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953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8953B1 KR101338953B1 KR1020120079378A KR20120079378A KR101338953B1 KR 101338953 B1 KR101338953 B1 KR 101338953B1 KR 1020120079378 A KR1020120079378 A KR 1020120079378A KR 20120079378 A KR20120079378 A KR 20120079378A KR 101338953 B1 KR101338953 B1 KR 101338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screen
- case
- content
- learn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제1컨텐츠와,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배치되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창을 통해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복수의 창을 통해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제2컨텐츠가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제1컨텐츠와,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배치되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창을 통해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복수의 창을 통해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제2컨텐츠가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어 지문과 이에 대한 해석과 같이 일정한 내용과 이에 대응되는 내용이 함께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영어, 수학 등 일반적인 학습 컨텐츠의 경우 물음과 응답으로 내용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영어 단어장의 경우 영문으로 단어가 나오고, 그 옆이나 아래에 한글로 뜻이 나타나 있는 경우가 많으며, 독해학습지의 경우 한 문단이 나오고 그에 대한 해석이 잇달아 나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사람이 영어로 대화를 하는 경우 물음과 답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는 서로 대응되는 내용들이 교대로 기재되어 이다.
학생들은 문제는 볼 수 있고 답은 가린 상태에서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답을 결정한 후, 정답란을 열어서 자신이 생각한 답이 정답인지를 확인한다. 다만, 문제와 답이 교대로 나오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일정한 내용에 대한 대응되는 내용이 번갈아 기재되어 있는 컨텐츠를 볼 때에는 상기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열람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나 필통과 같은 학습도구를 이용하여 답을 가린 상태로 컨텐츠를 학습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문답이 번갈아 기재되어 있는 학습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하게 고안된 학습 보조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학습 보조기에 대한 개발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내용과 이에 대하여 대응되는 내용이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거나 또는 양옆에 배치되어 있는 학습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조가 개선된 학습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제1컨텐츠와, 상기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배치되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상기 창을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고정단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1힌지체와, 상기 제1힌지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체 및 상기 제2힌지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스크 스크린에 고정되는 제3힌지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좌우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3힌지체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힌지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 또는 중공형의 삽입관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삽입핀 또는 삽입관에 대응되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관 또는 끼움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이 상기 끼움관 또는 끼움핀으로부터 이탈되기 전에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제1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는 제1자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자력에 의하여 위치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와 마스크 스크린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자석과 부착되는 제2자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3자석과 부착되는 제3자성부재가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스크린 또는 커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와 측면부에는 각각 절개부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측에 결합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호 회동될 수 있는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학습컨텐츠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되고,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서로 대응되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맞게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학습컨텐츠의 규격에 무관하게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학습보조기를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1위치에 놓인 상태이며 (b)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2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학습보조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마스크 스크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학습보조기를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1위치에 놓인 상태이며 (b)는 마스크 스크린이 제2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학습보조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마스크 스크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학습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는 학습컨텐츠(c)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학습컨텐츠(c)는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형태의 프린트물이 적층되어 있는 형태 또는 전자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한다.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는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영어 문장이나 수학 문제가 제1컨텐츠(a)이고 이에 대한 해석이나 수학문제에 대한 해답이 제2컨텐츠(b)가 될 수 있다. 또는 2명이 영어 대화를 할 때 한 명의 대화 내용이 제1컨텐츠(a)가 되고 다른 한 명의 대화 내용이 제2컨텐츠(b)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반드시 문제와 답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대응관계가 있는 모든 컨텐츠가 위와 같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학습컨텐츠(c)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 제1실시예)는 케이스(10), 마스크 스크린(30), 커버(5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학습컨텐츠(c)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학습컨텐츠(c)는 복수의 종이가 적층된 형태가 사용된다.
마스크 스크린(30)은 상하방향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는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가 교대로 놓인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케이스(10)에 결합된다. 마스크 스크린(3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폭 간격으로 복수의 창(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위치에 놓일 때에는 제1컨텐츠(a)들이 복수의 창(31)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고 제2컨텐츠(b)는 마스크 스크린(30)에 가려서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거꾸로, 마스크 스크린(3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에 놓일 때에는 제2컨텐츠(b)들이 복수의 창(31)에 의하여 노출되고 제1컨텐츠(a)는 마스크 스크린(30)에 가리게 된다. 사용자는 마스크 스크린(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컨텐츠(a)와 제2컨텐츠(b)를 번갈아 가면서 보면서 학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학습컨텐츠(c)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높낮이 방향으로도 위치조절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는 제1힌지체(61)와 제2힌지체(62) 및 제3힌지체가 마련된다. 제1힌지체(61)는 고정단부(61a)와 자유단부(62b)로 이루어지며, 고정단부(61a)는 케이스(10)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61b)는 고정단부(61a)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힌지체(62)는 제1힌지체(61)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체(61)와 제2힌지체(62)는 경첩이 사용된다.
그리고 제3힌지체로는 삽입핀(13)과 끼움관(32)이 사용된다. 즉, 제2힌지체(62)에는 상하방향(컨텐츠의 배치방향)을 따라 삽입핀(13)이 결합되며, 마스크 스크린(30)의 일측에는 삽입핀(13)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끼움관(32)이 결합된다. 삽입핀(13)과 끼움관(32)은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 배치된다.
끼움관(32)을 통해 삽입핀(13)이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핀(13)은 끼움관(32)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스크린(30)은 삽입핀(13)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스크린(30)은 삽입핀(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체(61), 제2힌지체(62) 및 제3힌지체(13,32)를 사용함으로써, 마스크 스크린(30)은 학습컨텐츠(c)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두께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컨텐츠(c)가 프린트물이 적층되어 있는 형태이며, 프린트물은 낱장의 개수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마스크 스크린(30)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으면 마스크 스크린(30)과 학습컨텐츠(c) 사이에 간격이 벌어져서 효과적인 학습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제1힌지체(61)만을 사용하는 경우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지만, 힌지체의 회동구조로 인하여 높낮이가 변할 때 마스크 스크린(30)이 학습컨텐츠(c)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프린트물에 기재되어 있는 제1,2컨텐츠(a,b)가 복수의 창(31)을 통해 완전히 노출되지 않고 일부가 가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제2힌지체(62)를 제1힌지체(61)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학습컨텐츠(c)의 두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면서도, 학습컨텐츠(c)의 좌우방향을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제1,2컨텐츠(a,b)가 복수의 창(31)에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핀(13)과 끼움관(32)의 조합으로 된 제3힌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마스크 스크린(30)이 학습컨텐츠(c)의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학습컨텐츠(c)를 덮는 방향 및 오픈시키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한편,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학습을 하는 도중, 마스크 스크린(30)이 삽입핀(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다시 마스크 스크린(30)을 끼워야 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삽입핀(13)과 끼움관(3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즉,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면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케이스(10)의 상단에 막혀 이동거리가 제한되지만, 마스크 스크린(30)이 상단에 막히기 전에 삽입핀(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해야 한다. 따라서 삽입핀(13)에 끼움관(32)이 끼워지는 길이가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상단에 막힐 때까지의 이동거리보다 크게 제조함으로써 케이스(10) 내부에서 마스크 스크린(30)이 삽입핀(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마스크 스크린(30)을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을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외부에 놓인 상태가 되면 마스크 스크린(30)은 케이스(10)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핀(13)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거나 다시 끼워질 수 있다.
지금까지, 제1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에 삽입핀(13)이 결합되고 마스크 스크린(30)에 끼움관(32)이 결합된다고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꾸로 삽입핀이 마스크 스크린(30)에 마련되고 끼움관이 케이스(30)에 설치되어도 된다. 청구항 제2항 및 제3항에서는 삽입핀(13)과 동일한 구성이 마스크 스크린(30)에 설치되는 경우를 끼움핀으로 명명하였고, 끼움관(32)과 동일한 구성이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삽입관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삽입핀과 삽입관을 이용하여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통의 힌지 결합과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회동 및 상하이동만 가능한 형태로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에 학습컨텐츠(c)를 넣은 상태에서 케이스(10)를 수직하게 세우거나 경사지게 배치하면 마스크 스크린(30)이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마스크 스크린(30)을 상측에 위치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일정 시간 학습을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10)의 상측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스크린(30)의 상부에는 제1자석(33)이 결합되고,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제1자성부재(14)가 결합된다. 이에 마스크 스크린(3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자석(33)과 제1자성부재(14)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마스크 스크린(30)의 하방 이동이 방지된다. 역으로, 제1자석이 케이스(10)에, 제1자성부재가 마스크 스크린(30)에 결합되도 된다.
한편, 커버(50)는 케이스(1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케이스(10)와 커버(50)는 2개의 경첩(51)에 의하여 결합되어, 커버(50)는 경첩(5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커버(50)는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버(5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측을 볼 수 있다.
또한, 커버(50)의 중앙부에는 제2자석(52)이 결합되며 마스크 스크린(30)에는 제2자성부재(34)가 결합되어 커버(50)와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역으로, 제2자석이 마스크 스크린에 결합되고 제2자성부재가 커버에 결합되어도 된다. 이렇게 커버(50)와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커버(50)를 열면서 마스크 스크린(30)도 함께 오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50)와 케이스(10)도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된다. 커버(50)와 케이스(10)의 모서리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15)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3자성부재(53)이 결합되어 커버(50)와 케이스(1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10)의 하부와 측부에는 각각 절개부(16,17)가 마련된다. 이 절개부(16,17)는 케이스(10)를 절개하여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50)를 여닫을 때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마스크 스크린(30) 하부에 마련된 손잡이(35)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100)의 사용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위치에 놓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학습컨텐츠의 제1컨텐츠가 복수의 창(31)에 의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마스크 스크린(30)이 자력에 의해 케이스(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를 세우는 경우에도 마스크 스크린(30)이 하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마스크 스크린(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도 3의 (b)와 같이 마스크 스크린(30)이 케이스(30)의 하단에 접촉되며 이 상태에서는 복수의 창(31)을 통해 제2컨텐츠(b)가 노출되며 제1컨텐츠(a)는 가리게 된다. 도 3에서는 학습컨텐츠가 스프링 노트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낱장의 종이가 적층된 형태가 사용되며, 도면과 같이 스프링 노트 등 다른 형태의 학습컨텐츠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학습컨텐츠(c)가 프린트물을 적층시킨 형태를 채용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학습컨텐츠(c)가 아이패드와 같은 전자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에 아이패드 등의 전자장치가 수용되며, 이 전자장치에서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전자장치가 학습컨텐츠로 제공되는 경우,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보호덮개는 프레임이 투명재질의 보호창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케이스에 경첩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마스크 스크린은 보호 덮개 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스크 스크린이 배치되는 위치만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며 결합되는 방식은 완전히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500)에서는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와는 달리 위치조절부재(70)가 사용된다.
위치조절부재(70)가 채용된 제2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크린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학습보조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위치조절부재(70)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마스크 스크린(30)의 높낮이 및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앞의 제1실시예에서 제1,2힌지체(61,62)는 케이스(10)의 측부에 설치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재(70)는 케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위치조절부재(70)의 상단부는 케이스(10)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마스크 스크린(30)의 상측에 결합된다. 위치조절부재(70)는 휘어질 수 있으므로 높낮이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위치조절부재(7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지만,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어 각 마디들이 상호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다. 즉, 플라스틱 자체는 쉽게 구부러지지 않지만 복수의 분절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1,2,3힌지체의 조합을 통해,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이 가요성 소재로 된 위치조절부재(70)를 이용하여 마스크 스크린(30)의 높낮이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 마스크 스크린(30)의 두께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른 이동을 할 수 있는 구성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기(400,5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앞의 실시예들에서는 마스크 스크린(30)의 형태가 일정하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 스크린이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마스크 스크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기본 형태로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창(31)이 텍스트 한 줄을 노출시키는 형태이다. (b) 및 (c) 형태는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37,38)이 형성된 점은 동일하지만, (a) 형태에 비하여 창(37)의 폭이 넓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b) 형태의 경우 창(37)에 2줄의 텍스트가 노출되며, (c) 형태에서는 창(38)에 3줄의 텍스트가 노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창들 사이에 가려지는 부분도 창(36,37)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d) 형태의 경우 창(39)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마스크 스크린(30)의 창(31,37~39)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학습컨텐츠(c)의 다양한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서로 대응되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0,500 ... 학습 보조기 10 ... 케이스
13 ... 삽입핀 14 ... 제1자성부재
30 ... 마스크 스크린 31,37,38,39 ... 창
32 ... 끼움관 50 .. 커버
52 ... 제2자석 53 ... 제3자석
61 ... 제1힌지체 62 ... 제2힌지체
70 ... 위치조절부재
13 ... 삽입핀 14 ... 제1자성부재
30 ... 마스크 스크린 31,37,38,39 ... 창
32 ... 끼움관 50 .. 커버
52 ... 제2자석 53 ... 제3자석
61 ... 제1힌지체 62 ... 제2힌지체
70 ... 위치조절부재
Claims (11)
- 제1컨텐츠와, 상기 제1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기재되어 있는 학습컨텐츠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학습컨텐츠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배치되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창이 형성되어 상기 창을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볼 수 있는 마스크 스크린;을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상기 제1컨텐츠가 노출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을 하측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고정단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1힌지체와, 상기 제1힌지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체 및 상기 제2힌지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스크 스크린에 고정되는 제3힌지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좌우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체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힌지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 또는 중공형의 삽입관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삽입핀 또는 삽입관에 대응되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관 또는 끼움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체에 결합되는 삽입핀 또는 삽입관은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에 결합되는 끼움관 또는 끼움핀도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의 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이 상기 끼움관 또는 끼움핀으로부터 이탈되기 전에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삽입핀 또는 삽입관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제1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는 제1자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스크린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자력에 의하여 위치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마스크 스크린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자석과 부착되는 제2자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일측에는 제3자석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3자석과 부착되는 제3자성부재가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스크린 또는 커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와 측면부에는 각각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마스크 스크린의 상측에 결합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스크린이 상기 학습컨텐츠의 두께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학습컨텐츠의 상하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호 회동될 수 있는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는 상기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가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되고,
상기 마스크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378A KR101338953B1 (ko) | 2012-07-20 | 2012-07-20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378A KR101338953B1 (ko) | 2012-07-20 | 2012-07-20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8953B1 true KR101338953B1 (ko) | 2013-12-09 |
Family
ID=4998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9378A KR101338953B1 (ko) | 2012-07-20 | 2012-07-20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895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77044A (zh) * | 2020-05-12 | 2020-07-31 | 邢台学院 | 一种英语教学的多模态英语教学装置 |
CN111481018A (zh) * | 2020-04-14 | 2020-08-04 | 申珊珊 | 一种教学用多功能展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0689A (ko) * | 2004-12-21 | 2006-06-26 | 길상복 | 학습보조기 |
-
2012
- 2012-07-20 KR KR1020120079378A patent/KR1013389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0689A (ko) * | 2004-12-21 | 2006-06-26 | 길상복 | 학습보조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81018A (zh) * | 2020-04-14 | 2020-08-04 | 申珊珊 | 一种教学用多功能展台 |
CN111481018B (zh) * | 2020-04-14 | 2020-12-15 | 申珊珊 | 一种教学用多功能展台 |
CN111477044A (zh) * | 2020-05-12 | 2020-07-31 | 邢台学院 | 一种英语教学的多模态英语教学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41528B1 (en) | Reusable writing table | |
US4770635A (en) | Portable viewer | |
KR200449410Y1 (ko) | 가림구가 구비된 단어암기노트 | |
US8342846B2 (en) | Braille writ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 |
JP5138278B2 (ja) | 机用の視界遮断具 | |
US6843009B2 (en) | Lenticular folding card, card case, and book | |
KR101338953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습 보조기 | |
US2002017292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th calculation and instruction | |
KR101870495B1 (ko) |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 |
KR101338952B1 (ko) | 학습 보조기 | |
JP6162093B2 (ja) | 算数教習具 | |
US3381395A (en) | Speed reading guide instrument | |
KR200467069Y1 (ko) | 휴대용 암기장 및 학습 진도 체크 기능을 갖는 학습카드 수납용 학습 세트 | |
US6655059B2 (en) | Hand-held roller reader device | |
CN216423892U (zh) | 基于树杈归纳方法的学生用纠错本 | |
EP2237242A1 (en) | A device to assist reading | |
KR102361045B1 (ko) | 만능 학습 도형판 | |
KR20130000134U (ko) | 교육용 큐브 | |
US9947246B1 (en) | Sign for displaying changeable information | |
CN215770081U (zh) | 一种英语教学设备 | |
CA2754792A1 (en) | Child's activity toy and disc dispenser therefor | |
KR101753908B1 (ko) | 몸으로 익히는 3d 주기율표 | |
KR200427114Y1 (ko) | 암기 카드 셋트 | |
JPH0128529Y2 (ko) | ||
KR200230874Y1 (ko) | 학습용 해설 덮개 슬라이드 판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