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393B1 -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393B1
KR101329393B1 KR1020070135024A KR20070135024A KR101329393B1 KR 101329393 B1 KR101329393 B1 KR 101329393B1 KR 1020070135024 A KR1020070135024 A KR 1020070135024A KR 20070135024 A KR20070135024 A KR 20070135024A KR 101329393 B1 KR101329393 B1 KR 10132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flow
flow path
index table
receiving portion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382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21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positioning elements are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22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indexing movement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4Indexing equipment having intermediate members, e.g. pawls, for lock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in the inde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4Indexing equipment having intermediate members, e.g. pawls, for lock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06Rotary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고 하부일측에 제1 공압유로(31)가 형성되며 제1 공압유로(31)의 끝부분에 제1 수용부(32)가 형성된 메인 바디(30), 메인바디(30)의 상측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얹혀서 장착되고 제1 수용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수용부(41)가 형성되며 제2 수용부(41)와 연통하는 제2 공압유로(42)가 형성된 피스톤 부재(40), 피스톤 부재(40)의 상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공압유로(42)와 연통하는 제3 공압유로(53)가 형성된 센터 샤프트(50), 센터 샤프트(50)의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 플레트(P)가 얹히는 플레이트(65)가 배치되는 피스톤 샤프트(60), 센터 샤프트(50)의 상부외측에 장착되고 제3 공압유로(53)와 연통하는 제4 공압유로(71)가 형성되며, 제4 공압유로(71)와 연통하여 공기압이 배기되는 록킹 핀 조립체(90)가 상측에 배치된 팔레트 베이스(70) 및 제1 수용부(32)에 하단이 고정되고 제2 수용부(41)에 상단이 수용되며 제1 공압유로(31)와 제2 공압유로(42)가 연통하도록 제7, 제8 공압유로(104)(105)가 형성된 핀 부재(100)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35024
공작기계, 공작물 장착대, 인덱스 테이블, 턴테이블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Index table assembly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고, 공작물이 장착된 팔레트가 진입하여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얹히도록 하며, 공작물의 가공 상태에 따라 인덱스되어 공작물의 다방면을 가공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대형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고, 특히 공작물은 팔레트에 미리 장착시켜 대기시키고, 가공순서에 따라 팔레트를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으로 이송시킨 후 그 팔레트를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팔레트를 순차적으로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장착하고 공작물의 가공이 끝난 다음에 해당 팔레트는 팔레트 대기파트로 반출시켜 무인가공의 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팔레트를 진입 및 반출시키기 위해서 직선이동하고,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의 상측에 팔레트를 얹히기 직전에 그 접합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며, 공작물 가공 상태에 따라 인덱스시켜야 하므로 무척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의 구성 및 작용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볼 스크루와 같은 이송수단에 이동되는 메인 바디, 상술한 메인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 부재, 상술한 피스톤 부재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센터 샤프트, 상술한 센터 샤프트에 장착된 팔레트 베이스, 상술한 메인 바디와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의 사이에 장착된 제1, 제2 커빅커플링,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의 하측에 장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재, 상술한 센터 샤프트의 중앙에 장착된 피스톤 샤프트, 및 상술한 피스톤 샤프트의 상측에 장착된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의 상측에는 팔레트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록킹 핀 조립체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기밀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공작물이 얹혀 고정된 팔레트가 공작기계(10)의 내부로 진입되면, 그 팔레트는 플레이트(65)의 상측에 얹히고, 이때 팔레트의 하측은 록킹 핀 조립체와 맞물려 바른 위치로 정렬되어 장착되며, 록킹 핀 조립체에 공급되는 공압은 록킹 핀 조립체의 주변에 있을 수 있는 침 등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 샤프트는 초기에 상승한 상태에서 팔레트를 넘겨받고, 피스톤 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가 록킹 핀 조립체에 맞춰지는 것이다.
공작물이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고, 공작물을 인덱스시키고자 할 때에는 피스톤 부재를 상승시켜 제1 커빅 커플링과 제2 커빅 커플링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고 외부의 회전동력을 기어부재에 전달하여 팔레트 베이스를 인덱스시킨다.
인덱스가 종료되면 피스톤 부재를 하강시켜 제1 커빅 커플링과 제2 커빅커플링이 맞물리도록 하여 메인바디에서 팔레트 베이스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술한 록킹 핀 조립체에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살펴보면 테이블 베이스 -> 샤프트 -> 팔레트 베이스 -> 록킹 핀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이때 샤프트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밀어 올려진 상태로 팔레트 베이스와 면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때 팔레트 베이스와 샤프트의 면접촉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고, 양 접촉면의 사이에서 공기압이 쉽게 새어나가 결국 록킹 핀 조립체에서 공기압이 낮게 발생시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덱스 테이블이 회전할 때에 팔레트 베이스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향되어 샤프트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간섭에 의해 샤프트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인덱스 테이블이 회전할 때에 테이블의 승강 역할을 수행하는 피스톤이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기밀부재 에를 들어 O-링 등이 불규칙하게 일그러지면서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하여 누유 되어 충분한 유압이 작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록킹 핀 조립체에서 충분한 공기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 부재가 메인바디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류시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고 하부일측에 제1 공압유로가 형성되며 제1 공압유로의 끝부분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얹혀서 장착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와 연통하는 제2 공압유로가 형성된 피스톤 부재; 상기 피스톤 부재의 상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공압유로와 연통하는 제3 공압유로가 형성된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 플레트(P)가 얹히는 플 레이트가 배치되는 피스톤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3 공압유로와 연통하는 제4 공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4 공압유로와 연통하여 공기압이 배기되는 록킹 핀 조립체가 상측에 배치된 팔레트 베이스; 및 상기 제1 수용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 상단이 수용되며 상기 제1 공압유로와 상기 제2 공압유로가 연통하도록 제7, 제8 공압유로가 형성된 핀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 부재의 외주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측으로 핀 부재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으로 핀 부재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핀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억류시키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주면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제1 기밀부재가 더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의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록킹와셔;와 록킹와셔의 상단을 압착하는 록킹너트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핀 조립체는, 상기 제4 공압유로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콘 부재;와 상기 콘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팔레트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콘 부재를 억류하고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며 외기와 통하도록 제5 공압유로가 형성된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메인바디에 유입되는 공기압이 손실 없이 록킹 핀 조립체에 전달할 수 있어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메인 바디에서 피스톤 부재가 회전하지 않고 승강만 가능하도록 하여 기밀부재가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의 정상 작용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공작기계에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가 장착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작기계(10)는 가공영역에 인덱스 테이블 조립 체(20)가 배치된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20)는 서보모터, 볼 스크루, 직선이동 가이드 등에 의해 직선 이동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팔레트가 진입되어 안착되거나 팔레트가 반출된다.
상술한 팔레트에는 가공을 위한 공작물이 얹혀서 고정될 수 있고, 팔레트는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팔레트 공급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팔레트를 반입 및 반출하게 된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바디(30), 상술한 메인 바디(30)의 상측에 장착되어 인덱스되는 팔레트 베이스(70),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상측에 배치된 록킹 핀 조립체(90) 및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중앙에서 승강되는 플레이트(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플레이트(65)에는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롤러에 의해 팔레트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20)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20)는 메인 바디(30)의 상측에 피스톤 부재(40)가 장착되고, 상술한 피스톤 부재(40)의 중앙에 센터 샤프트(50)가 장착되며, 상술한 센터 샤프트(50)의 중앙에 피스톤 샤프트(60)가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센터샤프트(50)의 외측에 팔레트 베이스(70)가 장착되고, 상술한 피스톤 샤프트(60)의 상측에 플레이트(65)가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바디(30)의 상측과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하측에는 각각 제1, 제2 커빅커플링(81)(82)이 장착되어 제1 커빅커플링(81)과 제2 커빅커플링(82)이 서로 맞물린다.
또한,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하측에는 기어부재(75)가 장착될 수 있고, 기어부재(75)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서보모터 등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상측에는 록킹 핀 조립체(90)가 배치되어 팔레트가 얹힐 때에 팔레트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바디(30)의 상측 한쪽에 제1, 제2 유압유로(34)(35)가 형성되어 상술한 피스톤 부재(40)를 승강시키도록 제1 실린더부(45)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센터 샤프트(50)의 한쪽에 제3, 제4 유압유로(51)(52)가 형성되고, 센터 샤프트(50)와 피스톤 샤프트(60)의 상측에 제2 실린더부(67)가 형성되어 제3, 제4 유압유로(51)(52)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샤프트(60)를 승강시킨다.
또한, 상술한 피스톤 부재(40)에서 상술한 센터 샤프트(5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특히 상술한 피스톤 부재(40)와 상술한 센터 샤프트(50)의 사이에는 베 어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어 더욱 원활하게 센터 샤프트(5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록킹 핀 조립체(90)에 공기압이 작용하는 경로는 메인 바디(30) -> 피스톤 부재(40) -> 센터 샤프트(50) -> 팔레트 베이스(70)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바디(30)에는 제1 공압유로(31)가 형성되고, 피스톤 부재(40)에는 제2 공압유로(42)가 형성되며, 센터 샤프트(50)에는 제3 고압유로(53)가 형성되고, 팔레트 베이스(70)에는 제4 공압유로(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제4 공압유로(31)(42)(53)(71)가 연통되어 메인 바디(3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은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공압유로(31)(42)(53)(71)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록킹 핀 조립체(90)에 전달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메인바디(30)와 피스톤 부재(40)의 결합구성을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예시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바디(30)에는 제1 공압유로(31)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30)의 상측에는 제1 수용부(32)가 형성되며, 제1 수용부(32)는 상술한 제1 공압유로(31)와 연통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40)에는 상술한 제1 수용부(32)와 대향하는 쪽에 제2 수용부(41)가 형성되고, 제2 수용부(41)와 연통되도록 제2 공압유로(42)가 형성되며, 상술한 제2 수용부(41)의 내주연에 제1 기밀부 재(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수용부(32)에는 핀 부재(100)가 장착되고, 핀 부재(100)의 상측은 상술한 제2 수용부(41)에 수용된다.
특히 상술한 핀 부재(100)는 플랜지(101)를 기준으로 하측의 하단부(102)가 상술한 제1 수용부(32)에 장착되는데 이때 억지 끼움될 수 있다.
또한, 하단부(102)의 외주면에 환상 홈(103)이 형성되고, 환상 홈(103)에는 제7 공압유로(104)가 형성되며, 핀 부재(100)의 중앙에 제7 공압유로(104)와 연통되는 제8 공압유로(105)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7 공압유로(104)는 상술한 제1 공압유로(31)와 연통된다.
또한, 상술한 핀 부재(100)의 상측 외주면에 수나사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핀 부재(100)에는 플랜지(101)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스페이서(200)가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스페이서(200)의 안지름은 핀부재(100)의 바깥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핀부재(100)와 스페이서(200)가 조립되었을 때에 핀부재(100)와 스페이서(200)의 사이에 틈(t)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페이서(200)의 외주면은 상술한 제2 수용부(41)에 수용될 수 있고, 이때 스페이스(200)의 외주면은 제1 기밀부재(43)에 의해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스페이서(200)의 상측에는 칼럼(300)과 록킹 와서(410) 및 록킹 너트(400)가 핀부재(100)의 나사부(106)에 순차적으로 결합 및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칼럼(300)의 하측에는 제2 기밀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기밀부재(310)는 칼럼(300)과 스페이서(200)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킨다.
또한, 상술한 록킹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칼럼(300)은 상술한 스페이서(200)가 핀 부재(100)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핀 부재(100)는 하단이 메인바디(30)에 고정되고, 상단은 피스톤 부재(40)에 수용되는 것으로 메인 바디(30)에서 피스톤 부재(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센터 샤프트(50)가 회전할 때에 종래에는 피스톤 부재(40)가 회전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20)에서는 피스톤 부재(40)가 핀 부재(100)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40)가 회전하지 않고 제1 실린더부(45)에 의해 승강만 이루어짐으로써 피스톤 부재(40)와 연관되는 기밀부재가 불규칙하게 변형이 일어나으며, 종래에 기밀부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틈새로 이루어졌던 누유의 현상을 본 발명에서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수용부(32)(41)는 가공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공오차는 핀 부재(100)와 스페이서(200)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t)에 의해 보상될 수 있어 가공오차기 발생하더라도 메인바디(30)와 피스톤 부재(40)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200)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페이서(200)를 구비하지 않고도 핀부재(100)의 상측이 피스톤 부재(40)의 제2 수용부(41)에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고, 이때에는 제1 기밀부재(43)에 핀 부재(100)의 외주면이 밀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스페이서(200)는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메인바디(30)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피스톤 부재(40)에 회전력이 가해지거나 충격이 가해질 때에 상술한 스페이서(200)에서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록킹 핀 조립체(90)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핑 조립체(90)는 팔레트 베이스(7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의 상측에 콘 부재(91)가 장착되고, 콘 부재(91)의 내측 중앙에는 수용부(92)가 형성되며, 수용부(92)는 상술한 제4 공압유로(71)와 연통된다.
또한, 상술한 콘 부재(91)에는 볼트 부재(93)가 삽입되고, 볼트 부재(93)의 하단은 상술한 팔레트 베이스(70)에 체결고정된다.
또한, 볼트 부재(93)는 일측에 수용부(92)와 연통되는 통공(94)이 형성되고, 볼트 부재(93)의 길이 방향으로 제5 공압유로(95)가 형성된다.
상술한 통공(94)과 상술한 제5 공압유로(95)는 연통하고, 제5 공압유로(95)의 상단은 콘 부재(91)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된다.
즉, 제4 공압유로(71)을 통해 유입된 공기압은 콘 부재(91)의 수용부(92)와 볼트 부재(93)의 통공(94) 및 제5 공압유로(95)를 통하여 콘 부재(91)의 외측으로 배기되고, 이렇게 배기되는 공기압에 의해 록킹 핀 조립체(90)의 주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팔레트(P)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에 수용 홈(P1)이 형성되고, 그 수용 홈(P1)은 상술한 콘 부재(9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팔레트(P)가 팔레트 베이스(70)에 접근할 때에 다소 비틀어지게 접근하더라도 수용 홈(P1)과 콘 부재(91)에 의해 자동으로 정렬되므로 팔레트(P)는 팔레트 베이스(70)에 항상 올바른 위치로 정렬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P)가 팔레트 베이스(70)에 얹힐 때에 볼트 부재(93)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압이 배기됨으로써 칩 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 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는 팔레트에 공작물이 얹힌 상태에서 가공영역으로 진입되는 공작기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팔레트가 얹히거나 들릴 때에 팔레트가 접촉되는 주변에 이물질을 더욱 강한 공기압력으로 제거할 수 있고, 피스톤 부재는 메인바디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밀부재가 불규칙 변형을 방지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어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의 정상 작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공작기계에서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가 장착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에서 록킹 핀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작기계 20: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30: 메인바디 31: 제1 공압유로
32: 제1 수용부 34, 35: 제1, 제2 유압유로
40: 피스톤 부재 41: 제2 수용부
42: 제2 공압유로 43: 제1 기밀부재
45: 제1 실린더부 50: 센터 샤프트
51, 52: 제3, 제4 유압유로 53: 제3 공압유로
60: 피스톤 샤프트 65: 플레이트
67: 제2 실린더 부 70: 팔레트 베이스
71: 제4 공압유로 75: 기어부재
81, 82: 제1, 제2 커빅커플링 90: 록킹 핀 조립체
91: 콘 부재 92: 수용부
93: 볼트 부재 94: 통공
95: 제5 공압유로
100: 핀 부재 101: 플랜지
102: 하단부 103: 환형 홈
104, 105: 제7, 제8 공압유로 106: 수나사부
200: 스페이서 부재 300: 칼라 부재
310: 제2 기밀부재 400: 록킹 너트
410: 록킹 와셔

Claims (5)

  1. 하부일측에 제1 공압유로(31)가 형성되고 제1 공압유로(31)의 끝부분에 제1 수용부(32)가 형성된 메인 바디(30);
    상기 메인바디(30)의 상측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얹혀서 장착되고 상기 제1 수용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수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41)와 연통하는 제2 공압유로(42)가 형성된 피스톤 부재(40);
    상기 피스톤 부재(40)의 상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공압유로(42)와 연통하는 제3 공압유로(53)가 형성된 센터 샤프트(50);
    상기 센터 샤프트(50)의 중앙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 플레트(P)가 얹히는 플레이트(65)가 배치되는 피스톤 샤프트(60);
    상기 센터 샤프트(50)의 상부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3 공압유로(53)와 연통하는 제4 공압유로(71)가 형성되며, 상기 제4 공압유로(71)와 연통하여 공기압이 배기되는 록킹 핀 조립체(90)가 상측에 배치된 팔레트 베이스(70); 및
    상기 제1 수용부(32)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용부(41)에 상단이 수용되며 상기 제1 공압유로(31)와 상기 제2 공압유로(42)가 연통하도록 제7, 제8 공압유로(104)(105)가 형성된 핀 부재(100);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100)의 외주에는 플랜지(10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01)의 상측으로 핀 부재(100)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00);와
    상기 스페이서(200)의 상측으로 핀 부재(100)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200)와 상기 핀 부재(100)를 상하방향으로 억류시키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수용부(41)의 내주면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제1 기밀부재(43)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100)의 외주면과 상기 스페이서(200)의 내주면의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록킹와셔(410);와 록킹와셔(410)의 상단을 압착하는 록킹너트(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핀 조립체(90)는,
    상기 제4 공압유로(71)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수용부(92)가 형성된 콘 부재(91);와 상기 콘 부재(91)를 관통하고 상기 팔레트 베이스(70)에 체결되어 상기 콘 부재(91)를 억류하고 수용부(92)와 연통하도록 일측에 통공(94)이 형성되며 외기와 통하도록 제5 공압유로(95)가 형성된 볼트 부재(93);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KR1020070135024A 2007-12-21 2007-12-21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KR10132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24A KR101329393B1 (ko) 2007-12-21 2007-12-21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24A KR101329393B1 (ko) 2007-12-21 2007-12-21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82A KR20090067382A (ko) 2009-06-25
KR101329393B1 true KR101329393B1 (ko) 2013-11-14

Family

ID=4099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24A KR101329393B1 (ko) 2007-12-21 2007-12-21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183A (ko) * 2014-12-26 2016-07-06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자동 팔레트 교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722A (ko) * 2011-08-01 2013-0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로터리 테이블 구조
KR101488109B1 (ko) * 2013-11-06 2015-01-29 윤상진 슬로팅 머신의 테이블 클램프장치
KR101939630B1 (ko) * 2017-09-15 2019-01-18 현대위아(주)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CN108311951A (zh) * 2018-04-12 2018-07-24 江苏瑞德机械有限公司 一种分度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1150A (ja) * 1988-04-20 1989-10-30 Honda Motor Co Ltd インデックス装置
KR100217938B1 (ko) 1996-12-31 1999-09-01 추호석 머시닝센터의 로터리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1150A (ja) * 1988-04-20 1989-10-30 Honda Motor Co Ltd インデックス装置
KR100217938B1 (ko) 1996-12-31 1999-09-01 추호석 머시닝센터의 로터리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183A (ko) * 2014-12-26 2016-07-06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자동 팔레트 교환 장치
KR102248127B1 (ko) * 2014-12-26 2021-05-0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자동 팔레트 교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82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393B1 (ko)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조립체
CN108436523B (zh) 薄壁球形工件加工用油脂支撑定位装置
US8523155B2 (en) Fluid passage connection device
KR102630860B1 (ko) 자동으로 로딩-언로딩되는 가공 시스템
CN111230547B (zh) 一种回转机床柔性快捷装夹夹具及装夹方法
KR101449492B1 (ko) 씰링형 수직 브로칭머신
CN211540260U (zh) 卧式凸轮交换台用锥座
US20080046124A1 (en) System for lapping ring and pinion gears
CN102490067A (zh) 一种托盘自动交换液压油路快换接头装置
KR102449379B1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CN211867123U (zh) 卧式凸轮交换台用凸轮滚子转台
CN206206593U (zh) 组合式机械密封装置及侧进式搅拌器
CN210412886U (zh) 数控蜗杆砂轮磨齿机多工位交换台
CN202162586U (zh) 用于油环外圆加工的工装模具
CN107378710B (zh) 一种加工转台
CN112747118B (zh) 一种粉体物料混合设备轴端密封装置及其安装方法
CN113949240A (zh) 电机组装设备及其组装方法
CN105673717A (zh) 一种用于汽车变速器下线加载试验的快速连接装置
KR101332819B1 (ko) 중공형 감속기의 홀드 샤프트 및 홀드 플랜지 가공방법
JPH03231834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CN202367519U (zh) 一种托盘自动交换液压油路快换接头装置
KR100221996B1 (ko) 스크랩그래플 및 로테이터의 결합구조
CN211028956U (zh) 一种汽车底盘零点快换定位加工装置
JP2020051365A (ja) オイルポンプ検査装置
JP4737740B2 (ja) 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