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984B1 - 근접센서 - Google Patents

근접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984B1
KR101336984B1 KR1020120006855A KR20120006855A KR101336984B1 KR 101336984 B1 KR101336984 B1 KR 101336984B1 KR 1020120006855 A KR1020120006855 A KR 1020120006855A KR 20120006855 A KR20120006855 A KR 20120006855A KR 101336984 B1 KR101336984 B1 KR 10133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proximity sensor
light sourc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783A (ko
Inventor
홍지명
박상형
김용섭
Original Assignee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9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01K1/034Dog-ke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원들;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발광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상기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을 식별하고, 물체가 상기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의 중심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는 저렴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고, 단순히 물체의 근접여부만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근접센서 상에서 물체의 여러 가지 움직임도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접센서{A proximity-sensor}
본 발명은 근접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하나의 광센서 또는 하나의 광원만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이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근접센서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검출방식이 아니라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가 센서별로 정해진 검출거리 내로 들어오면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접촉 없이 ON/OFF 출력을 내보내는 센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의 스위치보다 수명이 길고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기 때문에 산업 자동화 등에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자기 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센서, 유도성 근접센서, 용량성 근접센서, 와전류 근접센서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근접센서가 있다.
여기서, 자기 근접센서, 용량성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센서 등은 고가의 센서를 이용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근접센서를 소형화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근접센서는 주로 물체가 접근해 왔을 때 해당 물체가 일정 거리 내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물체의 움직임까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까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정 범위 내에 다수의 근접센서를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소비되는 전력도 많아서 현실적으로 이용하기는 어렵다.
반면에, 종래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시스템은 고화소의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카메라나 영상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비용이나 공간 활용 등의 측면에서 대단히 낭비이며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고, 단순히 물체의 근접여부만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근접센서 상에서 물체의 여러 가지 움직임도 인식할 수 있는 움직임 인식인 가능한 근접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원들;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발광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상기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을 식별하고, 물체가 상기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의 중심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광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에 상응하는 반사광이다.
또한, 상기 광센서에 제1 반사광과 제2 반사광이 차례로 입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과 상기 제2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여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제1 반사광과 상기 제2 반사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에 상응하는 반사광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광시키거나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주기적으로 발광시킨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2개의 광원이 직선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하는 2개의 직선 상에 4개의 광원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 2개의 광원과 상기 2개의 광원이 이루는 직선에서 벗어난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인접한 2개의 광원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거나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2개씩 서로 다른 직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원은 IR 광원이며, 상기 광센서는 IR 센서이다.
또한,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이 때,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광원; 반사광이 입사되는 복수 개의 광센서들; 및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고, 물체가 이동함에 따라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센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반복하여 발광시킨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2개의 광센서가 직선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서로 수직하는 2개의 직선 상에 4개의 광센서가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 2개의 광센서와 상기 2개의 광센서가 이루는 직선에서 벗어난 하나의 광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인접한 2개의 광센서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거나,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2개씩 서로 다른 직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원은 IR 광원이며, 상기 광센서는 IR 센서이다.
또한,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이 때,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는 근접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는 저렴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고, 단순히 물체의 근접여부만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근접센서 상에서 물체의 여러 가지 움직임도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의 센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에 대해 4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근접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에 대해 3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근접센서의 센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는 하나의 광센서 또는 하나의 광원만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하나의 광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근접센서는 하나의 광센서에 대한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며, 반대로, 하나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경우 근접센서는 하나의 광원에 대한 복수 개의 광센서를 포함한다.
우선, 하나의 광센서와 복수 개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근접센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접센서(100)는 하나의 광센서(160)와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 개의 광원들(130)은 자유로이 배치되거나 특정한 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광원들(130) 중 일부의 광원만 특정한 규칙에 따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하여 발광시킬 수 있으며,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광시키거나 불규칙적으로 발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일시적으로 발광시키거나 주기적으로 발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하기 용이하도록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개별적으로 발광시키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광시킨다고 가정한다. 즉,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하나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정 주기로 발광시키면서 물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나 근접한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이다.
우선, 물체가 근접센서(100)에 근접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광원들(130) 중 하나 또는 일부의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물체에 의해 반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 중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 또는 광원들을 식별하여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 때, 근접센서(100)는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반사광이 하나의 광원에 상응할 경우, 물체가 해당 광원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근접센서(100)는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반사광이 2개 이상의 광원들에 상응할 경우, 물체가 해당 광원들의 중심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반사광에 상응하는 2개 이상의 광원들은 복수 개의 광원들(130)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이다.
다음으로, 근접센서(100)에 근접하여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근접센서(100)는 복수 개의 광원들(130)을 주기적으로 발광시키기 때문에, 물체가 근접센서(100)에 근접하여 이동할 경우 각 주기에서 이동하는 물체가 근접하는 광원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물체가 제2 광원에서 제6 광원으로 이동하고 근접센서(100)는 제3 주기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제3 주기에서 제2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광센서(160)로 입사되며, 제4 주기에서 제6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광센서(160)로 입사된다. 근접센서(100)는 제3 주기에 입사되는 제1 반사광과 제4 주기에 입사되는 제2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이 제2 광원과 제6 광원임을 인식하고 물체가 제2 광원에서 제6 광원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물체가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광원들(130)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들에 근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근접센서(100)는 물체가 근접한 광원들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주기에서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제3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며, 제4 주기에서 제6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경우, 근접센서(100)는 물체가 제1, 제2 및 제3 광원의 중심에서 제6 광원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제3 주기에서 제4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고, 제4 주기에서 제1 광원, 제8 광원 및 제7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경우, 근접센서(100)는 물체가 제4 광원에서 제1, 제8 및 제7 광원의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각 주기에서 복수 개의 광원들에 대한 반사광이 입사되는 경우, 즉, 제3 주기에서 제1 광원과 제8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원 그룹의 반사광이 입사되고, 제4 주기에서 제4 광원, 제5 광원 및 제6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 그룹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경우, 근접센서(100)는 물체가 제1 광원 그룹의 중심에서 제2 광원 그룹의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여기서는, 1주기의 차이로 반사광이 입사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반사광은 여러 주기의 간격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근접센서(100)는 여러 주기에 걸쳐 입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근접센서(100)는 3개의 이상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센서(160)에 제3 주기에서 제1 광원과 제8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고, 제4 주기에서 제3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되며, 제5 주기에서 제4 광원의 반사광이 입사될 경우, 근접센서(100)는 물체가 제1 광원과 제8 광원의 중심에서 제4 광원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근접센서(100)가 물체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근접센서(100)는 센싱부(210)와 제어부(250)를 포함하며, 센싱부(210)는 하나의 광센서(160)와 2개의 광원(212, 214)를 포함한다. 이 때, 2개의 광원(212, 214)은 광센서(160)를 중심으로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2개의 광원(212, 214)은 특정 주파수의 빛을 발하는 광원으로, 예를 들어, 2개의 광원(212, 214)은 IR(InfraRed; 적외선) 광원이며, 광센서(160)는 IR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광원(212) 또는 제2 광원(214)에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광원(212, 214)에서 발광된 빛은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광센서(160)로 입사된다.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빛은 광원(212, 214)에 의해 발광되어 물체에 반사되는 빛 중 일부 또는 전체이다. 물체가 제1 광원(212)에 근접한 경우, 제1 광원(212)에 의해 발광되어 반사된 빛이 광센서(160)로 입사되며, 물체가 제2 광원(214)에 근접한 경우, 제2 광원(214)에 의해 발광되어 반사된 빛이 광센서(160)로 입사된다. 또한, 물체가 제1 광원(212) 및 제2 광원(214)에 모두 근접한 경우, 예를 들어, 물체가 제1 광원(212) 및 제2 광원(214)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제1 광원(212)에 의해 발광되어 반사되는 빛과 제2 광원(214)에 의해 발광되어 반사되는 빛이 모두 광센서(160)로 입사된다.
제어부(250)는 근접센서(100) 내 각 광원들(212, 214)을 제어하고, 물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나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한다. 제어부(250)는 각 광원(212, 214)을 발광시키기 위해 발광신호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1 광원(212)으로 제1 발광신호를 전송하여 제1 광원(212)을 발광시키고, 제2 광원(214)으로 제2 발광신호를 전송하여 제2 광원(214)을 발광시킨다. 이 때, 제어부(250)는 제1 발광신호와 제2 발광신호를 이용하여 2개의 광원(212, 214)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250)는 물체의 근접여부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하여 광센서(16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광신호를 이용한다. 각 광원(212, 214)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광센서(160)로 입사되는 경우, 광센서(160)는 수광신호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광원(212)에 물체가 근접하였고 제어부(250)가 제1 발광신호를 이용하여 제1 광원(212)으로 발광시킨 경우, 제1 광원(212)에서 방출된 빛은 물체에 반사되어 광센서(160)로 수신되며, 이 때, 광센서(160)는 제1 수광신호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발광신호는 제1 광원(212)에 대한 발광신호이며, 제1 수광신호는 제1 발광신호에 대한 수광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n 광원에 대한 발광신호는 제n 발광신호이며, 제n 발광신호에 대한 수광신호는 제n 수광신호로 기재한다. 이 때, n은 광원이 발광되는 순서로, 제n 광원은 제어부(250)에 의해 n번째로 발광되는 광원을 의미하나, 제어부(250)가 광원을 발광시키는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복수 개의 광원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광시키는데, 여기서는 제1 광원(212)과 제2 광원(214)이 순차적으로 발광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250)는 제1 및 제2 광원(212, 214)을 차례로 발광시키고, 제1 및 제2 발광신호에 대한 수광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가 제1 및 제2 발광신호를 전송하여 제1 및 제2 광원(212, 214)을 발광시켰을 때, 제1 수광신호가 수신되면 물체가 제1 광원(212)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며, 제2 수광신호만 수신되면 물체가 제2 광원(214)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50)가 제1 및 제2 발광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제1 및 제2 수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물체가 제1 광원(212)과 제2 광원(214)의 사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아래의 [표 1]은 제1 및 제2 광원(212, 214)을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 수광신호에 따라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1 수광신호 X O X O
제2 수광신호 X X O O
물체의 위치 없음 제1 광원에 근접 제2 광원에 근접 두 광원의 사이
또한, 제어부(250)는 반복하여 수광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물체가 센싱부(210)에 근접하여 이동하며, 제어부(250)가 제1 및 제2 광원(212, 214)을 반복하여 발광시킨다고 가정한다. 또한, 물체가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250)는 수광신호를 3번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첫 번째 제1 및 제2 발광신호에 대해 제1 수광신호를 수신하고, 두 번째 제1 및 제2 발광신호에 대해 제1 및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하며, 세 번째 제1 및 제2 발광신호에 대해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250)는 물체가 제1 광원(212)에서 제2 광원(214)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첫 번째로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하고, 두 번째로 제1 및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하며, 세 번째로 제1 수광신호를 수신한다면, 제어부(250)는 물체가 제2 광원(214)에서 제1 광원(212)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아래의 [표 2]는 제어부(250)가 제1 및 제2 발광신호에 대한 수광신호를 3번 수신하였을 때, 수광신호에 따른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3 rd 발광신호 물체의 움직임
Case 1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2 제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1 광원
여기서, 제어부(250)는 2번이나 4번 이상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수광신호를 수신하고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물체가 제1 광원(212)에서 제2 광원(214)의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2 수광신호를 수신하고 제1 수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물체가 제2 광원(214)에서 제1 광원(21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판단한다. 이 외에 제어부(250)가 2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다양한 경우에 대해 [표 3]에서 보여주고 있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물체의 움직임
Case 1 제1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2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3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4 제2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1 광원
Case 5 제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1 광원
Case 6 제1, 2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1 광원
아래 [표 4]는 4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 중 제1 광원(212)에서 제2 광원(214)의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일부를 나열한 것이다. 4번 이상의 수광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수광신호를 모두 이용할 수도 있고 4번 이상의 수광신호 중 일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3 rd 발광신호 4 th 발광신호
Case 1 제1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Case 2 제1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Case 3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Case 4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Case 5 제1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Case 6 제1, 2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본 발명에서 제어부(250)가 광원들을 발광시키는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광원들을 발광시킬 수 있으며, 광원들을 발광시키는 주기나 수광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간격 등도 당연히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근접센서(100)는 광센서(160)와 광원(212, 214) 사이에 광원(212, 214)에서 발광된 빛이 광센서(160)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도록 광원(212, 214)의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216)을 더 포함한다. 이 때, 격벽(216)의 높이는 광센서(160)와 광원(212, 214)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광원(212, 214)에 따라서 다른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인식이 가능한 근접센서의 센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센서(160)와 두 광원(212, 214)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두 광원(212, 214)은 광센서(160)의 주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광원(212, 214)이 광센서(160)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제어부(25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와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100)는 하나의 광센서(160)에 대해 다수의 광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향에 대한 물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방향에 대한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에 대해 4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근접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광센서에 대해 3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근접센서의 센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우선, 도 4을 참조하면, 센싱부(210)는 4개의 광원(410, 420, 430, 440)을 포함하며, 4개의 광원(410, 420, 430, 440)의 중심에 광센서(160)가 위치한다. 이 때, 제1 광원(410) 및 제3 광원(430)은 광센서(160)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며, 제2 광원(420) 및 제4 광원(440) 역시 광센서(160)과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1 광원(410) 및 제3 광원(430)을 지나가는 직선과 제2 광원(420) 및 제4 광원(440)을 지나가는 직선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제1 광원(410), 제2 광원(420), 제3 광원(430) 및 제4 광원(440)의 순서는 제어부(250)이 발광시키는 순서이며, 이러한 발광 순서는 미리 설정되거나 제어부(250)가 결정하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표 5]는 도 4와 같은 구성의 센싱부(210)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의 예를 보여준다. 참고로, 제어부(250)는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수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물체는 복수 개의 광원의 중심에 근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 ase 제1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물체의 위치
1 X X X X 없음
2 O X X X 제1 광원에 근접
3 X O X X 제2 광원에 근접
4 X X O X 제3 광원에 근접
5 X X X O 제4 광원에 근접
6 O O X X 제1, 2 광원의 중심
7 X O O X 제2, 3 광원의 중심
8 X X O O 제3, 4 광원의 중심
9 O X X O 제1, 4 광원의 중심
10 O O O X 제1,2,3 광원의 중심
11 X O O O 제2,3,4 광원의 중심
12 O X O O 제1,3,4 광원의 중심
13 O O X O 제1,2,4 광원의 중심
14 O O O O 4개의 광원의 중심
도 4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4개의 방향 또는 8개의 방향에 대한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250)가 4개의 방향에 대한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경우, 예를 들어, 3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어부(250)가 인식하는 4개의 방향과 3번의 수광신호의 관계는 아래의 [표 6]와 같을 수 있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3 rd 발광신호 물체의 이동
Case 1 제1 수광신호 제1, 3 수광신호 제3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3 광원
Case 2 제3 수광신호 제1, 3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1 광원
Case 3 제2 수광신호 제2, 4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4 광원
Case 4 제4 수광신호 제2, 4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2 광원
[표 7]은 3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어부(250)가 인식하는 4개의 방향과 3번의 수광신호의 관계는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3 rd 발광신호 물체의 이동
Case 1 제1 수광신호 제1, 2, 3, 4 수광신호 제3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3 광원
Case 2 제2 수광신호 제1, 2, 3, 4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4 광원
Case 3 제3 수광신호 제1, 2, 3, 4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1 광원
Case 4 제4 수광신호 제1, 2, 3, 4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2 광원
또한, [표 8]은 제어부(250)가 2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어부(250)가 인식하는 4개의 방향과 수광신호 간의 관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물체의 움직임
Case 1 제1 수광신호 제3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3 광원
Case 2 제3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1 광원
Case 3 제2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4 광원
Case 4 제4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2 광원
Case 5 제1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6 제2 수광신호 제3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3 광원
Case 7 제3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4 광원
Case 8 제4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1 광원
또한, [표 9]은 제어부(250)가 2번의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어부(250)가 인식하는 4개의 방향과 수광신호 간의 관계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1 st 발광신호 2 nd 발광신호 물체의 움직임
Case 1 제2, 4 수광신호 제3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3 광원
Case 2 제2, 4 수광신호 제1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1 광원
Case 3 제1, 3 수광신호 제4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4 광원
Case 4 제1, 3 수광신호 제2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2 광원
Case 5 제1, 4 수광신호 제2, 3 수광신호 제1 광원 -> 제2 광원
Case 6 제1, 2 수광신호 제3, 4 수광신호 제2 광원 -> 제3 광원
Case 7 제2, 3 수광신호 제1, 4 수광신호 제3 광원 -> 제4 광원
Case 8 제3, 4 수광신호 제1, 2 수광신호 제4 광원 -> 제1 광원
여기서, Case 5~8의 경우, 제어부(250)는 두 광원의 중심에서 다른 두 광원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 5의 경우, 제어부(250)는 제1 광원(410)과 제4 광원(440)의 중심에서 제2 광원(420)과 제3 광원(430)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표 5], [표 6], [표 7], [표 8] 및 [표 9]는 하나의 광센서(160)와 4개의 광원(410, 420, 430, 440)을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법 중 일부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실제 제어부(250)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는, 하나의 광센서(160)를 중심으로 수직하는 두 개의 직선 상에 4개의 광원(410, 420, 430, 440)이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광센서(160)의 주변에 4개의 광원(410, 420, 430, 440)이 자유로이 배치되어 운영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센싱부(210)는 광센서(160)와 광원(410, 420, 430, 440) 사이에 광원(410, 420, 430, 440)에서 발광된 빛이 직접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216)을 더 포함한다. 이 때, 격벽(216)의 높이는 광센서(160)와 광원(410, 420, 430, 4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광원(410, 420, 430, 440)에 따라서 다른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센싱부(210)는 하나의 광센서(160)와 3개의 광원(510, 520, 5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5의 경우, 제1 광원(510), 제3 광원(530) 및 광센서(160)가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며, 제2 광원(520)은 제1 광원(510), 제3 광원(530) 및 광센서(160)이 이루는 하나의 직선에서 벗어나 있다. 도 5에서는, 제2 광원(520)과 광센서(160)가 이루는 직선이 제1 광원(510) 및 제3 광원(530)이 이루는 직선과 수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제2 광원(520)은 제1 광원(510) 및 제3 광원(530)이 이루는 직선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광원(510)과 제2 광원(520)이 이루는 직선이 제1 광원(510) 및 제3 광원(530)이 이루는 직선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거나, 제2 광원(520)과 제3 광원(530)이 이루는 직선이 제1 광원(510) 및 제3 광원(530)이 이루는 직선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광센서(160)을 중심으로 3개의 광원(510, 520, 530)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즉, 광센서(160)를 중심으로 제1 광원(510)과 제2 광원(520)이 이루는 각도, 제2 광원(520)과 제3 광원(530)이 이루는 각도, 그리고 제3 광원(530)과 제1 광원(530)이 이루는 각도는 모두 동일하다.
도 5와 도6에서, 제어부(250)가 센싱부(210)에 근접한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근접센서(100)는 하나의 광원(720)과 복수 개의 광센서들(740)을 포함한다. 하나의 광원(720)을 이용하는 경우, 각 광센서(740)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연결되기 때문에 물체가 근접한 광센서를 식별하는 것이 간단하다. 하나의 광센서를 이용하는 근접센서(100)와 달리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는 과정이 필요 없고, 따라서 물체의 근접여부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이 간단하다.
하나의 광원(720)을 이용하는 근접센서(100)가 물체의 근접여부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방법은 [표 1] 내지 [표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다만, 하나의 광원(720)이 도 1 내지 도 6에서 광센서(160)에 대응되며, 복수 개의 광센서들(74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복수 개의 광원들에 대응된다. 이 외에 복수 개의 광센서들(740)과 격벽(미도시)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복수 개의 광원들과 격벽(216)의 구성과 같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근접센서
130 : 광원
160 : 광센서

Claims (25)

  1. 복수 개의 광원들;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발광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상기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을 식별하고, 물체가 상기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의 중심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에 상응하는 반사광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제1 반사광과 제2 반사광이 차례로 입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과 상기 제2 반사광에 상응하는 광원을 식별하여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광과 상기 제2 반사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중 일부 또는 전체의 광원에 상응하는 반사광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광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을 주기적으로 발광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2개의 광원이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하는 2개의 직선 상에 4개의 광원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 2개의 광원과 상기 2개의 광원이 이루는 직선에서 벗어난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인접한 2개의 광원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은,
    상기 광센서를 중심으로 2개씩 서로 다른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IR 광원이며, 상기 광센서는 IR 센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6. 하나의 광원;
    반사광이 입사되는 복수 개의 광센서들;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고, 물체가 이동함에 따라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센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반복하여 발광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2개의 광센서가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서로 수직하는 2개의 직선 상에 4개의 광센서가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 2개의 광센서와 상기 2개의 광센서가 이루는 직선에서 벗어난 하나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인접한 2개의 광센서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센서들은,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2개씩 서로 다른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IR 광원이며, 상기 광센서는 IR 센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4. 삭제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광센서와 상기 광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KR1020120006855A 2012-01-20 2012-01-20 근접센서 KR10133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55A KR101336984B1 (ko) 2012-01-20 2012-01-20 근접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55A KR101336984B1 (ko) 2012-01-20 2012-01-20 근접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83A KR20130085783A (ko) 2013-07-30
KR101336984B1 true KR101336984B1 (ko) 2013-12-04

Family

ID=4899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55A KR101336984B1 (ko) 2012-01-20 2012-01-20 근접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2357A1 (en) * 2017-03-10 2018-09-12 Koninklijke Philips N.V. Handheld personal care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and/or an orientation of a handheld personal device relative to a subje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087A (ja) 1999-12-28 2001-07-10 Bandai Co Ltd センサー手段と、これを利用した認識装置
JP2011215100A (ja) 2010-04-02 2011-10-27 Seiko Epson Corp 光学式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087A (ja) 1999-12-28 2001-07-10 Bandai Co Ltd センサー手段と、これを利用した認識装置
JP2011215100A (ja) 2010-04-02 2011-10-27 Seiko Epson Corp 光学式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83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8878B2 (en) 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KR101021267B1 (ko) 청소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03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utilizing near-field quasi-state electrical field sensing technology
KR101260341B1 (ko) 멀티 터치 인식 장치
CN102541303A (zh) 具有运动检测能力的接近传感器
US7440872B2 (en) Flexible scanning and sensing platform
US8619267B2 (en) Proximity sensor with motion detection
JPH11353986A (ja) 複数エリアセンサ用制御器
JP2013029508A (ja) 多方向近接センサー
KR102229791B1 (ko)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터치장치 및 그 설정방법
CN101595448B (zh) 用于在表面上定位物体的方法和系统
WO2015103278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racking human interactions with objects using modular sensor segments
KR101336984B1 (ko) 근접센서
JP5547531B2 (ja) 物体検出装置
CN104486507A (zh) 一种利用隔空手势控制手机的方法、系统及手机
US10375799B2 (en) Lighting commanding method and an assymetrical gesture decoding device to command a lighting apparatus
US10168831B2 (en) Touch device detection
JP2016526213A (ja) スイッチ作動装置、移動機器、および、非触覚並進ジェスチャによるスイッチの作動方法
EP4009525B1 (en) Sensor button with gesture control
KR20160150380A (ko) 적외선을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로봇 주행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로봇 이동 제어 방법
JP6488880B2 (ja) 近接覚センサ
JP2009103476A (ja) 物体の位置管理システム
JP6582542B2 (ja) 近接覚センサを備えたワーク搬送用ハンド
JP5992761B2 (ja) 電気掃除機、電気掃除機システムおよび電気掃除機の制御方法
KR101566702B1 (ko) 투과형 포토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