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438B1 -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438B1
KR101334438B1 KR1020060082209A KR20060082209A KR101334438B1 KR 101334438 B1 KR101334438 B1 KR 101334438B1 KR 1020060082209 A KR1020060082209 A KR 1020060082209A KR 20060082209 A KR20060082209 A KR 20060082209A KR 101334438 B1 KR101334438 B1 KR 10133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gallate
mass
green tea
cate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094A (ko
Inventor
도모코 고니시
고이치 후나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3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높고, 쓴 맛 및 떫은 맛이 약하여 풍미가 양호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효소 불활화 처리한 생차잎을 CTC 처리하여, 수분 함유량이 20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이어서 추출시의 차잎에 대한 추출 용매의 질량비가 30 배 이하의 조건으로 추출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 추출물

Description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PRODUCTION METHOD OF GREEN TEA EXTRACT}
도 1 은 본 발명의 폐쇄형 칼럼 추출기를 이용한 추출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펌프
2 이온 교환수 가열용 교환기
3 폐쇄형 추출 칼럼
4 차잎
5 차잎 유지판 (상)
6 차잎 유지판 (하)
7 추출액 냉각용 열교환기
8 추출액 회수 탱크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5661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3780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47-5294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39476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08444호
본 발명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량이 많고, 쓴 맛 및 떫은 맛이 약하여 풍미가 양호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효과로는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생리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성인 1 일당 4 내지 5 잔의 차를 마시는 것이 필요하여, 보다 간편하게 대량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섭취하기 위해서 음료에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 배합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녹차 음료 중에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함유시키는 방법에는, 녹차잎으로부터 카테킨류를 대량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있고,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등을 이용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음료에 용해 상태로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녹차잎으로부터 카테킨류를 대량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단순히 고농도로 추출하면 녹차잎 유래의 쓴 맛 및 떫은 맛이 강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녹차잎 유래의 쓴 맛 및 떫은 맛은 주로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도 유리형 카테킨은 떫은 맛이 약하고, 쓴 맛이 있으며, 에스테르형 카테킨류는 쓴 맛 및 떫은 맛이 있는 것, 유리형 카테킨보다 에스테르형 카테킨류가 쓴 맛 및 떫은 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2).
녹차 성분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차잎을 분쇄한 후에 추출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 5).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진 녹차 추출액은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함유하지만, 쓴 맛 및 떫은 맛이 강하고, 장기간 섭취를 위한 음료로서의 사용을 고려하면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효소 불활화 처리한 생차잎을 CTC 처리하여, 수분 함유량이 20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이어서 추출시의 차잎에 대한 추출 용매의 질량비가 30 배 이하의 조건으로 추출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킨 함유량이 많고, 또한 쓴 맛 및 떫은 맛이 약하여 풍미가 양호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녹차로부터의 효율적인 카테킨류의 추출과, 쓰고 떫은 맛의 개선을 양립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효소 불활화 처리한 생차잎을 통상의 분쇄 처리가 아닌 CTC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일정한 수분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녹차잎을 일정량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면,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량이 많고, 쓴 맛 및 떫은 맛이 약하여 풍미가 양호한 녹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 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20 ∼ 40 질량% 로 높고,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산 에스테르의 함량(갈레이트체율) 이 40 ∼ 60 질량% 이며, 쓴 맛 및 떫은 맛이 약하여 풍미가 양호한 녹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녹차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음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란,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비(非)에피체 카테킨류 및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에피체 카테킨류를 모두 합한 총칭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생차잎으로는, Camellia 속, 예를 들면 C.sinensis 및 C.assaimica, 야부키타종(藪北種) 또는 그것들의 잡종으로부터 얻어지는 차잎을 들 수 있다. 이들 생차잎은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 효소 불활화 처리가 실시된다. 효소 불활화 처리로서는 증열 처리, 열탕 침지, 가마이리 (가마솥에서 덖은 차) 처리를 들 수 있지만, 이 중 가마이리 처리는 열이력(熱履歷)에 의해 풍미가 변화되기 때문에 증열 처리, 열탕 침지가 바람직하다. 증열 처리 또는 열탕 침지는 90 ∼ 120℃, 10 초 ∼ 3 분이 바람직하고, 가마이리의 경우는 300 ∼ 400℃, 5 ∼ 20 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효소 불활화 처리된 차잎으로는 전차 (煎茶), 옥로 (玉露), 첨차 (甛茶) 등을 들 수 있다 (일본차 인스트럭터 강좌 I NPO 법인 일본차 인스트럭터 협회/제작·감수(監修) NPO 법인 일본차 인스트럭터 협회/발행 2004 년, 일본차 전서 후치노우에 야스모토·후치노우에 히로코/저 사단법인 농산어촌문화협회/발행 1999 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효소 불활화 처리한 생차잎을 우선 CTC 처리한다. 여기에서 CTC 처리란, 홍차의 처리에 이용되는 처리 수단으로, 분쇄하고 (Crush), 자르고 (Tear) 및 둥글게 마는 (Curl) 처리를 한번에 실시하는 처리를 말하며, CTC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CTC 처리 장치의 구조는, 스테인리스제 롤러 2 개의 간극을 차잎이 통과하게 되어 있고, 롤러의 회전수가 매분 700 회와 70 회로 다르기 때문에, 2 개의 사이에서 차잎이 가공되도록 되어 있다. 롤러의 회전에 의해 차잎이 말려 들어가 롤러의 표면에 새겨진 돌기에 의해 차잎은 찢어지고, 비스듬하게 새겨져 있는 홈에 의해 차잎이 둥글게 되어 입상으로 정형된다. 이러한 CTC 처리 장치로서는, 1930 년에 W·맥·커쳐가 고안한 CTC 기를 들 수 있다 (홍차의 세계 아라키 야스마사/저 주식회사 시바타 서점/발행 2001 년, 녹차 사전 타카노 히로시·타니모토 요조·토미타 이사오·이와사 키요시·나카가와 무네유키·테라모토 야스히데·야마다 신이치/집필 (사) 일본차업 중앙회/감수 주식회사 시바타 서점/발행 2002 년, 일본차 인스트럭터 강좌 I NPO 법인 일본차 인스트럭터 협회/제작·감수 NPO 법인 일본차 인스트럭터 협회/발행 2004 년). 이 CTC 는 녹차의 처리에는 통상 실시되지 않는다. 이 CTC 처리에 의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쓴 맛 및 떫은 맛이 저감된다.
CTC 처리된 차잎은, 수분 함유량이 20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이 건조 공정에 의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이 향상된다. 건조 조건은 수분 함유량이 20 질량% 이하가 되면 되고, 원료 차잎의 함수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증열 처리된 차잎이 원료인 경우는, 50 ∼ 200℃ 에서 10 분 ∼ 1 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후의 차잎의 바람직한 수분 함유량은 2 ∼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5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 8 질량% 이다. 건조기는 벨트 컨베이어식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건조 차잎을 추출시의 차잎에 대한 추출 용매의 질량비 (추출 배율) 가 30 배 이하의 조건으로 추출한다. 추출 용매의 질량비가 30 배를 초과하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갈레이트체율이 상승함과 함께 쓴 맛 및 떫은 맛이 강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질량비는 5 ∼ 30 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5 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20 배이다.
여기에서 추출 용매로서는, 물, 에탄올 수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물이 바람직하다. 추출은 온수 또는 열수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잎으로부터의 추출시의 온도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을 높게 하고 풍미의 관점에서 60 ∼ 100℃ 가 바람직하고, 65℃ ∼ 100℃ 가 더욱 바람직하다. 차잎으로부터의 추출 시간은 1 ∼ 60 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분이다. 추출 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이 불충분하고, 지나치게 길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열변성 이성화 반응이 진행하게 된다. 또, 추출시의 물에 미리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등의 유기산 또는 유기산 염류를 첨가해도 된다. 또, 자비 (煮沸) 탈기나 질소 가스 등 의 불활성 가스를 통기시켜 용존 산소를 제거하면서 이른바 비산화적 분위기 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병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추출 수단은 칼럼 추출이거나 니더 추출이어도 되지만, 칼럼 추출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진 녹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4 ∼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6 ∼ 40 질량% , 특히 바람직하게는 28 ∼ 40 질량% 이다.
또, 얻어진 녹차 추출물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산 에스테르의 함량 (갈레이트체율) 은, 쓴 맛 및 떫은 맛의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 6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 55 질량% 이다. 여기에서, 비(非)갈레이트체란 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을 말하며, 갈레이트체란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말한다.
얻어진 녹차 추출물은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며, 또한 쓴 맛 및 떫은 맛이 저감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또는 통상 희석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료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측정
필터 (0.8㎛) 로 여과한 음료를 시마즈제작소 제조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모델식 SCL-10AVP) 를 사용하여, 옥타데실기 도입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팩 드 칼럼 L-칼럼 TM ODS (4.6㎜φ × 250㎜ : 재단법인 화학물질평가연구기구 제조) 를 장착하고, 칼럼 온도 35℃ 에서 그레이디엔트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동상 A 액은 아세트산을 0.1㏖/L 함유하는 증류수 용액, B 액은 아세트산을 0.1㏖/L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10μL, UV 검출기 파장은 280㎚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칼럼 추출
도 1 에 나타내는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용 물은 펌프 (1) 에 의해 이온 교환수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해서 가열되어, 폐쇄형 추출 칼럼 (3) 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액을 통과시켰다. 차잎 (4) 은, 추출 칼럼 중의 차잎 유지판 (하; 6) 과, 차잎 유지판 (상) 사이에 넣었다. 추출액은 추출액 냉각용 교환기 (7) 를 통하여 추출액 회수 탱크 (8) 에 회수하였다.
니더 추출
가열한 이온 교환수에 차잎을 투입하여 150rpm 으로 5 분 교반한 후, 흡인 여과하여 빙랭시켰다.
카테킨 추출률
차잎 중에 함유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을 100% 로 하고, 각 조건으로 추출된 비중합체 카테킨량을 환산하여 카테킨 추출률로 하였다.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
차잎 중에 함유되는 비갈레이트체 비중합체 카테킨량을 각각 100% 로 하고, 각 조건으로 추출된 비갈레이트체 비중합체 카테킨량을 환산하여 비갈레이트체 추 출률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갈레이트체 비중합체 카테킨량도 환산하여 갈레이트 추출률로 하였다. 비갈레이트체 추출률을 갈레이트체 추출률로 나누어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로 하였다. 이 비율이 높으면 쓰고 떫은 맛이 개선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
녹차잎으로서 (Camellia sinensis) 를 이용하여, 94℃, 1.5 분의 증열 처리에 의해 효소 불활화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CTC 처리 (회전수 90rpm, 900rpm, 6 기 연속) 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벨트 컨베이어식 건조기로 차잎 중의 수분량이 5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다시 칼럼 추출 (배율 10 배, 추출 온도 70℃, 추출 처리 시간 2.4 분) 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산 에스테르의 함량 (이하, 갈레이트체율) 은 48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1%,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43 이었다.
실시예 2
추출 온도를 9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4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0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5%,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30 이었다.
실시예 3
추출 배율을 2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4.8 분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1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87%,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 1.26 이었다.
실시예 4
추출 온도를 8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2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88%,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22 이었다.
실시예 5
추출 배율을 3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7.2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3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95%,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16 이었다.
실시예 6
녹차잎으로서 (Camellia sinensis) 를 이용하여, 94℃, 1.5 분의 증열 처리에 의해 효소 불활화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CTC 처리 (회전수 90rpm, 900rpm, 6 기 연속) 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벨트 컨베이어식 건조기로 차잎 중의 수분량이 5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다시 니더 추출 (배율 25 배, 추출 온도 70℃, 추출 시간 5 분) 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0 질량%, 갈레이트체율 은 51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7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29 이었다.
실시예 7
추출 온도를 85℃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1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3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75%,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19 이었다.
실시예 8
추출 처리 시간을 2.4 분으로 하고, 사용 차잎의 조성이 다른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1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5.8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0.2%,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48 이었다.
실시예 9
추출 온도를 75℃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1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6.8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5.2%,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42 이었다.
실시예 10
추출 배율을 3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3.6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7.8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74.7%,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36 이었다.
실시예 11
추출 배율을 3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3.6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9.0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77.7%,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29 이었다.
실시예 12
사용 차잎의 조성이 다른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1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58.2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5.7%,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34 이었다.
실시예 13
추출 온도를 85℃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갈레이트체율은 61.1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71.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 1.19 이었다.
비교예 1
녹차잎으로서 2002 년 제조의 전차 (煎茶) 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칼럼 추출 (추출 배율 10 배, 추출 온도 70℃, 추출 처리 시간 2.4 분) 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23%,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25 이었다.
비교예 2
추출 배율을 2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4.8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2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4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18 이었다.
비교예 3
추출 배율을 3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7.2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14 이었다.
비교예 4
녹차잎으로서 2002 년 제조 전차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니더 추출 (추출 배율 25 배, 추출 온도 70℃, 추출 시간 5 분) 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0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64%,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08 이었다.
비교예 5
추출 배율을 40 배, 추출 처리 시간을 9.6 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33 질량% 이었다. 또, 카테킨 추출률은 10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00 이었다.
비교예 6
추출 배율을 40 배로 하고, 추출 온도를 10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28 질량% 이었다. 카테킨 추출률은 65%,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1.04 이었다.
비교예 7
추출 배율을 100 배, 추출 온도를 4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고형분 중 22 질량% 이었다. 카테킨 추출률은 33%,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 추출률은 2.09 이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그 결과, 효소 불활화한 녹차잎을 CTC 처리 후에 건조시켜, 추출 배율 30 이하로 추출한 녹차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률이 높고, 또한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쓴 맛 및 떫은 맛의 개선 효과가 있다. 한편, CTC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비교예 1 ∼ 4, 및 CTC 처리를 실시하고, 추출 온도가 40℃ 이고 추출 배율이 100 배인 비교예 7 에서는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이 낮거나, 또는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비가 낮기 때문에, 쓴 맛 및 떫은 맛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 CTC 처리를 실시해도, 추출 배율이 30 이상인 비교예 5 및 6 은 카테킨 추출률은 높지만,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비가 낮기 때문에, 쓴 맛 및 떫은 맛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다.

실시예
1 2 3 4 5 6 7
추출전의 처리 CTC CTC CTC CTC CTC CTC CTC
추출법 칼럼 칼럼 칼럼 칼럼 칼럼 니더 니더
추출 배율 10 10 20 20 30 25 25
추출 온도(℃) 70 90 70 80 70 70 85
추출 처리 시간(분) 2.4 2.4 4.8 4.8 7.2 5 5
카테킨 추출률(%) 61 65 87 88 95 70 75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 1.43 1.30 1.26 1.22 1.16 1.29 1.19

비교예
1 2 3 4 5 6 7
추출전의 처리 비빔 비빔 비빔 비빔 CTC CTC CTC
추출법 칼럼 칼럼 칼럼 니더 칼럼 니더 니더
추출 배율 10 20 30 25 40 40 100
추출 온도(℃) 70 70 70 70 90 100 40
추출 처리 시간(분) 2.4 4.8 7.2 5 9.6 5 5
카테킨 추출률(%) 23 45 60 64 100 65 33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 1.25 1.18 1.14 1.08 1.00 1.04 2.09

실시예
8 9 10 11 12 13
추출전의 처리 CTC CTC CTC CTC CTC CTC
추출법 칼럼 칼럼 칼럼 칼럼 니더 니더
추출 배율 20 20 30 30 25 25
추출 온도(℃) 70 75 70 75 70 85
추출 처리 시간(분) 2.4 2.4 3.6 3.6 5 5
카테킨 추출률(%) 60.2 65.2 74.7 77.7 65.7 71.0
비갈레이트체 추출률/갈레이트체 추출률 1.48 1.42 1.36 1.29 1.34 1.19
*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5 내지 7 의 차잎의 갈레이트율 57%
* 실시예 8 내지 13 의 차잎의 갈레이트율 65%
* 비교예 1 내지 4 의 차잎의 갈레이트율 69%
본 발명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은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며, 또한 쓴 맛 및 떫은 맛이 저감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또는 통상 희석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료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효소 불활화 처리한 생차잎을 분쇄하고 (Crush), 자르고 (Tear) 및 둥글게 마는 (Curl) 처리 (CTC 처리) 를 하여, 수분 함유량이 2 내지 20 질량% 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이어서 추출시의 차잎에 대한 추출 용매의 질량비가 5 내지 30 배의 조건으로 추출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으로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가 20 ∼ 40 질량% 이며,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40 ∼ 62 질량% 가 카테킨류의 갈산 에스테르인 제조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효소 불활화 처리가, 증열 처리, 열탕 침지 및 가마솥에서 덖음처리에서 선택되는 처리인 제조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이, 60 ∼ 100℃ 의 물에 의한 추출인 제조법.
KR1020060082209A 2005-09-01 2006-08-29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 KR101334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3300 2005-09-01
JPJP-P-2005-00253300 200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94A KR20070026094A (ko) 2007-03-08
KR101334438B1 true KR101334438B1 (ko) 2013-11-29

Family

ID=3780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209A KR101334438B1 (ko) 2005-09-01 2006-08-29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10147B2 (ko)
KR (1) KR101334438B1 (ko)
CN (2) CN102293279B (ko)
TW (1) TWI4010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7583C (zh) 2000-11-17 2005-09-07 花王株式会社 包装的饮料
JP3590051B1 (ja) * 2003-07-30 2004-11-17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EP1695630B1 (en) * 2003-12-18 2011-06-22 Kao Corporation Bottled beverage
CN101778571B (zh) * 2007-08-08 2013-10-30 花王株式会社 茶提取物的制造方法
JP5748892B2 (ja) 2013-10-29 2015-07-15 花王株式会社 緑茶抽出組成物
WO2016174888A1 (ja) * 2015-04-28 2016-11-03 花王株式会社 緑茶抽出組成物
KR20200101755A (ko) * 2019-02-20 2020-08-28 (주)아모레퍼시픽 비에피체 카테킨 수득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수득된 비에피체 카테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83A (ja) * 1994-07-01 1996-01-16 Kawasaki Kiko Co Ltd 製茶方法
JP2001504704A (ja) * 1996-11-29 2001-04-1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ャープ リーフ紅茶
JP2003259807A (ja) 2002-03-12 2003-09-16 Kao Corp 半発酵茶飲料、発酵茶飲料の製造法
JP2003259806A (ja) 2002-03-12 2003-09-16 Kao Corp 緑茶飲料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7396A (en) * 1971-04-26 1974-12-18 Unilever Ltd Instant tea powder
US3812266A (en) * 1972-01-31 1974-05-21 Lipton T Inc Green tea conversion using tannase and natural tea enzymes
JPS5239476A (en) 1975-09-23 1977-03-26 Chiyuuhei Motozawa Green tea bag
JPS6013780A (ja) 1983-07-05 1985-01-24 Mitsui Norin Kk 茶カテキン類の製造方法
JPS60156614A (ja) 1984-01-26 1985-08-16 Mitsui Norin Kk コレステロ−ル上昇抑制剤
JPH03108444A (ja) 1989-09-21 1991-05-08 Mikio Shimura 茶葉抽出液の製造方法
US5250317A (en) * 1990-10-15 1993-10-05 Nestec S.A. Products from treatment of black tea
JPH0866156A (ja) * 1993-03-23 1996-03-12 Kanebo Ltd 密封容器入り緑茶飲料の製法
US5427806A (en) * 1994-08-08 1995-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stable green tea extract and product
GB9902777D0 (en) * 1999-02-08 1999-03-31 Unilever Plc Cold water infusing leaf tea
US20050163901A1 (en) * 2001-12-28 2005-07-28 Amono Enzyme Inc. Process for producing tea drink and tea drink product
CN100518528C (zh) * 2003-09-26 2009-07-29 花王株式会社 容器装饮料
JP2005204527A (ja) * 2004-01-21 2005-08-04 Tsuboichi Seicha Honpo:Kk 緑茶及び緑茶の製造方法
US7232585B2 (en) * 2004-06-24 2007-06-19 Xel Herbaceuticals, Inc. Green tea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83A (ja) * 1994-07-01 1996-01-16 Kawasaki Kiko Co Ltd 製茶方法
JP2001504704A (ja) * 1996-11-29 2001-04-1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ャープ リーフ紅茶
JP2003259807A (ja) 2002-03-12 2003-09-16 Kao Corp 半発酵茶飲料、発酵茶飲料の製造法
JP2003259806A (ja) 2002-03-12 2003-09-16 Kao Corp 緑茶飲料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10147B2 (en) 2011-03-22
US20070048430A1 (en) 2007-03-01
TW200744464A (en) 2007-12-16
TWI401031B (zh) 2013-07-11
CN102293279B (zh) 2013-05-15
KR20070026094A (ko) 2007-03-08
CN102293279A (zh) 2011-12-28
CN1923021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438B1 (ko) 녹차 추출물의 제조법
JP4852376B2 (ja) 緑茶抽出物の製造法
CN102036569A (zh) 呈味改善剂及含有该呈味改善剂的茶饮料
EP2192844B1 (en) Process for extracting theaflavins from tea
AU2005276710A1 (en) Process for making tea
JP5628115B2 (ja) 緑茶の製造方法
CN102651972B (zh) 茶多酚及其制造方法
WO2009084215A1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EP0167399A2 (en) Decaffeination of fermented unfired tea
KR100950780B1 (ko) 차의 생엽으로부터 고품질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JP2008206414A (ja) 加工茶葉の製造方法並びに加工茶葉
JP4705059B2 (ja) 苦渋味が抑制された高香味茶葉及びその調製品
KR101760202B1 (ko) 컬럼 추출 기술을 이용한 녹차 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5278519A (ja) 後発酵茶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71056A1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KR100826962B1 (ko) 두충나무 잎 가공방법 및 두충나무 수피 가공방법
CN113750565A (zh) 一种茶多酚的提取方法
EP3549450B1 (en) Production method for composition which contains non-polymer catechin
EP2132202A1 (en) Extraction of theaflavins
JP4493042B2 (ja) 茶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394974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a aroma composition
JP5498046B2 (ja) マンガン含有物及びその製造法
CN105979787A (zh) 用于制作具有增强的风味的绿茶的方法
CN107467283A (zh) 一种茶汁滋味品质的调控方法
TWI569729B (zh) 兒茶素之萃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