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475B1 -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475B1
KR101329475B1 KR1020060036144A KR20060036144A KR101329475B1 KR 101329475 B1 KR101329475 B1 KR 101329475B1 KR 1020060036144 A KR1020060036144 A KR 1020060036144A KR 20060036144 A KR20060036144 A KR 20060036144A KR 101329475 B1 KR101329475 B1 KR 101329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semi
assembly
differential case
exten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421A (ko
Inventor
조나단 피. 프리차드
폴 에이치. 페트루스카
호워드 제이. 브루노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액슬 앤드 매뉴팩쳐링,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액슬 앤드 매뉴팩쳐링,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액슬 앤드 매뉴팩쳐링,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 Y10T74/2188Axle and torqu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차동 케이스는 내부 챔버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 윈도우를 포함한다. 차동 케이스에서의 어셈블리 윈도우는 차동 케이스의 한 쌍의 연장된 에지부들에 의하여 연결된 단부들 갖는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한 쌍의 연장된 에지부들은 아크형부에 의하여 연결되다. 어셈블리 윈도우는 사이드 기어들의 챔버 내부로의 유입과 세로축에 대한 후속하는 정렬을 위하여 사이드 기어의 외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는다. 어셈블리 윈도우는 피니온 기어들의 챔버로의 유입과 다른 세로축에 대한 후속하는 정렬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형상화된다.

Description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DIFFERENTIAL ASSEMBLY WITH SEMI-ELLIPTICAL ASSEMBLY WINDOW}
도 1은 모터 차량 액슬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종래 차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차동 유닛에 이용되는 것과 유사한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차동 장치 112:차동 케이스
118:챔버 122a, 122b:어셈블리 윈도우
128:배럴부 132:반타원형부
36:사이드 기어 38:피니온 기어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어셈블리 윈도우를 위한 최적화된 기하학을 갖는 차동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동 장치는 바퀴간의 속도 차이를 허용하면서 구동 토크를 휠에 전달하는 자동차의 구동렬(drivetrain)에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동 유닛(10)은 베어링 어셈블리(14)의 차동 캐리어 또는 하우징(16)에 대한 회전에 의하여 상호 대향하는 축의 단부에서 지지되는 차동 케이스(12)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6)은 후륜 구동 자동차에 이용되는 형태의 액슬 어셈블리의 일부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우징(16)은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 액슬에 체결될 수 있다. 차동 케이스(12)는 기어 세트가 내부에 유지되는 확장된 내부 챔버(18)를 또한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차동 케이스(12)는 기어 세트가 보유되는 확장된 내부 챔버(18)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차동 케이스(12)는 챔버(18)와 연통되는 한 쌍의 개구들과 함께 한 쌍의 제1 개구들(20) 및 한 쌍의 제2 개구들(22)을 또한 포함한다. 나아가, 차동 케이스(12)는 링 기어(26)가 볼트들(28)에 의하여 고정되는 반경방향 플랜지(24)를 포함한다. 피니온 샤프트(30)는 제1 개구들(20)사이에서 연장되며, 보어(33)에 유지되는 록킹 핀(locking pin)(32)에 의하여 차동 케이스(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어 세트는 도 1의 구성선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하여 챔버(18) 내에서 피니온 샤프트(30)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34)을 포함한다. 각각의 피니온 기어들(34)은 구성선 B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케이스(12)의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하여 수직으로 교대로 지지(journally supported)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36)과 맞물린다. 차동 케이스(12)의 축의 단부는 한 쌍의 액슬 샤프트들(42, 44)을 수직으로 각각 지지하고 베어링 어셈블리(14)가 장착되는 한 쌍의 환형 허브들(38, 40)을 정의한다. 액슬 샤프트(42)의 일 단부는 사이드 기어들(36)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즉, 스플라인 결합), 다른 단부는 하프샤프트 또는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액슬 샤프트(44)의 일 단부는 사이드 기어들(36)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즉, 스플라인 결합), 다른 단부는 자동차 바퀴들 중 다른 것에 고정된다. 종래와 같이, 링 기어(26)와 링 기어가 부착된 차동 케이스(12)는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고정된 입력 구동 피니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하우징(16) 내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차동 케이스(12)의 회전 운동은 피니온 기어들(34)과 사이드 기어들(36)의 맞물림을 통하여 액슬 샤프트들(42, 44)에 전달되어,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차동 유닛(10)을 위한 종래의 조립 과정에 따르면, 사이드 기어들(36)과 피니온 기어들(34)은 제2 개구들(22)(이하, "어셈블리 윈도우"라 한다.)을 통하여 그들을 통과시켜 챔버(18) 내로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어셈블리 윈도우들(22) 모두는 축 상의 길이'X'와 원주 방향, 또는 가로의 길이'Y'의 사각형 형상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중요한 디자인의 제한요소는 챔버 내로의 유입과 회전축'B'에 대한 사이드 기어들(36)의 후속하는 정렬을 위하여, 사이드 기어들(36)의 외경보다 가로 길이 'Y'가 전통적으로 크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챔버(18)내로의 유입과 회전축 사이드 기어들(36)과의 맞물림을 위한 후속하는 정렬을 위하여, 축상 길이 'X'가 피니온 기어들(34)의 외경보다 전통적으로 커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피니온 기어들(34)은 피니온 샤프트(30)의 수용을 위하여 제1 개구들(20)과의 정렬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어셈블리 윈도우의 요구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절충점이 요구된다. 이는, 차동 케이스(12)가 하우징(16)의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차동 유닛(10)의 구동 시간동안 인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구동 스트레스를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차동 케이스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기어 구성 요소들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차동 케이스에 어셈블리 윈도우를 위한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차동 케이스의 어셈블리 윈도우를 위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셈블리 윈도우들의 디자인 또는 형태가 최소 이격 거리와 함께 차동 기어 직경에 관한 함수인 차동 케이스에서의 어셈블리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동 케이스의 무게는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샤프트로부터 액슬 샤프트로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택된 차동 어셈블리차동 어셈블리는, 내부의 챔버로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개구들을 구비하여 기어 세트들의 기어들이 상기 개구들을 통하여 통과하여 상기 챔버에서 보유될 수 있는 차동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들은 한 쌍의 연장부들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부들을 갖는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연장부들은 원호형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동 어셈블리는, 챔버를 구비하는 차동 케이스, 및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기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동 케이스는 상기 챔버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비하여,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 및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챔버로 유입되고, 상기 개구들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오리엔트된 연장된 부분들에 연결된 단부들을 구비한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 사의 속도 차이를 가능하게 하며 자동차의 바퀴들에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차동 어셈블리는, 상기 자동차의 구동 샤프트로부터 액슬 샤프트로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택되고, 챔버를 구비한 차동 케이스, 및 상기 챔버 내에 보유되고, 제1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과 상기 제1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한 제2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을 구비한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동 케이스는 연장부들에 연결된 단부들을 갖는 반타형형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어셈블리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된 단부들은 상기 반타원형부의 단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어셈블리는 종래 어셈블리 윈도우 구조와 비교하여 최대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더 넓은 제2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감소된 질량의 차동 케이스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최적화된 어셈블리 윈도우 구조는 낮은 밀도의 물질로부터 차동 케이스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동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 특히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동 케이스(112)는 도 2에 도시된 차동 케이스(12)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차동 유닛(10)에서의 대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조적인 이점들을 제공한다. 비교를 위한 목적으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이전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차동 케이스(112)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동 케이스(112)는 도 4 및 도 5에서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개구들 또는 어셈블리 윈도우들(122a, 122b)을 갖는다. 여기서, 어셈블리 윈도우(122b)는 도2의 어셈블리 윈도우(22)에 비교된 변형된 디자인을 갖는다. 어셈블리 윈도우(122a)는 어셈블리 윈도우(22)에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축 상의 길이'X'와 가로 길이 'Y'를 갖는다. 어셈블리 윈도우(122b)는 축 상의 길이'X1'과 가로 길이 'Y1'을 갖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장점중 하나는 'Y1'이 'Y'보다 작아서 어셈블리 윈도우들(122a, 122b) 사이에 배치된 배럴부(128)(이하,'웨브부'(130)라 한다.)의 주변부가 종래 보다 넓게 된다. 상기 증가된 폭은 감소된 캐스팅 두께의 이용, 넓은 제2 어셈블리 윈도우 및/또는 알루미늄(Al) 또는 마그네슘(Mg)등과 같은 낮은 피로 특성을 갖는 대체 가능한 물질의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차동 케이스(112)의 배럴부(128)에 가해지는 최대 벤딩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약 105㎜ 정도의 제1 가로 길이'Y'를 갖는 두 개의 윈도우들을 갖는 종래의 차동 케이스(12)와 비교할 때, 약 98㎜ 정도의 제1 가로 길이 'Y'과 약 76㎜ 정도의 제2 가로 길이 'Y1'을 갖는 차동 케이스(112)는 최대 스트레스에서 14% 정도의 감소를 일으킨다. 이런 스트레스 감소는, 어셈블리 윈도우(122a)의 크기 및 형태가 상대적으로 커서 차동 케이스의 질량을 감소시키고 기어 어셈블리 공정을 단순화시키므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어셈블리 윈도우(122a)는 피니온 기어들(34) 또는 사이드 기어들(36)의 가장 큰 크기보다 큰 'X' 및 'Y'를 갖는 확장된 사각형 개구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하나의 반타원 형상의 어셈블리 윈도우 및 하나의 사각형 형상의 어셈블리 윈도우를 포함하는 반면에 두개의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들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 이내임을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셈블리 윈도우(122b)는 제1 연장부(138)와 제2 연장부(140)에 연결된 단부들(134, 136)을 갖는 반 타원형부(13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부(138, 140)는 아크부(142)에 의하여 연결된다. 반타원형부(132)는 장축(144) 및 단축(146)을 포함한다. 장축(144)은 소정의 지점(148)에서 단축(146)과 교차한다. 상기 지점(148)은 두개의 중심점들을 통하여 연장되는 라인이 축 A와 축 B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축 A와 축 B의 교차점을 통하여 연장되는 라인을 실질적으로 따라 배치된다. 더구나, 장축(144)은 차동 하우징 회전축 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45도 각도로 위치한다.
제1 연장부(138)는 회전축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선형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140)는 회전축 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선형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138)는 제2 연장부(40)와 길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구나, 제1 연장부(138) 및 제2 연장부(140)는 단축(146)에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어셈블리 윈도우(122b)가 단축(146)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어셈블리 윈도우(122a)가 사각형 형상으로 어셈블리 윈도우(122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챔버(118)는 축 B를 따라 정렬된 한 쌍의 축 보어들(axial bores)(152, 154)과 연결된다. 축 보어(152)는 액슬 샤프트(42)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된 제1 부(156) 및 사이드 기어(36)의 축 허브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된 제2 부(158)를 포함한다. 제2 부(158)는 제1 부(156)보다 큰 직경을 갖고, 챔버(118)와 축 보어(152)에 대하여 사이드 기어(36)를 적절하게 배치하게 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축 보어(154)는 액슬 샤프트(44)를 내부에 수 용하기 위하여 채택된 제1 부(160) 및 다른 사이드 기어(36)의 축 허브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된 제2 부(162)를 포함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차동 장치(110)를 위한 바람직한 구조는 상술한 차동 케이스(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사이드 기어들(36)은 전방 기어부(172), 후방 스러스트 페이스(rear thrust face)(174) 및 축 허브(7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축 허브(176)에 형성된 내부 스플린들(178)은 액슬 샤프트들 상에 외부 스플린들에 대응하여 맞물림 결합을 위하여 제공된다. 후방 스퍼스트 페이스(174)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윤곽을 갖고, 챔버(118)의 부분적인 윤곽에 대응하도록 고안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180)는 챔버(118)와 각 사이드 기어(36) 사이에 이용되어, 스러스트 로딩(thrust loading)을 흡수하고 각 사이드 기어(36)가 회전할 수 있는 경화된 슬라이딩 표면을 제공한다. 차동 장치(110)는 전방 기어부(186), 후방 스러스트 페이스(rear thrust face)(188) 및 내부에 피니온 샤프트(30)를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보어(190)를 각각 구비하는 피니온 기어들(3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후방 스러스트 페이스(188)는 부분적으로 구형의 윤곽을 가지며, 공동(cavity)(150)들 중 어느 하나의 구형 윤곽에 맞도록 디자인된다. 부분적인 구형 스러스트 플레이트들(192)은 피니온 기어들(34)과 연관되어 이용되어 차동 케이스(112)에 대하여 경화된 슬라이딩 표면을 제공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들(192)은 보어(190) 내부에 위치한 내부로 연장된 립(lip)(193)을 포함하여, 각 피니온 기어(34)에 대하여 각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92)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어셈블리 윈도우 구조는 종래 차동 케이스들에 대한 여러 가지 이점들을 갖는다. 먼저, 종래 어셈블리 윈도우 구조와 비교하여 최대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더 넓은 제2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감소된 질량의 차동 케이스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최적화된 어셈블리 윈도우 구조는 낮은 밀도의 물질로부터 차동 케이스의 제조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구동 샤프트로부터 액슬 샤프트로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택된 차동 어셈블리에 있어서,
    링 기어; 및
    링 기어가 부착되는 반경방향 플랜지 및 차동 케이스 내부의 챔버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개구를 구비하는 차동 케이스를 포함하고,
    기어 세트들의 기어들이 상기 개구들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에 보유될 수 있고, 상기 개구들 중 하나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들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 원호형부와, 상기 연장부들에 연결된 단부들을 갖는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연장부들 중 하나는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앙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앙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 상기 원호형부 및 상기 반타원형부 중 상기 반타원형부가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개구는 상기 기어세트의 사이드 기어의 외직 경보다 큰 제1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는, 상기 사이드 기어가 챔버로의 조립 및 후속하는 정렬시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앙 회전축에 대하여 최초로 각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세트는 상기 챔버 내에 보유된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 및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니온 기어들과 상기 챔버에 인접한 상기 차동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스러스트 로딩을 흡수하고 각각의 피니온 기어들이 회전할 수 있는 경화된 슬라이딩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케이스는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기어들을 보유하기 위한 대체로 구형의 공동(ca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 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 중의 다른 것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1. 링 기어;
    링 기어가 부착되는 반경방향 플랜지 및 챔버를 구비하는 차동 케이스; 및
    상기 챔버 내에 보유되는 기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동 케이스는 상기 챔버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비하여,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 및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챔버로 유입되고, 상기 개구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들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 원호형부와, 상기 연장부들에 연결된 단부들을 갖는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연장부들 중 하나는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앙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앙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 상기 원호형부 및 상기 반타원형부 중 상기 반타원형부가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타원형부는 단축 및 장축의 교차점에서 중심점을 갖고, 상기 중심점은 회전의 기어 축들의 교차점을 통하여 연장된 라인을 따라 실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인을 상기 기어 축들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타원형부의 상기 장축은 상기 사이드 기어들의 회전축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사이드 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직경보다 큰 제1 치수를 가져, 상기 사이드 기어가 상기 챔버로의 조립 및 이에 대한 정렬 동안 상기 차동 케이스의 중심 회전축에 대하여 최초로 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케이스는 상기 반타원형부를 갖는 상기 개구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7. 자동차의 바퀴들에 구동 토크를 전달하는 한편 바퀴들 사이의 속도 차이를 허용하는 차동 어셈블리에 있어서,
    링 기어;
    구동 샤프트로부터 액슬 샤프트로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택되고, 링 기어가 부착되는 반경방향 플랜지 및 챔버를 구비하는 차동 케이스; 및
    상기 챔버 내에 보유되고, 제1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한 쌍의 피니온 기어들과 상기 제1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한 제2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들을 구비한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동 케이스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들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 원호형부와, 상기 연장부들에 연결된 단부들을 갖는 반타원형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어셈블리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들은 상기 반타원형부의 단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세로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세로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원호형부 및 상기 반타원형부 중 상기 반타원형부가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케이스는 상기 어셈블리 윈도우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차동 어셈블리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윈도우는 상기 사이드 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최대 치수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갖는 형태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22. 제 17 항에 있어서, 반타원형부의 단부에서 반타원형부의 호가 상기 연장부들과 접선방향으로 만나도록 상기 반타원형부의 호가 180도 보다 큰 내부각(sweep angl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어셈블리.
KR1020060036144A 2005-04-29 2006-04-21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 KR101329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8,919 2005-04-29
US11/118,919 US7320659B2 (en) 2005-04-29 2005-04-29 Differential assembly with semi-elliptical assembly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21A KR20060113421A (ko) 2006-11-02
KR101329475B1 true KR101329475B1 (ko) 2013-11-20

Family

ID=3675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144A KR101329475B1 (ko) 2005-04-29 2006-04-21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0659B2 (ko)
EP (1) EP1717486B1 (ko)
KR (1) KR101329475B1 (ko)
BR (1) BRPI0601770B1 (ko)
DE (1) DE60200600885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982B2 (ja) * 2004-01-30 2011-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差動装置
DE102005024456B4 (de) * 2005-05-24 2007-02-15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Differentialanordnung mit Lagerscheiben in Montageöffnungen
JP2008008460A (ja) * 2006-06-30 2008-01-17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US20080108471A1 (en) * 2006-11-02 2008-05-08 Deutsch Laurence A Lubrication ports for a differential housing
DE102007021437A1 (de) * 2007-05-08 2008-11-13 ThyssenKrupp Präzisionsschmiede GmbH Differential in Leichtbauweise für Kraftfahrzeuge
US9347542B2 (en) * 2008-09-30 2016-05-24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arallel-axis helical differential assembly
US8050829B2 (en) * 2009-01-14 2011-11-01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differential locker
JP6487664B2 (ja) * 2014-10-22 2019-03-20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差動装置
EP3315819A4 (en) * 2015-06-23 2019-03-06 GKN Driveline Japan Ltd DIFFERENTIAL HOUSING
JP6982529B2 (ja) * 2018-03-22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差動装置
US11384830B2 (en) 2019-08-06 2022-07-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indow design for a differential hou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853A (en) * 1976-08-31 1985-10-01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Mounting of a differential gear in an undivided axle housing
US5951431A (en) * 1997-05-06 1999-09-14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ifferential unit with optimized assembly window geometr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233A (ja) * 1982-04-28 1983-11-02 Kawasaki Heavy Ind Ltd バケツトホイ−ル式リクレ−マのバケツト反転装置
SE462929B (sv) * 1989-09-13 1990-09-17 Saab Scania Ab Differential
US5389048A (en) 1993-03-24 1995-02-14 Zexel-Gleason Usa, Inc. Parallel-axis differential with triplet combination gears
DE4313322C2 (de) 1993-04-23 2001-08-02 Porsche Ag Differential für den Achsantrieb eines Kraftfahrzeuges
EP0683333B1 (de) * 1994-05-18 1997-10-01 Dr.Ing.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Differential für den Achsantrieb eines Kraftfahrzeuges
US5545102A (en) 1994-07-20 1996-08-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fferential gear assembly
DE19541087A1 (de) 1994-11-04 1996-05-09 Zexel Corp Parallelachsendifferential
US5554081A (en) 1995-03-08 1996-09-10 Zexel Torsen Inc. Differential with distributed planet gears
US5733216A (en) 1995-03-08 1998-03-31 Zexel Torsen Inc. Thrust-block for C-clip differential
US6159149A (en) * 1996-03-22 2000-12-1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ltrasonic camera
US5938558A (en) 1997-09-19 1999-08-17 Eaton Corporation Limited slip differential and improved differential housing assembly therefor
US6010424A (en) * 1998-10-22 2000-01-04 Dana Corporation Two-piece limited slip differential
US6053838A (en) 1999-05-13 2000-04-25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Helical differential assembly
US6436002B1 (en) 1999-07-12 2002-08-20 Tochigi Fuji Sangyo Kabushiki Kaisha Differential apparatus
US6325737B1 (en) 2000-03-22 2001-12-04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Helical gear differential with geared lube pump
FR2830593B1 (fr) * 2001-10-04 2004-02-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fferentiel de transmission de couple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6743136B1 (en) 2002-11-15 2004-06-01 Torque-Traction Technologies, Inc. Differential case with lubrication passages
JP2005054912A (ja) * 2003-08-05 2005-03-03 Tochigi Fuji Ind Co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4581578B2 (ja) * 2004-09-14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軸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853A (en) * 1976-08-31 1985-10-01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Mounting of a differential gear in an undivided axle housing
US5951431A (en) * 1997-05-06 1999-09-14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ifferential unit with optimized assembly window geome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7486B1 (en) 2009-09-02
EP1717486A3 (en) 2008-02-06
EP1717486A2 (en) 2006-11-02
KR20060113421A (ko) 2006-11-02
US20060243092A1 (en) 2006-11-02
US7320659B2 (en) 2008-01-22
BRPI0601770B1 (pt) 2019-03-06
DE602006008857D1 (de) 2009-10-15
BRPI0601770A (pt) 200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75B1 (ko) 반타원형 어셈블리 윈도우를 갖는 차동 어셈블리
JP3805890B2 (ja) 最適化された組立体窓幾何学的形状を備える差動ユニット
EP1709345B1 (en) Differential gear unit
US6652408B2 (en) Vehicular differential with ring gear directly loading the differential pin
US7306537B2 (en) Differential gearing for vehicle
EP2459903B1 (en) Differential having improved torque capacity and torque density
GB2339465A (en) Drive assembly
US6514169B2 (en) Tandem axle assembly with different hypoid offsets
KR102075139B1 (ko)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US5346432A (en) Driveshaft with additional masses
EP0584400A3 (en) Shaft coupling
US20140161509A1 (en) Drive shaft
JP4558126B2 (ja) ブレーキシューを取り付けたピニオンを有する平行軸ギア差動装置
AU2002310011A1 (en) Tandem axle assembly with different hypoid offsets
EP0563895A1 (en) Differential gear assembly
US6332844B1 (en) Propeller shaft and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for a propeller shaft
EP1555460A1 (en) Differential gear for vehicle
EP1503094B1 (en) Propshaft assembly with damper
US3848431A (en) Automotive vibration absorbing joint assembly
US9664253B2 (en) Crowned profile driveshaft journal
KR102301016B1 (ko) 등속 조인트
EP0784763B1 (en) Differential drive mechanisms
JP3071694U (ja) 車両用差動装置
WO2001088414A1 (en) Differential gear
JP2007285474A (ja) スプライン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