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85A -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 Google Patents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85A
KR20180068085A KR1020160169688A KR20160169688A KR20180068085A KR 20180068085 A KR20180068085 A KR 20180068085A KR 1020160169688 A KR1020160169688 A KR 1020160169688A KR 20160169688 A KR20160169688 A KR 20160169688A KR 20180068085 A KR20180068085 A KR 2018006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dicator
food
packaging
gas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면
김준엽
김영철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085A/ko
Publication of KR2018006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2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dicating incorrect storage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2Chains of interconnec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을 사용함으로써, 섭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또한 봉투형태로 구성되는 포장층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도포 또는 충전시켜 음식의 부패 및 발효 여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The Food For Detect Corru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을 사용함으로써, 섭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또한 비닐랩 또는 봉투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도포 또는 충전시켜 음식의 부패 및 발효 여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구매성향은 여러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데 국내에서도 전반적인 산업의 고도화, 국제화 및 개방화, 전통 식생활의 변화, 핵가족화, 도시화, 노년층 인구의 증가, 식품관련 정보 증가 등의 형태로 환경요건이 변화되고 있어 식품 소비 측면에서는 종전의 영양 섭취 위주에서 건강 지향 및 편리성 추구의 방향으로 뚜렷한 변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유통 과정중 축산물이나 어패류, 유제품, 신선 과일, 채소류 식품의 안전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처리 기술뿐만 아니라 적절한 포장과 저온 유통이 필수적이다.
축산물이나 어패류, 유제품 등의 식품에 있어서는 신선도가 안전성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보관온도 유지와 유통기한 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유통과정 중에 적정한 보관온도로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포장지에 표기된 유통기한 전이라도 변질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식품류가 포장지에 표시된 유통기한만을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고, 소비자에게는 의심이 가는 식품의 맛이나 냄새 등의 관능검사에 의존하며 포장식품의 신선도를 외부에서 확인하며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국내에 출원된 특허로는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키트(특허공개 제2013-0067118호)"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키트를 식품에 직접 접촉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비교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671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을 사용함으로써, 섭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비닐랩 또는 봉투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충전시켜 음식의 부패 및 발효 여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포장층과, 상기 포장층의 타면에 부분 융착되는 기체투과층과, 상기 기체투과층과 포장층의 사이에 도포 또는 충전되는 지시약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시약층은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기체투과층은 OPP 또는 LDPE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포장층은 일정간격마다 절취선이 형성된 봉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지시약층과 기체투과층은 포장층의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포장층은 비닐랩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시약층과 기체투과층은 포장층의 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따르면, 음식물의 부패 및 발효 정도를 감지하는 지시약을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으로 구성함으로써, 섭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비닐랩과, 봉투의 중앙영역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도포 또는 충전시켜 제조비용을 낮추고, 또한 식품과 비접촉으로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을 사용함으로써, 섭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또한 봉투형태로 구성되는 포장층에 부분적으로 양배추 지시약을 도포 또는 충전시켜 음식의 부패 여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포장층(110)과, 기체투과층 및 지시약층(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층(110)은 지시약층(130)의 변색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봉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체투과층(120)은 지시약층(130)이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반응할 수 있도록 기체는 투과시키고 방수의 기능을 하는 OPP(oriented polypropylene )의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OPP는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투명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방습성과, 무취, 무미 무독으로 포장층(110)의 타면에 테두리가 부분 융착 또는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시약층(130)은 기체투과층(120)과 포장층(110)의 사이에 충전 또는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체투과층(120) 또는 포장층(110)의 타면에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투과층(120)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LDPE는 기체투과성이 크고,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무독, 무취, 무미로 열접착성이 양호하여 가공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 지시약층(130)은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양배추 지시약은 양배추에 포함된 안토시아닌 색소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PH에 가스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여 음식물의 부패 및 발효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시약층(130)은 하기 [표 1]과 같이, PH에 따른 색변화가 발생된다.
PH 2-3 연붉은 보라색
PH 4-5 보라색
PH 3-4 붉은보라색
PH 4-5 보라색
PH 2-3 붉은 보라색
PH 10-11 청록색
PH 9-10 청록색
PH 10-11 청록색
PH 5-6 연 보라색
그러므로 [표 1]의 색상에 따라 축산물이나 어패류, 유제품, 신선 과일, 채소류, 김치의 발효 또는 부패 정도를 색상으로 식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의 포장층(110)은 일정간격마다 절취선(111)이 형성된 봉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시약층(130)과, 기체투과층(120)은 포장층(110)의 봉투 내측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어 포장층(110), 지시약층 및 기체투과층을 일체화시키면서, 지시약층(130)과 기체투과층(120)을 부분적으로 형성시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장층(110)을 봉투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저장하여 지시약층(130)의 색상변화에 따라 김치의 발효상태를 눈으로 식별하여 기호에 맞게 김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포장층(110)은 비닐랩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시약층(130)과 기체투과층(120)은 포장층(110)의 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용기에 담긴 식품을 포장층(110)으로 밀폐시키되, 기체투과층(120)을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시켜 식품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지시약층(130)과 반응하여 식품의 신선도나 부패 및 발효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110: 포장층 111: 절취선
120: 기체투과층
130: 지시약층

Claims (5)

  1. 포장층(110)과,
    상기 포장층(110)의 타면에 부분 융착되는 기체투과층(120) 및
    상기 기체투과층(120)과 포장층(110)의 사이에 충전 또는 도포되는 지시약층(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시약층(130)은 인체에 무해한 양배추 지시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투과층(120)은 OPP 또는 LDPE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110)은 일정간격마다 절취선(111)이 형성된 봉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층(130)과 기체투과층(120)은 포장층(110)의 내측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110)은 비닐랩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시약층(130)과 기체투과층(120)은 포장층(110)의 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을 따라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KR1020160169688A 2016-12-13 2016-12-13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KR20180068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88A KR20180068085A (ko) 2016-12-13 2016-12-13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88A KR20180068085A (ko) 2016-12-13 2016-12-13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85A true KR20180068085A (ko) 2018-06-21

Family

ID=6280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88A KR20180068085A (ko) 2016-12-13 2016-12-13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499A (zh) * 2020-03-25 2020-07-17 白杨 一种塑料混粒的配料灌装工艺
KR20220017801A (ko) 2020-08-05 2022-0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118A (ko) 2011-12-13 2013-06-21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118A (ko) 2011-12-13 2013-06-21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499A (zh) * 2020-03-25 2020-07-17 白杨 一种塑料混粒的配料灌装工艺
KR20220017801A (ko) 2020-08-05 2022-0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색변이 고분자를 이용한 온도 이력 측정용 알지네이트 필름 제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Innovations in food packaging
Kuswandi Active and intelligent packaging, safety, and quality controls
McMillin Where is MAP going? A review and future potential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meat
Opara et al.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food preservation
KR20180068085A (ko) 음식물 부패 감지 포장지
Holman et al. A review of patents for the smart packaging of meat and muscle-based food products
CN106494754A (zh) 复合包装材料、片材组和密封包装
US20110139655A1 (en) Indicating package
Lechevalier Packaging: principles and technology
Wani et al. Packaging methods for minimally processed foods
Rennie et al. Modified atmosphere for storage, transportation, and packaging
JP2022132509A (ja) 青果物を収納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Ebner et al. Packaging of perishable food products
Lalpuria et al. Packaging technologies and their role in food safety
JP2004359319A (ja) 密封包材、包装容器および包装体
CN208199320U (zh) 一种具有快速检测新鲜程度功能的巴氏杀菌乳包装
KR100308110B1 (ko) 기체누출감지지시계함입다층필름재및그의제조방법
KR200376192Y1 (ko) 포장식품용 신선도 지시기
KR101023046B1 (ko) 유통 중 발효식품의 갈변을 억제하는 포장방법
Ling Packaging of Noodle Products
CN2795087Y (zh) 指示氧浓度除氧剂
JP6694846B2 (ja) 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36988B2 (ja) ダイコン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200437992Y1 (ko) 음료 보관 용기
Handa et al. 12 Safety and Regula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