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787B1 -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787B1
KR101330787B1 KR1020120086275A KR20120086275A KR101330787B1 KR 101330787 B1 KR101330787 B1 KR 101330787B1 KR 1020120086275 A KR1020120086275 A KR 1020120086275A KR 20120086275 A KR20120086275 A KR 20120086275A KR 101330787 B1 KR101330787 B1 KR 10133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rink
raw material
purified water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심재근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참든건강과학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참든건강과학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기농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에 유기농 매실효소, 강황분말, 뽕잎분말을 혼합한 것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이를 가열하여 액즙을 추출한 후 이를 살균 및 여과하여 얻어지는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는 일상에서 누구나 아무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과일과 채소를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처리하여 액상음료타입으로 제조되어 섭취하기 용이하고 맛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만유발 유전자인 SCD-1의 발현 억제 효과가 있어 항비만및 체중감소가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제조 과정 중에 고온에서의 가열가공 중 발생될 수 있는 갈변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원재료인 채소 및 과일의 풍미가 살아있는 액상음료타입의 채소혼합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THE GREEN VEGETABLE DRINK FOR OBESITY INHIBI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기농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에 유기농 매실효소, 강황분말, 뽕잎분말을 혼합한 것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이를 가열하여 액즙을 추출한 후 이를 살균 및 여과하여 얻어지는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과량의 에너지 섭취 또는 에너지 소비저하로 인한 열량대사의 불균형으로 체내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당뇨병 등 각종 대사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된다(이홍규 1992, Grundy and Barnett 1990, Rose 1991). 세계인 중 약 25%에 해당하는 17억 명이 비만인구에 시달리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성인 세 명중 한 명이 비만으로 조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5년 동안 비만인구 비율이 해마다 3%씩 증가해 현재 비만자 비율이 전체 인구 중 32.7%(남 33.1%, 여 32.2%)이며, 연령별로는 중장년층이 평균 44%로 청년층(22%)의 두 배나 된다. 세계보건기구(WTO)도 "비만은 장기적인 투병이 필요한 질병이다."라고 비만을 경고하고 있는 가운데, 비만은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로 그칠 문제가 아니라 각종 질병을 야기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WTO는 비만이 중요 위험인자인 심혈관질환으로 매년 1,700만명이 목숨을 잃는다고 발표했으며, 2015년에는 지금보다 50% 증가한 전세계 15억명이 비만으로 심각한 고통을 받을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비만은 대사 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암, 심장병, 당뇨, 고혈압 등 다른 치명적인 질병들을 초래한다. 실제로 비만인은 정상인보다 사망률이 28% 높고, 일반인에 비해 고혈압은 5.6배, 고지혈증은 2.1배, 당뇨병은 2.9배나 발병 위험이 크다. 의료보험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치료건수가 지난 86년에 비해 적게는 15배, 크게는 20배 이상 늘어 비만이 국가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에 지출된 사회경제적 비용이 1998년 1조17억원에서 2005년 1조8000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치료 관련 시장은 최근 많은 부작용과 비용과다로 소비자들은 안전하면서 건강에도 도움이되고 비만을 예방하는 쪽으로 과일이나, 야채의 복용을 매우 선호하고 있고 특히 유기농 원료를 재료로 제조한 것을 선호하고 있다.
한편, 비만 및 고콜레스테롤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70311호에서 다슬기, 유황오리, 유근피, 송화가루, 산청목, 죽염, 인진쑥, 도라지 및 흑두로 구성되는 복합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였으나, 주요 성분을 다슬기, 유황오리와 같은 동물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유기농 야채를 선호하는 비만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었으며 각 재료가 가지는 독성 및 부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한편, 채소류를 원재료로 하는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2911호에서 늙은 호박, 고구마, 바나나, 야콘, 야콘잎, 명일엽, 치커리, 양파, 적소두 및 포도당, 올리고당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제안한 바 있었으나, 인증받은 유기농 제품으로 일상에서 누구나 아무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과일, 채소, 버섯 등을 원료로 액상음료 타입으로서 특히 비만 유발 유전자 SCD-1의 발현 억제 효과가 있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상에서 누구나 아무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과일, 채소 등을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처리하여 액상음료타입으로 제조되어 섭취하기 용이하고 맛이 우수한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유발 유전자인 SCD-1의 발현 억제 효과가 있어 항비만및 체중감소가 효과가 있는 유기농 야채 및 과일로 제조된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가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갈변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원재료의 풍미가 살아있는 채소혼합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을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준비단계; 준비된 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에 매실발효액과 건조된 강황 및 건조된 뽕잎을 추가하여 원재료 혼합물을 만드는 원재료혼합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정제수혼합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정제수에 담그어 침윤하여 숙성시키는 침윤숙성단계; 상기 침윤숙성단계를 거친 원재료혼합물을 스팀추출기에 투입한 후 스팀증기로 가열하여 스팀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4~96℃로 유지하며 액즙을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1차추출된 액즙을 스팀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4~96℃로 유지하면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환류시키며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즙을 스팀추출기 내부의 온도를 110~115℃로 높여 살균하는 1차살균단계; 상기 1차살균단계 이후 필터로 여과한 후 이송관을 통해 교반기로 이송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1차여과단계를 거쳐 교반기로 이송된 추출액즙을 필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여과한 후 고온순간살균기로 이송하는 2차여과단계; 및 2차여과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을 95℃ 이상에서 고온순간살균기로 살균하는 2차살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은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원재료 혼합물은 양파 23~24중량%, 당근 23~24중량, 양배추 23~24중량%, 단호박 23~24중량%, 매실발효액 6.0~6.2중량%, 건조된 강황 0.2~0.3중량%, 건조된 뽕잎 0.2~0.3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조성비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맛과 성상 및 기호도 등을 최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항비만 및 체중감소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 중량비를 한정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매실발효액은 유기농 매실 100중량부에 대해 흑설탕 100~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실발효액은 제품 자체의 변성을 방지하고 제품의 맛과 향을 좋게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울러, 음료타입의 제품으로 제조하고 침윤숙성을 충분히 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제수 혼합단계에서는 원재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200~350중량부의 비율로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윤숙성단계는 40℃에서 40~60분 동안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름에는 40분 정도, 겨울에는 60분 정도 침윤숙성을 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1차살균단계에서의 살균온도는 110~115℃이며 10~20분 동안 시행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1차여과단계 이후 교반기로 이송되는 추출액즙의 온도와, 상기 2차여과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의 온도와, 상기 2차살균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의 온도는 95℃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품에 다른 세균이나 효모 등이 증식되어 제품의 품질을 변화시키거나 부패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각 단계를 거칠 경우 공기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채소혼합음료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는 일상에서 누구나 아무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과일과 채소를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처리하여 액상음료타입으로 제조되어 섭취하기 용이하고 맛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는 비만유발 유전자인 SCD-1의 발현 억제 효과가 있어 항비만 및 체중감소 효과가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제조 과정 중에 고온에서의 가열가공 중 발생될 수 있는 갈변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원재료인 채소 및 과일의 풍미가 살아있는 액상음료타입의 채소혼합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SLS)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에 대한 실험결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체중증가억제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혈중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중성지방 저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복합음료의 비만 유발 유전자 SCD-1의 발현 억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험 종료 후 흰쥐의 간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실험결과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재료준비단계(S100)에서는 채소혼합음료의 주요 재료인 유기농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을 브러쉬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원재료혼합단계(S200)에서는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유기농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을 절단하고 이에 매실발효액과 건조된 강황 및 건조된 뽕잎을 추가하여 혼합한 후 원재료 혼합물을 만들게 된다.
정제수혼합단계(S300)에서는 정수된 물을 상기 원재료혼합물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서, 원재료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2~3.5배 정도의 중량이 되는 정제수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윤숙성단계(S400)에서는 정제수와 함께 혼합된 원재료 혼합물을 정제수에 담그어 침윤시킨 상태로 숙성시키게 된다. 40℃의 온도에서 여름에는 40분 정도, 겨울에는 60분 정도 침윤 및 숙성시켜 충분히 원재료 혼합물에 수분이 포함되도록 하면서 효소의 활성화 및 부드러운 맛을 내도록 한다.
1차추출단계(S500)에서는 침윤숙성시킨 원재료 혼합물을 3중스팀추출기에 넣은 후에 수증기를 투입하여 가열시켜 스팀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5℃까지 상승시킨 후 이를 유지하며 1차적으로 원재료 혼합물로부터 액즙을 추출하게 된다.
2차추출단계(S600)에서는 1차추출을 거친 후 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5℃로 유지시키며 액즙을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50분 동안 환류시키며 추가적으로 액즙을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환류를 시키는 이유는 제품의 갈변방지 및 원재료의 맛과 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2차추출단계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액즙을 환류시키지 않으면 열의 편중으로 인하여 추출기 벽의 이상고온이 발생되어 제품이 타거나 농축 결정화되면서 제품을 갈색~검은색으로 변화시켜 제품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변현상으로 인해 쓴맛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원재료 고유의 향과 맛이 부정적으로 변화되어 전체적으로 제품의 관능적 분야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1차살균단계(S700)에서는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즙에 대해 스팀추출기 내부의 온도를 112℃로 순간적으로 높인 후 15분간 정확이 유지하여 살균하는 단계이다. 이때 추출기 내부의 압력은 1.2기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살균단계는 원재료에 유입된 곰팡이 및 효모군의 포자를 소멸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제품의 변질, 변패를 막고 유통기간동안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1차여과단계(S800)는 상기 1차살균단계 이후 즉시 액즙을 바스켓 필터로 여과한 후 액즙의 온도를 97℃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이송관을 통해 교반기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2차여과단계(S900)에서는 상기 1차여과단계를 거쳐 교반기로 이송된 추출액즙을 필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여과한 후 액즙의 온도를 95℃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고온순간살균기로 이송하게 된다.
2차살균단계(S1000)에서는 상기 2차여과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을 95℃에서 순간적으로 살균하는 단계이다. 2차살균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은 95℃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서버탱크로 이송된다.
서버탱크로 이송된 추출액즙은 공기와의 접촉이 없이 충진 포장하여 포장을 시행하게 된다. 포장을 하는 도중에도 추출액즙의 온도는 95℃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농 양파 2.3㎏, 당근 2.3㎏, 양배추 2.3㎏, 단호박 2.3㎏을 각각 잘라서 준비한 다음 매실발효액 600g, 마른 강황 25g, 마른 뽕잎 25g을 혼합하여 원재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정제수 20kg에 해당되는 20,000cc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채소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서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하되, 2차추출단계에서 환류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가열추출을 하여 액즙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채소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건강한 20~50세의 성인남녀 4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관능검사를 위한 패널을 구성하여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추출액즙과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추출액즙을 각각 실시예 1과 실시예 2로 하였고, 시중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무가당 채소즙을 구매하여 이를 비교예로 하였다.
본 관능검사에서는 맛, 냄새, 색상, 종합적 기호도 등의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고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냄새 색상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1 8.0 8.2 8.8 8.2
실시예 2 7.2 7.0 7.5 7.3
비교예 6.5 7.0 7.0 6.6
*관능검사 수치(10:아주 좋음, 0:아주 나쁨)
관능검사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혼합음료의 경우 맛, 냄새, 색상, 종합적 기호도 측면에서 모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채소음료에 비해 좋다는 평가를 내렸으나,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대한 선호도는 차이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채소혼합음료에 비해 2차추출가열에서 환류를 형성시키며 추출가열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채소혼합음료가 맛, 냄새, 색상,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항목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패널들의 대부분 의견이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채소혼합음료의 경우 쓴맛이 느껴져 거슬린다고 답변한 것이 많았으며 색상도 일부 갈색을 띄어 한약 같아 거부감이 든다는 견해도 많았다. 따라서 제품의 성상이나 기호도를 종합하여 볼 때 2차가열추출단계에서 1차추출된 액즙을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환류를 형성시키며 가공한 제품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에 대해 안정성 및 항비만 및 체중감소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료를 제조하였다.
유기농 양파 2.3㎏, 당근 2.3㎏, 양배추 2.3㎏, 단호박 2.3㎏을 각각 잘라서 준비한 다음 매실발효액 600g, 마른 강황 25g, 마른 뽕잎 25g을 혼합하여 원재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정제수 20kg에 해당되는 20,000cc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추출액즙을 제조하였다. 이후 이를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농축액을 별도로 제조한 후 이를 - 80℃에 냉동보관 후 이를 이용해 안정성 및 항비만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품의 Cell Viability실험을 통한 기초적 안전성확보
( Murine 3T3-L1의 Cell Viability Assay )
상기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시료에 대해 3T3-L1 세포에 대한 안전성은 Desai 등의 방법(Desai et al., 200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s에 의하여 MTS가 Formazan으로 전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96 well plate에 분화를 유도한 1.0 x 105 Cell/well의 3T3-L1를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SLS를 50㎍/mL, 250㎍/mL, 500㎍/mL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0㎕의 MTS Solution을 첨가한 후 CO2 배양기(37℃, 5% CO2)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SLS)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에 대한 실험결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시료(SLS)를 3T3-L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이 101±8%이었으며 실험군의 경우에는 50㎍/mL일 때 104±3%, 250㎍/mL일 때 102±7%, 500㎍/mL일 때 99±8%로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어 본 시료(SLS)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방 사료를 식이하도록 흰쥐에 대한 상기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시료(SLS)의 항비만 및 체중감소 효과의 입증을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시험동물
시험 동물은 생후 4주령 수컷 흰쥐(ICR mouse)를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2. 사료
비만유도를 위한 고지방 사료는 RD 60%Kal fat D12492를 사용 하였으며 그 조성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Compositions of high fat diet(HFD)
Product # D12492 gm% kcal%
Protein 26.2 20
Carbohydrate 26.3 20
Fat 34.9 60
Total 100
kcal/gm 5.24

Ingredient

gm

kcal
Casein, 80 Mesh 200 800
L-Cystine 3 12
Corn Starch 0 0 0 0
Maltodextrin 10 125 500
Sucrose 68.8 275.2
Cellulose, BW200 50 0
Soybean Oil 25 225
Lard* 245 2205
Mineral Mix, S10026 10 0
DiCalcium Phosphate 13 0
Calcium Carbonate 5.5 0
Potassium Citrate, 1 H2O 16.5 0
Vitamin Mix, V10001 10 40
Choline Bitartrate 2 0
FD&C Blue Dye #1 0.05 0
Total 773.85 4057
3. 시험동물 사육
시험동물의 사육환경은 온도 20.5~21.5℃, 상대습도49.9~.54.2%, 환기횟수10~15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오전8시30분~오후8시30분), 조도 200~300 Lux의 동물사육실에서 사육하였으며, 매일 환경을 점검하여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중 wirecage(500×300×200 ㎜, 대종기기)에 5마리씩 넣어 사육하였으며 사료와 음용수는 자유 급식하였다.
4. 시험군 및 식이투여
실험군은 상기 표 2와 같이 일반사료를 식이 하는 정상식이군(ND : normal diet,n=10), 65% 지방 함유사료를 식이하는 고지방식이군(HFD : high fat diet, n=10), 65% 지방 함유사료와 함께 상기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시료(SLS)를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SLS식이군(HFD+SLS, n=10) 등으로 3개의 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두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 의한 시료(SLS)의 투여는 1일 1회 일정한 시간(pm 6:30)에 구강을 통해 강제로 투여하였다.
5. 체중 및 증체율
체중은 1주일 간격으로 디지털계량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증체율은 ‘(실험종료체중 - 실험시작체중) / 실험시작체중’으로 계산하였다.
6. 식이량. 음수량. 식이효율
식이량과 음수량은 매일 일정한 시간(am 9:30)에 측정하였으며, 식이효율은 ‘5주간의 체중증가량 / 5주간의 식이량’으로 계산하였다.
7. 채혈 및 장기적출
채혈은 실험 종료 후 각각 에테르를 이용하여 마취한 후 복부 대정맥에서 채혈을 하였으며, 동시에 간 우엽의 일정한 부위를 적출 하였다.
혈액은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20℃에서 냉동 보관 하였다.
8. 혈액 생화학 검사
총콜레스테롤은 시판되는 아산셋트 총콜레스테롤 측정용시액(AM-202K 아산제약)를 이용하여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량(㎎/㎗) = (검체 흡광도 / 표준흡광도) × 300으로 산출하였다. 중성지방은 아산셋트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 ((AM 157-K 아산제약)을 사용하여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중성지방량은 (㎎/㎗) = (검체 흡광도 / 표준흡광도) ×300으로 산출하였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체중증가 억제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주 동안 일반사료를 식이한 정상식이군(ND군)의 시작 평균 체중은 33.2g, 종료 평균 체중은 41.4g로 전체적으로 체중이 124%증가하였으며, 60% 지방을 함유한 사료를 식이한 고지방식이군(HFD군)의 시작체중은 32.4g, 종료체중은 45.8g로 전체적으로 체중이 141.3% 증가하며 ND군에 비하여 체중이 17.4%나 더 증가했다. 이에 반해 SLS식이군(HFD+SLS군)은 시작체중 32.5g, 종료체중 38,8g로 HFD군에 비하여 15.2%의 체중감소가 있었으며, ND군에 비하여 6.3%가 감소되어 본 발명에 의한 채소혼합음료가 흰쥐의 체중증가를 확실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60% 지방을 함유한 사료를 식이한 HFD군이 현저하게 체중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혈중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주 동안 일반사료를 식이한 ND군의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158.2 ㎎/㎗, 60% 지방 함유 사료 식이한 HFD군의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452.5㎎/㎗로 286%증가 하였으며, HFD+SLS군의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328.4㎎/㎗로 HFD군에 비하여 27.4%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여 SLS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복합음료의 흰쥐에 대한 중성지방 저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주 동안 일반사료를 식이한 ND군의 평균 혈중 중성지방 수치는 160.6㎎/㎗, 60% 지방 함유 사료 식이한 HFD군의 평균 혈중 중성지방 수치는 1048.7㎎/㎗로 653%증가 하였으며, HFD+SLS군의 평균 혈중 중성지방 수치는 118.1㎎/㎗로 HFD군에 비하여 88.7% 혈중 평균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감소하여 SLS의 혈중 중성지방 수치의 현저한 저하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7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혼합음료(이하 "SLS"라고 표현함. 이하 같음)의 비만 유발 유전자 SCD-1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PPAR-γ)와 표적유전자인 stearoryl-CoA desaturase-1(SCD-1)에 대한 SLS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먼저 분화 유도된 3T3-L1세포를 60mm dish에 4.0x106cells이 되도록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LS를 50㎍/㎖, 500㎍/㎖ 전처리하고 LPS 10㎍/㎖ 처리 후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거하여 4℃에서 2,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Easy Blue®시약(iNtRON Biotechnology, Korea)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QuantiTect®Reverse Transcription Kit(Qiagen,US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에 대한 PCR을 수행하기 위해 cDNA 1㎍에 Primers (sense, anti-sense) 1㎕ 및 10×buffer (10 mM Tris-HCl, pH 8.3, 50mM KCl, 0.1% Triton X-100), 250 uM dNTP, 1U Tag Polymerase를 혼합한 후 denaturation을 위해 94℃에서 45초, annealing을 위해 55~60℃에서 45초 그리고 extension을 위해 72℃에서 60초 조건으로 30cycles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의 표준 대조구로 GAPDH를 사용하였다. 이후 증폭된 DNA산물을 1.5% Agarose Gel를 사용하여 100 Volt에서 30분간 전기 영동하여 UV에서 관찰하였다. PPAR-γ의 증폭을 위하여 sense primer : 5’-GCGCTACCGGTCTTCTATCA-3’, anti-sense primer : 5’-TGCTGCCAAAAGACAAGCG-3’를 사용하였고 SCD-1의 증폭을 위하여 5’-TCCTCTGACATTTGCAGGTCTATC-3’(sense), 5’-GTGAATCCAGTTATGGGTTCCAC-3’(anti-sense)를 사용하였다. β-actin의 증폭을 위하여5’-GTCGTACCACTGGCATTGTG-3’(sense), 5’-GCCATCTCCTGCTCAAAGTC-3’(anti-sense)를 사용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채소복합음료의 비만 유발 유전자 SCD-1의 발현 억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PPAR-γ)와 표적유전자인 stearoryl-CoA desaturase-1(SCD-1)에 대한 SLS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한 결과 SLS를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전사인자인 PPAR-γ와 표적유전자인 SCD-1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 결과로 SLS의 체중감소 효과는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지방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SLS가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험 종료 후 흰쥐의 간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실험 종료 후 흰쥐를 에테르로 마취 후 경추 탈골로 희생한 후 간조직을 적출하여 절편을 만들어 Hematoxylin 0.1%로 염색 후 현미경(100X)으로 관찰한 결과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ND, HFD, HFD+SLS군의 간조직에서 간의 이상징후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특히 SLS군의 간에서도 조직의 괴사나 지방 침착 등의 소견을 확인 할 수 없어 SLS의 간에 대한 안전성이 인정되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1.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을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준비단계;
    준비된 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에 매실발효액과 건조된 강황 및 건조된 뽕잎을 추가하여 원재료 혼합물을 만드는 원재료혼합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정제수혼합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정제수에 담그어 침윤하여 숙성시키는 침윤숙성단계;
    상기 침윤숙성단계를 거친 원재료혼합물을 스팀추출기에 투입한 후 스팀증기로 가열하여 스팀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4~96℃로 유지하며 액즙을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1차추출된 액즙을 스팀추출기의 내부온도를 94~96℃로 유지하면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환류시키며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즙을 스팀추출기 내부의 온도를 110~115℃로 높여 살균하는 1차살균단계;
    상기 1차살균단계 이후 필터로 여과한 후 이송관을 통해 교반기로 이송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1차여과단계를 거쳐 교반기로 이송된 추출액즙을 필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여과한 후 고온순간살균기로 이송하는 2차여과단계; 및
    2차여과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을 95℃ 이상에서 고온순간살균기로 살균하는 2차살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 당근, 양배추, 단호박은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혼합물은 양파 23~24중량%, 당근 23~24중량, 양배추 23~24중량%, 단호박 23~24중량%, 매실발효액 6.0~6.2중량%, 건조된 강황 0.2~0.3중량%, 건조된 뽕잎 0.2~0.3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발효액은 유기농 매실 100중량부에 대해 흑설탕 100~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정제수 혼합단계에서는 원재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200~350중량부의 비율로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혼합단계에서는 원재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200~350중량부의 비율로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침윤숙성단계는 40℃에서 40~60분 동안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1차살균단계에서의 살균온도는 110~115℃이며 10~20분 동안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1차여과단계 이후 교반기로 이송되는 추출액즙의 온도와,
    상기 2차여과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의 온도와,
    상기 2차살균단계를 거친 추출액즙의 온도는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혼합음료.
KR1020120086275A 2012-08-07 2012-08-07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3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275A KR101330787B1 (ko) 2012-08-07 2012-08-07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275A KR101330787B1 (ko) 2012-08-07 2012-08-07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787B1 true KR101330787B1 (ko) 2013-11-18

Family

ID=4985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275A KR101330787B1 (ko) 2012-08-07 2012-08-07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194B1 (ko) * 2023-08-11 2023-11-23 서홍택 식감 개선과 갈변 방지를 위한 과채즙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84A (ko) * 1995-06-15 1997-01-21 백한기 혼합 야채쥬스
KR100778886B1 (ko) 2006-07-28 2007-11-29 (주)진바이오텍 과채발효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과채발효물 및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0908818B1 (ko) 2008-12-11 2009-07-21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기능성 발효원액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84A (ko) * 1995-06-15 1997-01-21 백한기 혼합 야채쥬스
KR100778886B1 (ko) 2006-07-28 2007-11-29 (주)진바이오텍 과채발효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과채발효물 및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0908818B1 (ko) 2008-12-11 2009-07-21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기능성 발효원액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2009.03.1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194B1 (ko) * 2023-08-11 2023-11-23 서홍택 식감 개선과 갈변 방지를 위한 과채즙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9769A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1838576B1 (ko) 발효 야관문 추출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음료
CN110800852A (zh) 一种去油脂的山楂荷叶茶饮品及制备方法
KR20100035746A (ko) Ggi-100 emx를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0391819B1 (ko)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753964B1 (ko) 모링가 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30787B1 (ko) 항비만효능을 가지는 채소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8535673A (ja) 乳酸菌発酵丸ごとニンニクの製造方法
CN105176773A (zh) 一种调节血糖的南瓜酒及其制作方法
KR102349790B1 (ko) 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3400B1 (ko) 노근 추출물이 포함된 갈대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갈대김치
KR101701680B1 (ko)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KR20110130924A (ko) 미생물 발효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787B1 (ko) 초석잠분말 및 gaba강화 발아곡물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 및 선식 주재 제조방법
El-Refai et al. Chemical, sensory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bread prepared using some herbs as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KR101768818B1 (ko) 산야초 천연발효식초 제조방법
KR102643535B1 (ko) 흑마늘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마늘즙
KR102704504B1 (ko) 붕어빵 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붕어빵
JP2021518442A (ja) 抗炎症効果を有する黒米発芽液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9564B1 (ko) 자색 고구마 보리 모주 제조방법
KR102509537B1 (ko)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
Amany et al. Nutritional impact of cauliflower and broccoli against development of early vascular lesions induced by animal fat diet (bi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KR102497862B1 (ko) 천연 발효종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 발효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