는 제3자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스크린 또는 커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와 측면부에는 각각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는 비닐에 컨텐츠가 기재된 시트를 끼워넣을 수 있는 복수의 클리어파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된 클리어파일의 일측에는 적층되어 상기 낱장의 클리어 파일이 적층된 학습컨텐츠를 바인딩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인더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학습컨텐츠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상기 스프링과의 부착을 위한 제4자석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학습컨텐츠 낱장의 클리어파일이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학습컨텐츠와 밀착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보호덮개의 전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창이 마련되어 상기 보호창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으로 구현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보호창에 회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호덮개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 또는 중공형의 삽입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호덮개에 결합된 삽입핀 또는 삽입관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관 또는 끼움핀을 더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보호덮개에 회동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KR1020120079377A 2012-07-20 2012-07-20 학습 보조기 KR101338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377A KR101338952B1 (ko) 2012-07-20 2012-07-20 학습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377A KR101338952B1 (ko) 2012-07-20 2012-07-20 학습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952B1 true KR101338952B1 (ko) 2013-12-09

Family

ID=4998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377A KR101338952B1 (ko) 2012-07-20 2012-07-20 학습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9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689A (ko) * 2004-12-21 2006-06-26 길상복 학습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689A (ko) * 2004-12-21 2006-06-26 길상복 학습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528B1 (en) Reusable writing table
US5599189A (en) Reusable learning aid
US6843009B2 (en) Lenticular folding card, card case, and book
US6884077B2 (en) Apparatus for math calculation and instruction
US20090068626A1 (en) Number writing development guide
KR101870495B1 (ko)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10133895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KR101338952B1 (ko) 학습 보조기
KR20090007598U (ko) 한글 학습교구
US11727825B2 (en) Braill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517553A (zh) 一种英语教学用书写练习装置
CN211827594U (zh) 一种英语单词挂板
US8540548B2 (en) Child's activity toy and disc dispenser therefor
US3381395A (en) Speed reading guide instrument
KR200467069Y1 (ko) 휴대용 암기장 및 학습 진도 체크 기능을 갖는 학습카드 수납용 학습 세트
US3780451A (en) Study device
CN209987639U (zh) 一种便于学习法语单词的教学教具
CN216388378U (zh) 一种学前教育教学卡片
JP6162093B2 (ja) 算数教習具
CN214396076U (zh) 一种多功能相册
CN210091396U (zh) 一种遮挡式英语单词手册
CN216423892U (zh) 基于树杈归纳方法的学生用纠错本
KR200470859Y1 (ko) 비전보드 및 비전보드용 홀더
CN211604457U (zh) 一种英汉互译教学展示装置
CN208491094U (zh) 一种高中数学用具多功能放置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