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159B1 -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159B1
KR101335159B1 KR1020110101774A KR20110101774A KR101335159B1 KR 101335159 B1 KR101335159 B1 KR 101335159B1 KR 1020110101774 A KR1020110101774 A KR 1020110101774A KR 20110101774 A KR20110101774 A KR 20110101774A KR 101335159 B1 KR101335159 B1 KR 10133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ing
weight
benzoyl peroxide
mixing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391A (ko
Inventor
이대은
Original Assignee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1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도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형성된 도로에 차선용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Butyl acrylate monomer, BAM)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제조한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主劑); 및 액상으로 제조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를 포함하는 경화제; 를 포함하고, 그로 인해 도료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와의 부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크릴 비드와 반응성이 우수한 아크릴 모노머를 함유하고,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와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 상온 해리제를 첨가함으로써 도장시 종래의 도료보다 경화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10분 안에 도료의 건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DROP TYPE PAINT COMPOSITION FOR PREVENTING SLEEPINESS AND SPEE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는 주행방향이나 차로와 차로사이의 경계를 목적으로 도료표지용(차선용) 도료를 이용하여 차선을 표시한다. 종래의 도로표지용 도료는 KSM 6080 1종(유성 타입) 및 2종(수성 타입)이 있다. 1종 및 2종의 상온경화형 도료는 노면에 도포 후 제품 내의 용제의 휘발에 의해 건조되는 도료이다.
하지만, 종래의 상온 경화형 유성 도료(1종) 및 수용성 도료(2종)는 건조가 늦어 차량을 통행 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교통 체증을 유발할 수 있고, 아크릴 수지 자체의 내구성 및 부착성이 떨어져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고착시키는 성능이 떨어졌다.
결국, 종래의 도료는 야간이나 우천시 운전자에게 차선이 거의 보이지 않는 현상을 야기하고, 이는 교통사고를 유발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1년에 한번씩 보수도장을 필수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추가적인 경비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료의 건조가 5분~10분 사이에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형성된 도로에 차선용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Butyl acrylate monomer, BAM)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제조한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主劑); 및 액상으로 제조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를 포함하는 경화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분산제, 소포제, 반응 안정제,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킨 파라핀 왁스 용액,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증점제, 3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 안정제는 페닐기를 포함한 안티몬계 반응 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용액은 25~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는 0.5~1.5 중량부, 상기 소포제는 0.3~1.5 중량부, 상기 반응 안정제는 0.01~0.3 중량부, 상기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는 0.3~1.5 중량부, 상기 파라핀 왁스 용액은 1~5 중량부,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5~15 중량부, 상기 3관능 아크릴레이트는 3~10 중량부, 상기 증점제는 0.3~1.0 중량부, 상기 글래스 비드는 20~25 중량부, 상기 착색 안료는 5~20 중량부, 상기 체질 안료는 25~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 비드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9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에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98:2~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분말 35~50 중량부; 프탈레이트계(Phthalate) 가소제 10~30 중량부;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 용제 5~10 중량부; 물 5~10 중량부; 특수 실리카계의 침강 방지제 1~5 중량부; 및 스티어레이트계(Stearate) 반응 안정제 1~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수지용액을 제조하는 A단계; 파라핀 왁스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파라핀 왁스 용액을 제조하는 B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수지용액에 분산제를 첨가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소포제를 혼합하는 D단계;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파라핀 왁스 용액를 혼합하는 E단계; 상기 E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반응 안정제를 첨가하는 F단계; 상기 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를 혼합하는 G단계; 상기 G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증점제를 혼합하는 H단계; 상기 H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는 I단계; 상기 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3관능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는 J단계; 및 상기 J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혼합하는 K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단계에서는 녹는점이 45~60℃인 상기 파라핀 왁스를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상기 파라핀 왁스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K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글래스 비드를 혼합하는 L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Butyl acrylate monomer, BAM)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제조한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 및 액상으로 제조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2-헤드 에어리스 스프레이(2-Head airless spray)에 의해 도로 상에 각각 분사하고,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는 분사되기 직전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도포 방법에서 주제 및 상기 경화제는 혼합되어 상기 도로 상에 바둑알 모양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로와의 부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크릴 비드와 반응성이 우수한 아크릴 모노머를 함유하고,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와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첨가함으로써 도장시 종래의 도료보다 경화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10분 안에 도료의 건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10분 이내에 도료의 건조가 가능하므로 도로 교통 통제 시간 및 작업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셋째, 도료와의 부착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종래의 도료보다 보수 기간을 연장시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넷째, 신나 또는 휘발유등을 사용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도료이며 종래 도료와 비교 할 때 시공 및 경화시간 및 건조시간이 조절이 가능하여 10분 이내에 차선 위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다.
다섯째, 글래스 비드의 고착성이 종래의 도료보다 우수하므로 우천시나 밤에 시인성이 향상되어 운전자들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과속 방지를 통해 교통사고의 유발을 감소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특수하게 제조된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를 2-헤드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통하여 분사함으로써 기존의 벤조일퍼옥사이드 분말 경화제를 혼합하여 작업하는 1:1타입의 도료에 비하여 작업 중 도료가 겔(Gel)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속도를 빨리 진행시켜 도로의 통제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일곱째, 낙하 타입의 도료를 도장된 차선 위에 투하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졸음이나 과속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며, 졸음운전 및 과속 방지를 통해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주제(主劑)는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용해시킨 수지용액 25~40 중량부(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부)를 함유한다.
만일, 수지 용액이 25 중량부 미만일 때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소지와의 부착성이 떨어지며, 글래스 비드와의 고착성이 떨어지므로 본연의 목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없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고분자의 특성상 도료 스프레이시 실킹(Silking) 현상이 발생하여 차선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여기서, 수지용액의 총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비드 35~60 중량부를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30 중량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40 중량부에 용해시킨다(바람직하게는 아크릴 비드 35~45 중량부를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25 중량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5 중량부에 용해시킨다).
만일, 아크릴 비드가 35 중량부 미만으로 용해되면 콘크리트 바닥과 부착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수지 용액의 점도가 낮아서 도료의 작업성을 조절하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아크릴 비드가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용해되면 수지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 및 도막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스프레이 작업시 실킹 현상 및 핑거링(Fingering) 현상이 발생하여 깨끗한 차선을 얻을 수 없다.
이때, 아크릴 비드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9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1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내를 사용함으로서 도료의 작업성, 유연성, 도막의 강도가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5 중량부 미만이거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40 중량부 이상으로 용해되면 수지용액 및 도료의 점도가 낮아지고 도막의 강도가 너무 강해져 깨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30 중량부 이상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용해되면 점도가 높아지고 도막이 너무 물러져서 미경화 현상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제에는 도료의 작업성, 건조성 등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와 소포제, 반응 안정제, 파라핀 왁스 용액,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3관능 아크릴레이트,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증점제가 더 포함된다.
분산제는 암모늄 염 타입으로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를 적당하게 분산시켜 도막의 은폐력을 향상시키고 도료가 침강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소포제는 아크릴계 소포제로서 도료의 제조시나 작업시 도료 내에 있는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도막 건조시 도막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며, 도막 내의 기공을 없애 줌으로서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반응 안정제는 페닐기를 함유한 안티몬계를 사용하며 도료 조성물 중 계절에 따라 0.01~0.3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도막 형성시 경화시간을 조절하고 도료가 저장 중에 굳는 현상을 방지한다.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의 투입으로 인하여 이중결합이 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이중결합이 분해되어, 도료가 겔(Gel)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반응안정제의 투입으로 인하여 도료의 겔 현상을 방지해 준다. 만일, 반응 안정제의 투입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떨어져 도료의 겔 현상을 방지할 수 없고, 도막 건조가 너무 빨라져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 질 수 있으며, 반응 안정제의 투입량이 0.3 중량부 이상이면 도막 건조를 지연시켜 빠른 건조가 어려워진다.
파라핀 왁스 용액은 도막 형성시 도막 표면에 부상하여 공기 중의 산소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반응하여 건조 불량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파라핀 왁스 용액은 녹는점이 45~6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중량부 범위 내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파라핀 왁스 용액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산소 차단 효과가 떨어져서 도막의 경화가 불량하게 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파라핀 왁스의 슬립성 때문에 차선이 미끄러워질 우려가 발생한다.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는 0.3~1.5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래, 벤조일퍼옥사이드는 72℃ 이상에서 해리하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상온 경화이므로 상온에서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해리시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반응시키기 위해서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해리제가 투입되어야 한다. 이때,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해리제가 0.3 중량부 미만이면 벤조일퍼옥사이드의 해리가 부족하여 미경화가 일어나며 1.5 중량부 이상이면 도료의 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어 도료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삭제
3관능 아크릴레이트는 3~1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관능의 반응기가 반응에 참여하게 함으로서 도장 후 반응성을 증대시켜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3관능 아크릴레이트 투입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여 반응성이 증대되지 않으며, 3관능 아크릴레이트 투입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이 너무 강해져서 유연성이 떨어져 도막이 시간 경과 후 균열이 일어나거나 박리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된 착색 안료는 유, 무기 안료로써 유색 안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질안료는 탄산칼슘, 규사, 마이카, 실리카 등과 같은 체질 안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증점제는 실리카 계통의 증점제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점제는 양호한 작업성을 위해서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증점제는 도료의 침강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래스 비드는 직경 0.6~1 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6 mm이하의 것을 사용하면 빛의 재귀반사가 미흡해져 운전자의 눈에 잘 비쳐지지 않으며 1 mm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도막 내에 도료가 차지하는 영역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떨어져 도막 박리의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글래스 비드의 투입량으로는 20~2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20 중량부 미만일 때는 글래스 비드의 특성인 고경도와 재귀반사의 효과가 떨어지며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 내에 도료가 차지하는 영역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떨어져 도막 박리의 우려가 발생한다.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분말의 함량이 35~50중량부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제의 총 중량부 중의 2~5중량부 정도 혼합되며, 2-헤드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가 2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가 늦어져서 빠른 차량통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가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성이 매우 빨라져 도막의 분자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국내에는 분말 경화제 및 페이스트(Paste) 경화제만 사용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주제와 2-헤드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이용한 분사 방식으로 도장할 수 없다.
따라서, 액상의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를 제조하기 위해 특수 실리카계 증점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일퍼옥사이드 분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 용제, 물 및 스티어레이트계 반응 안정제를 혼합 및 융화 분산시켜 제조한다. 벤조일퍼옥사이드 분말은 강한 폭발성이 있어 용기와의 마찰에 의하거나 온도가 70℃이상 승온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취급시 매우 주의를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는 액상으로 제조됨에 따라 전술한 폭발의 위험성이 거의 없고, 2-헤드 에어리스 스프레이의 작업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녹는점이 45~60℃의 파라핀 왁스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파라핀 왁스 용액을 제조한다. 고체 상태인 파라핀 왁스는 전술한 녹는점 이상에서 용해시켜야 하므로 60℃이상의 항온 수조에서 용해시켜야 하며 도료 조성물의 제조 전에 미리 제조해 두어야 한다.
이때, 파라핀 왁스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부를 기준으로 40~60 중량부가 되도록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중량부 미만이면 산소 차단 효과가 떨어져 도막의 경화가 불량해 질 수 있으며,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성에 한계가 발생하여 원래 고체 상태로 분리가 될 수 있다.
한편, 기존 도료에 사용하던 파라핀 왁스의 용해는 톨루엔에 용해시키지만 이는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작업시 도막 두께가 500미크론 이상으로 도장될 경우 톨루엔의 휘발이 어려워져서 용제 갇힘 현상으로 인해 도막이 물러져서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파라핀 왁스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와 반응에 참여시킴으로서 용제 갇힘 현상이 없으며, 용제 갇힘 현상으로 인해 도료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크릴 비드를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킨 수지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아크릴 비드는 고상이므로 용해성 및 벤조일퍼옥사이드 경화제와 반응성이 우수한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미리 용해시켜 두어야 한다. 수지용액의 총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비드 35~60 중량부를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30 중량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40 중량부에 용해시킨다(바람직하게는 아크릴 비드 35~45 중량부를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25 중량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5 중량부에 용해시킨다).
만일, 아크릴 비드가 35 중량부 미만으로 용해되면 콘크리트 바닥과 부착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수지 용액의 점도가 낮아서 도료의 작업성을 조절하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아크릴 비드가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용해되면 수지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 및 도막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스프레이 작업시 실킹 현상 및 핑거링 현상이 발생하여 깨끗한 차선을 얻을 수 없다.
수지용액에 분산제, 소포제, 반응 안정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파라핀 왁스 용액,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증점제를 첨가하여 20~30분 가량 약 1000 RPM으로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후, 3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투입하고 저속으로 혼합한다. 이때, 교반 속도는 500 RPM이하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통해 도료의 점도를 조절한다.
추가적으로,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3관능 아크릴레이트와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투입한 단계 이후의 제조된 혼합물에 글래스 비드를 20~25 중량부 투입한다. 단, 고속으로 교반하거나 너무 긴 시간을 교반하면 글래스 비드가 깨져서 글래스 비드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최단시간(바람직하게는, 5분 이내)에 500 RPM 이하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스프레이용 도료 조성물보다는 점성이 높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에서 바둑알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술한 원료의 투입량은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별도의 용기에 파라핀 왁스(30 중량부)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70 중량부)에 60℃ 이상에서 용해시키고, 또 다른 별도의 용기에 아크릴 비드(35~60 중량부)를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15~30 중량부)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20~40 중량부)에 용해시킨다. 이 수지 용액에 분산제, 소포제, 반응 안정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파라핀 왁스 용액,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증점제를 첨가하여 1000 RPM으로 30분동안 교반 혼합한다.
이후, 전술한 교반 혼합물에 3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첨가하여 500 RPM으로 교반 혼합 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적당한 점도를 조절한다.
한편,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3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투입한 후 글래스 비드를 투입하여 저속으로 혼합한다. 이때, 각 조성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수지 용액 1) 30 30 30
분산제 2) 0.5 0.5 0.5
소포제 3) 0.3 0.3 0.3
반응 안정제 4) 0.2 0.2 0.2
파라핀 왁스 용액 5) 1.5 1.5 1.5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6) 2.5 2.5 2.5
착색안료 7) 12.5 12.5 12.5
체질안료 8)-1 26.4 26.4 26.4
체질안료 8)-2 0 0 0
증점제 9) 0.5 0.5 0.5
BPO 상온해리제 10)-1 0.2 0.1 -
BPO 상온해리제 10)-2 0.1 0.1 -
BPO 상온해리제 10)-3 0.2 0.3 0.5
3관능아크릴레이트 11) 3 3 3
글래스 비드 12) 20 20 20
MMA 13) 0.1 0.1 0.1
액상 BPO 경화제 14) 2 2 2
합 계 100 100 100
1) : 아크릴 비드(대구사)
2) : 암모늄 염계(BYK)
3) : 아크릴계(BYK)
4) : 안티몬계(SJ인터네셔널)
5) : 파라핀 왁스(이노켐)
6) : 에폭시계(국도화학)
7) : 티타늄계(듀폰)
8) : 탄산칼슘계(렉셈)
9) : 실리카계(삼보화학)
10)-1 : 5% Co(동화켐텍)
10)-2 : Dimethyl-p-toluidine(시켐인터내셔날)
10)-3 : ethoxylate-p-toluidine(로지트)
11) : TMPTA(미원스페셜티케미칼)
12) : glass bead(비엔케이메디아)
13) : MMA(로지트)
14) : Benzoyl peroxide(동화켐텍)
<실험예>
각각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1. 점도 : 도료의 온도가 25℃에서 스토머 점도계로 측정한다.
2. 비중 : 도료의 온도가 25℃에서 규정화된 비중 컵에 도료를 부어 그 무게를 측정한다.
3. 건조시간 : 실온과 트인 공간에서 도장 후 경화 건조를 측정한다(엄지손가락으로 힘을 주어 비틀었을 때 손의 지문이 남지 않을 때의 시간).
4. Shore D 경도 : Shore D 경도계로 도막을 찍어서 그 게이지를 읽어 측정한다.
5. 점착성 : 건조 후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힘을 주어 눌렀을 때 약간의 달라붙는 느낌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6. 낙하 타입 외관 : 졸음 및 과속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을 바닥에 떨어뜨려 굴곡 없이 바둑알 모양처럼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7. 낙하 타입 부착력 : 차선용 도료 위에 졸음 및 과속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을 떨어뜨리고 경화시킨 후, 망치로 깨어 보았을 때 차선용 도막과 함께 박리되는지 확인한다.
8. 내마모성 : 테이버(Taber) 마모 시험기에 시편을 올려 CS-10으로 100회 회전하여 중량의 감량을 측정한다.
실 험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점도(Ku/25℃) 136 136 136
비중 1.60 1.60 1.60
건조시간 15분분 12분 4분
Shore D 경도 55 63 78
점착성 양호 양호 양호
낙하 타입 외관 양호 양호 양호
낙하 타입 부착력 다소 박리 다소 박리 양호
내 마모성 46mg 30mg 16mg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실시예 3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은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도료가 없는 순수 개발품이므로 타 제품과의 비교 실시는 불가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형성된 도로에 차선용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Butyl acrylate monomer, BAM)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제조한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主劑); 액상으로 제조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를 포함하는 경화제; 분산제; 소포제; 반응 안정제;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킨 파라핀 왁스 용액;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증점제; 3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글래스 비드(Glass bea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안정제는 페닐기를 포함한 안티몬계 반응 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비드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9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을 포함하는 주제에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98:2~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8. 삭제
  9. 아크릴 비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아크릴 모노머에 용해시켜 수지용액을 제조하는 A단계;
    파라핀 왁스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파라핀 왁스 용액을 제조하는 B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수지용액에 분산제를 첨가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소포제를 혼합하는 D단계;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파라핀 왁스 용액를 혼합하는 E단계;
    상기 E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반응 안정제를 첨가하는 F단계;
    상기 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를 혼합하는 G단계;
    상기 G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증점제를 혼합하는 H단계;
    상기 H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는 I단계;
    상기 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3관능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는 J단계;
    상기 J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액상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온 해리제를 혼합하는 K단계; 및
    상기 K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글래스 비드를 혼합하는 L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녹는점이 45~60℃인 상기 파라핀 왁스를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용해시켜 상기 파라핀 왁스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101774A 2011-10-06 2011-10-06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3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74A KR101335159B1 (ko) 2011-10-06 2011-10-06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74A KR101335159B1 (ko) 2011-10-06 2011-10-06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91A KR20130037391A (ko) 2013-04-16
KR101335159B1 true KR101335159B1 (ko) 2013-12-02

Family

ID=4843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74A KR101335159B1 (ko) 2011-10-06 2011-10-06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ko)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노면요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74B1 (ko) 2007-06-25 2008-05-2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28748A (ko) * 2008-06-11 2009-12-16 (주)아해 에스테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스프레이 가능한 상온경화형 차선 및 특수구역표시용 도료 조성물
KR20100079867A (ko) * 2008-12-31 2010-07-0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도로표지용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5256B1 (ko) 2011-07-21 2011-09-16 이종석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74B1 (ko) 2007-06-25 2008-05-2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28748A (ko) * 2008-06-11 2009-12-16 (주)아해 에스테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스프레이 가능한 상온경화형 차선 및 특수구역표시용 도료 조성물
KR20100079867A (ko) * 2008-12-31 2010-07-0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도로표지용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5256B1 (ko) 2011-07-21 2011-09-16 이종석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ko)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노면요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91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196B1 (ko) 도로 표지용 이액형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9175171B2 (en) Methacrylate resins for producing road markings
CN103649194B (zh) 低气味(甲基)丙烯酸类反应性树脂
CN106574141B (zh) 用于低沾污冷塑性材料标记的反应性树脂密封材料
KR101426172B1 (ko) 도로 표지용 이액형 도료 조성물
KR100958311B1 (ko) 에스테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스프레이 가능한 상온경화형 차선 및 특수구역표시용 도료 조성물
CN104231895A (zh) 一种环保耐候道路标线涂料的制备方法
KR101153864B1 (ko)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상온경화형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CN103314051A (zh) 抗冲改性的反应性树脂
KR101728416B1 (ko)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2356065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CN101514266A (zh) 常温固化的无溶剂型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665974A (zh) 一种环保耐候道路标线涂料的制备方法
KR101335159B1 (ko)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6173B1 (ko)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KR101232032B1 (ko) 도로표지용 우천형 축광 반사 비드의 제조방법
JP6108281B1 (ja) 速乾性厚塗り水性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3892B1 (ko)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68165B1 (ko) 안전유도선 시트
CN109054471B (zh) 涂料组合物、其制备方法及施工方法
KR101905825B1 (ko) 시인성 확보가 우수한 일액형 차선 도색용 조성물
KR101720663B1 (ko)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KR101670998B1 (ko) 상온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논-슬립 특성을 갖는 차선 도색 방법
KR102622716B1 (ko) 휘도 유지력 및 복합 기능성을 갖는 융착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