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347B1 -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347B1
KR101329347B1 KR1020110146777A KR20110146777A KR101329347B1 KR 101329347 B1 KR101329347 B1 KR 101329347B1 KR 1020110146777 A KR1020110146777 A KR 1020110146777A KR 20110146777 A KR20110146777 A KR 20110146777A KR 101329347 B1 KR101329347 B1 KR 10132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e
liposomes
epoxy
pcd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057A (ko
Inventor
최은진
송재영
이창희
김기성
정호섭
강도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4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은 증가된 민감도를 갖는 센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Liposome having acetylene moiety and phospholipid and use thereof}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은 포집된 수성 매질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막 (lipid bilayer membrane)을 포함하는 완전히 폐쇄된 구조이다. 리포좀은 수성상에 의하여 분리된 많은 동심 지질 이중층 (멀티라멜라 소포 또는 MLV) 또는 단일 막 이중층 (유니라멜라 소포)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질 이중층은 소수성 "꼬리(tail)" 영역과 친수성 "머리(head)" 영역을 갖는 2개 지질 단일층 (monolayer)로 구성된다. 막 이중층에서, 지질 단일층에서 소수성 "꼬리"는 상기 이중층의 중심쪽으로 향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친수성 "머리"는 수성상쪽으로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리포좀의 기본구조는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용매 중에 현탁된 지질 분자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용기 내에 건조 필름을 형성하고, 적절한 양의 수성상을 상기 용기에 첨가한 후 혼합물을 교반한다. 그후, 상기 혼합물을 멀티라멜라 소포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요동없이 방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니라멜라 소포도 알려진 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 미국특허 제4522803호).
단백질이 접합된 리포좀은 진단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리포좀은 단백질, 항체 및 면역글로불린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올화된 IgG 또는 단백질 A는 지질 소포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티올화된 항체 또는 Fab' 단편은 리포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민감도가 증가된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리포좀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스트레스에 대하여 증가된 반응성을 보이는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리포좀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표적물질을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제1 지질 분자 및 제2 지질 분자를 포함하는 지질이중층을 포함하고, 제1 지질분자는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이고, 제2 지질 분자는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인 것인,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상기 리포좀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는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과 상기 디아세틸렌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소수성 부분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는 예를 들면, 식 I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Figure 112011105324450-pat00001
(I)
식 중 R1은 C1 내지 C20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틱, 옥틸, 노닐, 데카닐, 운데카닐 및 도데카닐 기와 같은 직쇄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은 지질 분자와 분자 사이에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직경 30nm 내지 5000nm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는 C8-C22의 아실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디아실기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실기는 C8, C10, C12, C14, C16, C18, C20, 또는 C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일 수 있다. 상기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는 예를 들면,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의 리포좀은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는 R1은 도데카닐기이고, R2는 옥틸기이고, n은 1인 식 (I)의 분자 (이하 "PCDA-에폭시"라 함)이고,
Figure 112011105324450-pat00002
(I)
상기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는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인 것일 수 있다.
제1 지질 분자 및 제2 지질 분자는 1: 0.2-0.5 몰 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포좀은 상기 에폭시기를 통하여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아미노기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는 천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분자를 상기 에폭시기와의 반응을 통하여, 고체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아민기를 갖는 분자는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에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활성이 있어, 검출하고자 하고자 하는 물질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민기를 갖는 분자는 폴리펩티드, 핵산 및 이들을 포함하는 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효소, 효소에 결합하는 기질 또는 저해제, 항체, 수용체 및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DNA, RNA, PNA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항원이고, 표적물질은 상기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상기 디아세틸렌 분자는 디아세틸렌 기 사이의 중합 반응에 의하여 공유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예를 들면, 254nm 파장을 포함한, 자외선 조사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폴리디아세틸렌 (PDA)의 중합은 추가적인 촉매 및 개시제 없이 분자적으로 조립된 디아세틸렌 모노머 (molecularly assembled diaceylene monomers)의 UV 조사에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1,4-부가 중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합 산물은 교대 엔-인 (ene-yne) 구조로 된 골격을 갖는 것일 수 있다. PDA 중합 산물은 스트레스-유도된 색 변이 (chromic transition) (청색-to-적색) 및 비선형 광학 특성으로 인하여,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합된 PDA를 포함하는 리포좀은 에폭시기를 통하여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리포좀에 고정된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을 시료 중의 표적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 접촉 산물로부터 광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광학적 신호로부터 시료 중 표적물질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표적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리포좀에 고정된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을 시료 중의 표적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은 항원이고, 표적물질은 항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은 리포좀과 시료를 액체 매질 중에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은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수성 매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또는 인산완충염수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와 같은 버퍼일 수 있다. 리포좀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은 접촉 산물로부터 광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학적 신호는 흡광도, 투과도, 산란광 측정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광학적 신호는 흡광도인 것일 수 있다. 흡광도는 자외선-가시 영역에서의 흡광도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에 의하면, 증가된 민감도를 갖는 센서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시료 중의 표적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면, 증가된 민감도로 표적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중합된 리포좀의 터모크로믹 반응 (thermochromic response: CR) (A) 및 투과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 (B)를 나타낸다.
도 2는 70℃에서 3분 동안 가열하기 전과 후의 PDA-인지질 리포좀의 자외선-가시 광선 분광기에 의하여 측정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BVDV 항체 농도에 따른 발색 반응 (CR)을 나타낸다.
도 4는 BVDV 항체 농도에 따른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달리 언급이 없으면, 다음의 재료 및 방법을 사용하였다.
(1) 재료
인지질,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DMPA) 및 1,2-디미리스토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DMTAP)는 Avanti Polar lipids사로부터 구입하였고, 10,12-펜타코사디인산 (10,12-pentacosadiynoic acid) (PCDA)은 Sigma-Aldrich Chemicals 사로부터 구입하였고, PCDA-Epoxy는 알려진 방법 (J. Lee, E. J. Jeong and J. Kim, Chem Commun, 2011, 47, 358-360; D. Seo and J. Kim, Adv Funct Mater, 2010, 20, 1397-1403)에 따라 합성하였다. 버퍼 및 차단제와 같은 다른 물질은 Sigma-Aldrich Chemicals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B20.24 항원 및 전통적 돼지 열병 바이러스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LOM1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BVDV B20.24 항원은 JenoBiotech Corp. (Chuncheon, South Korea)로부터 얻었다.
(2) 리포좀 조립
PCDA-에폭시 및 인지질/PCDA를 0.2ml 테트라히드로퓨란 중에 4:1 몰비로 녹여 최종 농도 0.5 mM이 되게 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20ml 5mM HEPES 버퍼 (pH 8) 중에 주입하고, 5분 동안 120 W로 프로브-초음파 처리하였다 (probe-sonicated). 리포좀 용액을 0.8μm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시린지 필터를 통하여 두번 여과하고 사용전에 4℃ 냉장고에서 24 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3) 폴리디아세틸렌 ( PDA )-인지질 크기 분석
PDA-인지질 리포좀 용액의 크기는 조립 1일 및 7일에 Otsuka Electronics DLS-7000 Dynamic Light Scattering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리포좀은 4℃에 내장 보관되었다.
(4) 터모크로믹 반응 ( thermochromic Response )
20초 동안 254 nm 1 mW/cm2 UV 조사하에서 얻어진 0.5 mM 중합된 PDA-인지질 리포좀 용액 200μl를 3 분 동안 70℃에 위치시켰다. PerkinElmer Lambda 45 UV/Vis spectrometer로부터 측정된 자외선/가시 흡광 스펙트럼을 발색 반응 (colorimetric response)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5) 투과전자현미경 ( TEM ) 이미지
상기 PDA-인지질 리포좀은 탄소-코팅된 구리 그리드 상에 침적시켰다. JEOL JEM-1010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TEM 이미지를 얻었다.
(6) PDA -인지질 리포좀 용액에 의한 항체 검출
900 μl 0.5 mM PDA-인지질 리포좀 용액 및 100 μl 100 μg/ml BVDV B20.24 항원을 혼합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합되지 않은 항원은 13,000 rpm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하여 2회 제거되었다. 남은 에폭시 기는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5mM HEPES (pH 8) 중 5 중량% BSA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0.05 mM 리포좀 용액을 20 초 동안 UV 조사에 의하여 중합시켰고, PBS 용액 중 0.001, 0.01, 0.1, 1, 10 및 100 μg/ml BVDV 항체, 및 100 μg/ml CSFV 항체와 밤새 반응시켰다.
PerkinElmer Lambda 45 UV/Vis spectrometer로부터 측정된 자외선/가시 흡광 스펙트럼을 발색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PDA 모노머로부터 PCDA-에폭시를 선택하였다. PCDA-에폭시는 R1은 도데카닐기이고, R2는 옥틸기이고, n은 1인 식 (I)의 분자 (이하 "PCDA-에폭시"라 함)이다.
Figure 112011105324450-pat00003
(I)
상기 PCDA-에폭시는 (1) 에폭시 기가, DNA, 단백질 및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 분자에 풍부한, 아민기와 좋은 반응성을 가지고, (2) 바이오센서 적용을 위한 장기간 저장에 걸쳐 안정하다.
PCDA-에폭시와 3 타입의 인지질,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DMPA) 및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DMTAP)을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PDA-인지질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3타입 인지질은 다른 헤드 그룹 전하 및 상전이 온도를 갖는다. 상전이 온도 (Tm)는 분자간 끌림 (atraction) 및 지질 사이의 채움 (packing)의 정도를 나타낸다. 일반적 PDA 모노머로서, PCDA가 인지질이 없는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PDA 리포좀 바이오센서 적용에 대한 삽입된 인지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DA-인지질 리포좀은 PCDA-에폭시 및 인지질 또는 PCDA를 4:1 몰비 조립하였다. 고안된 PDA-인지질 리포좀의 크기 및 제타 전위 (ZP, 리포좀 사이의 반발의 정도)를 조립 1일째에서 전기영동 광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표 1은 PDA-인지질 리포좀의 노출된 시간에 따른 크기 및 그 변이 및 제타 전위를 나타낸다.
PCDA/PCDA-에폭시 리포좀 DMPC/PCDA-에폭시 리포좀 DMPA/PCDA-에폭시 리포좀 DMTAP/PCDA-에폭시 리포좀
1일째 크기 (nm) 280(6.5)a >5000 187(3.7) 289(2.7)
7일째 크기 (nm) 327(6.1) - 208(4.3) 308(3.1)
증가율(%) 16.2 - 11.3 6.5
제타전위(ZP)(mV) -20.2(0.5) -3.2(0.5) -30.1(0.5) 27.1(0.6)
a: 표준 편차 (n=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PA (음전하), DMTAP (양전하), 및 PCDA (음전하) 와 같은 하전된 지질이 삽입된 리포좀은 잘 조립됨을 나타낸다. 그러나, DMPC/PCDA-에폭시의 경우, 내장고에서 식힌 4 시간 후에 응집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그 크기는 산란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없었다 (초기 크기 > 약 5 μm). 이는 DMPC/PCDA-에폭시 리포좀이 DMPC의 중성 전하로 인하여 낮은 ZP (-3.2 mV)를 갖고, 그에 따라 비슷한 Tm을 갖지만 양전하 (상대적으로 높은 ZP, 24.9mV를 유도하는)의 지질을 가진 DMTAP/PCDA-에폭시에 비하여 빠른 응집을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PCDA-에폭시 대신에 DMPC와 PCDA (몰비 DMPC:PCDA = 1:4)의 조립은 PCDA의 음전하로 인하여 성공적이었다 (데이터는 보이 않음).
이들 결과는 하전된 지질의 삽입은 높은 유연성 (flexibility)의 존재하에서도 PDA 리포좀의 응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PA/PCDA-에폭시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가졌다. 이는 그의 가장 높은 전하가 초음파 처리시 리포좀을 더 작은 소포로 쉽게 파괴되도록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높은 막 유연성과 함께 그러한 작은 크기는 DMPA/PCDA-에폭시의 높은 민감도를 부여한다.
(4℃에서 저장된) 조립 7일째에, 각 리포좀의 크기를 다시 측정하였고, 1일째 결과와 비교하여 응집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PA/PCDA-에폭시 리포좀 (증가율: 11.3 % ZP: -30.1 mV) 및 DMTAP/PCDA-에폭시 리포좀 (6.5 %, 27.1 mV)는 상대적으로 낮은 ZP (-20.2 mV)를 가진 PCDA/PCDA 에폭시 리포좀 (16.2%)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 증가를 보였다. 고도로 하전된 인지질의 삽입은 높은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리포좀의 응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포좀을 식힌 24시간 후, 20 초 동안 254nm 자외선 조사하여 리포좀을 중합시켰다.
도 1은 중합된 리포좀의 터모크로믹 반응 (thermochromic response: CR) (A) 및 전자 현미경 이미지 (B)를 나타낸다. 도 1A는 24 시간 식히고 20초 동안 254nm 자외선 중합하고 70℃에서 3 분 동안 가열한 PDA-인지질 리포좀의 열 색변화 (CR) 및 그의 광학 이미지이다. 도 1B는 PDA-인지질 리포좀의 TEM 이미지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TAP/PCDA-에폭시 리포좀은 자주색 (violet color)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한 패킹으로 인한 불안정한 중합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DMPA/PCDA-에폭시 리포좀은 파란색으로, PCDA/PCDA-에폭시 리포좀의 색보다 더 연하였다. 이는 PDA 모노머의 약한 패킹과 감소된 양에 의한 낮은 중합 정도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비슷하게, DMPC/PCDA-에폭시 리포좀은 그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아주 약한 파란색 또는 자주색을 보였다. 센서 적용의 수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70℃에서 3 분 동안 열을 적용함으로써 리포좀의 발색 반응을 평가하였다. 모든 리포좀의 색은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란색으로부터 빨간색으로 변하였다. 다음으로, 발색 반응 (CR)은 자외선-가시 광선 분광기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잘 알려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PA/PCDA-에폭시 리포좀은 그의 옅은 파란색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Tm과 작은 크기의 도움으로 다른 것에 비하여 더 높은 CR을 가진다. 도 1B의 TEM 이미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지질의 삽입은 리포좀의 모양을 둥근 시트에서 사각형 시트로 변화시켰다. 더욱이, 삽입된 인지질이 더 낮은 Tm을 가짐에 따라, 시트 모양은 더 넓고 더 길어졌다. 이들 관찰은 패킹 및 지질 (모노머)의 질서 (ordering)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증가된 막 유연성을 나타낸다.
DMPA (Tm 50 ℃)가 삽입된 경우, 지질 패킹의 변화는 민감성을 높이는 것을 도왔으나, DMPC (Tm 23 ℃) 및 DMTAP (Tm 20~24 ℃)와 같은 Tm이 낮은 지질이 삽입된 경우, 상기 변화는 모노머의 약한 패킹으로부터 불안정한 중합을 통하여 민감도를 감소시켰다.
도 2는 70℃에서 3분 동안 가열하기 전과 후의 PDA-인지질 리포좀의 자외선-가시 광선 분광기에 의하여 측정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에서, A는 PCDA/PCDA-에폭시 리포좀, B는 DMPC/PCDA-에폭시 리포좀, C는 DMPA/PCDA-에폭시 리포좀, D는DMTAP/PCDA-에폭시 리포좀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서는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리포좀을 면역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아지 (breeding stock)의 생식불능 (reproductive failure)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의 항체를 검출하였다. BVDV는 안전하고 경제적인 가축 산업을 위하여 초기 진단을 필요로 하는 유행병 (pandemic disease)이다.
프로브로서 BVDV 항원을 포함하는 간접 검출 시스템을 고안하고 BVDV IgG 항체를 검출하였다. 이 고안의 원리 (rationale)는 IgG 항체 (~150 kDa)는 항원, 바이러스의 글리코단백질 (~53 kDa) 보다 더 크고 그에 따라 표적 분자의 결합은 PDA 골격보다 더 큰 힘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BVDV 항원을 용액 상태에서 자외선 중합하기 전에 리포좀의 표면상의 에폭시기에 부착시켰다. 그 결과, BVDV 항원이 에폭시기를 통하여 고정된 상기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0.001, 0.01, 0.1, 1, 10 및 100 μg/ml 농도의 BVDV 항체 용액 중에 BVDV 항원이 에폭시기를 통하여 고정된 상기 리포좀을 밤새 인큐베인션한 후, CR을 얻었다. 도 3은 BVDV 항체 농도에 따른 발색 반응 (CR)을 나타낸다. 도 4는 BVDV 항체 농도에 따른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에서, A는 PCDA/PCDA-에폭시 리포좀, B는 DMPA/PCDA-에폭시 리포좀, C는DMTAP/PCDA-에폭시 리포좀을 나타낸다.
그러나, DMPC/PCDA-에폭시 리포좀의 CR은 그의 빠른 응집으로 인하여 얻을 수 없었다. 열에 대한 반응에서의 CR과 비슷하게, 민감도는 DMTAP/PCDA-에폭시, PCDA/PCDA-에폭시, 및 DMPA/PCDA-에폭시 리포좀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DMPA/PCDA-에폭시 리포좀은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이는 그의 더 작은 크기 및 지질의 더 약한 패킹이 PDA의 접합된 골격 (conjugated backbone)의 쉽운 왜곡 (distortion)을 야기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비특이적 결합이 없다는 것은 전통적 돼지 열병 바이러스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IgG 항체 100 μg/ml와 인큐베이션 함으로써 확인되었다. 결과는 이 경우의 CR 변화는 시험된 모든 리포좀에 대하여 1.6% 더 낮았다 (도 4). 선형 특성은 넓은 동적 범위 (wide dynamic range), 0.001~100 μg/ml에 걸쳐 얻어졌다.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서 고안된 PDA-인지질 리포좀을 사용한 면역분석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검출 시스템으로 인하여 SPR (검출한계: 2 μg/ml) 또는 QCM(1 μg/ml) 센서의 경쟁적 대안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8)

  1. 제1 지질 분자 및 제2 지질 분자를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고, 제1 지질분자는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이고, 제2 지질 분자는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인 것인,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으로서,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는 식 I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Figure 112013064393610-pat00004
    (I)
    식 중 R1은 C1 내지 C20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인 것으로서,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디아세틸렌 분자는 R1은 도데카닐기이고, R2는 옥틸기이고, n은 1인 식 (I)의 분자이고,
    상기 디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분자는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DMPA)인 것인 리포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통하여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이 고정된 것인, 리포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세틸렌 분자는 디아세틸렌 기 사이의 중합 반응에 의하여 공유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인, 리포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통하여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이 고정된 것인, 리포좀.
  6. 제3항 또는 제5항에 따른 리포좀에 고정된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을 시료 중의 표적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
    접촉 산물로부터 광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광학적 신호로부터 시료 중 표적물질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표적물질을 확인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물질은 항원이고, 표적물질은 항체인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광학적 신호는 흡광도인 것인 방법.
KR1020110146777A 2011-12-30 2011-12-30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KR10132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77A KR101329347B1 (ko) 2011-12-30 2011-12-30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77A KR101329347B1 (ko) 2011-12-30 2011-12-30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57A KR20130078057A (ko) 2013-07-10
KR101329347B1 true KR101329347B1 (ko) 2013-11-15

Family

ID=4899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777A KR101329347B1 (ko) 2011-12-30 2011-12-30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885B1 (ko) * 2020-08-05 2022-09-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660A (ko) * 2004-07-20 2007-05-09 씨지케이 주식회사 물질의 상호작용 탐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660A (ko) * 2004-07-20 2007-05-09 씨지케이 주식회사 물질의 상호작용 탐색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UNIVERSITY OF MICHIGAN(2009) *
논문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외1(2007.12) *
논문3 - LABORATOIRE DE GENIE ENZYMATIQUE(19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57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Liposomes in biosensors
Liu et al.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strategies in analytical chemistry
Gómez-Hens et al. The role of liposomes in analytical processes
US6183772B1 (en) Doped colorimetric assay liposomes
CN100578226C (zh) 由二乙炔材料构成的比色传感器
US20030129618A1 (en) Sensitive and rapid detection of pathogenic organisms and toxins using fluorescent polymeric lipids
JP2002515980A (ja) 生体触媒の直接比色検出
JPS60501129A (ja) 強化凝集分析法及びその試剤
EP3084430B1 (en) Use of compounds comprising two or more hydrophobic domains and a hydrophilic domain comprising peg moieties for stabilization of a cell
Jelinek et al. Biomolecular sensing with colorimetric vesicles
Lim et al. Microbead-assisted PDA sensor for the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o et al. Procedures for preparing escherichia c oli o157: H7 immunoliposome and its application in liposome immunoassay
JPS6354932A (ja) 安定な生物学的活性フッ素化合物エマルジョン
KR101452292B1 (ko) 하이드로젤 비드 기반 바이오센서
Kim et al. Design of a simple paper-based colorimetric biosensor using polydiacetylene liposomes for neomycin detection
Dou et al. Biomimetic cell model for fluorometric and smartphone colorimetric dual-signal readout detection of bacterial toxin
KR20120081762A (ko) 폴리디아세틸렌 기반 바이오센서
Siva et al. Nanoliposome based biosensors for probing mycotoxins and their applications for food: A review
Wang et al. Applications of self-assembly strategies in immunoassays: A review
Seo et al. Highly sensitive turn-on biosensors by regulating fluorescent dye assembly on liposome surfaces
KR101329347B1 (ko)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JP2011047923A (ja) リポソー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アナライトの分析方法
US20220221450A1 (en) Temperature-responsive fluorescent particles for detection of biomolecules
KR101387575B1 (ko)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KR101293664B1 (ko) 지질 이중층 상에 말단 에폭시기를 갖는 고체 입자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