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63B1 -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 Google Patents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63B1
KR101720663B1 KR1020160000239A KR20160000239A KR101720663B1 KR 101720663 B1 KR101720663 B1 KR 101720663B1 KR 1020160000239 A KR1020160000239 A KR 1020160000239A KR 20160000239 A KR20160000239 A KR 20160000239A KR 101720663 B1 KR101720663 B1 KR 10172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int
parts
curing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택
Original Assignee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D7/125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및 N,N-디메틸-p-톨루이딘을 포함하는 초속경화형 수지부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우수한 경화속도를 지니고 견고한 도막 형성이 가능하여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유리알 등의 고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도료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ULTRA-RAPID HARDENING PAINT COMPOSITION FOR ROAD SURFACE MARK AND THE PAIN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화속도를 지니고 견고한 도막 형성이 가능하여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유리알 등의 고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도료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표시용 도료는 상온건조형 도료 (KS M 6080, 1종), 수용성형 도료 (KS M 6080, 2종)의 도장 후 용제 또는 물의 휘발에 의해 건조되는 도료, 및 용융가열하여 시공하고 냉각에 의해 도막이 형성되는 융착식 플라스틱 도료 (KS M 6080, 4종)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1종 및 2종 도료는 두꺼운 도막을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특히 수용성형 도료의 경우는 건조속도가 매우 느려 도장 후 차량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도장작업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교통체증이 매우 심한 문제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도장된 노면표시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요구되는 유리알의 고착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4종 도료의 경우는 비교적 두꺼운 도막형성은 가능하나, 유리알의 고착능력이 낮아 유리알 탈락으로 인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1종, 2종 및 4종 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경화제를 통한 화학반응에 의하여 도막이 경화되는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도료 (KS M 6080, 5종)가 새롭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5종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도료의 경우 유리알 고착력, 부착력, 내구성은 비교적 우수하나, 경화시간이 10분 정도로 융착식 도료 (KS M 6080, 4종)의 3분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너무 길어 이에 따라 시공시 교통 체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은 도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기재 18∼20중량부; 도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크랙방지제 2∼5중량부; 도료조성물을 용융시킬 때 연화점을 감소시켜 주는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점도조절제 1∼2중량부; 기재와 기타 조성물 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실리카로 이루어진 충진제 51∼56중량부; 색상을 부여하되 탈색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안료 8∼10중량부; 재귀 반사 유지를 위한 글라스비드 20∼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융착식 스프레이 도료를 개시하고 있으며, 하기 특허문헌 2는 노면표시용 용융형 도료 조성물과 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 도료 또한 경화속도가 너무 느리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노면표시 공사 도중 유발되는 교통체증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향상된 경화속도를 지니는 속경성 도료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8704호 (2009.03.06.)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30799호 (2011.04.15.)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경화속도를 지니고 견고한 도막 형성이 가능하여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유리알 등의 고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도료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butanediol dimethacrylate),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N,N-dimethyl-p-toluidine)을 포함하는 초속경화형 수지부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butanediol dimeth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N,N-dimethyl-p-toluidine)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 15 내지 4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hydroxypropyl methacrylate) 7 내지 13 중량부, 및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N,N-bis-(2-hydroxypropyl)-p-toluidine) 1 내지 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주제부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분산제, 요변제, 침강방지제, 및 부착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부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부는 상기 주제부 100중량부와 0.5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도료는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는 우수한 경화속도를 지니고 견고한 도막 형성이 가능하여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유리알 등의 고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도료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 및 도료는 균일한 경화효율 및 경화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 또한 갖는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화속도를 지니고 견고한 도막 형성이 가능하여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유리알 등의 고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도료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주로 노면표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건물의 외벽 또는 기계설비의 표면 도장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 또는 도료의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도료표시를 위한 주성분인 수지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제부 및 상기 주제부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제부의 주성분은 수지이며, 상기 수지는 초속경화형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주제부에 포함되는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butanediol dimethacrylate),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N,N-dimethyl-p-toluidin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는 도료조성물이 경화제부와 반응시 속경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은 높은 가교밀도를 갖는 모노머로서 도막의 내충격성, 경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N,N-디메틸-p-톨루이딘은 경화제와 반응시 경화개시 및 경화촉진이 가능토록하여 도료조성물에 속경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지조성물 분자간의 가교밀도 (crosslink density)를 높임으로써 도료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N,N-디메틸-p-톨루이딘은 경화촉매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전체 초속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10 내지 30 중량부로, 상기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는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N,N-디메틸-p-톨루이딘은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도료조성물에 부여되는 속경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는 N,N-디메틸-p-톨루이딘의 상대적인 함량이 저하되어 수지분자간의 가교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N,N-디메틸-p-톨루이딘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수지분자간의 가교밀도 향상효율이 저하되고 경화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N,N-디메틸-p-톨루이딘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경화시 변색 및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 15 내지 4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hydroxypropyl methacrylate) 7 내지 13 중량부, 및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N,N-bis-(2-hydroxypropyl)-p-toluidine) 1 내지 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을 모두 추가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독일의 에보닉사 (Evonik)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데가루트®661 (DEGAROUTE®661)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데가루트®661은 5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는 도료에 의하여 형성된 도막의 강도, 내마모성,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의 하이드록시기 (hydroxyl group)는 도로 소지면에 대한 도료의 부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acrylate)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Tg)를 낮춤으로써 도료에 의하여 형성된 도막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은 경화개시 및 경화촉매제의 기능을 발휘 한다.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는 도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되거나 유연성이 부족하여 내충격성 및 내한성이 저하되어 도료의 내구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료의 점도 저하로 인하여 스프레이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관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주제부에는 상기 초속경화형 수지 외에, 착색안료, 체질안료, 분산제, 요변제, 침강방지제, 및 부착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는 루타일 타입의 이산화티탄을 10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백색도 (45°, 0°확산반사율)가 떨어져 주간 시인성이 저하되고, 은폐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백색도 및 은폐율 상승률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체질안료는 안료 전체의 양을 늘리고 착색안료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채색의 안료이며, 탄산칼슘과 실리카를 약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산칼슘은 경도가 2 내지 3으로 그 강도가 매우 약하여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이 저하되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도가 6 내지 7로 비교적 우수한 실리카를 혼합함으로써 도료의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안료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안료의 침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료의 점도조절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종래의 아크릴계 고분자 타입의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요변제 및 침강방지제로는 우레탄계 및 실리카계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은 도료 내에서 안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색작업시 도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부착증진제는 도료에 시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리알 등의 고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유리알의 탈락을 방지하여 도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며, 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 계열의 다양한 부착증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착증진제는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부착성 개선효과가 저하되며,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막의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경화불량의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 경화제부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BPO)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와 함께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dicyclohexyl phthalate)와 같은 프탈레이트 (phthalate)계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부는 예를 들어 페이스트상의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부에 포함된 물의 함량은 최대 12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부는 상기 주제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경화제부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경화효율이 저하되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변색에 의해 색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초속경성 도료는 이상 살펴본 다양한 구현예의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본 발명의 효과를 명확하게 비교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비교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조예 1 - 초속경화형 수지의 제조
DEGAROUTE 661 (제조사: EVONIK, 독일) 500g을 용기에 투입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g,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200g,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20g을 투입하고 약 1,000rpm으로 교반하여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초속경화형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초속경화형 수지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비율에 따라, 분산제인 DISPERBYK-163 (BYK-CHEMICAL, 독일), 요변제인 BYK-410 (BYK-CHEMICAL, 독일), 침강방지제인 AEROSIL 200 (EVONIK, 독일), 및 부착증진제인 BOND PROMOTOR HP (EVONIK, 독일)을 추가로 투입하고 약 1,000 rpm으로 약 30분간 교반하였으며, 그 후 착색안료인 이산화티탄을 투입하고 약 1,80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여 분산을 수행한 후, 체질안료인 탄산칼슘 및 실리카 샌드를 추가로 투입하고 약 1,800rpm으로 약 1시간 교반하여 도료 주제부를 제조하였으며, 벤조일퍼옥사이드(BPO)로 이루어진 경화제부를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초속경화형 수지 250.0 350.0 350.0 400.0
분산제 5.0 5.0 5.0 5.0
요변제 2.0 2.0 2.0 2.0
침강방지제 2.0 2.0 2.0 2.0
부착증진제 5.0 5.0 5.0 5.0
착색안료 150.0 150.0 150.0 150.0
탄산칼슘 283.0 233.0 466.0 208.0
실리카 샌드 283.0 233.0 0.00 208.0
BPO 경화제 20.0 20.0 20.0 2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단위: g)
제조예 2 내지 8
하기 표 2의 성분 함량비에 따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용 수지를 제조하였다.
구분 A B C D
제조예 2 500 0 200 20
제조예 3 500 200 0 20
제조예 4 500 200 200 0
제조예 5 500 0 0 20
제조예 6 500 0 200 0
제조예 7 500 200 0 0
제조예 8 500 0 0 0
(단위: g)
(A: DEGAROUTE 661, B: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C: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D: N,N-디메틸-p-톨루이딘)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상기 제조예 2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수지에, 분산제인 DISPERBYK-163 (BYK-CHEMICAL, 독일), 요변제인 BYK-410 (BYK-CHEMICAL, 독일), 침강방지제인 AEROSIL 200 (EVONIK, 독일), 및 부착증진제인 BOND PROMOTOR HP (EVONIK, 독일)을 추가로 투입하고 약 1,000 rpm으로 약 30분간 교반하였으며, 그 후 착색안료인 이산화티탄을 투입하고 약 1,80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여 분산을 수행한 후, 체질안료인 탄산칼슘 및 실리카 샌드를 추가로 투입하고 약 1,800rpm으로 약 1시간 교반하여 도료 주제부를 제조하였으며, 벤조일퍼옥사이드(BPO)로 이루어진 경화제부를 준비하여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내지 7
제조예 2 내지 8의 수지 250.0
분산제 5.0
요변제 2.0
침강방지제 2.0
부착증진제 5.0
착색안료 150.0
탄산칼슘 283.0
실리카 샌드 283.0
BPO 경화제 20.0
합계 1,000
참고 비교예 1 내지 7은
순서대로 제조예 2 내지 8의 수지를 사용함
(단위: g)
[도료 물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도료의 물성 (점도, 비중, 가사시간, 경화건조, 색도, 경도, 콘크리트 부착성, 아스팔트 부착성, 내마모성, UV노화 후 색도변화, 및 저장안정성)을 테스트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실시예 1 내지 4)와 표 6 (비교예 1 내지 7)에 나타내었다.
테스트 항목 테스트 방법
점도 도료의 온도를 25℃로 조정 후 스토머 점도계로 측정
비중 도료의 온도를 25℃로 조정 후 비중컵을 이용하여 측정
가사시간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혼합한 후, 도료의 경화가 진행될 때 유동성이 없어지는 시간을 측정
경화건조 엄지손가락으로 힘을 주어 비틀었을 때 손의 지문이 남지 않을 때의 시간을 측정
색도 (β) 색차계를 이용하여 그 수치를 찍어 확인
경도 (Shore D) Shore 경도계를 이용하여 도막의 경도를 측정
콘크리트 부착성 및
아스팔트 부착성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시편에 도료를 600㎛두께로 도장한 후, 완전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24시간 방치 후 접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소지면과의 접착강도를 측정
내마모성 테이버 (Taber)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마모시험을 실시한 후, 100회전에 대한 마모감량 (㎎)을 측정
UV노화 후 색도변화 (Δβ) KS M 6080의 시험방법에 따라 형광램프 타입 (QUV-B)으로 UV노화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여 초기의 색도와의 편차를 구함
저장성 안정성 도료를 밀봉한 후 60℃ 오븐에 7일간 방치 후 꺼내어 도료의 침전 정도를 확인하고 스토머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변화를 확인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점도 110 KU 100 KU 98 KU 90 KU
비중 1.65 1.6 1.6 1.57
가사시간 40초/25℃ 45초/25℃ 45초/25℃ 60초/25℃
경화건조 2분/25℃ 3분/25℃ 3분/25℃ 4분/25℃
색도 (β) 0.79 0.85 0.83 0.83
경도 (Shore D) 75 62 58 52
콘크리트부착성 1.9 2.8 2.7 2.1
아스팔트부착성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내마모성 48㎎ 33㎎ 78㎎ 38㎎
UV노화 후 색도변화 (Δβ) 0.05 0.01 0.01 0.04
저장성 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보통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점도 95 KU 98 KU 99 KU 95 KU 91 KU 94 KU 90 KU
비중 1.59 1.6 1.62 1.6 1.59 1.58 1.57
가사시간 150초/25℃ 135초/25℃ 250초/25℃ 200초/25℃ 420초/25℃ 310초/25℃ 480초/25℃
경화건조 13분/25℃ 8분/25℃ 18분/25℃ 17분/25℃ 28분/25℃ 21분/25℃ 36분/25℃
색도(β) 0.81 0.82 0.82 0.77 0.83 0.81 0.79
경도
(ShoreD)
49 53 69 50 53 57 53
콘크리트
부착성
1.7 2.0 2.5 1.5 1.6 1.8 1.7
아스팔트
부착성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아스콘
파쇄
내마모성 59㎎ 46㎎ 38㎎ 78㎎ 62㎎ 58㎎ 75㎎
UV노화 후
색도변화
(Δβ)
0.02 0.07 0.02 0.04 0.02 0.01 0.03
저장안정성 보통 불량 보통 보통 불량 불량 불량
상기 표 5 및 표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점도, 가사시간, 경화건조도, 경도, 콘크리트 부착성, 내마모성, UV노화 후 색도변화, 및 저장성 안정성면에서 모두 비교예 1 내지 7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경화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경화제의 함량에 따른 건조시간 및 색도 (β)를 테스트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1
경화제함량 (중량비) 0.5% 1.0% 2.0% 3.0% 0.5% 1.0% 2.0% 3.0%
건조시간 (25℃) 4분 3분 3분 2분 20분 17분 13분 7분
색도(β) 0.87 0.84 0.85 0.82 0.82 0.82 0.81 0.76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빠른 건조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온도별 경화물성 시험]
경화제 2%를 투입하고 온도별로 건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
온도 (℃) 5 10 20 40 5 10 20 40
건조시간 5분 3.5분 3분 1.5분 27분 18분 14분 5분
상기 표 8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빠른 건조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butanediol dimethacrylate) 10 내지 30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N,N-dimethyl-p-toluidine)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주제부 100중량부와 0.5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고,
    경화건조속도 및 저장안정성이 향상된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제부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분산제, 요변제, 침강방지제, 및 부착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인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 4, 및 5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KR1020160000239A 2016-01-04 2016-01-04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KR10172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39A KR101720663B1 (ko) 2016-01-04 2016-01-04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39A KR101720663B1 (ko) 2016-01-04 2016-01-04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63B1 true KR101720663B1 (ko) 2017-03-28

Family

ID=5849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39A KR101720663B1 (ko) 2016-01-04 2016-01-04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894B1 (ko) 2017-06-05 2017-11-17 정봉성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862A (ko) * 2006-08-25 2009-05-26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도로 표시 제조를 위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KR101327331B1 (ko) * 2013-08-21 2013-11-08 (주) 시그마Sti 내구성 및 우천 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노면 표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862A (ko) * 2006-08-25 2009-05-26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도로 표시 제조를 위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KR101327331B1 (ko) * 2013-08-21 2013-11-08 (주) 시그마Sti 내구성 및 우천 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노면 표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894B1 (ko) 2017-06-05 2017-11-17 정봉성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92352B2 (en) Low-odour (meth)acrylic reaction resins
KR101659511B1 (ko) 글라스비드의 부착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JP5631394B2 (ja) 迅速に再通行可能な車線表示を製造するための結合剤
KR102098000B1 (ko) 폴리머 비드를 갖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칼리 용해성 에멀젼 조성물
KR101814346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356065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KR101728416B1 (ko)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ES2896408T3 (es) Composición de acabado, método de recubrimiento de sustratos con la misma y sustrato
KR101426172B1 (ko) 도로 표지용 이액형 도료 조성물
KR101720663B1 (ko)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US20080300321A1 (en) Multicolor component adhesive system
KR100987694B1 (ko) 인조 대리석용 2액형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KR101805992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한 속건형 크랙 보수재 도료 조성물
US11859079B2 (en) Glycerol-based epoxy resins
KR101690472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1895590B1 (ko) 노면 표지 도색을 위한 내부혼합형 도장기
KR101905825B1 (ko) 시인성 확보가 우수한 일액형 차선 도색용 조성물
KR101443892B1 (ko)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26173B1 (ko)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KR20180085177A (ko) 노면 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2622716B1 (ko) 휘도 유지력 및 복합 기능성을 갖는 융착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77882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변성 폴리우레아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67528B1 (ko) 속경형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아크릴 올리고머와 단량체 및 착색제를 이용한 균열 씰링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시공 방법
KR102647101B1 (ko) 신장률, 인장강도 및 접착강도가 향상된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KR20020053470A (ko) 저광택 폴리에스테르계 분체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