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885B1 -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 Google Patents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885B1
KR102440885B1 KR1020200137271A KR20200137271A KR102440885B1 KR 102440885 B1 KR102440885 B1 KR 102440885B1 KR 1020200137271 A KR1020200137271 A KR 1020200137271A KR 20200137271 A KR20200137271 A KR 20200137271A KR 102440885 B1 KR102440885 B1 KR 10244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diacetylene
solution
alginate
surfacta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885B9 (ko
KR20220017801A (ko
Inventor
정호섭
김기성
정성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1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885B1/ko
Publication of KR10244088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88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4Treatment for improving the free-flowing characteri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trip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4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triple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4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triple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외에 계면활성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범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UV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용액을 틀에 주입하여 동결시킨 후 염화칼슘 용액에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PREPARATION OF ALGINATE FILM FOR TRACKING OF TEMPERATURE USING COLORIMETRIC POLYM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건강한 삶을 지키기 위해 채소, 과일류와 같은 신선식품, 유제품, 축산물 식품 등의 먹거리 안정성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웰빙 식재료의 생산뿐만 아니라, 사전에 식재료의 위험을 예방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속한 식품 안정성을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고품질로 생산된 농축수산물과 신선가공식품이 적절한 포장과 유통 과정을 통하여 품질 열화 없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고, 소비자 측면에서는 최종적으로 구매되는 신선식품의 안전성과 품질 확인 방법이 필요하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가격보다 식품안전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신선도는 육류, 유제품, 신선식품 등을 구매할 때 주요 지표가 되며 소비자들은 유통과정에서 신선도 저하 및 식품 오염 여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원산지, 제조 날짜 및 성분과 같은 식품에 대한 정보는 바코드, 빠른 응답 코드 및 무선 주파수 식별을 사용하여 유통 채널 전체에서 점검이 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유통과정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신선도 저하 요인, 안전성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비 가능성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 예로, 전통적인 육류 신선도 측정 방법은 감각 식별, 물리적 검출, 화학적 검출, 미생물 평가 방법 등이 현재 전자코 등을 사용하여 음식의 부패 정도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이들은 매우 크고 비싸며 일반인이 쉽게 음식의 신선도를 분석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음식물이 부패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음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한 음식을 먹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의 부패 상태를 표시하는 음식물 포장재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비낼랩 또는 봉투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도포 또는 충전시켜 음식의 부패 및 발효 여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일반인이 쉽게 내부 음식물의 부패 여부 또는 부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는 하였으나 온도변화 검출이라든지 노출 시간에 대한 언급은 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41393호(2019.12.2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8085호(2018.06.21)
특정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UV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용액을 틀에 주입하여 동결시킨 후 염화칼슘 용액에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은 유기용매에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를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폴리디아세틸렌막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디아세틸렌막에 정제수 또는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다음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외에 계면활성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범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막과 같은 필름형태로 제조되어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의 안전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표면 또는 포장지의 표면에 쉽게 부착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알지네이트를 적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공정도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실험예 1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험예 2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기존에는 폴리디아세틸렌 고분자를 알지네이트에 내포시킨 필름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냉장유통온도인 4~25℃ 사이에서 민감한 온도변화를 검출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냉장온도에서 온도변화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색변이 고분자의 민감도를 향상하였으며, 이를 신선식품의 표면에 부착하거나 포장지에 부착 가능한 필름형태로 제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공정도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을 제조한다(S10).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은 우선 유기용매에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를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폴리디아세틸레막을 제조한다.
유기용매 100중량부에 3~10Mm 농도의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polydiacetylene monomer) 0.1~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2중량부를 용해시킨 후 증발기 또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1~10분, 바람직하게는 1~5분 동안 유기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지질로 이루어진 얇은 필름형태의 폴리디아세틸렌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폴리디아세틸렌막에 정제수 또는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다음 성형한다.
상기 폴리디아세틸렌막 100중량부에 대해 정제수(DI water) 또는 완충용액 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7중량부 첨가하여 수화시킬 수 있다. 수화과정이 완료된 후, 120~140W, 바람직하게는 130W 및 30~50%출력, 바람직하게는 40%출력 조건으로 1~20분, 바람직하게는 1~10분 동안 초음파 분쇄하여 리포좀을 성형할 수 있다.
성형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은 1~2일 정도 냉장보관 하여 안정화시킨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UV를 조사한다(S20).
상기 S10단계에서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도 3과 같이 240~270nm, 바람직하게는 250~260nm의 파장으로 UV를 1~30분, 바람직하게는 1~20분 동안 충분히 조사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분자간 가교결합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한다(S30).
상기 S20단계에서 UV 조사가 완료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45중량부로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는 계면활성제를 UV조사 이전에 첨가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의 이중막이 계면활성제에 의해 용해됨으로써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이 분해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온도변화 검출이 어려울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50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플루로닉(Pluronic), 트윈(Tween)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윈 20(tween 20)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플루로닉 F127 및 플루로닉 F-68(Poloxamer188)과 같은 양친매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계면활성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트윈 20(tween 20), 플루로닉 F127 및 플루로닉 F-68(Poloxamer188)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윈 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윈 20의 농도가 높을수록 색변이 조건이 10도까지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트윈 20은 20 내지 90(w/w%),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30, 40, 50(w/w%) 등 다양한 농도로 적용 가능하나 30(w/w%) 이상의 농도로 적용 시 25℃의 실온 조건에서 색변이가 단시간에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로 트윈 20을 사용할 경우 30(w/w%) 이상의 농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계면활성제로 트윈 20(tween 20), 플루로닉 F127 및 플루로닉 F-68(Poloxamer188)를 사용할 경우 트윈 20(tween 20), 플루로닉 F127 및 플루로닉 F-68(Poloxamer188)은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민감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플루로닉(pluronic) F127은 삼중 블록 공중합체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poly(alkylene oxide) block copolymer]의 일종으로, 분자식은 EO106PO70EO106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인데, 여기서 EO는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propylene oxide)일 수 있다. EO는 친수성 성분으로 행동하며 PO는 소수성 성분일 수 있다. 플루로닉(pluronic) F127은 같은 플루로닉 계열이라도 P103과 같은 계면활성제보다는 끓는점이 높으면서도 연결고리가 긴 고분자 재료이므로 열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며 보다 더 큰 기공 구조를 유도할 수 있다.
플루로닉(pluronic) F-68(Poloxamer188)은 약물 수송체로부터 의료용 이미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물과 유기용매에 모두 용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양친매성 고분자란 한 분자 내에 소수성기와 친수성기가 존재하여 극성, 비극성 용매에 대해 2가지 성질 모두에 친화성을 갖는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고분자들은 한끝에는 친수성기, 다른 끝에는 소수성기를 가진 고분자로 친수성기가 극성을 갖고 있으나 비극성기가 공존하기 때문에 이들의 양친매성 고분자는 물에 잘 녹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농도가 어느 한계농도 이상이 되면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해 소수성기가 내부로 집합하여 친수성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미셀이 생성되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증가할 수 있다.
그 후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다(S40).
상기 S30단계에서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을 1: 0.5~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 용액의 농도는 1~5wt%, 바람직하게는 1~4wt%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혼합용액을 틀에 주입하여 동결시킨 후 염화칼슘(CaCl2) 용액에 침전시킨다(S50).
상기 S40단계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틀에 원하는 두께가 형성되도록 양을 조절하여 주입한 후 -10~30℃, 바람직하게는 -15~25℃의 온도로 1~5시간, 바람직하게는 1~3시간 동안 냉동하여 동결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같이 혼합용액의 주입량에 따라 필름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동결된 혼합용액을 틀로부터 분리한 후 염화칼슘 용액에 30초~90초, 바람직하게는 60초 동안 침전시켜 도 7b의 알지네이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알지네이트 필름은 도 7c와 같이 열이 가해지면 오렌지 색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동결하는 단계를 실시하지 않으면, 도 7a와 같이 혼합용액의 형태로 염화칼슘 용액과 접촉됨으로써 혼합용액의 최외곽 부분이 희석이 되어 알지네이트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고 최종 수득제품인 알지네이트 필름의 모양이 흐트러지므로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동결되지 않은 혼합용액이 염화칼슘 용액과 만나면, 가장자리 부분에서 균일하게 가교결합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불규칙한 형태의 알지네이트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틀의 형상 및 두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알지네이트 필름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S50단계가 완료되면, 최종 알지네이트 필름이 수득된다. 이러한 알지네이트 필름은 색변이 고분자가 내포된 필름형 온도변화 검출 센서로, 육안으로도 색변이의 관찰이 가능함으로써 소고기, 돼지고기, 어패류와 같은 각종 신선식품의 표면에 부착하거나 포장지에 부착하여 콜드체인과 같은 유통단계에서 신선식품의 온도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에 식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식중독균, 부패가스 검출을 통한 식품 안전산험, 위해가스 및 공기감염 조기 검출과 같은 환경산업 분야에도 폭넓게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 제조
3~10mM 농도의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polydiacetylene monomer) 10mg을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1ml에 용해시킨 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그리고, 정제수(DI water) 또는 완충용액 5ml 첨가하여 수화시킨 다음 130W, 40%출력 조건으로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은 1~2일 정도 냉장 보관하여 안정화시켰다. 그리고, ice bath에서 254nm 파장으로 1~5분 동안 UV lamp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 계면활성제로 tween 20을 20, 30, 40, 50(w/w%)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
실시예 2의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 및 알지네이트 용액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한 다음 고정틀에 주입하고, 1~3시간 동안 냉동한 후 고정틀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염화칼슘(CaCl2) 용액에 1분간 침전시켜 알지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은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지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이 색변이 민감도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의 색변이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4℃ 및 25℃의 온도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색변이를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이미지 분석에 의해 레드색만 추출하여 변화 전 후 변화량(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4℃의 조건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높여도 색변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데 비해 25℃의 조건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30% 미만일 때 30분에서 급격하게 색변이가 일어났으며, 30% 이상일 때는 5분 이내로 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4℃(냉장)의 조건에서는 48시간 기준으로5% 정도만 색변이가 감지되어 육안으로는 관찰이 불가하였고, 25℃의 조건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농도 별로 색변이 반응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알지네이트 필름의 색변이 민감도 특성 평가
실시예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알지네이트 필름의 색변이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4℃, 25℃ 및 40℃의 온도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색변이를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이미지 분석에 의해 레드색만 추출하여 변화 전 후 변화량(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4℃의 조건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높여도 색변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데 비해 25℃ 및 40℃의 조건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30%인 실시예 5의 경우 1시간 이내로 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4℃(냉장)의 조건에서는 24시간 기준으로비교예 1에서는1~2% 정도만 색변이가 감지되어 육안으로는 관찰이 불가하였고, 실시예 5에서는 10% 정도의 색변이가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의 조건에서는 비교예 1과 실시예 5에서 모두 색변이가 나타났으나 실시예 5가 비교예 1에 비해 CR% 값이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농축산 신선식품의 유통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신선도 추적뿐만 아니라, 해미생물, 유해화학물질,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탐지하는 지시계들의 포장내부에 장착되어 농축수산 식품들의 품질 및 위해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므로 고가의 분석기기를 이용한 분석과 비교하여 물적·인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지시계는 현대 농축수산 식품뿐만 아니라 백신과 같은 콜드체인 유통에 필수적인 안전관리 및 유통의 원천기술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T·IT·NT가 융복합된 sensor network platform을 기반으로 하는 운용시스템의 개발은 농축수산 식품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품질 및 재고관리는 물론 국내 및 해외로의 유통 및 물류 등에도 폭넓게 활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신개념의 신선편의식품용 스마트 안전유통 시스템을 개발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토탈 솔루션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UV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용액을 틀에 주입하여 동결시킨 후 염화칼슘 용액에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20 내지 50(w/w%)이되,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인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은
    유기용매에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를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폴리디아세틸렌막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디아세틸렌막에 정제수 또는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다음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는 240~270nm 파장으로 1~30분 동안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친매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용액과 알지네이트 용액은 1: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은 -10~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지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00137271A 2020-08-05 2020-10-22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KR102440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90 2020-08-05
KR20200098090 2020-08-05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801A KR20220017801A (ko) 2022-02-14
KR102440885B1 true KR102440885B1 (ko) 2022-09-06
KR102440885B9 KR102440885B9 (ko) 2023-02-21

Family

ID=8025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71A KR102440885B1 (ko) 2020-08-05 2020-10-22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8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13B1 (ko) 2005-12-16 2007-0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폴리디아세틸렌 초분자체 색 전이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4063B (zh) * 2011-05-11 2015-08-12 博鸿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含有海藻酸盐膜层的薄膜及其制造方法
KR101329347B1 (ko) * 2011-12-30 2013-11-15 대한민국 인지질 및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KR101635373B1 (ko) * 2014-08-20 2016-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액 고분자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3810B1 (ko) * 2014-11-06 2016-1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da 리포좀 및 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야누스 알지네이트 입자 및 그의 용도
KR20180068085A (ko) 2016-12-13 2018-06-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KR20190141393A (ko) 2018-06-14 2019-12-24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음식물의 부패 상태를 표시하는 음식물 포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13B1 (ko) 2005-12-16 2007-0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폴리디아세틸렌 초분자체 색 전이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885B9 (ko) 2023-02-21
KR20220017801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ston et al. A polydiacetylene-based colorimetric sensor as an active use-by date indicator for milk
Nguyen et al. Polydiacetylene-based sensors to detect food spoilage at low temperatures
Lee et al. A freshness indicator for monitoring chicken-breast spoilage using a Tyvek® sheet and RGB color analysis
CN110618116B (zh) 一种可视化检测肉类新鲜度智能指示标签的制备方法及应用
Dermiki et al. Shelf-life extension and quality attributes of the whey cheese “Myzithra Kalathaki”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Pereira Jr et al. Active chitosan/PVA films with anthocyanins from Brassica oleraceae (Red Cabbage) as Time–Temperature Indicators for application in intelligent food packaging
Shan et al. Gelatin/sodium alginate multilayer composite film crosslinked with green tea extract for active food packaging application
CN110088013B (zh) 用于监测食品新鲜度的装置及其使用方法
US20060121165A1 (en) Food freshness sensor
KR102440885B1 (ko)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Zhao et al. Effect of cinnamaldehyde incorporation on the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functional activity of soy protein isolate‐egg white composite edible films
Tang et al. Colorimetric hydrogel indicators based on polyvinyl alcohol/sodium alginate for visual food spoilage monitoring
Su et al. A pH-sensitive smart indicator film of neutral red/polyvinyl alcohol/cassava starch for sensing total volatile basic-nitrogen in meat storing
KR102393400B1 (ko) 카제인 나트륨과 펙틴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이산화탄소 인디케이터
EP095164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spoilage in food products
Crowley et al. A gas-phase colorimetric sensor for the detection of amine spoilage products in packaged fish
PL241122B1 (pl) Sposób pakowania sera w atmosferze ochronnej
DE69705298T2 (de) Durchsichtige lebensmittelverpackungsstruktur mit einer polyamidschicht in berührung mit den lebensmitteln zur entfernung von verbindungen, die lebensmittelverfärbung verursachen
JP3712708B2 (ja) 固体培地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150560B (zh) 一种pH比色传感膜、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884045A (zh) 一种通过颜色变化响应肉品腐败的显色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Ozdemir Antimicrobial releasing edible whey protein films and coatings
CN117907302B (zh) 指示肉品新鲜度的比率荧光碳量子点
KR102531210B1 (ko) 셀룰로스 마이크로섬유 및 적무색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신선도 확인용 식품 포장재 조성물
CN116023716B (zh) 一种层层纳米颗粒填充型保鲜-指示复合薄膜、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