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362B1 -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 Google Patents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362B1
KR101331362B1 KR1020110050286A KR20110050286A KR101331362B1 KR 101331362 B1 KR101331362 B1 KR 101331362B1 KR 1020110050286 A KR1020110050286 A KR 1020110050286A KR 20110050286 A KR20110050286 A KR 20110050286A KR 101331362 B1 KR101331362 B1 KR 10133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compost
transfer
livestock manure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841A (ko
Inventor
최홍림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362B1/ko
Priority to DE201110080530 priority patent/DE102011080530B3/de
Publication of KR2012013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50Treatments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s, e.g. anaerobic and aerobic treatment or vermicomposting and aerob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면에 부분 매설되는 부숙조;와, 상기 부숙조에 상부에 수직 하향 설치되어 퇴비를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부숙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의해 가축분뇨를 안정화시켜 퇴비화하고,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설치된 포집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내실; 및 상기 내실 밖에서 작업자가 내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설치되는 외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숙조는 교반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이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는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Description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ANAEROBIC COMPOSTING FACILITY OF LIVESTOCK WASTE}
본 발명은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호기성 퇴비화시설에 사용되는 부숙조를 내실로 밀폐시켜 혐기성 퇴비화시설로 시설로 변경하여 바이오가스 및 고질소 함유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분뇨의 퇴비화시설에는 혐기성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퇴비화시설과 호기성(好氣性)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퇴비화시설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혐기성 퇴비화시설의 경우에는 발효 후 메탄가스(CH4)가 주성분으로 발생되며, 호기성 발효는 발효시 산소(공기)의 공급이 필요하며 발효 후 탄산가스(CO2)가 주성분으로 발생 된다.
따라서 혐기성 발효를 시키는 장치가 완벽하게 개발되면, 발효 후 부숙된 퇴비의 질소함량이 높은 것은 물론이고, 또한 부숙 혐기발효시 발생되는 메탄가스도 연료로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가축분뇨의 퇴비화시설은 혐기화 하려면, 먼저 바이오가스 포집을 위하여 밀폐된 공간이 있어야 하며,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폭발성이 강한 메탄가스로 인해서 폭발방지 장치 등 여러 문제가 있으므로 전세계적으로 연속식 혐기퇴비화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기존의 호기성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은 썬라이트 등을 이용한 게이블형 하우스(gable-type house)를 짓고 하우스 내부에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 내부에 가축분뇨 및 축사의 깔개로 이용한 왕겨, 톱밥, 볏집 등을 퇴비화(부숙) 시키는 장치로 상하좌우로 뒤집어주고 섞어주는 단순한 교반장치만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 장치는 그대로 하우스(gable house) 내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하우스 내부는 그대로 악취에 개방되어 있으며, 하우스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는 대부분 하우스 상부 천정에 개방된 배기구의 슬롯(monitor slot)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의 주변에는 악취로 인한 오염이 발생 되고 이 악취로 인해서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많은 민원이 발생 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여도 주변의 민원 및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시설설치가 어렵고, 이는 가축분뇨의 무단 방류로 이어져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호기성 퇴비화시설에 사용되는 부숙조를 내실로 밀폐시켜 혐기성 퇴비화시설로 시설로 변경하여 바이오가스 및 고질소 함유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단일 모터에 동조 회전하는 스크류교반축을 구성하여 퇴비의 교반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스크류교반축에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류커버를 외장시켜 상부로 끌어 올려진 숙성된 퇴비를 부숙조의 상부까지 끌어올려 낙하시킴으로써 부숙조의 중간부에 섞이는 폐단을 방지함으로써 부숙조의 중간부분이나 상부부분에 숙성되지 않은 퇴비가 적체(積滯)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관한 것으로,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면에 부분 매설되는 부숙조;와, 퇴비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부숙조에 상부에 단일모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류교반축이 상호 간섭없이 동조 회전되게 수직 하향 설치되는 교반기;와, 상기 부숙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의해 가축분뇨를 안정화시켜 퇴비화하고,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설치된 포집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내실; 및 상기 내실 밖에서 작업자가 내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설치되는 외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숙조는 교반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는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교반축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류커버가 외장되어 상기 스크류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퇴비가 부숙조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숙조의 바닥면에는 포집된 바이오가스를 일부 재순환시켜 부숙조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트리구조로 분기되는 재순환가스관과, 상기 재순환가스관에 퇴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재순환가스관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부숙조는 상부 양측에 이송부를 길이(Y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각 제 1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결합되어 부숙조의 길이(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쌍의 제 1이송프레임과, 상기 부숙조의 폭(X축) 방향으로 상기 제 1이송프레임에 적층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결합되는 한쌍의 제 2레일과, 상기 부숙조의 길이(Y축) 방향으로 상기 각 제 2레일에 적층결합되어 제 2레일을 따라 부숙조의 폭(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쌍의 제 2이송프레임과, 상기 각 제 2이송프레임의 사이에 교반기의 힌지축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교반기를 강제회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레일은 내실 내에서 부숙조의 길이보다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설치되어 이송부 및 교반기를 부숙조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포집부는 내실의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집배관과, 상기 포집배관을 통해 바이오가스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배관과 연설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배관은 외실의 옥외에 설치되는 바이오가스저장시설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내실은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따르면, 기존의 호기성 퇴비화시설에 사용되는 부숙조를 내실로 밀폐시켜 혐기성 퇴비화시설로 시설 변경하여 질 좋은 바이오가스 및 질 좋은 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모터에 동조 회전하는 스크류교반축을 구성하여 퇴비의 교반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스크류교반축에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류커버를 외장시켜 상부로 끌어 올려진 숙성된 퇴비를 부숙조의 상부까지 끌어올려 낙하시킴으로써 부숙조의 중간부에 섞이는 폐단을 방지함으로써 부숙조의 중간부분이나 상부부분에 숙성되지 않은 퇴비가 적체(積滯)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폐된 내실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 및 악취는 에너지원으로 재이용하여 악취에 따른 민원의 소지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므로, 주변환경을 깨끗이 하여 질높은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농가에서 발생되는 환경 오염물질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축 농가의 소득증대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구가 설치된 외실에서 작업자가 내실 내부의 이송부 및 교반기를 제어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쾌적한 작업상태를 유지하고, 메탄가스 중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기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부숙조에서 각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교반시 가장 숙성에 좋은 경사각을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어 퇴비의 발효(숙성)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부숙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교반기의 각도 변경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교반기의 퇴비 교반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교반기의 각도 변경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교반기의 퇴비 교반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호기성 퇴비화시설에 사용되는 부숙조(3)를 내실(1)로 밀폐시켜 혐기성 퇴비화시설로 시설 변경하여 질 좋은 바이오가스 및 질 좋은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축분뇨가 저장되는 부숙조(3)와, 혐기성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상기 부숙조(3)를 밀폐시키는 내실(1)과, 상기 부숙조(3)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숙조(3)에 저장된 가축분뇨를 교반하는 교반기(5)와, 상기 내실(1)을 포함하는 외실(2)로 구성된다.
부숙조(3)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며,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보온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더불어 지면과의 높이를 낮게 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지면에 부분 매설된다.
내실(1)은 상기 부숙조(3)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의해 가축분뇨를 안정화시켜 퇴비화하고, 발생되는 바이오(메탄)가스는 천정에 설치된 포집부(11)에 의해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포집부(11)는 내실(1)의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집배관(111)과, 상기 포집배관(111)을 통해 바이오가스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배관(111)과 연설되는 흡입팬(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집배관(111)은 외실(2)의 옥외에 설치되는 바이오가스저장시설(미도시)에 연결되어 바이오가스를 별도의 발전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내실(1)은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실(1)을 PE 또는 LDPE 또는 썬라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플라스틱수지재로 구성하여 자연온실 효과를 극대화하여 내부 온도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겨울철 온도저하를 방지하여 퇴비의 발효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부숙조(3)는 포집된 바이오가스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재순환가스관(3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재순환가스관(31)은 부숙조(3) 전체에 걸쳐 균일한 공급을 위해 다수 분기된 트리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숙조(3)는 상기 재순환가스관(31)에 퇴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재순환가스관(3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타공판(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타공판(32)은 퇴비로 공급되는 바이오가스 입자를 균일하게 하여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바이오가스를 정제하는 한편, 퇴비의 메탄발효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부숙조(3)는 교반기(5)를 길이(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부(4)가 설치된다. 이 때 부숙조(3)의 상부 양측에는 이송부(4)를 길이(Y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레일(33)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송부(4)가 부숙조의 길이(Y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4)는 부숙조(3)에 저장된 퇴비를 교반할 수 있는 교반기(5)가 부숙조(3)에 대해 수직 하향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5)는 이송부(4)에 힌지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4)는 상기 각 제 1레일(3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부숙조(3)의 길이(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쌍의 제 1이송프레임(41)과, 상기 제 1이송프레임(41)에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는 고정프레임(42) 및 제 2이송프레임(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42)은 상기 부숙조(3)의 폭(X축) 방향으로 상기 제 1이송프레임(41)에 적층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프레임(42)은 제 1이송프레임(41)의 양단에 각각 적층 결합되어 상기 제 1이송프레임(41)과 함께 사각의 이송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중량이 많이 나가는 교반기(5)를 이송시킴과 동시에 견고히 지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42)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는 한쌍의 제 2레일(43)이 결합되고, 상기 각 제 2레일(43)의 상부에는 한쌍의 제 2이송프레임(44)이 상기 부숙조(3)의 길이(Y축) 방향으로 적층결합되어 부숙조(3)의 폭(X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제 2이송프레임(44)의 사이에 교반기(5)의 힌지축(51)이 힌지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 2이송프레임(44)은 브라켓(441)이 더 결합된다. 또한 제 2이송프레임(44)에는 회동부(45)를 결합시켜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하여 교반기(5)를 강제회동시켜 교반기(5)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레일(33)과 적층 결합되는 제 1이송프레임(41)은 제 1레일(33)과 맞물리는 회전휠(H)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휠(H)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M)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레일(43)과 적층 결합되는 제 2이송프레임(44) 역시 제 2레일(43)과 맞물리는 회전휠(H)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휠(H)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M)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이송프레임(44)에 결합되는 회동부(45)는 실린더 또는 모터를 구성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교반기(5)는 제 1이송프레임(41)의 Y축 이송에 의해 Y축으로 동반 이송되고, 제 2이송프레임(44)의 X축 이송에 의해 X축으로 동반 이송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부숙조(3)의 상부에서 X,Y축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아울러 힌지축(51)을 중심으로 부숙조(3)에서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교반시 퇴비숙성에 좋은 경사각을 선택하여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레일(33)은 내실(1) 내에서 부숙조(3)의 길이보다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설치되어 부숙조(3)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변경하여 이송부(4)와 함께 교반기(5)를 부숙조(3)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교반기(5)를 정비시 부숙조(3)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 부숙조(3)의 외부에서 정비를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교반기(5)는 단일모터(M)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류교반축(52)이 상호 간섭없이 동조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많은 퇴비를 상부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2개의 스크류교반축(52) 날개(521)가 중첩되어 구성되지만, 2개의 스크류교반축(52)이 동조되어 회전됨으로 각각의 날개(521)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동조 회전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교반기(5)는 개구부(531)가 형성된 스크류커버(53)가 스크류교반축(52)에 외장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스크류커버(53)에 형성된 개구부(531)를 통해 퇴비가 부숙조(3)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2개의 스크류교반축(52)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끌어 올려진 숙성된 퇴비를 부숙조(3)의 중간부에 섞이는 폐단을 방지하고 부숙조(3)의 상부까지 끌어올려 낙하시킴으로써 부숙조(3)의 중간부분이나 상부부분에 숙성되지 않은 퇴비가 적체(積滯)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실(2)은 상기 내실(1) 밖에서 작업자가 교반기(5) 및 이송부(4)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기를 위한 배기구(21)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외실(2)은 기존의 호기성 퇴비화시설에 설치된 구조물로, 부숙조(3)를 내실(1)로 밀폐시켜 외실(2)로써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기성 가축분뇨는 산소가 없는 내실 안의 부숙조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가스분해, 산발효, 메탄발효 등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퇴비 및 이산화탄소 및 메탄 등이 함유된 바이오가스(메탄)를 생성한다.
생성된 바이오가스는 포집부에 의해 옥외에 설치된 별도의 바이오가스저장시설에 저장되어 별도의 발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에너지원으로 재이용하여 전체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부숙조 내의 가축분뇨는 왕겨, 톱밥, 볏집 등과 함께 수분조절재와 혼합하여 유기질 퇴비생산을 위한 퇴비화 과정을 거쳐 축산폐수에 함유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분해하여 안정화시키고 숙성하여 최적의 수분함량과 C/N비로 구성된 양질의 혐기성 퇴비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의 각부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숙조(3)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재순환가스관(31)은 송풍팬(311)을 통해 혐기성 퇴비 발효 과정에서 포집된 바이오가스를 일부 재순환시켜 부숙조(3)에 공급한다.
이 때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는 타공판(32)을 을 통해 가스입자를 균일하게 하여 부숙조(3)에 공급함으로써 퇴비화되는 과정에서 바이오가스를 정제하는 한편, 퇴비의 메탄발효를 도모한다.
그리고 교반기(5)는 제 1이송프레임(41)의 Y축 이송에 의해 Y축으로 동반 이송되며, 또한 제 2이송프레임(44)의 X축 이송에 의해 X축으로 동반 이송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부숙조의 상부에서 X,Y축으로 이송하면서 퇴비를 교반 하게 된다. 또한 교반기(5)는 힌지축(51)을 중심으로 부숙조(3)에서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반시 가장 숙성에 좋은 경사각을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어 퇴비의 발효(숙성)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5)는 스크류커버(53)의 개구부(531)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끌어 올려진 숙성된 퇴비를 부숙조(3)의 중간부에 섞이는 방지하고 부숙조(3)의 상부까지 끌어올려 낙하시킴으로써 부숙조(3)의 중간부분이나 상부부분에 숙성되지 않은 퇴비가 적체(積滯)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5)의 정비시에는 퇴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힌지축(51)을 부숙조(3)와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변경하고, 부숙조(3)의 길이보다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설치되는 제 1레일(33)을 통해 이송부(4)와 함께 교반기(5)를 부숙조(3)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부숙조(3)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흡입팬(112)의 가동으로 내실의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설치된 포집부(11)에 의해 포집되므로 방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되는 바이오가스는 재순환가스관을 통해 부숙조의 내부로 재공급되거나 옥외의 바이오가스저장시설에 저장되어 별도의 발전 에너지원 및 본 발명의 에너지원으로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실(2)은 내실(1) 밖에서 작업자가 내실(1) 내부의 이송부(4) 및 교반기(5)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기를 위한 배기구(21)가 설치되어 장시간에 걸쳐 쾌적한 작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 내실 11: 포집부 111: 포집배관
112: 흡입팬
2: 외실 21: 배기구
3: 부숙조 31: 공기주입배관 311: 송풍팬
32: 타공판 33: 제 1레일
4: 이송부 41: 제 1이송프레임 42: 고정프레임
43: 제 2레일 44: 제 2이송프레임
441: 브라켓 45: 회동부, 실린더
5: 교반기 51: 힌지축 52: 스크류교반축
521: 날개 53: 스크류커버
531: 개구부
M: 모터 H:회전휠

Claims (8)

  1.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면에 부분 매설되는 부숙조(3);
    퇴비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부숙조(3)에 상부에 단일모터(M)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류교반축(52)이 상호 간섭없이 동조 회전되게 수직 하향 설치되는 교반기(5);
    상기 부숙조(3)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의해 가축분뇨를 안정화시켜 퇴비화하고,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설치된 포집부(11)를 통해 배출시키는 내실(1); 및
    상기 내실(1) 밖에서 작업자가 내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기를 위한 배기구(21)가 설치되는 외실(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숙조(3)는 교반기(5)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4)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5)는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부(4)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교반축(52)에는 개구부(531)가 형성된 스크류커버(53)가 외장되어 상기 스크류커버(53)의 개구부(531)를 통해 퇴비가 부숙조(3)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숙조(3)의 바닥면에는 포집된 바이오가스를 일부 재순환시켜 부숙조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트리구조로 분기되는 재순환가스관(31)과, 상기 재순환가스관(31)에 퇴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재순환가스관(3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타공판(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숙조(3)는 상부 양측에 이송부(4)를 길이(Y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레일(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4)는 상기 각 제 1레일(33)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결합되어 부숙조(3)의 길이(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쌍의 제 1이송프레임(41)과,
    상기 부숙조(3)의 폭(X축) 방향으로 상기 제 1이송프레임(41)에 적층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2)과,
    상기 각 고정프레임(42)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결합되는 한쌍의 제 2레일(43)과,
    상기 부숙조(3)의 길이(Y축) 방향으로 상기 각 제 2레일(43)에 적층결합되어 제 2레일을 따라 부숙조(3)의 폭(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쌍의 제 2이송프레임(44)과,
    상기 각 제 2이송프레임(44)의 사이에 교반기(5)의 힌지축(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송프레임(44)에 고정되는 브라켓(441)과,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하여 교반기(5)를 강제회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송프레임(44)에 고정되는 회동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레일(33)은 내실(1) 내에서 부숙조(3)의 길이보다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설치되어 이송부(4) 및 교반기(5)를 부숙조(3)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11)는 내실(1)의 천정 더그매공간(attic space)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집배관(111)과, 상기 포집배관(111)을 통해 바이오가스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배관(111)과 연설되는 흡입팬(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배관(111)은 외실(2)의 옥외에 설치되는 바이오가스저장시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1)은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KR1020110050286A 2011-05-26 2011-05-26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KR10133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86A KR101331362B1 (ko) 2011-05-26 2011-05-26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DE201110080530 DE102011080530B3 (de) 2011-05-26 2011-08-05 Anaerobe Kompostierungsanlage von Viehm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86A KR101331362B1 (ko) 2011-05-26 2011-05-26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41A KR20120131841A (ko) 2012-12-05
KR101331362B1 true KR101331362B1 (ko) 2013-11-20

Family

ID=470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286A KR101331362B1 (ko) 2011-05-26 2011-05-26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1362B1 (ko)
DE (1) DE102011080530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32B1 (ko) * 2017-01-05 2018-01-18 주식회사 이티엠센터 배출가스 순환형 고효율 축분 퇴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축분 퇴비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73B1 (ko) * 2011-08-30 2013-11-20 최홍림 혐기 및 호기 연계 퇴비화시설
KR102098046B1 (ko) * 2019-12-16 2020-05-26 (주)케이이씨시스템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수직원통형 혐기성 소화장치
KR102289516B1 (ko) * 2021-03-10 2021-08-11 박종구 이동 교반식 퇴비 처리장치
KR102399165B1 (ko) * 2021-12-06 2022-05-18 박수용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536363B1 (ko) * 2022-03-28 2023-05-26 박용열 저전력 축분 퇴비화 촉진 장치
CN116903401B (zh) * 2023-09-13 2023-11-28 烟台果状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肥堆肥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65U (ko) * 1999-05-31 2000-12-26 천길성 유기비료 제조장치의 발효탱크
KR100433676B1 (ko) * 2003-06-30 2004-06-07 지성축산기계 주식회사 축산폐기물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교반 스크류
KR100490287B1 (ko) * 2002-02-23 2005-05-17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KR100948334B1 (ko) * 2009-02-09 2010-03-17 이상범 바이오가스에 함유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5756A1 (de) * 1975-08-11 1977-02-24 Hermann Besler Behaelter mit vorrichtungen zur erzeugung von methangas und aus organischen abfaellen
JP3437175B2 (ja) * 2001-05-31 2003-08-18 弘幸 吉野 堆肥攪拌装置
DE202004020394U1 (de) * 2004-04-02 2005-08-11 Eeg European Equity Group Gmbh Fermenter oder Nachgärbehä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65U (ko) * 1999-05-31 2000-12-26 천길성 유기비료 제조장치의 발효탱크
KR100490287B1 (ko) * 2002-02-23 2005-05-17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KR100433676B1 (ko) * 2003-06-30 2004-06-07 지성축산기계 주식회사 축산폐기물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교반 스크류
KR100948334B1 (ko) * 2009-02-09 2010-03-17 이상범 바이오가스에 함유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32B1 (ko) * 2017-01-05 2018-01-18 주식회사 이티엠센터 배출가스 순환형 고효율 축분 퇴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축분 퇴비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41A (ko) 2012-12-05
DE102011080530B3 (de)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362B1 (ko) 가축분뇨의 혐기성 퇴비화시설
US9303243B2 (en) Dry anaerobic composting facility
CN102239822B (zh) 蚯蚓生物反应器及其有机废物处理方法
CN204265656U (zh) 智能高温环保制肥一体机
CN105523790A (zh) 车载移动箱式厨余垃圾堆肥装置及其堆肥方法
CN106316489A (zh) 餐厨垃圾沼渣堆肥处理系统
CN201933029U (zh) 立罐式发酵机
CN110015920A (zh) 一种快速堆肥系统及工艺
CN108620414A (zh) 一种生活垃圾分类处理系统
EP2937324A1 (en) Dry anaerobic composting facility
KR100732492B1 (ko)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CN202068840U (zh) 蚯蚓生物反应器
CN107372135B (zh) 一种高床发酵型养猪系统装置
CN204325163U (zh) 一种环保无臭有机肥生产线
CN215440259U (zh) 一种厨余垃圾三段式发酵处理系统
KR100744790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CN212713296U (zh) 一种基于鸡屎发酵用发酵罐
JP2004330093A (ja) リサイクル土壌製造装置
KR200406817Y1 (ko)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CN110092681A (zh) 一种好氧堆肥仓的曝气系统
KR101331273B1 (ko) 혐기 및 호기 연계 퇴비화시설
CN220976845U (zh) 一种有机肥用发酵池
CN216972449U (zh) 污泥与生物质共混碳化制备燃料装置
CN220926747U (zh) 一种饲料发酵池
KR102503047B1 (ko) 발효조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발효공기 간접 가열 및 퇴비 재이용이 가능한 고효율 퇴비발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