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930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930B1
KR101332930B1 KR1020120071288A KR20120071288A KR101332930B1 KR 101332930 B1 KR101332930 B1 KR 101332930B1 KR 1020120071288 A KR1020120071288 A KR 1020120071288A KR 20120071288 A KR20120071288 A KR 20120071288A KR 101332930 B1 KR101332930 B1 KR 10133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diator
waveguide
refl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박승교
박근욱
김종훈
최득용
김찬국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2007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 H01Q19/3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Yagi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18Vertical disposition of the antenna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장치는 도파기 체결부와, 방사기 체결부와, 반사기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상기 반사기 체결부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홈을 갖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맞대어 체결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도파기 체결부, 방사기 체결부, 및 반사기 체결부를 가지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반사기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끼워맞춤 결합되되, 상기 홈에 삽입 되도록 측면에 돌출부를 갖는 도파기 또는 반사기;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방사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방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디지털 텔레비전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파를 모아주는 도파기와 전파를 반사하는 반사기와 전파를 수신하는 방사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공중파 수신 안테나로 다이폴 안테나, 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 또는 야기(yagi) 안테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신 안테나 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야기 안테나는 프레임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방사기와 다수의 도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수의 도파기들은 방사기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야기 안테나는 별도의 클램핑(clamping) 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 등의 지주체나 벽면 등의 구조물 등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소정의 공중파를 수신하게 된다.
통상적인 야기 안테나는 방사기, 방사기의 일측에 배열되는 반사기 및 방사기의 타측에 배치되는 일 이상의 도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야기 안테나에 전파가 도달하게 되면 방사기의 길이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나고 복사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는 반사기와 도파기에 유기되는데 반사기는 해당 신호를 반사시키고 도파기는 해당 신호를 더욱 강하게 하기 때문에 야기 안테나는 도파기 쪽으로 지향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파기의 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야기 안테나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으며, HF 내지 UHF 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야기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야기 안테나의 조립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도파기 및 반사기 등을 이루는 파이프들을 설치하고 클램핑 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파기의 제조와 관련하여, 종래의 도파기 및 반사기는 파이프의 둘레면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돌출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는 조립이 불편하고 핀을 별도로 고정시켜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조립 공정의 수가 증가하며, 부품의 개수도 증가하고, 프레임에 조립 후에 프레임과 도파기 및 반사기 사이에 유동이 있게 되어 문제가 되었다.
또한, 프레임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방사기는 빗물 등에 의하여 부식 등으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있으며, 방사기의 신호선과 접지선의 단락 등의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파기가 단순한 공정으로 제조되고, 방사기에 방수처리가 되어 있으며, 신호선과 접지선이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 스페이서 주변이 실리콘 처리가 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장치는, 도파기 체결부와, 방사기 체결부와, 반사기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상기 반사기 체결부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홈을 갖는 제1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과 맞대어 체결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도파기 체결부, 방사기 체결부, 및 반사기 체결부를 가지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반사기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끼워맞춤 결합되되, 상기 홈에 삽입 되도록 측면에 돌출부를 갖는 도파기 또는 반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방사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방사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기 또는 반사기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파기 또는 반사기의 둘레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상기 각 방사기 체결부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서 확장된 확장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사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방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방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사기 및 제2방사기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확장홈에 삽입되는 절연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사기 및 제2방사기 중 상기 절연 스페이서와 접하는 각 단부에는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상기 확장홈 주변에서 상기 확장홈과 연통하도록 추가된 추가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은 상기 추가홈에도 유입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사기는 상기 제1방사기의 파이프에 삽입된 후 롤링 가공 및 펀칭에 의해 체결된 제1단자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방사기는 상기 제2방사기의 파이프에 삽입된 후 롤링 가공 및 펀칭에 의해 체결된 제2단자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방사기 또는 상기 제2방사기는 끝단에 마개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에 피복코팅 또는 피복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서로 마주 대응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관통홀 측방에 형성된 상기 홈은 각각 상기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도파기 및 반사기는 조립이 단순하고 간단하며, 추가되는 부품도 필요 없고, 후술할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 결합이 가능하므로 프레임 내에서 유동이 없고 견고하게 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 스페이서는 신호선이 연결된 제1단자부와 접지선이 연결된 제2단자부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실리콘을 상기 절연 스페이서와 제1 및 제2단자부에 도포하여 상기 단락 방지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도포시 실리콘이 추가홈에도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실리콘 도포시 프레임 외부로 실리콘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테나 장치 외관이 깨끗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방사기 또는 제2방사기는 끝단에 마개가 삽입되고, 실시예적으로 외주면에 피복코팅 또는 피복파이프가 끼워짐으로써 빗물 등으로부터 방사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사기 주변으로 배치되는 도파기 중 프레임의 최끝단에 있는 도파기는 다른 파이프보다 두께가 두껍고, 방사기를 기준으로 상기 도파기와 반대 위치에 배치되는 반사기가 직경이 가장 크고 길이가 가장 길다. 그로 인해, 안테나 장치가 낙하할 때 항상 최끝단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도파기와 직경이 가장 크고 길이가 가장 긴 반사기가 먼저 지면에 닿는 구조이므로 방사기가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장치(10)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파기(20) 및 반사기(50)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방사기(30)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방사기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안테나 파이프(41)에 인서트(42)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5는 인서트(42)가 삽입된 안테나 파이프(41)에 단자플레이트(46)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도파기(20)가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방사기(30)가 제1프레임(60a)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며,
도 9는 클램핑 장치(70)가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결합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도 10은 방사기(30)에 보호 마개(81)와 피복파이프(82)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테나 장치(10)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장치(10)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는 제1프레임(60a), 제2프레임(60b), 복수의 도파기(20), 복수의 반사기(50), 방사기(30) 및 클램핑 장치(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파기(20)는 10개, 반사기(50)는 2개, 방사기(30)는 1개로 구성된다.
반사기(50)는 직경, 길이, 파이프 두께 등에서 도파기(20)와 다르지만, 외부 형상적인 면에서는 도파기(20)와 동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파기(20)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파기(20)는 원통형의 중공 파이프(21)의 양 측면에 돌출부(22)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도파기(20) 또는 상기 반사기(50)의 둘레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는 후술할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내면에 형성된 홈(65)에 결합됨으로써 도파기(20) 및 반사기(50)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홈(65)의 바닥면은 상기 돌출부(22)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을 관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종래의 도파기 및 반사기는 파이프의 둘레면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돌출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는 조립이 불편하고 핀을 별도로 고정시켜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조립공정의 수가 증가하며, 부품의 개수도 증가하고, 프레임에 조립 후에 프레임과 도파기 및 반사기 사이에 유동이 있게 되어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도파기(20) 및 반사기(50)는 조립이 단순하고 간단하며, 추가되는 부품도 필요 없고, 후술할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 결합이 가능하므로 유동이 없는 장점이 있다. 즉, 도파기(20) 또는 반사기(50)는 그 외면의 형상이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의 그 대응체결부에 회전 방지 및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맞춤 결합으로 결합되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방사기(30)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방사기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b는 방사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사기(30)는 제1프레임(60a)의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66)에 삽입되는 제1방사기(31), 제2프레임의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방사기(32) 및 절연 스페이서(33)를 포함한다. 제1방사기(31)는 제1단자부(36)를 갖고 제2방사기(32)는 제2단자부(37)를 갖는다. 절연 스페이서(33)는 제1방사기(31)와 제2방사기(32) 사이에 개재한다. 절연 스페이서(33)의 일측과 그 반대측에는 각각 돌출부(34,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4,35)는 제1 또는 제2방사기(31,32)의 단면의 구멍에 각각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안테나 파이프(41)에 인서트(42)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인서트(42)가 삽입된 안테나 파이프(41)에 단자플레이트(46)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제1방사기(31)와 제2방사기(32)는 동일한 형상이다. 따라서 제1방사기(31)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방사기(31)는 중공의 안테나 파이프(41), 둘레에 원주방향의 홈(43)이 형성된 인서트(42) 및 일측 둘레에 단자부(48)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구멍(47)이 형성된 단자플레이트(46)를 포함한다. 제1방사기(31)의 제조방법은 상기 인서트(42)를 안테나 파이프(41)에 끼운다. 그 후 상기 안테나 파이프(41) 둘레에 대하여 롤링가공을 하여 안테나 파이프 외주면을 소성변형시켜 상기 인서트의 홈(43)에 삽입시킨다. 이로써 인서트(42)가 안테나 파이프(41)로부터 빠지는 것이 구속된다. 그 후 안테나 파이프(41) 둘레를 복수의 펀칭 핀으로 펀칭하여 안테나 파이프(41)의 내부공간 속에서 인서트(42)가 회전하는 것을 구속한다. 실시예적으로는 인서트(42)가 삽입된 안테나 파이프(41)의 둘레의 4 곳(P1,P2,P3,P4)을 펀칭할 수 있다. 그 후 단자플레이트(46)를 안테나 파이프(41)에서 삐져나온 인서트(42)의 개구부 끝단(49)을 단자플레이트(46)의 중앙부의 구멍(47)에 삽입하고 코킹가공으로 개구부 끝단(49)을 벌려 단자플레이트(46)를 안테나 파이프(41)에 부착시킨다.
제1방사기(31)의 제1단자부(36)는 신호선(38)이 납땜처리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2방사기(32)의 제2단자부(37)는 접지선(39)이 같은 방법으로 연결된다.
도 6은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a는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의 외면을 나타낸다. 도 6b는 제1프레임(60a) 또는 제2프레임(60b)의 내면을 나타낸다.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60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프레임(60b)은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프레임(60a)은 긴 바(bar)의 형태로서 일단(A부분)은 좁고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B부분)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다. 또한, 상기 타단(B부분)의 끝단에는 클램핑(clamping) 장치(70)가 부착될 수 있도록 말단부(C부분)가 형성되어 있다. 제1프레임(60a)은 도파기 체결부(61), 방사기 체결부(62) 및 반사기 체결부(63)를 포함한다. 도파기 체결부(61)와 반사기 체결부(63)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반사기 체결부(63)의 설명은 도파기체결부(61)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파기 체결부(61)는 관통홀과(64) 상기 관통홀(64) 양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홈(65)을 갖는 구조로 구성된다. 제1프레임(60a)의 방사기 체결부(62)는 관통홀(66)과 상기 관통홀(66)의 일단에서 확장된 확장홈(67)을 갖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제1프레임(60a)은 상기 확장홈(67) 주변에서 상기 확장홈(67)과 연통하도록 추가된 추가홈(68)을 가진다.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은 각각 서로 마주 대응하는 내면과 그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가진다. 제1프레임(60a)의 상기 관통홀(64,66) 측방에 형성된 상기 홈(65), 상기 확장홈(67) 및 상기 추가홈(68)은 각각 상기 내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64,66)은 상기 외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형상으로 인하여 제1프레임(60a)이 도파기(20), 방사기(30) 및 반사기(5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후술할 피복파이프(82) 등과 밀착결합하여 방수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 각각의 내면은 신호선(38)과 접지선(39)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전선홈(69)을 구비한다.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각각의 외면에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말단부(C부분)에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부에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적은 재료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말단부(C부분)에는 내면에 리브가 형성되고 외면은 매끈한 면으로 되어 있는데 그로 인해 클램핑 장치(70)가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과 지붕 등에 설치된 지지대를 밀착시켜 양자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7은 도파기(20)가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파기(2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도파기 체결부(61)에 체결된다. 반사기(5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이 반사기 체결부(63)에 체결된다. 도파기(20)와 반사기(50)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도파기 체결부(61)와 반사기 체결부(63)도 구조적으로는 동일한 구조임은 이미 설명하였다. 도파기의 체결부(61)의 구조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파기(2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도파기 체결부(61)의 관통홀(64)에 끼워맞춤 결합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도파기(20)의 측면의 돌출부(22)는 상기 관통홀(64)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홈(65)에 삽입된다. 이로써 도파기(2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에 고정됨과 동시에 회전이 구속된다. 제1프레임(60a)과 제2프레임(60b)은 각각 서로 마주 대응하는 내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60a)과 제2프레임(60b)은 제1프레임(60a)의 내면과 제2프레임(60b)의 내면이 도파기(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도록 결합하고, 도파기(20)의 돌출부(22)를 제1프레임(60a)의 도파기 체결부(61)와 제2프레임(60b)의 도파기 체결부가 감싸도록 결합한다.
도 8은 방사기(30)가 제1프레임(60a)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방사기(3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방사기 체결부(62)에 체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방사기(31)는 제1프레임(60a)의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66)에 삽입된다. 제2방사기는 제2프레임의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된다. 또한, 절연 스페이서(33)는 제1방사기(31)와 제2방사기(32)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확장홈(67)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1방사기(31)는 상기 스페이서(33)이 상기 확장홈(67)에 안착됨으로서 회전 및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1방사기(31) 및 제2방사기(32) 중 절연 스페이서(33)와 접하는 각 단부에는 실리콘이 도포된다. 절연 스페이서(33)는 신호선(38)이 연결된 제1단자부(36)와 접지선(39)이 연결된 제2단자부(37)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실리콘을 도포하여 상기 단락 방지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도포시 실리콘이 추가홈(68)에도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실리콘 도포시 프레임 외부로 실리콘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안테나 장치 외관이 깨끗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1단자부(36)에 연결된 신호선(38)과 제2단자부(37)에 연결된 접지선(39)은 하나로 모아져서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 각각에 형성된 전선홈(69)에 안착되며, 상기 전선홈(69)을 통하여 프레임 외부로 뻗어나온다.
제1프레임(60a)과 제2프레임(60b)은 제1프레임(60a)의 내면과 제2프레임(60b)의 내면이 방사기(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도록 결합하고, 방사기(30)의 제1 및 제2단자부(36,37)와 절연 스페이서(33)를 제1프레임(60a)의 방사기 체결부(62)와 제2프레임(60b)의 방사기 체결부(62)가 감싸도록 결합한다.
도 9는 클램핑 장치(70)가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결합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램핑 장치(70)는 제1프레임(60a) 및 제2프레임(60b)의 결합체의 말단부(C부분)를 감싸는 제1고정구(71) 및 제1고정구(71)와 단면형상이 상응하게 형성된 제2고정구(72)를 포함한다. 제1고정구(71)와 제2고정구(72)의 단면은 파이프 등의 지주체나 벽면 등의 구조물 등에 안테나 장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74)이 형성된다. 또한, 제1고정구(71)와 제2고정구(72)가 체결될 수 있도록 "ㄷ" 자 형으로 절곡된 체결구(73)를 포함한다.
도 10은 방사기(30)에 보호 마개(81)와 피복파이프(82)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방사기(31) 또는 제2방사기(32)는 끝단에 마개(81)가 삽입되고, 실시예적으로 외주면에 피복코팅 또는 피복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빗물 등으로부터 방사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적으로 제1 및 제2프레임(60a,60b)의 상기 일단(A부분)의 최끝단에 있는 도파기는 파이프 두께가 0.5mm이고 그외에 다른 도파기와 방사기(30)와 반사기(50)는 0.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단(B부분)에 위치한 반사기(50)는 파이프 직경이 8mm이고 그 외에 도파기와 방사기(30)의 직경은 8mm보다 작은 6~7mm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프레임(60a,60b)의 A부분의 최끝단에 있는 도파기가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B부분에 있는 반사기(50)가 직경이 가장 크고 길이가 가장 길다. 도파기(20)와 방사기(30)는 제1 및 제2프레임(60a,60b)의 결합체에 1열로 배치되고, 반사기(50)는 2열에 각각 1개씩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안테나 장치가 낙하할 때 항상 A부분의 최끝단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도파기와 B부분에 위치한 직경이 가장 크고 길이가 가장 긴 반사기가 먼저 지면에 닿는 구조이다. 낙하시 지면에 닿게 되는 그 도파기 및 반사기는 다른 도파기 및 방사기보다 구조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다른 도파기 및 방사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안테나 장치
20 : 도파기
30 : 방사기
50 : 반사기
60a : 제1프레임
60b : 제2프레임
70 : 클램핑(clamping) 장치

Claims (6)

  1. 도파기 체결부와, 방사기 체결부와, 반사기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상기 반사기 체결부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홈을 갖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맞대어 체결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도파기 체결부, 방사기 체결부, 및 반사기 체결부를 가지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상기 도파기 체결부 또는 반사기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되, 상기 홈에 삽입 되도록 측면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도파기 또는 반사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방사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방사기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기 또는 반사기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파기 또는 반사기의 둘레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상기 각 방사기 체결부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서 확장된 확장홈을 가지며,
    상기 방사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방사기와,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방사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방사기와, 상기 제1방사기 및 제2방사기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확장홈에 삽입되는 절연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기 및 제2방사기 중 상기 절연 스페이서와 접하는 각 단부에는 실리콘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기 또는 상기 제2방사기는 끝단에 마개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피복코팅 또는 피복파이프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서로 마주 대응하는 내면과 그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관통홀 측방에 형성된 상기 홈은 각각 상기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20071288A 2012-06-29 2012-06-29 안테나 장치 KR10133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88A KR101332930B1 (ko) 2012-06-29 2012-06-29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88A KR101332930B1 (ko) 2012-06-29 2012-06-29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930B1 true KR101332930B1 (ko) 2013-11-26

Family

ID=4985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288A KR101332930B1 (ko) 2012-06-29 2012-06-29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67A (ko) * 1998-09-07 2000-04-06 김형국 경수로형 원자로의 유실 제어봉 봉단마개 제거공구
KR20020004076A (ko) * 2000-06-30 2002-01-16 구관영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한 야기 안테나
KR20080086242A (ko) * 2007-03-22 2008-09-25 신정현 수신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67A (ko) * 1998-09-07 2000-04-06 김형국 경수로형 원자로의 유실 제어봉 봉단마개 제거공구
KR20020004076A (ko) * 2000-06-30 2002-01-16 구관영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한 야기 안테나
KR20080086242A (ko) * 2007-03-22 2008-09-25 신정현 수신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022C (en) Low-profile vehicle antenna
US6679726B1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5918844B2 (ja) アンテナ装置
BRPI0908167B1 (pt) aparelho de antena
JP2005236846A (ja) 一対のネジ部品を用いた固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
US20110226927A1 (en) Fixation structure of antenna apparatus
KR101332930B1 (ko) 안테나 장치
BR102013005982A2 (pt) Antena para tv digital
JP5956096B1 (ja) アンテナ装置
JP2005108566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119789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9522340A (ja) 同軸コネクタ
JPH06188614A (ja) 車両用ルーフアンテナ取付け装置
US20050128163A1 (en) Cable antenna assembly having slots in grounding sleeve
KR20140096655A (ko) 안테나
KR101533790B1 (ko) 파라볼라형 안테나 설치대
JP4540325B2 (ja) テレビ受信用アンテナ装置
JP4339105B2 (ja) ループアンテナ
JP2004186030A (ja) アンテナコードプラグ構造
KR200375813Y1 (ko) 부분노출형옴니안테나
JP3524071B2 (ja) 指向性アンテナ
KR200180521Y1 (ko) 오디오 연결 케이블
JP5524916B2 (ja) 雨樋へのアンテナの取付け構造
JP4105408B2 (ja) スリーブアンテナ
JPH07231210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