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28B1 -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 Google Patents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28B1
KR101331628B1 KR1020090078301A KR20090078301A KR101331628B1 KR 101331628 B1 KR101331628 B1 KR 101331628B1 KR 1020090078301 A KR1020090078301 A KR 1020090078301A KR 20090078301 A KR20090078301 A KR 20090078301A KR 101331628 B1 KR101331628 B1 KR 101331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eering wheel
molding
cavity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609A (ko
Inventor
유정현
권영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7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7Steer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형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딩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캐비티 표면 일 영역에 벤트 홀을 돌출 형성함에 의해 상기 캐비티에 의해 몰딩되는 스티어링 휠의 표면이 음각되도록 하여 외관 이미지를 미려하게 하고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캐비티, 스티어링 휠, 돌출형 벤트 홀

Description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Molding method by protruding vent hole and steering wheel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돌출형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딩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캐비티 표면 일 영역에 벤트 홀을 돌출 형성함에 의해 상기 캐비티에 의해 몰딩되는 스티어링 휠의 표면이 음각되도록 하여 외관 이미지를 미려하게 하고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은 중심 부재 즉 코어에 소정의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중심 부재 주위로 몰딩하여 형성되는데, 통상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 처리를 할 때 발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스티어링 휠을 몰딩을 위한 종래의 금형(10)을 도시한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금형(10)에는 캐비티(11)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11)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금형의 특정 영역이 요홈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캐비티(11)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을 몰딩하게 된다.
즉, 상기 캐비티(11)에 코어(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코어에 몰딩이 부착되어 최종적인 스티어링 휠이 만들어지는 것임은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캐비트(11)에 코어를 배치한 후 몰딩 재료 공급부(12)를 통해 몰딩 재료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벤트 홀(13)을 통해 열원이 공급되거나 스팀이 배출되면서 발포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공정 및 금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899682)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벤트 홀(13)은 종래 상기 캐비티(11)상에서 음각되도록 형성된다.(도 1의 확대도 참조)
이러한 벤트 홀(13)을 통해 열원이 공급되거나 스팀이 배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벤트 홀(13)을 의해 스티어링 휠 주위를 몰딩하는 경우 상기 벤트 홀(13)까지 몰딩 재료가 충진되므로, 몰딩된 후 스티어링 휠 주변에는 상기 벤트 홀(13) 부분에 충진된 몰딩 재료에 의해 돌출되는 형상이 형성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어(C) 주위에 몰딩 부재(M)가 둘러싸게 된다. 그런데, 상기 몰딩 부재(M)주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벤트 홀(13)에 의해 돌 출 부분(M1)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 부분(M1) 주위로 마감재(예를 들어 인조 가죽등)(L)를 부착하여 최종 스티어링 휠(S)이 완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돌출 부분(M1)이 상기 마감재(L)를 통해 돌출되므로 최종 스티어링 휠(S)의 외관 이미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종 스티어링 휠(S)을 파지할 때 상기 돌출 부분(M1)이 사용자에게 인식되므로 이에 따른 감성 품질(즉, 그립 감성 불만)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티에 형성되는 벤트 홀을 돌출 형성하여 최종 생산되는 스티어링 휠의 표면이 돌출되지 않고 오히려 음각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의 외관 이미지를 제고하고 이에 의해 감성 품질(즉, 그립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티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벤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몰딩 대상 부재를 몰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비티에 몰딩 대상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사출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벤트 홀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스팀을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몰딩 대상 부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을 구비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비티에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와, 사출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벤트 홀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코어를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몰딩 대상 부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최종 스티어링 휠에서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돌출 부분이 제거됨으로서 감성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벤트 홀이 형성된 캐비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몰딩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금형을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분리형 금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 몰딩부와 하부 몰딩부를 각각 형성한 후 코어에 장착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돌출된 벤트 홀을 이용하여 몰딩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우선 관련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방법과 관련되는 스티어링 휠의 몰딩 금형(10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의 코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을 구비하는 캐비티(110)와, 상기 캐비티(110)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벤트 홀(120)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게 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몰딩할 때 본 발명의 금형(100)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돌출형 벤트 홀(120)에 의해 오목한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돌출 부위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함과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벤트 홀(120)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본체(121)가 상기 캐비티(110)에 돌출되도록 장착하되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 열원이 캐비티(110)측으로 공급되거나 스팀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트 홀(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21)가 상기 캐비티(110)와 분리될 수 있는 이른바 분리형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벤트 홀(120)이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캐비티(110)와 일체 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금형(100)을 이용하는 방법(S1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을 구비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는 방법(S100)이다.
상기 방법(S100)는 상기 캐비티(110)에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S110)와, 사출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20)와, 상기 코어 주위를 몰딩하는 단계(S130)와 냉각 단계(S140) 및 이형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몰딩 단계(S130)는 상기 벤트 홀(120)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출 재료 투입 단계(S120)에서는 폴리 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단계(S130)는 상기 폴리 프로필렌을 주입한 후 상기 돌출형 벤트 홀(120)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주입된 폴리 프로필렌을 발포하는 단계(S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단계(S131)는 세 번에 걸쳐서 열원을 나누어 공급하는 단계(S131a,S131b,S1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3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기 몰딩된 코어를 냉각하는 단계(S140)를 수행하여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을 하여 스티어링 휠을 생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 단계(S140)가 종료되면 금형(100)을 이형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금형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일체형 금형(100)일 수 있고 후술하는 분리형 금형(200)일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방법과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몰딩 금형(200)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의 코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각각 음각된 캐비티(211,222)를 구비하는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20)의 캐비티(211,221)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212,22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벤트 홀(212,222)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1에서는 일체형 금형(100)을 이용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20)으로 분리되는 분리형 금형(200)을 이용한 것이다.
그 외에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분리형 금형(200)을 사용한 방법도 유사하다.
즉, 스티어링 휠의 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각각 음각된 캐비티(211,221)를 구비하는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20)과, 상기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20)의 캐비티(211,221)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212,222)을 포함하는 점은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금형(200)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는 방법(S200)은 상기 캐비티(211,221)에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S210)와, 사출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220)와, 상기 벤트 홀(212,222)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스팀을 배출하여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하는 단계(S230)와, 상기 몰딩된 코어를 냉각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점은 유사하다.
실시예1과 상이한 것은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금형(210) 및 하부 금형(220)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코어를 배치하는 점이 상이할 뿐이다.
한편 상기 코어 냉각 단계(S240) 수행 후 상기 금형(200)을 이형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S200)에 대해서는 따로이 도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형 금형(200)을 사용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코어(C)를 둘러싸는 몰딩을 상부 몰딩(UPR)과 하부 몰딩(LWR) 각각 형성한 후 상기 상부 몰딩(UPR)과 하부 몰딩(LWR)을 코어(C)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금형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몰딩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부분이 없는 스티어링 휠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2는 종래 금형에 의해 몰딩된 스티어링 휠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벤트 홀이 형성된 캐비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몰딩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금형을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분리형 금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 몰딩부와 하부 몰딩부를 각각 형성한 후 코어에 장착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금형 110 : 캐비티
120 : 벤트 홀 200 : 금형
210 : 상부 금형 211 : 캐비티
212 : 벤트 홀 220 : 하부 금형
221 : 캐비티 222 : 벤트 홀

Claims (5)

  1. 스티어링 휠의 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을 구비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비티에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와,
    사출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 재료를 투입한 후 상기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통해 세 번에 걸쳐서 열원을 나누어 공급하여, 투입된 사출 재료가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코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2. 스티어링 휠의 코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각각 음각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캐비티의 표면 일 영역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몰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비티에 스티어링 휠의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와,
    사출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 재료를 투입한 후 상기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통해 세 번에 걸쳐서 열원을 나누어 공급하여, 투입된 사출 재료가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코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된 코어를 냉각한 후 상기 금형을 상호 이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는 사출 재료로서 폴리 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상기 코어 주위로 몰딩이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 프로필렌을 주입한 후 상기 돌출되는 다수개의 벤트 홀을 통해 세 번에 걸쳐서 열원을 나누어 공급하여 상기 주입된 폴리 프로필렌을 발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5. 삭제
KR1020090078301A 2009-08-24 2009-08-24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KR101331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01A KR101331628B1 (ko) 2009-08-24 2009-08-24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01A KR101331628B1 (ko) 2009-08-24 2009-08-24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09A KR20110020609A (ko) 2011-03-03
KR101331628B1 true KR101331628B1 (ko) 2013-11-20

Family

ID=4392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01A KR101331628B1 (ko) 2009-08-24 2009-08-24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3239A1 (en) * 2012-09-27 2014-03-27 Nihon Plast Co., Ltd. Steer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325Y1 (ko) * 1995-06-14 1999-01-15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의 구조
KR200315537Y1 (ko) 2003-03-05 2003-06-02 (주)현대공업 폴리우레탄 폼 발포 금형의 에어 벤트 구조
KR20040078502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차용 반응사출 금형 및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제조방법
KR20060024121A (ko) * 2004-09-13 2006-03-16 정영득 일회용 플라스틱 가스핀을 포함하여 구성한 가스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325Y1 (ko) * 1995-06-14 1999-01-15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의 구조
KR20040078502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차용 반응사출 금형 및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제조방법
KR200315537Y1 (ko) 2003-03-05 2003-06-02 (주)현대공업 폴리우레탄 폼 발포 금형의 에어 벤트 구조
KR20060024121A (ko) * 2004-09-13 2006-03-16 정영득 일회용 플라스틱 가스핀을 포함하여 구성한 가스사출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3239A1 (en) * 2012-09-27 2014-03-27 Nihon Plast Co., Ltd. Ste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09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7240A1 (en) Foam body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body
KR101331628B1 (ko) 돌출형 벤트 홀에 의한 몰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의 몰딩 방법
KR101206611B1 (ko) 돌출형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딩 금형 및 스티어링 휠의 몰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
JP2007144934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1065227B (zh) 用于制造内部覆盖元件的方法和不带中心缺陷的内部覆盖元件
US20070151698A1 (en) Mold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a crank
KR100917678B1 (ko) 정밀주조에 의한 수도계량기 패턴의 성형방법
JP4775503B1 (ja) ゴム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4955269U (zh) 无收缩痕注塑成型端盖零件结构
KR101662538B1 (ko) 크래시패드의 제조 장치
US2009028602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ow moulded part and blow moulded part
CN110914035B (zh) 用于制造机动车的挡衬部件的方法和装置、装置的应用
KR100839328B1 (ko) 귓속형 보청기용 이어 쉘의 성형방법
JP3910188B2 (ja) ヘッドレストの表皮一体発泡成形型構造
GB1133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ectacle sidebars and sidebars obtained thereby
JPH0629809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成型方法
KR100968999B1 (ko) 이중 발포 조향 휠 금형 장치
JP2706412B2 (ja) 擬木の製造方法
JP2006272434A (ja) 中空中子の中子原料吹込口の閉鎖方法
KR100356227B1 (ko) 엠보스 스킨과 발포층 일체의 시작형 제품 성형방법
JPH05269223A (ja) ラケットフレームのグリップ構造及びその製法
JP2003181889A (ja) フィルム付成形品用射出成形金型
JP2010214830A (ja) 射出成形方法
JP2005297366A (ja) 発泡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60581A (ko) 단턱을 가진 주조물 제조용 패턴과, 그 제작방법, 및 이를이용한 일체형 주조용 사형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