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533B1 - 위생 박엽지 - Google Patents

위생 박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533B1
KR101329533B1 KR1020087027270A KR20087027270A KR101329533B1 KR 101329533 B1 KR101329533 B1 KR 101329533B1 KR 1020087027270 A KR1020087027270 A KR 1020087027270A KR 20087027270 A KR20087027270 A KR 20087027270A KR 101329533 B1 KR101329533 B1 KR 10132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per
liquid
pulp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323A (ko
Inventor
아키라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4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3622B2/ja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Paper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콧물의 뒷샘에 따르는 비위생 상태를 해소한다.
2층 또는 3층 겹친 위생 박엽지로서, 각 층(11,12,30)이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며,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무하중시)에서의 인공 콧물의 뒤로 샌 양이 10㎎이하이다.
위생 박엽지, 펄프, 항바이러스제, 중간층, 외층

Description

위생 박엽지{SANITARY TISSUE PAPER}
본 발명은 티슈페이퍼나 토일렛페이퍼 등의 위생 박엽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콧물 등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체액을 포착하는 티슈페이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 종류의 위생 박엽지는 콧물액이 뒤로 새어나와 손 등에 묻는 경우가 있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위생 박엽지를 몇 겹으로 겹치면, 이러한 뒤로 새어나오는 문제는 회피된다. 그러나, 위생 박엽지를 몇 겹으로 겹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또한, 위생 박엽지를 몇 겹으로 겹치면, 얇음, 부드러움이 손상되기 때문에, 모처럼 얇고 부드러워진 최근의 위생 박엽지의 장점이 감쇄되어 버린다. 감기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뒤로 새어나온 콧물이 손에 닿아, 음식물을 통하여 체내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그리하여, 비위생이라는 문제를 해결한 위생 박엽지로서,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 위생 박엽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항바이러스제의 살균 작용이 발현되기 전에, 콧물 등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액이 뒤로 새어나와 버릴 경우에는, 감염의 전파 방지의 면에 있어서 근 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표 2003-512542호 공보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위생적인 동시에, 부드러움 등의 위생 박엽지에 요구되는 특성을 겸비한 위생 박엽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3층의 겹친 위생 박엽지로서,
각 층이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며,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무하중시)에서의 인공 콧물의 뒤로 샌 양이 10㎎이하이며,
중간층에 항바이러스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3층의 겹친 위생 박엽지로 하면서, 양 최외층이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면, 표리를 구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촉감이 뛰어나며, 또한, 중간층에 대해서도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므로, 제품 전체적으로 유연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항바이러스제를 첨가하여 살균 또는 그 활동 억제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콧물 성분이 침투 가능한 중간층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유시키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액계가 항바이러스제와 접촉하므로, 살균 또는 그 활동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의 "함유시킨다"란, 상기 층 전체에 분산시키는 경우 외에, 상측 또는 하측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 도포 등에 의해 표면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 등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서로 겹치는 각 층이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점착제 및 플라이 본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합가공에 의해 겹쳐져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층을 겹치는 수단으로서,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점착제 및 플라이 본딩 등을 들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제품 미터 평량이 10~55g/㎡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3층의 겹친 위생 박엽지인 경우, 과도한 미터 평량으로 하는 것은 부드러움을 손상하기 때문에 55g/㎡이하가 바람직하다. 미터 평량이 10g/㎡미만이면 흡액성이 충분해지기 어려운 등의 문제를 남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양 외층보다 중간층의 평량이 큰 청구항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양 외층보다 중간층의 평량을 크게 하면, 중간층에서의 흡액성(흡액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뒷샘 저감 효과를 높인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양 외층에 액불투과성을 높이는 약액을 포함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외층이 액불투과성을 높이는 약액을 포함하면, 일단 중간층 중에 침투한 액을 가두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콧물 등의 뒷샘 저감 효과를 높인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서로 겹치는 각 층이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점착제 및 플라이(ply) 본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합 가공에 의해 겹쳐져 있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층을 겹치는 수단으로서,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점착제 및 플라이 본딩 등을 들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중간층의 어느 한 층에 착색이 이루어지고, 그 착색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측으로부터 눈으로 보아 확인 가능한 관계에 있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중간층의 어느 한 층에 착색이 이루어지고, 그 착색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측으로부터 눈으로 보아 확인 가능한 관계에 있는 구성으로 하면, 일반의 위생 박엽지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또한 착색을 위한 성분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제품 미터 평량이 10~55g/㎡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작용 효과)
2층 이상, 특히 3층 겹친 위생 박엽지인 경우, 과도한 미터 평량으로 하는 것은 부드러움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55g/㎡이하가 바람직하다. 미터 평량이 10g/㎡미만이면 흡액성을 충분하게 하기 어려운 것 등의 문제를 남긴다.
위생적인 동시에, 부드러움 등의 위생 박엽지에 요구되는 특성을 겸비한 위생 박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위생 박엽지(10)는 2층 이상의 겹침 층 구성이 된다. 여기서, "층"이란 평면방향으로 재료가 연속적으로 전개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구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수의 재료의 층이 적층되어 일체가 된 것("적층체") 이외에, 하나의 층 또는 적층체를 하나의 "플라이"로서, 다른 쪽 플라이와 부분적으로 접합된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플라이 이상의 "플라이 접합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구조예]
본 발명의 위생 박엽지의 구조에 대하여, 각종의 형태예를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사용면측의 외층(11)을 펄프를 원료로 하는 액의 흡수성층으로 하고, 다른 쪽의 비사용면측의 외층(12)을 액불투과성층(해칭(hatching)으로 나타냄)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액불투과성층"이란 액을 완전히 투과시키지 않는 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액의 흡수성층"과의 대비로 액투과성이 낮은 층을 의미한다.
도 3은 외층(11)과 외층(12) 사이에 액불투과성의 중간층(30)을 개재시킨 것이다.
도 4는 외층(11)과 외층(12) 사이에 제1중간층(31) 및 제2중간층(32)의 중간층(30)을 개재시킨 것이다. 이 경우, 제1중간층(31) 및 제2중간층(32)의 양자 또는 한쪽을 액불투과성층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외층(11)과 외층(12) 사이에 제1중간층(31), 제2중간층(32), 제3중간층(33)의 중간층(30)을 개재시킨 것이다. 이 경우, 제1중간층(31), 제2중간층(32) 및 제3중간층(33)의 어느 한 층을 액불투과성층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외층(11) 및 중간층(31)의 적층체와, 외층(12) 및 중간층(32)의 적층체를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점착제 및 플라이 본딩 등의 접합 가공에 의한 부분 접합부(40)에 의해 플라이 접합한 것이다.
도 7은 외층(11) 및 중간층(31)의 적층체와, 단일의 외층(12)을 부분 접합부(40)에 의해 플라이 접합한 것이다.
이들 형태는 예시라는 것을 다시 한번 설명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최외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층이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며, 이 종이층 이외의 어느 한 층이 액불투과성층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에 형태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11) 및 외층(12)의 양자가 종이층인 것이 콧물 등의 액의 흡수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3층품인 것이 과도한 강성(剛性)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이다.
중간층(30)을 착색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소재 그 자체가 이미 착색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위생 박엽지의 제조 과정에서, 천연이나 합성을 불문하고 염료나 안료를 대상의 층 중 또는 층 표면에 첨가함으로써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전체를 착색할 뿐 아니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기하학 모양이나 꽃, 나무, 풀 등의 식물, 사람, 동물, 물고기 등 디자인성이 있는 모양을 착색제로 부분적으로 도안화해도 된다. 착색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범용의 티슈페이퍼와 시각적으로 구별화가 가능한 것이 된다. 예시적으로 착색층의 예를 파선에 의한 해칭으로 나타내었다. 필요하면, 외층에 착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예는 적층체의 예이다. 이 적층수단으로서는, 열융착 접합, 초음파 융착 접합, 혹은 점착제를 개재시키는 수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접합 부위는 전면인 것 외에, 평면적으로 보아 스트라이프상, 산점(散点)상, 격자상, 스파이럴상 등 부분적이어도 된다. 접합 부위는 전면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층"의 정의로 보면, 다른 재료가 되는 것이 아니므로, 층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점착제에 의한 전면 접합인 경우에는, 다른 재료인 점착제가 개재되므로, "점착제층" 이라 정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를 어느 한 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를 어느 복수의 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는 최외층의 양자는 종이층으로 하고, 중간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유시키는 형태이다.
[액불투과성의 부여 및 액불투과성층]
본 발명에 위생 박엽지(10)는 액불투과성층을 가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1의 위생 박엽지(10)의 외층(11)을 사용면으로 하여 코를 풀었을 때, 콧물(W)이 뒤로 새어 나오지 않는다(도 3에 뒷샘 방지 형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냄). 그리고, 사용면을 내측으로 하여 도 2와 같이 구겨서 혹은 접어서 폐기한 경우, 콧물이 내부에 보유된 상태가 되므로, 타인에 대해서도 콧물(W) 중의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어, 공중 위생상, 청결한 것이 된다.
위생 박엽지(10) 전체의 특성으로 본 발명의 액불투과성층의 액불투과도가 정해진다. 즉, 액불투과성층 이외의 층의 두께나 소재의 종류, 적층 매수 등으로 액불투과성층의 액불투과도가 정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생 박엽지(10) 자체가 콧물이 실질적으로 뒤로 새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액불투과성층이 액불투과성을 가지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10점법에 근거하는 액불투과도가 0~9점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점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점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10점법에 근거하는 액불투과도를 0~2점으로 한 경우는 액불투과성층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생 박엽지(10)를 사용 후에 구기면, 콧물 등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액(W)이 감싸진 상태로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것이 된다.
여기서, 10점법이란 액불투과성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평가방법이다. 이 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여과지(토요 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ADVANTEC 1(150㎜)"를 3장 겹쳐, 그 위에 시험편, 또한 그 위에 도 8에 나타내는 측정판(40)을 놓는다. 그리고, 측정판(40)의 각 구멍(41,41…)에, 증류수 방울을 충전하여, 2초 이내에 여과지에 흡수되는 수를 세어, 이 수를 점수로서 나타낸다. 또한, 측정판(40)은 두께가 8㎜, 각 구멍(41,41…)의 직경이 10㎜이다.
상기의 10점법은 액불투과도의 평가법으로서, 반드시 정밀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콧물의 뒷샘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 대상의 위생 박엽지의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에서, 뒤로 새어 나오는 인공 콧물의 양이 10㎎이하가 되는 한,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위생적이라는 것을 지견하고 있다.
여기서,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에 의한 뒤로 새어 나오는 인공 콧물의 양(㎎)은 다음에 기술하는 (1)~(5)의 시험 과정을 거쳐 얻은 값이다.
(1)인공 콧물(생리 식염수(요소(尿素) 2%, 염화나트륨 0.8%, 염화칼슘 0.3%, 황산마그네슘 0.8%, 이온 교환수 96.1%): CMC(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4% 수용액=1:2, 홍색 식용색소(미량))을 준비.
(2)여과지(토요 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ADVANTEC 1(150㎜)")를 2장 적층 하여 질량을 측정.
(3)적층한 여과지의 위에, 반으로 접은 시험 시료를 적층.
(4)여과지에 10㎜의 높이로부터 마이크로 피펫으로 상기 인공 콧물 1㎖를 적하.
(5)10초 후 시험지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여, 적하전과의 질량 차를 인공 콧물의 뒤로 샌 양(㎎)으로 한다.
본 위생 박엽지(10)에 있어서는, 외층을 구성하는 종이층의 흡수도가 5초 이상, 특히 5~10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층의 종이층의 흡수도(초)는 다음에 기술하는 (6)~(10)의 시험 과정을 거쳐 얻은 값이다.
(6)증류수, 디지털 마이크로 피펫, 스톱 워치 및 삼각대를 준비.
(7)시험지를 2장 적층하여, 직경 40㎜이상의 구멍이 있는 지지대에 놓는다.
(8)시험지에 10㎜의 높이로부터 디지털 마이크로 피펫으로 증류수 한 방울(0.1㎖)을 적하.
(9)증류수가 시험지에 접촉한 순간부터 물이 완전히 흡수되어 시험지 표면의 반사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스톱 워치로 측정(0.01초 단위).
(10)이 시험을 5회 행하고, 그 평균치의 소수점 이하 제1위치까지를 흡수도(초)로 한다.
한편, 양 최외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경우, 중간층은 양 최외층보다 액 보유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뒷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중간층의 액 보유용량을 양 최외층의 액 보유용량보다 크게 하는 수단의 하나는 미터 평량을 크게 하는 것이다.
덧붙여, 2층 구성의 경우, 펄프를 원료로 하는 액의 흡수성층의 한쪽의 외층의 미터 평량이 10~20g/㎡이며, 액불투과성층을 구성하는 다른 쪽의 외층의 미터 평량이 15~35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층 구성의 경우, 펄프를 원료로 하는 액의 흡수성층의 양 외층의 미터 평량이 각각 10~20g/㎡이며, 액불투과성층을 구성하는 중간층의 미터 평량이 15~35g/㎡, 특히 15~25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간층의 액 보유용량으로서는, 크램(cram) 흡수도(JIS P 8141)를 지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크램 흡수도가 30㎜이상, 특히 3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램 흡수도의 측정 전후의 중량의 차로부터 산출한 흡수량은 30㎎이상, 특히 30~5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이층"은 펄프 원료를 주체로 하는 한, 다른 종류의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친수성 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친수성 부직 섬유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종이층에 대하여, 액불투과성층이 마련되어, 위생 박엽지 전체적으로 콧물의 뒷샘 방지가 도모된다.
액불투과성층의 형성을 위한 제1의 수단은 플라스틱 필름, 발수성 부직포 등 소재 자체가 액불투과성에 기여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액불투과성층의 형성을 위한 제2의 수단은 펄프 섬유나 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섬유를 사용하고, 액불투과성을 부여하는 약제를 첨가함으로써, 액불투과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제2의 수단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불투과성층을 예를 들면, 필름 등을 원료로서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필름에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위생 박엽지의 부드러움을 추구하는 관점에서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복수의 미세한 구멍의 개구(開口) 지름은 0.1~40㎚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30㎚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20㎚로 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개구가 지나치게 작으면, 위생 박엽지의 부드러움 증가 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한편, 개구가 지나치게 크면, 바이러스가 본 액불투과성층을 빠져나가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바이러스의 크기는 20~250㎚정도이다.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필름은 예를 들면 소수성(疎水性)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필름(다공성 필름)은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와, 탄산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소(微小)한 무기 필러 또는 상용성이 없는 유기 고분자 등을 용융 혼합반죽하여 필름을 형성하고, 이 필름을 1축 또는 2축 연신(延伸)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으로부터 1종 또는 여러 종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의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진 섬유나, 이들 수지를 2종 이상 사용하여 이루어진 심초형,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구조를 가지는 복합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에어스루법, 멜트블로운법, 히트실법, 스펀본드법, 석션히트본드법 등의 일반적인 제조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섬유를 원료로 하는 경우, 사이즈제를 첨가함으로써 액불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즈제는 펄프 절대건조 질량에 대한 고형분 질량비로 0.02~0.06%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03~0.05% 포함하면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사이즈제의 배합량이 0.02질량%미만이면, 액의 뒷샘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사이즈제의 배합량이 0.06질량%를 넘으면, 발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사이즈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케텐다이머, 알케닐무수숙신산, 무수스테아린산 등의 중성 사이즈제, 비누화 천연 로진, 강화 로진 등의 산성 사이즈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예에서는, 주로 중간층을 "액불투과성층"으로 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외층을 "액불투과성층"으로 하고, 중간층(30)을 "액의 흡수성층"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층 구조로 하여, 양 외층(11,12)을 "액불투과성층"으로 하고, 중간층을 "액의 흡수성층"으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외층(11,12) 중 한쪽의 외층으로부터 액, 예를 들면 콧물이 그 토출 압력도 작용해 액불투과성층을 투과하여, 중간층(30)인 "액의 흡수성층" 중으로 이행하여 버리면, 그곳에 콧물이 흡수되어, 그곳에 머무르게 된다. 즉, 다른 쪽의 외층이 "액불투과성층"이기 때문에, "액의 흡수성층"인 중간층(30) 중에 흡수된 콧물이 뒤로 새어나오는 경우가 적다.
더 적합하게는, 외층(11,12)을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으로 하여, 유연성을 확보하며, 촉감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외층(11,12)에 글리세린, 다가 알코올, 당류 등의 보습성 약액을 불투과성을 부여하는 약제로서 첨가할 수 있으므로, 보습성이 뛰어난 표면을 가지는 위생 박엽지 제품이 되고, 또한 콧물이 뒤로 새어나오는 경우가 적은 제품이 된다.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위생 박엽지(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3층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릴(50)로부터 중간층(30)을 풀어낸다. 이 풀어낸 중간층(30)에는, 이어서, 그 한쪽 또는 양쪽의 표면에, 도시예에서는 양쪽의 표면에, 항바이러스제 도포수단(35,36)에 의해, 항바이러스제를 외첨 도포한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제를 도포한 중간층(30)에는, 그 양면에 각각 한쪽의 외층(11) 또는 다른 쪽의 외층(12)을 겹친다. 본 제조예에서는, 한쪽의 외층(11)은 릴(51)로부터, 다른 쪽의 외층(12)은 릴(52)로부터, 각각 풀어내어, 중간층(30)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3층으로 된 위생 박엽지(10)는 예를 들면 릴(53)에 감아 올려 적당히 보관 등을 할 수 있다.
[사용 소재·약제 등]
본 발명의 층의 평량으로서는, 외층(11,12)의 평량(JIS P 8124)을 10~20g/㎡ 로 하면서, 액 보유용량을 보다 크게 한 중간층의 평량(JIS P 8124)을 15~35g/㎡로 해두면, 얇음, 부드러움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외층(11,12)의 수분율은 외층(11,12)을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8~15질량%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3질량%로 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분율이 8질량%미만이면, 촉촉한 감이 없어져, 각질 내의 수분을 빼앗을 우려가 있다. 한편, 수분율이 15질량%를 넘으면, 끈적임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위생 박엽지(10)에 있어서의 적합한 예는 외층(11,12)과 중간층(30)을 가지는 형태이다. 외층(11,12)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는데, 항바이러스제는 민감한 피부의 사용자에 있어서는 드물게 피부가 거칠어지는 원인이 되므로, 중간층(30)의 표면(30a)에, 항바이러스제를 도포 등에 의해 외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외층(11 또는 12)을 투과한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액(W)이 외층(11 또는 12)을 통하여 침투하여, 표면(30a)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와 접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의 사멸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현된다.
항바이러스제는 중간층(30)에 내첨할 수도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외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포, 그라비어 도포, 슬롯 도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를 내첨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캡슐 내에 충전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외첨 및 내첨을 포함한 부여량으로서는, 절대건조 질량 기준으로 0.1~30g/㎡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접합수단의 하나로서 플라이 본딩이 있다. 즉, 시트 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양 끝 가장자리를 따라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라인상의 플라이 본딩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플라이 본딩 가공은 시트의 양 끝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5~40㎜ 떨어진 위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0㎜ 떨어진 위치에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미만이면, 플라이가 벗겨져 중층이 피부에 접할 우려가 있다. 한편, 40㎜를 넘으면, 단부가 젖혀져 중층이 피부에 접할 우려가 있다.
플라이 본딩으로서는, 엠보스 가공(부여)에 의해 접합하는 처리 외에 , 슬릿 형성에 의한 처리, 접착제에 의한 처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위생 박엽지(10)는 소프트니스(softness)가 0.5~3.0g으로 되어 있으면서, KES 촉감 지수가 8~15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을 만족하면, 위생 박엽지(10)는 충분히 부드럽게 된다.
여기서, 소프트니스란, 10㎝ 폭의 위생 박엽지를 단자에 의해 폭 5.0㎜의 틈에 밀어 넣었을 때의 저항치(종횡의 평균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부드러운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니스는 핸들오미터법(JIS L-1096 E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말한다. 소프트니스는 예를 들면 평량, 층의 수,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종류, 밀착 가공 조건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한편, KES 촉감 지수는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즉, 이 측정에 있어서는, 통상의 MMD 시험기, 예를 들면,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토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마찰감 테스터 "KES SE"의 기대(基臺)상에 인공 피혁(사프라레: 이데미츠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깔아서 고정함과 동시에, 측정 단자를 인공 피혁(사프라레: 이데미츠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으로 피복하고, 그 측정 단자의 측정면의 인공 피혁으로 피복된 부분(접촉 평면)에 올리브 오일(BOSCO 엑스트라 버진 오일: 닛신 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MMD의 측정 순서와 동일하게 하여 행한다.
상세하게는, 인공 피혁으로 구성되는 접촉 평면은 횡단면 직경 0.5㎜인 피아노선으로 이루어지고, 선단의 곡률 반경이 0.25㎜인 단위 팽출부(膨出部)를 인접하여 가지며, 전체 폭이 10㎜인 연속한 측정면을 가지며, 그 측정면의 길이가 10㎜인 거의 사방 10㎜의 측정면을 가지는 MMD 측정용 단자를, 상기 인공 피혁으로 피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공 피혁에 의한 상기 단자의 피복은 사방 10㎜의 접촉 평면이 형성되도록 단자의 측정면에 대하여 인공 피혁이 딱 맞게 접촉하도록, 혹은 약간의 장력을 부여하여 딱 맞게 피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인공 피혁을 단자에 고정하는데 있어서는, 측정시, 즉 종이 시료를 이동시켰을 때에 인공 피혁과 내부의 단자가 어긋나 인공 피혁이나 접촉 평면에 일그러짐 등이 생기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은 예를 들면 상기 접촉 평면이 구성되도록 상기 단자를 피복한 후, 접촉 평면을 구성하지 않는 부위를 고무밴드 등으로 장치의 측정에 영향이 없는 부위, 예를 들면 단자의 지지 재료 등에 단단히 고정한다. 또한, MMD 시험기의 기대 상에는 인공 피혁을 깔아서 접착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측정시에 일그러지지 않도록 기대에 인공 피혁을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대 상에 까는 인공 피혁은 상기 접촉 평면을 구성하는 인공 피혁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종이 시료는 사방 10㎝로 재단하여 사용하고, 인공 피혁을 깐 기대에 고정한다. 측정시에는, 종이 시료의 위에 시료 누름용 추(약 100g)로 누른다. 또한, 시험기의 측정 단자에의 하중을 50g으로 하여 인공 피혁으로 구성되는 접촉 평면 전체가 50gf/㎠의 접촉압으로 종이 시료에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MMD 측정과 같이, 원반상(圓盤狀)의 추를 단자 상부에 부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지지재의 한쪽의 단부(종이 시료의 이동 방향과 반대의 단부)의 고정 방법은 MMD의 측정에 준한다. 측정은 종이 시료의 종방향에 대하여 3회, 횡방향에 대하여 3회의 총 6회를 행하고, 측정치(KES 촉감 지수)에 대해서는 그 6회의 평균치로 한다.
이 KES 촉감 지수는 예를 들면 외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종류, 섬유길이, 섬도(纖度) 등이나, 외층에 부여하는 액불투과성의 약액의 종류, 부여량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층에 액불투과성을 부여하거나 혹은 높이는 수단으로서, 상술과 같이, 액불투과성의 약액을 사용하는 수단이 있다. 이러한 액불투과성의 약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습성 약액으로서 알려진 실리콘 오일, 실리콘 파우더 등의 폴리실록산,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소르비톨,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글리콜계 용제 및 그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단, 액불투과성의 약액으로서는, 적어도 다가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성을 가지며, 사용시의 피부에의 데미지를 경감하기 때문이다.
이들 액불투과성의 약액은 절대건조 질량 기준으로 대상 층의 질량에 대하여, 15~30%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25% 부여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5%미만이면 약액 부여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30%를 넘으면, 약액 부여의 효과가 향상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또한, 액불투과성의 약액에는, 글리신,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알라닌, 시스틴, 시스테인 등의 아미노산; 알로에 엑기스, 감차(甘茶) 엑기스, 모과 엑기스, 오이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찔레나무 엑기스, 수세미 엑기스, 백합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등의 식물 추출 엑기스; 올리브유, 호호바유, 로즈힙유, 아몬드유, 유칼리유, 아보카도유, 동백유, 대두유, 홍화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등의 식물유; 비타민,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실크, 키토산, 요소, 벌꿀, 로얄젤리, 히알루론산 나트륨, 세라마이드, 스쿠알렌, 바셀린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액불투과성의 약액에는, 비타민C, 비타민E, 콜라겐 등도 배합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약액은 습윤감을 높이는 기능이 있다. 비타민C 및 비타민E는 항산화제로서도 기능한다. 비타민E는 환원력이 강한 성분으로, 활성 산소·프리 라디칼을 소거하여, 과산화지질의 발생을 막는 항산화 작용이 있다. 따라서, 비타민E는 약액의 안정화제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박엽지를 사용한 사람의 피부에 부여되면 상기 피부의 피지의 산화방지 효과 및 혈행촉진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보습 기능도 있다. 비타민C는 비타민E와 마찬가지로 피지의 항산화 작용이 있다. 또한, 비타민C는 비타민E를 환원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C 및 비타민E의 양쪽을 이용하면, 비타민C가 비타민E의 조제로서 작용하고, 활성 산소 등에 의해 산화된 비타민E를 환원하여, 비타민E의 강력한 피지의 항산화 작용을 유지하는 작용이 나타난다.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의 9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것이 감소하면 피부에 촉촉함이나 탄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박엽지에 함유시켜 둠으로써, 이것이 피부와 접촉했을 때에 피부에 촉촉함을 부여하는 보습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박엽지에 대한 보습효과도 발휘한다.
또한, 액불투과성의 약액이 pH가 5.0~6.0의 약산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면, 피부에 대하여 접촉시켜도 피부가 알카리성이 되지 않고, 약액 pH의 영향에 의한 피부의 거칠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pH 범위는 5.3~5.7이다. pH의 조정법은 산성 또는 염기성의 pH 조정제를 약액에 첨가하여 행할 수 있는데, 약액이 강산성인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성·알카리성인 경우에는, 구연산이나 사과산, 락트산을 사용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의 약액으로서는, 청량감을 얻기 위한 약액, 예를 들면, 소르비톨, 알티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락티톨, 팔라티니트(palatinit)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에리스리톨, 자일리톨이다. 또한, 이들 약액에는, 멘톨, 살리실산, α-시네롤 및 이들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냉감제(冷感劑)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청량감을 얻기 위한 약제를 바인더 성분 중에 분산시킨 상태로 외층에 편재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층 형성을 위한 초조(抄造; papermaking)단계에서 첨가(내첨)하는 것이 바람직한 약액으로서는, 습윤 지력제, 유연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연제의 대표예는 계면활성제계의 유연제이다. 계면활성제계의 유연제로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兩性) 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탄력(구부림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보습제에 의한 습윤감이나 유연제에 의한 부드러움을 조장시킬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실산염계, 술폰산염계, 황산에스테르염계, 인산에스테르염계인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알킬인산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지방산에스테르, N-(3-올레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밀랍,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연제로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바이러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세포막(지방)이 음이온성이며,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세포막(지방)에 흡착한 후, 지방을 분해하여 바이러스를 사멸(불활성화)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아민염,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 술포네이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또는 복소환식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습윤 지력(증강)제로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부가 축합물, 요소-포름알데히드 부가 축합물 외에, 환경을 고려하면, 다음에 기술하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옥살·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관능기 수를 통상의 1/10로 저감한 폴리아미드에피클로르히드린수지, 디알데히드전분 또는 양이온 변성 전분, 산화 전분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성을 가지는 폴리비닐아미드 공중합체와 2가 알데히드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소44-2667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소54-4476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57-149595호 공보 참조), 양이온성 알데히드 변성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6-18498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56868호 공보 참조),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함유하고, 양이온성 고분자 및 음이온성 고분자의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가 소수성을 가지는 것(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75787호 공보 참조)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위생 박엽지를 티슈페이퍼로 하는 경우는 3장 겹침 1세트(3플라이)에서의 종이 두께가 200~3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40~3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 이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사용자가 느끼는 종이의 얇은 느낌이 현저해지고, 또한, 흡수성이 떨어져 티슈페이퍼로서의 기능이 저하한다. 한편, 종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소정 매수를 수납 상자에 담아서 제품으로 했을 때의 뽑아내는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종이 두께 측정은 JIS P 8111의 조건하에서, 오자키 세이사쿠쇼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dial thickness gauge) "PEACOCK G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plunger)와 측정대의 사이에 쓰레기, 먼지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플런저를 측정대의 위에 내려, 상기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서 0점을 맞추고, 이어서, 플런저를 올려 시료(위생 박엽지)를 시험대의 위에 놓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려 그때의 게이지를 읽어낸다. 이때, 플런저를 얹기만 한다. 또한, 종이 두께는 측정을 10회 행하여 얻어지는 평균치로 한다.
본 위생 박엽지(10)에 있어서, 각 층의 원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티슈페이퍼, 토일렛페이퍼 등의 용도에 따라, 적당한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원료로서, 펄프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이 펄프 섬유(원료 펄프)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합성 펄프, 고지(古紙) 펄프 등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쇄목(碎木) 펄프(GP), 스톤 그라운드 펄프(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RGP), 가압식 쇄목 펄프(PGW), 서모메카니컬(thermomechanical) 펄프(TMP), 케미서모메카니컬 펄프(CTMP), 블리치(bleach)케미서모메카니컬 펄프(BCTMP) 등의 기계 펄프(MP), 화학적 기계 펄프(CGP), 반화학적 펄프(SCP),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등의 크래프트 펄프(KP), 소다 펄프(AP), 설파이트 펄프(SP), 용해 펄프(DP) 등의 화학적 펄프(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탈묵(脫墨) 펄프(DIP), 웨스트(waste) 펄프(WP) 등의 고지 펄프, 찌꺼기 펄프(TP), 목면(木棉), 아마, 마, 황마, 마닐라마, 모시(ramie)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 펄프, 에스파토(esparto) 펄프, 버개스(bagasse)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kenaf) 펄프 등의 줄기 펄프, 인피(靭皮) 펄프 등의 보조 펄프 등으로부터, 1종 또는 여러 종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펄프 섬유 등의 원료는 예를 들면 공지의 초지(抄紙) 공정,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파트, 프레스 파트, 드라이어 파트, 사이즈 프레스, 캘린더 파트 등을 거치는 등 하여 1개의 층으로 한다. 이 초지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분산제, 가성(苛性) 소다, 암모니아수 등의 pH 조정제, 소포제, 방부제, 형광 염료, 이형제(離型劑), 내(耐)수화제, 유동 변성제, 수율 향상제 등의 적당한 약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위생 박엽지(10)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시멘, 캄펜, 리모넨, 사비넨, 미르센, 테르피넨, 피넨, 시멘 등의 식물 추출 성분 중에 포함되는 모노테르펜탄화수소류나,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이소풀레골(isopulegole), 리날로올, 테르피네올 등의 모노테르펜알코올류, 아네톨, 카르바크롤, 오이게놀, 티몰(Thymol), 파라크레졸, 카비콜, 로즈버드 엑기스, 녹차 폴리페놀 등의 페놀류, t-아네톨, 차비콜메틸에테르, 사프롤 등의 페놀에테르류, 아세트알데히드, 시트랄, 시트로넬랄, 게라니알, 페릴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아세토페논, 캠퍼, 자스몬, 노트카톤, 멘톤, 펜콘, 카르본, 풀레곤 등의 케톤류, 칼리올레핀옥사이드, 시네올, 비사볼롤옥사이드 등의 산화물류,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플라본, 플라바논, 안토시아닌, 페놀류, 플라보놀 등의 플라보노이드류 등의 약효 성분 중에서, 1종 또는 여러 종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카르복실산, 구연산 등의 유기산이나 도데실벤젠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칼슘 등의 알킬벤젠술폰산 및 그 염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본 항바이러스제로서는, 계면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세포막에 흡착·분해하여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하기 때문이다.
이들 항바이러스제는 절대건조 질량 기준으로 액 보유용량을 크게 한 중간층에 대하여 0.1~30g/㎡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g/㎡ 부여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1g/㎡미만이면 항바이러스제 부여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30g/㎡를 넘어도, 항바이러스제 부여의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또한, 이상과 같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세포막을 가지는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성화율이 99%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상이 되는 바이러스를 세포막을 가지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계면활성제가 세포막에 흡착하고, 분해하여 바이러스의 번식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불활성화율의 측정방법으로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 스(A/Panama/2007/99(H3N2)주(株))를 최소 필수 배지(培地)에서 약 105FFU/㎖로 조정하여 바이러스액으로 한다. 항바이러스제를 함침(含浸)시킨 박엽지를 중층으로 하여 3층 구조를 1세트의 시험지로 한다. 이 시험지를 1.5㎝×1.5㎝로 컷트한 것을 3세트 1샘플(항바이러스제를 함침시킨 중층 3장을 포함하는 계 9장)로 하여 바이러스액 0.5㎖에 담근다. 실온(25℃)에서 1분, 5분, 15분 및 60분간 방치한다. 방치 후의 반응 용액을 1:1부터 4배 계단 희석하고, 용액 중의 바이러스 감염가(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나타내는 정량치)를 마이크로 감염가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60분 후의 바이러스의 사멸(불활성화)의 비율(%)을 측정치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품과, 시판의 범용 티슈페이퍼, 및 보습성을 강조한 시판의 티슈페이퍼에 대하여, 인공 콧물의 뒷샘 등의 각종 특성을 조사한 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각 표 중에 있어서의 "흡수층"이란 3층 구성인 경우에는 "중간층"을 의미하고, 2층 구성인 경우에는 "한쪽의 층"을 의미하며, 흡수량 및 흡수도의 측정치를 대응하는 란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품은 콧물의 뒷샘 저감 효과가 매우 높은 것이 지견되었다. 또한, 표 중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실시예품 모두 소프트니스가 0.5~3.0g이면서, KES 촉감 지수가 8~15인 값을 나타내어, 시판품과 거의 동등한 유연성 및 촉감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7016980-pat00001
Figure 112008077016980-pat00002
또한, 하중 조건하(250g 하중으로 3초)에서의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의 조건은 도 1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다.
(11)인공 콧물(생리 식염수(요소 2%, 염화나트륨 0.8%, 염화칼슘 0.3%, 황산마그네슘 0.8%, 이온 교환수 96.1%): CMC(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4% 수용액=1:2, 홍색 식용색소(미량))을 준비.
(12)여과지(토요 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ADVANTEC 1(150㎜)")를 2장 적층하여 질량을 측정. 이 여과지의 중심에 접는 선을 표시해 둔다.
(13)적층한 여과지의 위에, 시험 시료를 적층((a)도).
(14)여과지에 10㎜의 높이로부터 마이크로 피펫으로 상기 인공 콧물 1㎖를 적하((b)도).
(15)시험 시료를 여과지째 접는 선을 따라 반으로 접는다((c)도).
(16)그 위에, 용량 500㎖의 SUS제 비커(도쿄 가라스 키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에 물을 넣고, 총 중량을 250g으로 한 것을 얹는다. 이때, 비커의 바닥면(직경 82㎜, 바닥 면적 52.8㎠) 중심이, 적하한 인공 콧물의 중심의 바로 위가 되도록 얹는다. 3초 후 비커를 제거하고, 시험 시료를 제거하여, 여과지만의 질량을 측정하여, 적하전과의 질량 차를 하중 조건하(250g 하중으로 3초)에서의 인공 콧물의 뒤로 샌 양(㎎)으로 한다.
도 1은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위생 박엽지의 폐기시 개요 설명도이다.
도 3은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측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위생 박엽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KES 촉감 지수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KES 촉감 지수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KES 촉감 지수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위생 박엽지의 제조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하중 조건하(250g 하중으로 3초)에서의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의 조건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위생 박엽지 11,12: 외층
30: 중간층 W: 콧물

Claims (3)

  1. 액 불투과성층인 중간층의 양측에 액 흡수성층인 외층을 겹친 위생 박엽지로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외층은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층이고,
    상기 중간층에는 사이즈제 및 항바이러스제가 함유되고,
    상기 중간층의 JIS P 8141에서의 크램 흡수도가 30~50mm 이며,
    인공 콧물의 뒷샘 시험(무하중시)에서의 인공 콧물의 뒤로 샌 양이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박엽지.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의 외층보다 중간층의 평량이 크고, 양측 외층의 흡수도가 5초 이상이며, 중간층의 크램 흡수도가 30mm 이상(JIS P 81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박엽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품 미터 평량이 10~5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박엽지.
KR1020087027270A 2005-09-21 2006-09-21 위생 박엽지 KR101329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274757 2005-09-21
JP2005274757A JP4833622B2 (ja) 2005-06-16 2005-09-21 衛生薄葉紙
PCT/JP2006/318703 WO2007034855A1 (ja) 2005-09-21 2006-09-21 衛生薄葉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71A Division KR101496663B1 (ko) 2005-09-21 2006-09-21 위생 박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323A KR20080102323A (ko) 2008-11-24
KR101329533B1 true KR101329533B1 (ko) 2013-11-15

Family

ID=378888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71A KR101496663B1 (ko) 2005-09-21 2006-09-21 위생 박엽지
KR1020087027270A KR101329533B1 (ko) 2005-09-21 2006-09-21 위생 박엽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71A KR101496663B1 (ko) 2005-09-21 2006-09-21 위생 박엽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496663B1 (ko)
CN (2) CN101390720B (ko)
WO (1) WO2007034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0669B2 (ja) 2008-03-31 2010-10-27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JP5305986B2 (ja) * 2009-02-27 2013-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JP5479768B2 (ja) * 2009-03-31 2014-04-23 大王製紙株式会社 キッチンペーパー
US8518375B2 (en) 2009-12-31 2013-08-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viral tissue product with visual efficacy indicator
CN102697417A (zh) * 2012-06-08 2012-10-03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纸巾及其制造方法
CN103643593A (zh) * 2013-12-04 2014-03-19 福建希源纸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薄页纸
KR101650565B1 (ko) * 2014-04-10 2016-08-23 탱커즈 주식회사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1683564B1 (ko) * 2014-12-02 2016-12-16 박진우 낙엽을 이용하여 제작된 용기 및 제작방법
CN107663805B (zh) * 2017-10-11 2020-10-30 山东恒安纸业有限公司 一种无菌擦手纸及其生产工艺
CN109667186A (zh) * 2018-12-24 2019-04-23 山东太阳生活用纸有限公司 一种擦手纸及其制备方法
CN110693371A (zh) * 2019-10-18 2020-01-17 叶庆奇 一种可水解卫生纸
KR20230020663A (ko)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포에스에스 식물잎을 이용한 용기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104A (ja) * 1999-08-19 2003-02-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厚い厚さ、低密度、および吸収性の層を持つ複数プライ・ティシュ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491U (ja) * 1984-05-07 1985-11-27 花王株式会社 排泄物の拭取り紙
US4738847A (en) * 1985-01-14 1988-04-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ply virucidal product
JP3711477B2 (ja) * 1995-07-19 2005-11-02 三島製紙株式会社 多機能を有する化粧用紙
US6332952B1 (en) * 1996-04-26 2001-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with strikethrough resistance
US20020064542A1 (en) * 1999-06-29 2002-05-30 George Endel Deckner Tissue products utilizing water soluble films as carriers for antiviral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JP3794241B2 (ja) * 2000-05-22 2006-07-05 王子製紙株式会社 保湿剤含有シート状製品および使いすておむつ
JP2002046245A (ja) * 2000-08-01 2002-02-12 Crecia Corp 高吸水紙
JP2002180361A (ja) * 2000-12-14 2002-06-26 Kuraray Co Ltd 水解性保液材
US6706410B2 (en) 2001-09-24 2004-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ft tissue paper having a sof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iloxane-polyalkyleneoxide copolymer
AU2002349668A1 (en) * 2001-12-03 2003-06-17 Daio Paper Corporation Sanitary paper sheet
JP4649118B2 (ja) * 2004-03-31 2011-03-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
JP4753544B2 (ja) * 2004-03-31 2011-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104A (ja) * 1999-08-19 2003-02-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厚い厚さ、低密度、および吸収性の層を持つ複数プライ・ティ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4855A1 (ja) 2007-03-29
KR20080047480A (ko) 2008-05-28
KR20080102323A (ko) 2008-11-24
CN101267756A (zh) 2008-09-17
CN101267756B (zh) 2011-07-27
CN101390720B (zh) 2012-06-06
CN101390720A (zh) 2009-03-25
KR101496663B1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533B1 (ko) 위생 박엽지
JP4833622B2 (ja) 衛生薄葉紙
JP4833784B2 (ja) 衛生薄葉紙
CA2935070C (en) Base fabric for disposable textile product and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ing same
KR101329544B1 (ko) 가정용 위생 박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설비
JP4994957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4236660B2 (ja) 衛生薄葉紙及びその製造方法
EP2032361A2 (en) Antimicrobial hand towel for touchless automatic dispensers
JP4790473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4762842B2 (ja) 衛生薄葉紙
EP3431061A1 (en) Absorbent article
JP4152399B2 (ja) 衛生薄葉紙
JP464914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
JP4376248B2 (ja) 衛生薄葉紙
RU2708598C2 (ru) Тканевая основ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о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5431979B2 (ja) 生理用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