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94B1 -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 Google Patents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94B1
KR101329094B1 KR1020067026052A KR20067026052A KR101329094B1 KR 101329094 B1 KR101329094 B1 KR 101329094B1 KR 1020067026052 A KR1020067026052 A KR 1020067026052A KR 20067026052 A KR20067026052 A KR 20067026052A KR 101329094 B1 KR101329094 B1 KR 10132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gent
film
resin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585A (ko
Inventor
요시카즈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레엔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엔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엔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증모부제를 도착해서 정착고정시키고,증모피막을 형성하여 이 증모피막을 형성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내수성피막코트제를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 코트피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모발에 대해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발의 증모방법이다.

Description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 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Method of hair restoration, method of fixation and stabilization of hair foundation agent, and hair restoration setting agent used in the methods}
본 발명은 모발을 인공적으로 굵게하는 모발의 증모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모발의 증모방법에 사용하는 모발의 하지부제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모발의 증모부제, 증모세트제, 모발의 하지부제, 피복코트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부에 있어서의 머리털이 적은 부분에 증모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천연 또는 인조모발을 실제로 식모하고, 또한 적당한 부착수단 등에 의해서 장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에 있어서는, 실시하는데에는 전문가에 의한 처리를 필요로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그런데, 장년성 탈모는 30대쯤부터 정수리 부근의 두발이 적게되어 드디어 앞머리부, 후두부의 모발이 적어져가는 현상을 말하지만, 실제로 모발이 빠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모발의 굵기와 길이가 작게되어 가므로, 실제로 탈모라기 보다 는 박모화가 진행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모주기의 성장기가 단축해서 모발이 아직 짧은 중에 성장이 멈추어 버리는 것과, 다음의 성장기에 돋아나오는 모발의 굵기가 가늘게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장년성 탈모는 남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에게도 중년 이후 정수리부분을 중심으로 박모화가 진행하고 있고, 박모화로 고심하는 여성은 일본에서 대략 900만명으로 보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여성형 탈모도 체내의 성호르몬 벨런스의 붕괴 등에 의해 남성호르몬활동이 강해진 결과 발생한다고 고려되고 있고, 양자를 합쳐서 장년성 탈모라고 부르게 되었다.
즉 30대 이후에 발견되는 장년성 탈모는 대부분의 경우 남녀 공히 머리카락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서서히 모발의 굵기와 길이가 작게되어 박모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박모화한 현상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를 검토한 결과, 세모화하고 있는 머리카락에 두꺼운 피박을 바르고, 그 피막에 의해서 증모증량하여 모발을 굵게하므로서, 모발을 증량시키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더욱이 이 모발을 증량시키는 방법의 실시에 직접 사용하는 모발의 증모세트제도 아울러 발명하였다.
더욱이 모발을 증량시키는 발명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과 이 방법의 실시에 직접사용하는 모발의 하지부제 등에 대 해서도 발명하였다.
가늘게 된 모발을 굵게 보이도록하는 점에서 공통하고 있는 종래방법의 하나로서, 극히 유사한 증모효과를 얻기 위하여 분말형상물로서 짧은 섬유물질을 사용하여, 분말형상물을 분사하는 장치를 사용해서 이것을 모발 등에 정전기적으로 부착시키므로서 증모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 일본특개 소62-255263호 공보에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일본특개 소62-225263호 공보에 개시되어있는 수단에서는, 분발의 부착상태가 불안정하고 또한 불확실하여 적용 후에 분말이 용이하게 탈락해버리기 때문에, 증모효과는 실제로 거의 유지되지 않고, 실용상 유효한 증모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일본특개 평8-143434호나 일본특개 평9-87146호공보에 개시되어있는 바와 같은 모발염색용의 칼라스프레이에 증량분말체를 부가한 형태의 증모에어졸제로 불려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들의 극히 유사한 증모부제는 짧은 섬유물질을 사용하여, 분말형 물질을 분사하여 정전기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에 의한 증모효과에 비해서, 증모효과는 떨어지나 착색효과나 접착안정성이 개선된 상품이다.
그러나 증모효과를 아울러 가진 일시적착색염모제인 칼라스프레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사용방법으로서는 모두 두발을 세트한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정착제인 헤어스프레이 등의 고착성수지를 칠하여 증모부분을 그 위로부터 조금이라도 증모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코트(coat)해서 자연적으로 떨어질 때 까지의 시간을 다소나마 연장하려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말체나 안료를 정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모두 일시적이고, 비를 맞으면 벗겨져 흘러 떨어지거나, 염색이 완료된 후의 모발에 접촉하면 염료, 안료가 벗겨져 떨어져서 다른 물질이나 다른 곳에 전이해버리거나, 입욕하였을 때에 벗겨져 떨어지기 때문에, 입욕시 머리카락에 탕물이 접촉하지 않도록하는 등의 필요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증모방법은 만이나 의모을 직모 혹은 접착한 모와 같은 증모법에 의한 영구증모방법을 제외하고는, 분말형상물 도포에 의한 일시적인 착색증모방법이다.
전자에 있어서 만적인 의모의 경우에는 피시술자가 그 의모를 부착할 때까지 각오적인 결단과, 만 등의 다소의 저항감과, 만일 벗겨지거나 붙여져있는 것이 주위에 알려지면 어떻게하는가 불안감 등이 있었다.
후자는 매일 도포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과, 우천시에 있어서의 탈색의 불안감, 더하여 샤워를 사용할 없고 입욕할 수 없다. 풀에 들어갈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동료들과 여행에서 입욕하였을 때에도 두발에 탕수가 뿌려지지 않도록하는 등 불필요한 주의를 기울이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큰 결점, 즉 의모 등을 부착하는 각오적인 결단이나 적지않은 저항감, 불안감 등 붙여져있는 동안의 불안감을 가지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간단한 증모방법이고, 또 두발에 대해서 착색성, 증량성이 좋고, 착색한 색소 등의 벗겨져 떨어짐이 없는 증모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상기 과제로 한 모발의 증모방법의 실시에 직접 사용하는 모발세트제를 아울러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자는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해서,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증모부제로되는 성분 등을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내수성의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피막으로서 피복하므로서, 반영구적인 증모제를 얻을 수 있고, 가령 환경이나 경시적 문제로부터 각각(모발과 증모부제, 모발과 하지부제, 하지부제와 증모부제, 증모부제와 피막코트제 등)의 밀착(접착)강도가 약하게 된 것으로, 모발상에서 만드는 상기 대롱형상피막은, 대롱직경(모발의 직경)에 대해서 대롱의 길이(모발의 길이)가 상당히 길게되기 때문에, 모발에서 결코 떨어지는 일이 없는 증모 효과물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원발명은 하기에 표시한 1 ~ 16의 발명이다.
1.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하는 부분의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내수성증모부제를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 증모피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모발에 대해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2.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증모부제를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 증모피막을 형성하고, 이 증모피막을 형성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내수성피막코트(coat)부제를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 피막코트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모발에 대해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3. 상기 증모부제에도 내수성의 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4. 내수성증모피막을 형성하는 내수성증모제가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공중합체의비중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의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미드,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 우레탄변성수지, 실리콘변성수지의 단품 또는 혼합물이나 공중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모발의 증모방법.
5.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액상의 내수성증모부제를 도포한 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도착한 내수성증모부제를 도착 및 건조시켜서, 모발 하나하나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증모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6. 증모피막의 정착고정하고 있는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액상의 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를 도착한 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도착한 피막코트부제를 전착 및 건조시켜서, 모발 하나하나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내수성피막코트를 형성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7. 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가 내산, 내알카리성 내수성수지 또는 광경화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8. 내수성피막코트부제가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미드,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부틸아미노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 변성초산 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 우레탄변성수지, 실리콘변성수지의 단품 또는 혼합물이나 공중합물, 초화면, NR 그외 일반 젠계합성폴리머등의 범용라텍스, MBR, BR, VP, NIR, SIR, IR, FKM, EPM, CSM의 폴리머 라텍스 중 경화후내수성피막을 형성하는 라텍스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발의 증모방법.
9. 액상의 내수성수지로 이루어진 증모부제의 수지 또는 내수성수지로 이루어진 피막코트부제의 수지가, 비중화의 형태로 건조한 후의 피막은 산성 내지 중성의 두발용 세정제로 용이하게 씻겨져나가지 않는 내세정성을 가진 비중화시내수, 내세정형수지로 내수, 내세정은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해제가능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10. 액상의 내수성수지로 이루어진 증모부제의 수지 또는 내수성수지로 이루어진 피막코트부제의 수지가, 비중화의 상태로 건조한 후의 피막은 산성 내지 중성의 두발용 세정제로 용이하게 씻겨져나가지 않는 내세정성을 가진 비중화시내수, 내세정형수지로서, 내수, 내세정은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해제가능한 수지가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그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미드,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인 모발의 증모방법.
11. 모발에 증모피막을 형성하기 전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에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12.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성장하고 있는 두부의 모발표면에,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량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한 /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의 전체에 도착시켜, 모발의 하지부제의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모발의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모발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굵게하기 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13.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모발의 하지부제 성분이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 우레탄수지, 실리콘수지, 우레탄변성수지, 실리콘변성수비의 단품 또는 혼합물이나 공중합물로부터 선택된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14.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성장하고 있는 두부의 모발표면에 모발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한/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의 표면에 도착시켜, 모발의 하지부제의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의 이동이 좋게 될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모발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하는 모발을 굵게하기 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내수성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표면에 상기 내수성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증모량이 큰 증모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증모부제를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한/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증모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의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로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에 하지부제와 함께 증모부제를 정착고정하고,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표면에 상기 액상의 증모부제를 도착시켜, 증모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고,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하고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15.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성장하고있는 두부의 모발표면에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섭합시켜서 또는/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의 표면에 도착시켜, 모발의 하지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모발에의 침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며,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모발을 굵게하기 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공정과, 상기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내수성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전체에 상기 내수성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증모량이 큰 증모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증모부제를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는/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증모부제가 도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여, 증모부제를 고화하여 빗의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에 증모부제를 정착고정하고,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표면에 상기 액상의 증모부제를 도착시켜, 증모제가 도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는 공정과 상기의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함께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소망의 증모량으로 된 모발의 표면에 상기 증모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내수성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코트부제를 도착시켜, 피막코트부제가 도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피막코트부제가 고화하여 빗의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피막코트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코트를 형성해서 모발에 피막코트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16.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하는 수지성분을 3~35중량% 함유하는 저급알콜액으로 이루어진 액상 모발의 하지부제와, 상기 모발의 하지부제로 모발에 형성되는 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증모량도 크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하는 수지성분을 95~5중량%를 함유하는 저급알콜용액으로 이루어진 액상의 증모부제와, 상기의 증모부제로 모발에 형성되는 증모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증모효과를 보호하며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수지성분으로 이루어진 피막코트부제로 이루어진 모발의 증모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은 가늘어진 모발은 물론이고, 가늘게 되지않은 모발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가늘게되어 있지 않더라도 성장함에 따라 통상의 사람과 비교해서 가는 사람으로 굵게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 통상의 굵기이지만, 더 굵게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증모피막에 의해서 굵게된 모발의 가장 외측의 피막이 모발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이다.
제1항의 발명은 모발의 증모부제에 내수성의 것을 선택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증모피막을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형성해두면, 대롱직경(모발의 직경)에 대해서 대롱의 길이(모발의 길이)가 상당히 길게되기 때문에, 모발 위로부터 결코 떨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증모부제의 내수성이 공을 드려서, 특히 피막코트부제를 사용해서 증모피막을 보호할 필요는 없다.
제2항의 발명은 증모부제가 제1항의 증모부제와 같이 내수성으로는 한정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비내수성의 증모부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증모피막에 의해 증모는 되지만, 내수성이 아닌 증모피막으로 되어, 비에 젖어도 곤란하고, 입욕이나 풀에 들어가는 것도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증모피막의 위에 내수성의 대롱형상 또는 빗 형상의 피막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가장 외측의 피막이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증모피막은 반듯이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되어있지 않아도 좋다.
증모피막도 대롱형상 칼집형상으로 마무리되어 있으면, 보다 강력한 피막이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3항의 발명은 내수성증모피막의 위에, 다시 내수성의 피막을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면 제2항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보다 강력한 피막이 된다.
제2항 및 제3항의 발명에서 증모피막을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한다고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 가장 외측의 내수성 피막이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증모피막도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는 증모방법의 실시비용에 반영되므로 그 주변의 사정을 고려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정착고정하는 증모에 필요한 부제는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피복체로하는 것이다. 대롱형상은 모발의 선단부분을 제외하고 몸통부의 주위를 피복하고있는 증모부제로 이루어진 피막이고, 칼집형상은 모발의 선단부분을 포함해서 몸통부의 주위를 피복하고있는 증모부제로 이루어진 피막이다.
칼집형상은 모발의 선단부분을 포함해서 몸통부의 주위를 피복하고있는 증모부제로 이루어진 피막이다.
칼집형상의 일단이 폐쇄되어있는 형태를 가르키고, 칼집형상은 대롱형상부와 그 대롱형상부의 선단폐쇄부로 되어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칼집형상의 선단폐쇄부는 있어도 없어도 좋고, 따라서 대롱형상부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짧고 가늘게 된 모발의 경우에는 대롱형상으로 하는 것은 어렵고, 자연히 칼집형상으로 되어버린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제의 성상은, 수지나 증량제의 성상 및/또는 그들의 사용농도나 혼합상태, 또는 첨가하는 침강방지제, 증점제의 종류 등에 의해서 점도가 크게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액상은 졸, 겔에 관계없이, 저점도에서 중점동의 상태에 있는 액상물을 말하고, 용기로부터 유동해서 꺼내는 상태의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지부제]는 모발을 기모시키기 위하여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구성성분제를 말한다. [증모부제]는 모발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성분제를 말한다. 또 [피막코트부제]는 증모부제로 형성된 증모피막을 보호하기 위한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구성성분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다]는 것은 모발과의 친화성, 접착성이 우수한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묶여진 모발에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부제를 여러번 도착시켰을 때, 상기 부제가 모발에 튀는 등의 저항이 없고, 모발표면을 따라 침투하여 밀착해 가는 모양을 말한다.
[가소성을 가진다]라고 하는 것은 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말하고,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모발 5개를 하나하나 겹치지 않도록 배열해서 묶어 그 모발에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부제를 도착하고, 완전건조된 후 그 모발의 양단을 손으로 잡고, 수회에서 수십회 모발을 구부려도, 수지피막이 모발의 표면에서 박리하는 일없게, 모발의 표면에서 수지피막이 박리하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를 말한다.
[가단성이 작다]고하는 것은 충격, 진동, 압력 등의 외력 때문에 마모 또는 파괴되는 것을 말하고, 근소한 외력으로 그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가리키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모발 약 20개를 묶어서, 상기 모발에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부제를 도착하여, 완전 건조 후, 상기 모발다발을 손으로 잡고 수회에서 수십회 부드럽게 다루거나 모발다발을 꺽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다루었을 때, 간단히 모발과 모발사이에서 굳어진 수지가 깨지거나 깍여지고, 마모 등에 의해서 모발이 하나 하나로 분리하는 상태를 말한다. 가단성이 적은 것에 의해서 만에하나 모발이 졉쳐서 접합해 버렸을때에도 상기 모발을 부드럽게 녹이므로서 모발이 하나하나 피복된 상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내수성]은 본원 발명에서는 모발 약 20개를 묶은 상기 모발에, 충분한 양의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부제를 침지도착시켜 방치한 후, 드라이어로 완전건조 후, 섭씨 25도의 수중에 침지하여 두었을 때, 적어도 3시간은 도착된 모발의 표면에 수지의 박리 등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의 증모방법]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증모부제로 내수성인 것을 선택하고, 이 증모부제를 모발에 대해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한 경우에는 증모피막이 내수성이 있고, 또 증모피막이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이므로 모발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는 것은 없다.
증모부제에 수용성인 것을 선택한 경우라도, 이 증모부제로 형성된 증모피막상에는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내수성피막코트를 형성하므로, 내수성이나 강도에 문제는 없다. 증모부제로 내수성의 것을 선택하고, 내수성증모피막의 위에 또 내수성의 피막코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일단과 내수성은 증가하고, 내수성피막코트의 강도도 올라간다.
내수성증모부제, 내수성피막코트부제와 함께 비중화의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수성피막코트, 내수성증모피막도함께 피시술자의 사정으로 제거를 희망하는 경우등에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중화하고, 수용성으로 변화시켜서 제거할 수 있다.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제거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스포츠선수가 심한 운동으로 나쁜 땀으로 불려지는 알카리성 땀을 대량으로 배출한 경우에 비중화의 수지피막이 알카리성의 땀(알카리성의 중화제와 함께)으로 수용성으로서 해제되어버리게 된다. 이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증모피막의 가장 외측의 피막코트는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중화하여도 수용성으로 되지않는다. 내산, 내알카리성내수성 수지 또는 광경화수지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알카리성의 중화제로 중화하여도 수용성으로 되지 않는 내산, 내알카리성의 내수성 피막코트부제로서는, 초화면, NR 그외 일반 젠계 합성폴리머등의 범용라텍스, MBR, BR, VP, NIR, SIR, IR, FKM, EPM, CSM의 폴리머 라텍스중에서 경화 후 내수성피막을 발생하는 라텍스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가시광 및/또는 가시자외선에 의한 광경화기술을 이용해서 수지피막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인체에 사용해서 안전한 것, 무취 또는 불쾌감이 적은 수지인 것 등의 조건외에, 수지성분액으로서는 경화전은 유성,수성에 관계없이 저자극으로 취급이 용이한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방법으로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광의 강도나 매체의 점도, 개시제의 농도 등으로 만듬세가 변하는 것도 있고, 현재,치과의료에서 인체에 이용되고 있는 광래디컬중합 등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수지성분으로서도 특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크릴레이트계의 것으로서는 일관능성의 비교적 분자량이 큰 모노머가 좋으나, 이관능성, 다관능성이라도 특별한 문제는 없다.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계의 것은, 비스페놀 A지그리시지에테르와 메타크릴산의 부가물인Bis-GMA, 트리에틸렌글리콜지메타크릴레이트(TEGDMA), 우레탄지메타크릴레이트(uDMA)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메타크릴산 메틸(MMA)의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TEGDMA은 MMA가 2개결합한 이중결합이 두 개의 이관능성분자로서 양방향의 이중결합의 반응으로 굳어져서 유기용제로 불용성의 가교구조가 완성된다. 모발의 코팅되지않는다. 일관능성의 비교적분자량이 큰 모노머가 좋지만, 이관능성, 다관능성이라도 특별한 문제는 없다.
모노머나 올리코머, 폴리머로서는 TEGDMA, BuDMA, NPGDMA, HDDMA, UDMA, Bis-DMA, Bis-MPEE4E, TCDDMA 등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계에스테르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산계, 노보락형 페놀에폭시수지계, 노보락크레졸에폭시수지계, 폴리이미드계, 폴리비닐 알콜계, 다관능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다관능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이들의 혼합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개시제로서는 1-히드록시, 시크로핵실, 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치오)페닐)-2-몬호소노프로트린-1, 2-벤질-2-지메틸아미노-1-(4-모루휘리노페닐)-부타논-1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산제로서는, POE알킬페닐에테르계, POG지에스테르계, 솔비탄지방산 에스테르계, 지방산변성폴리에스테르계, 3급아민변성폴리우레탄계 등을 사용한다. 그 외에 증감제, 밀착조제, 환원제 등으로서 α-지케톤류, 시란카플링제, 칸바키논, 2-(N,N-지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알킬바루비즐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색순도, 농도, 내후성, 분광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사광원으로서는 할로겐램프나 레이져광원, 광전송매체로서는 광화이버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는 환경대응을 배려한 수용성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하거나, 국소적인 조사로서 자외선의 해가 문제가 되지않도록, 범용의 레이져광원의 가시영역을 제한하든가, 조사시간을 짧게해서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로 대응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간단히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발 하나하나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증모피막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머리카락과 바뀌는 일이 없고, 극히 자연적인 상태로 또 20~30분이라고하는 짧은 시간에 증모를 달성할 수 있다.
(2) 내수성의 증모를 할 수 있고, 비에 맞더라고 평기, 풀에서 수영하는 것도, 입욕, 세발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증모피막은 자신의 머리카락 표면을 보호하고, 빗이나 브러쉬의 통과도 좋고, 브러싱에 의한 모절단을 방지하고, 모발의 육성을 돕고 또 보는 눈에도 아름다운 마무리를 볼 수 있다.
(3) 증모피막은 자신의 머리카락에서 탈락하는 일 없이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4) 가발이나 식모에 비교해서 저렴한 가격이다.
(5) 간단히 시술할 수 있고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등 놀라울 정도의 우수한 증모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1-1은 종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2-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3-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4-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5-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6-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7-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두피 및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두피 및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8-1은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부의 종단면도.
도 8-2는 본 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발외관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2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3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4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5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6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7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도면에 갈음하는 기록사진 8이다.
<부호의 설명>
1: 모발 2: 하지부제 3: 증모부제 4: 피막코트부제
F: 모근부 H: 두피 M: 근원부근 T: 대롱형상의 피막부분
U: 칼집형상의 피막부분 X: 부제결합구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에서 도 8은 본원발명의 증모방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모발(1)을 기모시키기 위한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구성성분제를 하지부제, 증모를 위한 피막을 형성하는 구성성분제를 피막코트부제로 호칭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 도 1-1, 도 2-1, 도 3-1, 도 4-1, 도 5-1, 도 6-1, 도 8-1은 각각의 상태 에 있어서의 두피상의 모발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1, 도 7-2는 두피 및 모발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도 2-2, 도 3-2, 도 4-2, 도 5-2, 도 6-2, 도 8-2는 도 1-1, 도 2-1, 도 3-1, 도 4-1, 도 5-1, 도 6-1, 도 8-1의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a-b의 부분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절단면 및 a-b의 부분에서 상부모발의 외관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중 (10)은 모발, (2)는 하지부제, (3)은 증모부제, (4)는 피막코트부제, F는 모근부, (H)는 두피, (M)은 모발의 근원부근, (T)는 대롱형상의 피막부분, (U)는 칼집형상의 피막부분, (X)는 부제결합영역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짧은 섬유물질이나 분말형상물을 분사도포하는 타입의 증모부제]을 이용하고, [종래의 증모방법]으로 처리한 경우의 모발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시적 증모방법]은 모두가[증모성분을 증모표면에 남김없이 골고루 도착시켜서 모발을 많이 보이도록 한다]것이고, 증모처리 후에 빗 등을 통과시키면 증모효과가 소멸하거나, 효과가 감소하므로 통상은 세트한 후의 모발에 증모부제(증모성분)을 도포한다.
시술처리방법은 세트한 후의 모발(1)에 증모성분인 증모부제(3)를 도포하고, 잠시후, 증모부제(3)[분체등]가 모발(1)에서 박리되어 떨어지기 어렵게하기 위하여, 도착된 증모부제(3)의 위로부터 가만히 피막코트부제4(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피막처리한다.
따라서 도 1은 증모부제(3)를 도포한 후, 빗으로 푸는 일 없이 증모부제(3)가 모발에서 박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피막코트부제(4)를 도포하여, 그대로 건조시킨 후의 모발(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8은 본원발명의 방법을 이용해서 시술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원발명을 [짧은 모발에 시술, 피막처리]한 경우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 ~ 8은 긴 모발에 부분적으로 시술, 피막처리한 경우의 모발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원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내용을 보다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먼저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짧은 모발에 시술, 피막처리한 경우의 모발의 상태]로 한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즉 도 2 및 도 3은 [본원발명을 짧은 머리에 시술한 경우]이기 때문에 하지부제(2), 증모부제(3), 피막코트부제(4)가 충분히 모발(1)의 양단표면전체에 골고루 미치므로, 모발(1)에 대해서 대롱형상이라고하는 것보다 칼집형상(환언하면 한쪽을 폐쇄한 긴 대롱형상)으로 피막하고 있는 도면으로 되어있다.
도 2는 모발의 표면에 본원발명의 하지부제를 시술처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다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를 처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음에 효과의 비교를 설명하기위하여 도 2를 포함하여 도 3에 이르기까지의 시술방법의 개략을 기술한다.
본원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시술처리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모발을 굵게하고싶다고 하는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자라고 있는 두부의 모발에 충분한 양의 하지부제를 모발에 도착시키고, 모발의 하지부제에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 고, 하지부제가 고화하기까지 손이나 빗, 브러쉬 등으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에 근모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 끝에 걸쳐서 하지부제가 골고루 퍼지도록 전착건조한 후에 증모부제를 도포하고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가 고화하기까지 손이나 빗, 브러쉬 등으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를 전착건조시킨다.
그 후에 또 피막코트부제를 도포하고, 고화할때까지 손이나 빗, 브러쉬 등으로 머리를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전체에 피막코트부제가 골고루 퍼지도록 전착건조한후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 2-1, 도 3-1은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두피상의 모발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2, 도 3-2는 도 2-1, 도 3-1의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a-b의 부분으로 절단하였을때의 절단면 및 a-b의 부분보다 상부의 모발외관의 상태를 나타낸다.
종래의 증모방법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세트한 후의 모발(1)의 표면에 증모부제(3)를 도포후, 피막코트부제(4)를 도포하여, 빗으로 푸는일없이 처리를 하고 있으므로, 모발(1)의 위에는 모발(1)과 증모부제(3)와 피막코트부제(4)가 모발(1)에 증모부제(3)와 피막코트부제(4)의 피부덮개를 덮은 것과같은 상태, 환언하면 손으로 만든 초밥과 같은 관계로 예를 들면 사리 위에 계란을 올려놓고 그 위에 김을 씌운 것과 같은 상태로 도막되어 있는 것이고, 모발(1)표면과 증모부제(3)와의 사이의 접착강도는 간단히 증모부제(3)에 함유한 접착수지에 의한 것밖에 없고, 또 예를 들어 피막코트부제(4)인 헤어스프레이의 접착강도가 증 모부제(3)의 접착강도보다 강하여도 헤어프레이가 증모부제(3)를 남기는 일없이 완전히 피복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피막하지 않는 한 모발(1)위로부터 모발부제(3)가 박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않다.
본원 발명을 실시한 경우는 하지부제(2), 증모부제(3), 피막코트부제(4) 등을 각각 도착한 후에 모발(1)끼리 접합시키거나,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1)을 풀어서 각각을 충분히 모발(1)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형태, 즉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피막으로 모발(1) 하나하나의 표면을 피막하도록한 본원발명의 실시의 경우에는 도 2,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지부제(2), 증모부제(3), 피막코트부제(4)가 각각 칼집(환언하면 한쪽을 폐쇄한 긴 대롱형상, 이하 동일)와 같은 형태로 모발(1),하지부제(2), 증모부제(3)의 주변상부에 피복하므로, 하지부제(1)는 모발(1)을 증모부제(3)는 모발(1) 및 하지부제(2)를, 피막코트부제(4)는 모발(1), 하지부제(2),증모부제(3)를 안으로하여 칼집형상으로 피복(칼집형상이 피복부분 U)하는 형태로 되고, 하지부제(2), 증모부제(3) 및 피복코트부제(4)와 함께 각각(모발(1)과 하지부제, 하지부제와 증모부제, 증모부제와 피막코트부제 등)의 밀착(접착)강도가 약해도 각각의 접착강도에는 관계없이 다음의 이유로 누락하는 일은 없다.
즉 하지부제(2), 증모부제(3)이나 피막코트부제(4)의 각각의 칼집형상체는 칼집(대롱)직경(거의 모발(1)의 직경과 동일)에 대해서 칼집(대롱부분)의 길이(모발(1)의 부제로 도착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모발(1)로부터 각각의 칼집(긴 대롱부)을 골라내는데에는 저항(빠짐저항 효과라고 한다.이하 동일)이 커서 모발(1)로 부터 결코 누락하는 일은 없다.
상기의 사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에 내수성의 수지를 이용한 부분에서 지속효과는 짧고, 일시적인 증모부를 만드는 것밖에 할 수 없으나,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하지부제, 증모부제,피막코트부제는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이고, 또한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가 각각/또는 합체해서 칼집(대롱)형상으로 피막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증모효과를 가진 증모부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실제로 도 1에 나타낸 종래방법과 도 2, 도 3에 표시한 본원발명의 실시방법에 의한 증모처리를 실시하고, 온탕을 이용하여 5분정도 세발을 행한 경우, 종래방법인 전자는 증모성분의 대부분이 온탕에 흘러 떨어져 버려 증모효과는 거의 소실하였으나, 본원발명의 실시방법에 의한 후자는 약간의 증모처리부제의 결편이 온탕속에 유출(증모처리직후를 제외하고 그 후의 탕세척에서는 결편의 유출은 없다.)한것의 증모효과에 감소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기서 본원발명에 더욱 중요한 점을 설명한다. 본원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내용을 보다 설명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을 짧은 모발(1)에 시술한]경우를 예시하여 설명되었으므로 도 2, 도 3과 같이, 하지부제(2), 증모부제(3), 피막코트부제(4)는 완전한 칼집상태로 피복하고 있는 도면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실제의 모발에 본원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자라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를 완전한 칼집형상으로 처리하는 것은 재제가 충분한 것으로 시술하기 위한 시간이 걸리는 것을 알았고, 탈의 연구한 결과 전술한 [빠짐저항효과]는 하지부제나 증모부제나 피막코트부제의 피막을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지 않더라도 모발위에서 대롱형상의 피막을 만들고,그 대롱형상피막이 대롱직경(모발(1)의 직경)에 대해서 대롱길이(모발(1)위의 대롱형상 피막길이)의 충분한 길이의 피막을 만들면 모발(1)로부터 하지부제(2), 증모부제(3)이나 피막코트부제(4)가 결코 빠져서 떨어지는 않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해서 마무리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한다. 도 4는 긴 모발에 부분적으로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를 시공, 피복처리한 경우의 모발의 상태를 표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위에 다시 증모부제를 도 6은 도 5의 위에 피막코트부제를 처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도 4-1, 도 5-1, 도 6-1은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두피위의 모발부분의 종단면도를 표시하고, 도 4-2, 도 5-2, 도 6-2, 도 4-1,도 5-1, 도 6-1의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a-b의 부분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절단면 및 a-b의 부분보다 상부의 모발외관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 (1)은 모발, (2)는 하지부제, (3)은 증모부제, (4)는 피막코트부제, (h)는 두피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하지부제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하여 기술한다.
모발위에 본원 발명의 증모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모발의 표면상태를 균일하게하는 것은 효과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도 효과를 얻기 위해서도 모발상에 하지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점으로부터 본원 발명자는 특원2003-436972(평성15년 12월 31일 출원)에 있어서, [이 하지제의 성분으로서는 증모부제에 이용하는 접착수지와 상성이 좋은 것이 좋고, 가능하면 본원 발명을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증모부제에 사용한 동일 또는 동일계열의 수지를 용제(저급알콜이 바람직하다)로 희석한 것을 하지부제로서 이용한다.
즉 하지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은 증모부제의 접착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인 폴리비닐프로리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 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 N-지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실베타인, 메타크린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지메틸베타인, 염화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지메틸베타인, 염화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메트시폴리에렌 글리콜공중합체액, 메트키시에틸렌무수마레인산코폴리머 등의 합성고분자 화합물, 카라키난, 끼산단껌, 젤라틴, 덱스트린, 천연껌,에스테르껌, 변성스타치, 밀크카세인 등의 천연고분자화합물 등의 반합성고분자화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외에, 각각 또는 다른 것과의 공중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를 제창하여, 수용성, 비수용성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그 후의 연구에 의해서, 하지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것은, 물론 전술(특원2003-436972)의 [하지제]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원발명의 경우도 증모처리를 행한 것이라도 [효과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점에서는 유효하지만, 상기 하지부제를 이용한 하지처리와는 전혀 다른 의미, 즉 증모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증모를 눈에 띄게하기 위해서도, 또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위한 것이라도 하지부제가 필요하고 또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특원2003-436972)와 같은, 증모부제를 도착시키기 전의 보조제의 역할이 아니라, 모발을 기모하는 동시에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모발을 많게 보이게하는 것에는, 모발이 굵은 것도 필요하지만, 모발의 본래의 수도 중요한 요건이다. 그런데 [30대 이후에 볼 수 있는 장년성탈모는 대부분의 경우 남녀 공히 머리카락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서서히 모발의 굵기와 길이가 작아져서 박모화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본래의 수도 상당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커버하는 요인도 필요하게 되어있다. 이점으로부터 두발을 세우고 기모한다고 하는 것은 효과적인 증모기술인 것을 알았다. 그래서 모발을 하나하나 기모시키기 위한 방법을 검토한 결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는/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하지부제를 모발의 모근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 끝에 걸쳐서 모발 전체에 도착시켜, 모발에 하지부제가 도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를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근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의 끝으로 향해서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모발의 친숙함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을 굵게 하기전의 모발의 하지부제를 고착고정한다고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므로서, 하지부제를 모근의 측근부분, 즉 모발의 모근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의 끝으로 향해서 하지부 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하는 것이 기모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말을 되돌리면, 전술의 [빠짐저항효과]를 발휘하는 것과 같은 조건에 맞도록 하지부제(2), 증모부제(3)나 피막코트부제(4)의 피막을 수많은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대롱형태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하는 부분의 모발이 자라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모발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의 수지제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는/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지부제을 모발의 전체에 도착시키고, 모발에 하지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가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근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근 끝에 걸쳐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모발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한다.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전술의 내수성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전체에, 상기 내수성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증모량이 큰 증모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증모부제를 뿌려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증모부제가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모발끼리 섭합시키거나,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 및 /또는 하지부제에 증모부제를 정착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더욱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을, 상기 액상수지제의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증모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손으로 모발끼리 섭합시키거나 빗이나 브로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여 소망하는 증모량으로 한다.
전술의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된 모발부의 모발에, 상기 증모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내수성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코트부제를 도착시켜, 피막코트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피막코트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손으로 모발끼리 섭합하거나,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피막코트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코트를 형성해서 모발에 피막코트부제를 정착고정하므로서 강인하고 강고한 증모효과를 모발에 부여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 중요점을 기술한다. 전술의 방법에 의해서 시술처리한 하지부제는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피복되고, 하지부제는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세발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는 강고한 하지부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복하지만 하지부제는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제이므로, 모발의 표면에 하지부제를 대롱형상으로 피복한 시 점에서 세발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는 내수성이 우수한 대롱형상의 피막으로 모발은 모근의 근원부근에서 모발 끝에 걸쳐서 전체(칼집형상) 또는 부분적(대롱형상)으로 피복되어있는 것이다.
도 5, 도 6에 있어서, 증모부제는 하지부제상에서, 거의 균일한 정상인 형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되어있는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만일 증모부제가 모발상에서 치우쳐서 도착되어, 증모부제만으로는 완전한 대롱형상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를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4와 같이 하지부제(2)가 처리된 모발의 하지부제(2)의 편측표면에 치우쳐서 증모부제(3)가 도착된 경우의 모발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1은 두발상의 모발부분의 종단면도, 도 8-2는 도 8-2의 A-B부분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절단면 및 A-B보다 상부의 모발외관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하여온 바와 같이, 하지부제의 뒤에 증모부제로 시술처리하지만, 증모부제는 상기 하지부제인 내수성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은 액상수지제의 증모부제이기 때문에, 증모부제자체가 모발상에서 치우쳐서 도착되어, 완전한 대롱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적으로 대롱형상으로 피막형성된 하지부제의 위에 도착되어 견고하게 도착하고 있으면 증모부제는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지부제와 일체화한다.(일체화한 부분은 도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표시한 X의 부분이다: X는 부제결합영역을 표시한다).즉 도 8-1, 도 8-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지부제(2)와 증모부제(3)는 부제결합영역X로 거의 하나의 수지로서 활동한다. 증모부제자체가 대롱형상으로 피복하여 세발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는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효과를 지닌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피막코트부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뒤, 또 본원 발명을 실시해서 증모부제(3)에 다시 피막코트부제(4)를 시술처리한 후의 모발(1)의 상태를 나타낸다.
피막코트부제(4)도 상기 증모피막과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내수성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제이기 때문에, 피막코트부제(4)가 모발(1)위에서 치우쳐 도포하여, 완전한 대롱형상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하지부제 및/혹은 증모부제가 정상으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되어있는 경우에는 피막코트자체가 대롱형상으로 피복하고 세발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는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효과를 지닌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도면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특별히 부제결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격자형태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부제가 접촉, 접합하는 부분이 부제결합영역 X로 되기 때문에, 그 변을 도 5, 도 6상에 X로 기록하였다.) 단, 피복코트부제(4)가 증모부제(3)를 완전히 피복하고 있지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증모부제(3)에 대한 피막코트부제(4)의 보호효과는 그 증모부제(3)를 완전하게 피복하고 있지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결여하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증모부제(3)는 내수성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피막코트부제(4)가 조금 결여한 부분이었다고 하여도 증모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 도 6에 표시한 X부분과 같이,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박코트부제는 각각 서로 친화성, 접착성이 좋고 내수성피막이기 때문에 부제결합영역 X의 부분에 서 일체화하고, 거의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피막과 같은 덩어리가 되고, 결과도 마치 하나의 수지로 대롱형상피막을 형성한 것으로 되는 것이다. 반복하지만, 하지부제(2)가 모발(1)에 적절한 길이의 대롱형상으로 피복되어 있으면, 증모부제(3)도 피막코트부제(4)도 그들 자체가 모발(1)위에서 완전한 대롱형상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대롱형상으로 피막형성된 하지부제의 위에 견고하게 도착되어 접착하고 있으면, 증모부제(3)는 하지부제(2)와, 피막코트부제(4)는 증모부제(3) 및 /또는 하지부제(2)와 일체화하고, 증모부제도 피막코트부제도 각각 대롱형상으로 피복한 결과와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이면, 만에하나 하지부제(2)가 불완전한 대롱형상으로 마무리되었다고 하여도, 증모부제(3), 피막코트부제(4)를 첨가해서 각각의 부제상에 견고하게 접착하고, 종합적으로 모발(1)을 적절한 길이의 대롱형상으로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하면 반영구적인 증모효과를 유지한 증모제를 얻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하지부제를 모발에 시술실시하는 예로서 [본원발명을 실시하면 어떻게 단시간내에 다량의 모발을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가]를 설명한다.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가늘어진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는데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섭합시켜서 또는/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의 두피부분에서부터 모발 끝에 걸쳐서 모발전체에 도착시켜, 모발의 하지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 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손으로 푸는 등으로해서 모근의 근원부근으로부터 모발 끝에 걸쳐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한다]것이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본원발명에 이용하는 부제의 성상이고, (1)은 모발의 친밀함이 좋고, (2)가소성을 가지고, (3)가단성이 작고, (4)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이기 때문이다.
먼저 모발에 도착된 하지부제는 (1)모발의 친밀감이 좋은 것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모발표면에 대롱형상피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2)가소성을 가지기 때문에 모발의 절곡에 의해서 수지깨짐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유연한 대롱형상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3)가소성이 적으므로 수지가 어느 정도 두껍게 마무리된 부분, 즉 모발과 모발이 교차하거나 모발과 모발이 중합해서 완성한 간격 등에 잔류해서 굳어진 부분 등에서는 모발 다발을 비비는것과 같이 유연하게 풀거나, 빗, 브러쉬로 브랭크하는 것과 같은 충격을 가하므로서 간단하게 수지는 깨지거나 쪼개지거나해서 모발은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는 모발끼리 하나하나 분리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도면을 이용해서 모발에 하지부제 등을 처리할 때의 두피 및 모발과 처리부제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하지부제의 역할과 시술시의 처리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설명도이고, 도 7-1 및 도 7-2는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2)가 모발(1)에 대롱형상으로 도착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모발 및 두피의 종단면도이다.
즉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모발에의 침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액상수지제의 모발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또는/ 및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모발의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손으로 모발을 풀어헤치는 등으로해서 모발을 풀어서, 모발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 끝에 걸쳐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의 하지부제를 고정하였다.
두피 및 모발과 처리부제와의 관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지부제(2)는 두피(H)상에서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려서 도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지부제(2)는 모근의 근원부근(M)에서부터 대롱형상으로 피막되어 있는(대롱형상의 피막부분을 T로 표시하였다.) 근원부근(M)에서부터 모근부(F)로 들어가는 만큼의 양의 하지부제(2)로 모발을 적시기 때문에, 당연히 작업직후에는 도 7-2와 같이 두피(H)표면에도 하지부제(2)의 피막이 붙지만, 하지부제(2)와 두피(H)표면과의 관계는 하지부제(2)가 두피(H)의 표면에 대해서 대롱형상이나 칼집형상으로 되어서 도착하고 있지않기 때문에 건조정착시에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브러싱할 때에 이 부분(두피 H에 붙은 부분)의 하지부재(2)는 거의 박리되어 떨어지고, 이때 박리가 없어도 세발시에 용이하게 박리세정할 수 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는 미리 도 7-1과 같이 모발(1)에만 하지부제(2)가 정착고정된 모발로 완성된다. 이 모양은 두피(H)표면에 하지부제(4)만이 부착된 때는 물 론, 하지부제(3)의 위에 증모부제(3)나 피막코트부제(4)를 중복해서 부착하였을 때도, 각각이 단체로서 두피(H)표면에 부착하였을 때도, 두피(H)표면에 대해서 대롱형상이나 칼집형상으로 되지않은 형태로 도착되어있기 때문에, 빗,브러쉬등으로 모발을 브러싱할 때나 세발시에 전술한 하지부제(2)시와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박리할수 있다.
또 브러싱이나 세정 등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대롱형상으로 모발에 붙은 하지부제나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 등의 피막은, 모발의 근원부근(M)을 폐쇄한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있고, 일견 모근부(F)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빗이나 브러쉬 등으로 모발을 풀 때에 두피표면으로부터 벗겨서 근원부근(M)에 간극이 생기거나 모발은 성장하기 때문에, 모발상에 만들어진 상기 대롱형상의 피막은 그 모발이 자라는 방향으로 데리고가게되어 있으므로, 그 결과 이 근원부근(M)에 완전한 간격이 생기고, 모근부(F)에 통기를 가져온다.
즉 근원부근(M)의 대롱피막이나 근원부근(M)에 잔류한 수지피막 등도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이상이 단시간에 대량의 수의 모발을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는 행위이다.
여기서 하지부제가 모발을 기립시키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1과 같이 된 모발은 일견 수지로 이루어진 관(대롱형상의 피막부분T)으로 통한 모발이다. 환언하면, 관(대롱형상의 피막부분T)으로 지지한 모발로 되어있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해서 결과적으로 모발은 굵게됨과 동시에, 두피(H)상에서 허리가 약하여 가 늘게된 모발이 하지부제(2)의 수지제의 관(대롱형상의 피막부분T)에 의해서 지지되어, 넘어지기 어렵게 된다. 즉 기모하는 것이다.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고, 내수성에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본원발명의 하지부제로서는, 적어도 대롱형상으로 모발을 지지하는 역할을 다하는 정도의 피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하지부제성분용액(분사제를 제외 함)중, 수지고형분으로서 0.5 내지 45중량퍼센트,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5중량퍼센트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다른 희석용제 그 외의 성분). 또 하지부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로서는 본원 발명의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 사용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내수피막부제용수지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 이용하는 내수피막부제용수지로서는 모발상에 내수성의 피막을 붙여서 모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증모성분 등의 각부제 등이 비나 샤워, 탕세척 등에 의해서 모발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의 목적으로, 모발의 표면에 대롱형상으로 피막도막을 붙이고, 기모시키거나 증모성분 등을 접착시키거나 증모성분 및 증모효과의 보호나 지지를 하는 역할의 약제이다. 특히 상기 내수피막부제용수지로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증모성분 등의 박리나 팽윤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트시에 빗 통과나 광택등 외관적으로도 우수한 것이 요망된다.
그 점으로부터 내수피막부제용 수지로서는 종래부터 두발용의 세트제로서 이용되고 있는 수지 중에서 내수성이 우수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나, 아쉽지만 종래부터 두발용의 세트제로서 이용되고 있는 성분은 원래 세트성이 좋은 것, 형붕괴가 없는(내수성이 좋다)것에 더하여, 세발성이 좋은 것이 조건이었기 때문에, 종래의 두발용 세트제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고하는 이유로 그대로 혹은 응용해서 사용가능한 것은 종래의 화장용 수지와 거의 조금밖에 없다.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내수성수지로서는, 건조 후에 내수성으로 되고 또한 두발용으로서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고,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가단성이 작은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형적인 내수성수지로서는,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공중합체액의 비중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디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미드,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 등이나 우레탄수지, 실리콘수지, 우레탄변성수지, 실리콘변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각각 또는 다른 것과의 공중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상기중의 비중화물로는 미중화물을 가리킨다.)그러나 건조 후에 내수성으로되고 또한 두발용으로서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고,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고급알콜, 고급지방산, 수지분말 등을 첨가하는 등으로해서 가소성과 가단성을 호적 한 범위에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상기에 예시한 것 이외의 수지라도 사용가능하다.
중복해서 말하지만,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에 사용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수지성분으로서 공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수지성분은 건조 후에 내수성인 것이 중요하고, 피막코트제에 있어서는 절대조건이다.
또한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는 각각 서로의 수지피막사이에 있어서, 밀착성, 접착성이 우수하지않고서는 되지않는다.
그래서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에 사용하는 내수성수지는 그 내수성수지의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하는 다른 부제의 수지성분과 동일계열,동종, 동류 또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지에 대한 중요한 점인 가소성과 가단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들의 성상은 물론 사용하는 수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것에 초월하는 것은 없으나, 실제로는 각각의 재제는 여러 종류의 성분을 혼합,용해해서 만들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그 조합물이 피도착면위에 도착되어 간조된 후에 적절한 가소성과 가단성을 가지고있으면 좋고, 이점으로부터는 수지자체에 가소성이 없을 때에는, 예를 들면 가역제 등을 첨가해서, 적절한 가단성이 없을 때에는 예를들면, 고형의 분형상물을 첨가하는 등해서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에 공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부제에 응용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는 용제의 휘발성이 나쁘면 작업성이나 증모효과에 악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하지부제로 사용하는 희석용제로서는 휘발성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휘발성용제로서는 두발상에서 비교적 증발, 기화하기쉬운 물질, 예를들면 에타놀, IPA 등의 저급알콜, 이소펜탄, 핵산 등의 저분자탄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두피나 모발에 대한 영향, 냄새, 내수성피막부제용 수지, 착색제 등과의 상용성, 용해도 등을 고려하면 에타놀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에 시술처리시의 기능성, 작업성이나 기모성을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해서 후술하는 증모부제로 사용하는 증량성분이나 윤활제, 가역성, 계면활성제,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방부제, 살균제, 제균제, 양모, 육모제, 두구방지제, 비타민 및 그 유도체, 킬레이트제, 점도조정제, 금속방청제, 동식물에끼스,항산화제, 항담증제, 혈행촉진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을 첨가하므로서, 하지부제 본래의 목적성능을 떨어트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분체 등의 증량성분에 대해서는 25중량퍼센트 이하, 실리콘 등의 윤활제에 대해서는 15중량퍼센트 이하, 가역성에 대해서는 10중량% 이하, 계면활성제나 그 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5중량% 이하로 하고, 용제 및 내수성수지와 분체 등의 증량성분 이외의 전술성분의 총합계는, 적어도 하지부제전량 중의 17% 이하의 범위로 초과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고, 작업성이 나쁘고, 하지효과가 결핍하여 하지부제로 되어버린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증모성분제로서는 수지만으로 증량성에 우수한 수지를 이용하고, 증모부제를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유는 본원 발명을 실 시, 시공처리한 후의 모발표면에 자연모발과 위화감이 없는 풍합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점으로부터 적어도 수지만으로 증량성에 효과적인 수지를 사용하여, 몇 번이라도 증모부제를 거듭 처리하는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도, 증모부제로서는 증모효과는 크게 초월한 것은 없으며, 본원 발명의 증모효과를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증모부제를 사용하므로서 증모부제를 마무리한다.
증모부제는 증모부제 중에 적어도 증모성분과 내수피막부제용 수지를 공유하는 일액형이라도 좋고, 증모성분을 도포 후 내수피막부제용 수지를 도포해서 정착한후 그 모발을 빗으로 통과하는 일이 가능하다면, 예를 들면 단섬유물질이나 분말형상물인 증모성분을 모발위에 정전도착시킨 후, 그것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정착성분수지액을 도포하고, 증모성분을 모발위에 정착시키는 것과 같은 형태로 2공정으로서 증모부제를 구성하여도 된다.
본원 발명에서 이용하는 증모부제로서는 모발에 붙는 것이 가능한 큰 증모성분, 예를들면, 종래부터 헤어칼라에 이용되고있는 안료 또는/ 및 안료증량제, 고형분말체, 단섬유물질 등의 분말형상물등 유사증모효과를 가진 것 등을 여러 가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증모성분으로서는 황산화 티탄, 벤카라, 흑산화철, 감청, 산화크롬, 군청, 카본블랙, 안바, 카라민, 후민산, 먹물 등 안료 외에, 고형분 분체로서는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활석, 고령토, 벤트나이트, 세리라이트, 운모티탄, 산화셀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침강성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규산알루 미마그네슘, 황산칼슘, 호분, 경석분, 진주분, 분말결정셀로즈, 호분, 양모분, 면섬유분, 스타치, 발포스치롤수지분말, 유리아수지미분말의 어느 것인가 1종 또는 혼합물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증모부제에 착색제를 첨가해서 증모헤어칼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발람직하다.
착색제로서는 타르색소, 적색2호, 갈색201호, 청색203호, 황색402호, 녹색401호, 자색401호, 흑색401호 등의 염료, 황산화 티탄, 벤가라(Bengala), 흑산화철, 착색산화철(유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카본블랙, 안바라민, 후민산,묵즙 등의 안료 외 카로틴, 굴세틴, 라카인산, 그로로피린, 베타닌, 카카오색소, 그루코민, 카르민산, 글로블린, 오적묵, 염산베루베린, 리보플라빈, 동그로로피린Na, 헤마틴, 헤마친, 아스렌 등의 천연색소의 어느 1종 또는 혼합물로서 채용할 수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사용하는 증모성분제로서는, 수지만으로 증모성이 우수한 수지를 사용하고, 증모부제를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증모효과를 얻는데에는 다른 증모성분을 병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증모부제의 구성성분으로서는, 전술의 증모성분인 고형성분(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0.1 ~ 60중량부에 대해서 내수피막부제용 수지를 99.9 ~ 4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을 0.5 ~ 35중량부, 내수피막부제용 수지를 99.5 ~ 65중량부의 범위로 처방하는 것이 도포시에 작업성이 좋고, 취급하기 쉽다. 또 사용하는 내수 피막부제용 수지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건조성과 향상과 취급의 용이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위하여 증모부제를 에어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졸증모부제의 내용조성물로서 처방하는 경우에는 경우에는 용제를 부가해서 희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증모부제성분 95 ~ 5중량부에 대해서 5 ~ 95중량부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원 발명의 증모부제 및 피막코트부제는 용제를 첨가하므로서 원액의 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원액을 용기(폴리용기나 에어졸 깡통)에 충전할 때에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지만, 용제의 휘발성이 나쁘면 작업성이나 증모효과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용제는 휘발성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휘발성용제로서는 두발상에서 비교적증발, 기화하기쉬운 물질, 예를 들면, 에타놀, IPA등의 저급알콜, 이소페탄, 핵산 등의 저분자 탄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두피나 모발에 대한 영향, 냄새, 내수피막부제용수지, 착색제등과의 상용성, 용해도 등을 고려하면 에타놀이 가장 바람직하다.
작업성 및 증모(증량)효과를 발휘하기 쉽게하기 위해서는 1회의 도포량(1회당 사용하는 증모부제량)이 늦어도 5분 이내로 전량건조하도록 처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사용하는 증모부제의 구성성분, 즉 고형분(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를 포함한다.)과 피막수지의 혼합비, 또 용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고형분, 피막수지 및 용제의 혼합비의 적절한 값을 검토하므로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건조시간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분 이내에 건조하도록 처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증모부제는 모발에 증모효과가 충분히 구비할 때까지 적량을 모발에 도포하고, 모발을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모발의 증모부제를 모발의 전체에 도착시키거나 빗으로 가볍게 풀어서, 건조한 시점에서 모발끼리 얽혀서 접착하지않도록 하는 작업중, 빗으로 풀 사이도 없이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되고 모발끼리 얽혀서 접착하지 않게 되므로서, 빗이나 브러쉬로 푸는 작업이 작게 되므로 빗의 통과횟수가 적은 만큼, 적층된 고형분이 붕괘되는 일없이 굳어져 가므로 증모효과가 현저함과 동시에 시술자(작업자)도 피시술자도 지치지 않는 동안에 작업이 진행되어 가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성분원액은 증모성분과, 내수피막부제용과, 착색제, 휘발성용제외에, 계면활성제, 윤활제, 가역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착색성분액의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상기 증모부제로 사용하는 증모성분, 접착수지, 및 착색제와의 상용성 등에 문제가 없는 한 음이온성, 노이온성, 양이온성, 양성계면활성제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단, 활성제를 많이 첨가하면 내수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계면활성제는 첨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이점으로부터 이들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계면활성제 전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성분중 3% 이하, 바라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포해서 후에 도신성의 향상이나 건조 후의 빗 통과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한다. 윤활제로서는 저중합의 규소수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기타 여러 종류의 윤활성유제를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의 윤활제를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역제로서는 고급알콜류, 글리콜류 등이나 고급지방산류 외 전술의 활성제, 윤활제로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저중합의 규소수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등의 윤활제나 고급알콜, 고급지방산 등의 가역제의 사용량은 내수피막부제의 가소성과 가역성 및 내수성에 큰 영향을 주므로 조성 및 각각의 조성성분량에 대해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 윤활제나 가소제는 소수성의 가역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모부제로는 상기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용제, 염출성분, 자외선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제균제, 양모, 육모제, 두구방지제, 비타민 및 그 유도체, 킬레이트제, 점도조정제, 금속방청제, 동식물에끼스, 항산화제, 항담증제, 혈행촉진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분사제로서는, LPG나 DME, 불화탄화수소(F13a등) 등의 액화가스 및 탄산가스, 아산화질소가스,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등을 채용할 수 있다. 분사제는 내압용기내에 있어서의 35℃에서의 내압이 0.2 ~ 0.8Mp의 범위로 되도록 충전하는 것이 좋다.
에어졸증모부제 전체를 100중량%로 한 경우, 상기의 분사제를 그중의 70중량% 미만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사제를 63 ~ 68중량%로하는 것이 증모부제의 비산이 어느 정도 초과되고있는 상태로 또한 도포 후의 건조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피막코트부제로서는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지고,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고, 두발이나 하지부제 및 증모성분에 내수 성의 피막을 붙여 모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하지부제나 증모성분이 비나 샤워, 탕세척 등에 의해서 세발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지기 어렵도록 하기 위하여 모발의 표면에 대롱형상으로 피막을 붙이고, 피막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약제이다.
특히 피막코트부제는 시공처리 후의 모발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증모성분 등의 박리나 창윤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트시의 빗 통과 등 외관적으로도 우수한 것이 요망된다. 피막코트부제로 사용하는 수지성분은 건조 후에 내수성인 것이 중요하고, 또한 절대조건이다.
또한 하지부제, 증모부제는 각각 서로의 수지피막사이에 있어서, 밀착성, 접착성이 우수하지 않고서는 안된다. 그래서 피막코트부제에 사용하는 내수성수지는 그 내수성수지의 구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지부제, 증모부제와 중합하는 수지성분과 동일계열, 동종, 동류 또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지성분으로서는 전술한 하지부제, 증모부제와 마찬가지로 건조 후에 내수성으로 되고, 또한 두발용으로서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고,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가소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점으로부터 전술의 하지부제, 증모부제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형적인 내수성수지로서는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액의 비중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옥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변 성수지, 초산비닐 폴리머의 비중화물등이나 우레탄수지,실리콘수지,우레탄변성수지등을 사용할수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수있는 외에 각각 또는 다른 것과의 공중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점으로부터 피막코트부제성분용액(부사제를 제외함)중 수지고형분으로서 0.1에서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피막코트부제는 세트제를 겸하는 것이 많으므로 세트성을 향상시킬 목적 때문에 내수성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라면 다른 수지를 미량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비로리톤,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 N-지메틸암모늄- α -N-메틸칼복시베타인,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공중합체액, 메타크릴로일에틸지메틸베타인, 염산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지메틸베타인, 염화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메트시폴리에틸렌그리콜공중합체액, 메트시메틸렌무수마레인산고포리머등의 합성고분자화합물, 가라끼난, 끼산단껌, 제라틴,덱스트린, 천연껌, 에스테르껌, 변성녹말, 밀크카세인 등의 천연고분자화합물 등의 반합성고분자화합물이 있으나, 사용량은 어디까지나 내수성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에서의 사용이고, 사용내수성수지에 대해서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로 억제한다. 더욱이 증모부제로는 이상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용제, 염출성분, 자외선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제균제, 양모, 육모제, 두구방지제, 비타민 및 그 유도체, 킬레이트제, 점도조정제, 금속방청제, 동식물에끼스, 항산화제, 항담증 제, 혈행촉진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성의 향상과 취급의 용이성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하여, 피막코트부제를 에어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코트부제를 에어졸화하는데 있어서, 용제의 휘발성이 나쁘면 작업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내수피막부제용수지의 용제로서는 휘발성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휘발성용제로서는 두발상에서 비교적증발, 기화하기쉬운 물질, 예를 들면 에타놀, IPA등의 저급알콜, 이소페탄, 핵산 등의 저분자탄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두피나 모발에 대한 영향, 냄새, 내수피막부제용수지, 착색제 등과의 상용성, 용해도 등을 고려하면,에타놀이 가장 바람직하다.
에어졸피막코트부제로서 처방하는 경우에는, 분사제로서는 DME나 LPG, 불화탄화수소(F13a등) 등의 액화가스 및 탄산가스, 아산화질소가스,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등을 채용할 수 있다.
분사제는 내압용기 내에 있어서의 35℃에서의 내압이 0.2 ~ 0.8Mp의 범위로 되도록 충전하는 것이 좋다.
에어졸피막코트부제전체를 100중량%로 한 경우,용제를 포함하는 피막코트부제의 성분원액 30 ~ 90중량%에 대해서 70 ~ 10중량% 분사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의 성분액제를 만들었다.
하지부제 I
(하지성분액제)
초산비닐, 크로톤산중합체(비중화물) 10.0중량%
규소수지(저분자지메틸실리콘) 0.2중량%
무수에타놀 89.8중량%
합계 100.0중량%
증모부제 I
(증모성분액제)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비중화물) 18.6중량%
착색산화철(흑) 3.0중량%
초미립자무수실리카 0.3중량%
산화티탄 0.1중량%
무수에타놀 78.0중량%
합계 100.0중량%
피막코트부제 I
(피막코트성분액제)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비중화물) 9.3중량%
규소수지(저분자지메틸실리콘) 0.2중량%
무수에타놀 90.5중량%
합계 100.0중량%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하는 부분의 가늘게 된 모발이 돋아나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프라스틱용기에 작게 나눈 상기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량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상기 하지부제를 모발전체에 도착시키고, 하지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풀거나, 손으로 모발끼리 섭합시키는 등해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근원으로부터 모발끝으로 향해서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을 굵게 하기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였다.
상기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착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내수성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에 스프레이펌프가 부착된 용기에 작게 나눈 상기의 증모부제를 조금씩 분사시키면서,모발에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증모부제가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에 하지부제와 함께 증모부제를 정착고정하여 가고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하는 부분의 가늘어진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확대처리하였다.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에 연속해서 상술의 스프레이펌프가 부착된 폴리용기에 작게 나눈 증모부제를 전술과 마찬가지로 조금씩 분사시키면서 뿌려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키고, 증모부제가 도 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으로 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3회 반복하였다.
상기의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함께 증모부제로 통형상으로 피복된 소망의 증모량으로된 모발전체에 스프레이펌프가 부착된 폴리용기에 작게 나눈 피막코트부제를 조금씩 분사시키면서 증모피막형성후의 모발에 도착시켜, 피막코트부제가 도착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피막코트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최종적으로 피막코트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코트를 형성해서 모발에 피막코트부제를 정착고정하였다.
그 후 드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충분히 건조한바, 온탕, 및 후술하는 표1의 샴프로 세발한 후, 희망하는 모발형태로 세트하였다.
<실시예 2>
하기의 조성성분액제를 만들었다.
하지부제 II
(하지성분액제)
카르복실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7.0중량%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비중화물) 8.0중량%
규소수지(저분자 지메틸 실리콘) 0.2중량%
고급지방산 0.3중량%
무수에타놀 84.5중량%
합계 100.0중량%
상기의 하지성분액제를 폴리용기에 작게 나누어 이것을 하지부제로 하였다.
증모부제 II
(증모성분액제)
카르복실화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23.6중량%
착색산화철(흑) 5.0중량%
초미립자무수실리카 0.5중량%
산화티탄 0.1중량%
무수에타놀 70.8중량%
합계 100.0중량%
상기 증모성분액제 33중량%, 지메틸에테르를 67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증모성분액제를 분주한 후, 밸브를 장착, 감합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증모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피막코트부제 II
(피막코트부제성분액제)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11.0중량%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지아세톤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액(비중화물) 1.5중량%
규소수지(저분자지메틸 실리콘) 0.5중량%
무수에타놀 87.0중량%
합계 100.0중량%
상기 피막코트부제성분액제가 30중량%, 분사제가 70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피막코트겅분액제를 분주후에, 밸브를 장착감압 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와 액화석유가스를 90중량% / 10중량%의 비율의 혼합분사제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피막코트부제에어졸로 하였다.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2)의 하지부제를 이용하여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의 가늘어진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폴리용기에 작게 나눈 상기의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량을 뿌려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모발부제를 모발의 전체에 도착시키고, 하지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하지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풀거나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하여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끝으로 향해서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을 굵게하기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였다.
상기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고정은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내수성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 에 상기의 증모부제에어졸을 부사시켜 모발에 뿌리면서, 증모부제에어졸을 파지하지 아니한 쪽의 손으로, 증모부제에어졸의 분무가 손에 닿지않도록 주의하면서 모발끼리 좌우전후로 접합시키고, 증모부제를 굵게하고 싶다고하는 모발전체에 도착시킨 후 증모부제가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양손 또는 한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하였다.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부제가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에 계속해서 전술의 증모부제에어졸을 분사시키면서 상기 모발에 뿌려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키고, 증모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으로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3회 반복하였다.
상기의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반복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하지부제와 함께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소망의 증모량으로 된 모발전체에 피막코트부제에어졸을 분사시키면서, 증모피막형성 후의 모발에 도착시키고, 피막코트부제 에어졸을 파지하지않은 손으로 피막코트부제 에어졸의 분무가 손에 닿지않도록 주의하면서 모발끼리 좌우전후로 접합시키고, 피막코드부제를 굵게 하고싶다고 소망하는 모발 전체에 도착시킨 후 피막코드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여, 피막코드부제를 고화하여, 빗의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거나, 양손 또는 한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키는 등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최종적으로 피막코트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코트부제를 형성해서 모발에 피막코트부제를 정착고정하였다.
그 후 드라이어 등을 사용하면서 충분히 건조한 부분으로 온탕 및 표1의 샴프로 세발한 후, 희망하는 모발형태로 세트하였다.
도 9 ~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 대용하는 기록사진이고, 도 9 ~ 도 16의 각각에 붙여진 사진 1 ~ 사진 8은 실시예 2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사진(1)은 세발후, 건조하여 피험자가 언제나 동일한 상태로 세트한 후의 실시예의 두발의 상태, 사진(2)는 폴리용기에 작게 나눈 하지부제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양을 뿌리고 있는 상태, 사진(3)은 손으로 모발끼리 접합시켜서 하지부제를 모발의 전체에 도착시키거나, 모발을 풀고있는 상태, 사진(4)는 하지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모발표면을 증모부제에어졸을 사용해서 증량시키고있는 상태, 사진(5)는 하지부제와 증모부제의 시공처리 후, 피막코트부제를 도착하여, 그 후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여, 피막코트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으로 모발을 풀고있는 상태, 사진(6)은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서 시공처리 후, 샴프로 세발하고 있는 상태, 사진(7)은 세발, 건조 후의 모발을 피험자희망의 머리형태로 세트하고 있는 상태, 사진(8)은 증모하여 완성한 피험자의 두발의 상태이다.
피험자의 두발이 증모한 것은 사진(7)과 사진(8)으로부터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사진(1) ~ 사진(8)의 기록사진은 비디오기록으로부터 발췌한 화상이기 때문 에 화질이 조잡하고, 또 비교장소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결점이 있지만, 명확하게는 내수, 내세발성이 있는 증모제로, 효과적인 증모처리가 간단 용이하게 된 것을 알았다.
다음에 실시예 3 ~ 5에 대해서는 하기표(1)의 조성의 성분액제를 만들고, 비교예 1 ~ 5에 대해서는 하기표(2)의 조성의 성분액제를 만들고, 각 각을 실시예마다 하지부제, 증모부제, 피막코트부제로하여 실시하였다.
또 실시예 3 ~ 5, 비교예 1 ~ 5의 모발에 시공처리한 방법은 모두 실시예 2에 준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06091575030-pct00001
<표 2>
Figure 112006091575030-pct00002
또 표 1중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성분 및 판정결과도 기록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5, 비교예 1 ~ 비교예 5에 대해서, 각 각의 처리 후 3시간 지나고 나서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모효과, 증모효과에 대하여 탕세1회후, 탕세3회후, 샴프1회후, 샴프3회후의 각 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 표 1, 표 2의 기재, 및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표 1 및 표 2 중의 수지명칭에 대하여)
표 1 및 표 2의 처방중의 성분의 내, 수지에 대해서는 문자수가 크고, 표가 크게 되므로 이것을 보기쉽게 할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명칭으로 표시하였다.
(1) 비중화수지1 : 카르복실화 변성초산 비닐 폴리머 비중화물(미중화물)
(2) 비중화수지2 :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비중화물(미중화물)
(3) 비중화수지3 :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공중합체액비중화물(미중화물)
(4) 중화제수지4 :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폴리머 중하물
(5) 중화제수지5 :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 중화물
(6) 중화제수지6 : 아크릴산아킬에스테르,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공중합체액중화물.
또 상기에 있어서, "비중화수지"라고 하는 것은 중화를 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수지로서, 그렇지 않고 중화를 하지 않고 사용하는 수지라도, "수지 또는 수지용액만의 상태에서도 비중화물"이고, 또한 최종적으로 "수지가 중화되지 않은 채로의 상태로 성분액 중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의 양쪽의 의미를 가리킨다.
또 "중화제수지"는 수지만의 단계에서 중화제를 사용하여 중화한 "중화마친 수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수지를 포함한 성분액을 마무리하는 공정 중에, 그 수지의 중화에 필요한 양의 중화제를 첨가해서 최종적으로 수지가 중화된 경우와 같은 "성분액 중에서 최종적으로 중화된 상태로 사용되고있는 수지"의 의미도 가진다.
그 때문에 표중에 표시한 "중화제수지"의 수지량은 수지와 중화제의 합계량이다.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도포용기란으로 프라스틱용기로 표시한 것은 성분액제를 그대로 프라스틱제의 보틀에 작게 나눈 것이고, 펌프용기로 표시한 것은 성분액제를 그대로 프라스틱제의 스프레이펌프가 부착된 보틀로 작게 나눈 것이고, 또 에어졸로 표시한 것은 각각의 성분액제를 각각 다음과 같이 에어졸화한 것이다.
하지부제에 대해서는 하지부제용의 성분액제의 적량을, 내압용기로 분주후 밸브를 장착, 감압후, 밸브를 통해서 질소가스를 0.7 메가퍼스컬까지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하여, 이것을 하지부제에어졸로 하였다. 증모성분액제에 대해서는 증모부제용의 성분액제를 33중량%, 지메틸에텔을 67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분주 후, 밸브를 장착 감압 후 밸브를 통해서 디지메틸 에이텔을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하고, 이것을 증모부제에어졸로 하였다.
피막코트부제에 대해서는 피막코트부제의 성분액제가 30중량%, 분사제가 70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피막코트성분액을 분주 후, 밸브를 장착감합 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이텔과 액화석유가스가 90중량%/10중량%의 비율의 혼합분사제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피막코트제 에어졸로 하였다.
(표 1 중의 용어에 대하여)
(1) 온탕 : 수온 35 ~ 45도의 온탕을 이용해서 행하는 세발.
(2) 샴프 : 하기표 1에 기재한 처방품을 사용해서 샴프한다.
(3) 온탕세발, 건조, 탕세를 이용해서 모발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풀면서 약 3분간 탕세한 후, 수건으로 가볍게 수분을 제거한 후 자연건조해서 마무리하였다.
(4) 샴프세발, 건조 : 상기 온탕을 이용해서 손가락으로 가볍게 풀면서 약 2분간 모발을 탕세하고, 다음에 샴프를 사용해서 약 3분간 모발을 거칠은 이빨을 가진 세발브러쉬를 이용해서 풀면서 세발, 그후 가볍게 탕세하여, 다시 샴프를 이용해서 약 2분간 모발을 거칠은 이빨이 부가된 세발브러쉬를 사용하여 가볍게 풀면서 세발한다. 그 후 약3분간 온탕에서 탕세하여 수건으로 가볍게 수분을 제거하여 자연건조해서 마무리한다.
테스트에 사용하는 샴프처방은 다음과 같다.
(1) 라우린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0.00중량%
(2) POE(2)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 2.00중량%
(3) N-라우로일-N-메틸- β -알라닌나트륨 6.00중량%
(4) 코코아기름지방산지에타놀아미드 2.50중량%
(5) PCA-나트륨 2.00중량%
(6) 에디트산 2나트륨 0.05중량%
(7) 정제수 33.05중량%
(8) 유산(17.7%용액) 미량
(9) 키트산히로리톤칼본염산(1%용액) 20.20중량%
(10) 1.3부틸렌글리콜 4.00중량%
(11) 파라오시안식향산메틸 0.20중량%
합 계 100.00중량%
(11)을 (10)으로 가온용해한 후,(1) ~ (7)을 첨가하여 혼합교반하면서 40도까지 교반냉각하여, 후(8)로 PH5.8로 조정하고, (9)를 첨가하여 샴프하였다.
(효과 및 판단)
(1) 기모효과
◎ : 명확하게 기모가 기립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
○ : 기모가 기립한 것을 볼 수 있는 것
△ : 조금이지만 모발이 기립하였다고 느끼는 정도의 것
× : 전혀 증량의 느낌이 없는 것
(2) 증모효과
◎ : 명백하게 모발이 증량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
○ : 보통으로 모발이 증량하였다고 보여지는 것
△ : 조금이지만 모발이 증량하였다고 느끼는 정도의 것
× : 전혀 증량의 느낌이 없는 것
결과 : 실시예(3)은 하지부제만을 사용한 경우의 본원발명의 기모효과 및 증모효과를 표시하기 위한 실시예이고, 실시예(4) 및 실시예(5)는 실시예(1), 실시예(2)와는 다른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4) 및 실시예(5)의 어느 쪽인가 일부 유색의 결편이 온탕 중에 부유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는 것, 증모부제 등이 온탕에 용출하는 것은 없었다.
또 기모효과 및 /또는 증모효과도 유지하고 있었다.
또 실시예(3)에서는 현저하게 기모효과를 발견할 수 있고, 조금이지만 그대로 증모효과도 표시하고 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및 비교예(5)에 있어서, 비교예(1)은 내수성이 있는 카르복실화변성초산 비닐폴리머(비중화물)을 사용하여 먼저 하지부제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한 하지제로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농도의 수지량으로한 경우의 하지제를 말들고, 상기 하지제를 이용하여 본원발명의 하지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본원발명의 증모부제와 피막코트부제를 이용해서 시공처리한 경우의 비교예를 표시한다.
비교예(2)는 친수성인 초산비닐, 크로톤산공중합체(비중화물)을 이용해서, 앞서 하지부제의 필요성에 대해서 기술한 하지제로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농도의 수지량으로한 경우의 하지데를 만들고, 상기 하지제를 사용하여 본원발명의 하지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본원 발명의 증모부제와 피막코트부제를 사용해서 시공처리한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비교예(1)의 경우는 탕세만으로는 약간이지만 기모효과를 나타내지만, 샴프후는 모두 효과가 소실하여, 증모부제에 의한 효과는 어느 것 의 샴프에 의해서 기모효과가 없게 되면, 증모효과는 보통의 증모효과를 나타내도록 된다.
비교예(2)의 경우는 탕세후부터 모두 기모효과가 소실하여, 증모부제에 의한 효과는 있는 것, 증모효과는 보통의 증모효과만 표시하지 않았다.
비교예(3)은 모두 하지제도 하지부제도 사용하지 않고 본원 발명의 증모부제와 피막코트부제만으로 시공처리한 비교예이다.
비교예(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두 처음부터 증모효과는 보통의 증모효과를 나타낼뿐이다.
비교예(4)는 하지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충분한 농도의 수지량을 이용하는 것, 본원 발명의 내수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수성의 수지(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의 중화물을 사용해서 하지부제를 만든 경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친수성의 하지부제를 이용해서 후, 본원발명의 증모부제와 피막코트부제를 이용해서 시공처리한 경우의 비교예를 표시한다.
1회째의 탕세후는 수지량이 많기 때문에 약간이지만 기모효과가 있는 것과 같이 보이지만, 2회째의 탕세부터 모든 효과가 소실하여, 증모부제에 의한 효과가 있는 것, 증모효과는 보통의 증모효과를 나타낼 뿐이다.
비교예(5)는 증모부제에 본원발명의 내수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수성의 수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액의 중화물)을 사용해서 증모부제를 만들고, 상기 증모부제를 사용해서 본원 발명의 하지부제와 피막코트부제를 사용해서 시공처리한 경우의 비교예를 표시한다.
기모효과는 있는 것, 탕세후의 증모효과는 보통으로 샴프 후는 증모효과도 나쁘게 되어있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는 표(1), 표(2)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증모효과가 우수한 증모방법인 것을 알았다.
<실시예 6>
하기의 조성성분액제를 만들었다.
증모부제II
(증모성분약제)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23.6중량%
착색산화철(흑) 5.0중량%
초미립자무수실리카 0.5중량%
산화티탄 0.1중량%
무수에타놀 70.8중량%
합 계 100.0중량%
상기 증모성분액제를 33중량%, 지메틸에테르를 67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증모성분액제를 분주 후, 밸브를 장착, 감합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증모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스포츠이발을 한 머리의 모발을 전체에 걸쳐서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사람의 머리 하나하나의 표면에 상기의 증모부제 에어졸을 분사시켜 모발에 뿌리면서 모발전체에 증착시킨 후, 증모부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하였다.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에 계속해서 전술의 증모부제에어졸을 분사시키면서, 상기 모발에 뿌려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키고, 증모부제가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를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여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3회 반복하였다.
결과, 명백하게 굵게된 모발이 눈에 띄는 신스포츠머리의 두발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7>
하기의 조성성분액제를 만들었다.
증모부제II
(증모성분액제)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23.6중량%
착색산화철(흑) 5.0중량%
초미립자무수실리카 0.5중량%
산화티탄 0.1중량%
무수에타놀 70.8중량%
합 계 100.0중량%
상기 증모성분액제를 33중량%, 지메틸에테르 67중량%의 비율로 되도록, 내압용기에 증모성분액제를 분주 후, 밸브장착, 감압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을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이것을 증모부제에어졸로 하였다.
피막코트부제II
(피막성분액제)
카르복실화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11.0중량%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산공중합체액(비중화물) 1.5중량%
규소수지(저분자 지메틸실리콘) 0.5중량%
무수에타놀 87.0중량%
합 계 100.0중량%
상기 피막코트부제성분액제가 30중량%, 분사제가 70중량%의 비율이되도록 내압용기에 피막코트성분액제를 분주후, 밸브를 장착감합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와 액화석유가스가 90중량% / 10중량%의 비율의 혼랍분사제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피막코트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성장하면서 모발전체의 모발이 통상보다도 가는사람으로 모발전체에 처리개소를 수분활로 나누어, 차례차례 순번으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상기의 증모부 제에어졸을 분사시켜 모발에 뿌리고, 모발부제에어졸을 파지하지않은 쪽의 손으로 증모부제에어졸의 분무가 손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모발을 좌우전후로 흔들면서 모발부제를 모발전체에 도착시킨 후, 증모부제의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효과를 형성하였다.
다짐하기위하여 미처리부분이 없는가 확인한 후, 또 증모효과를 높이기위하여 상기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부의 모발에 계속해서 전술의 증모부제를 전술한 바와같이 에어졸을 분사시키면서 상기 모발에 뿌려서 증모부제를 모발에 도착시키고, 증모부제가 도착한 도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증모부제가 공화하고,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대롱형상으로 피복된 증모피막을 형성해서, 소망의 증모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증모피막형성작업을 3회 반복하였다.
상기의 증모피막형성작업을 밤복하는 공정에 의해,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증모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된 소망의 증모량으로된 모발 전체에, 피막코트부제에어졸을 분사시키면서, 증모피막형성후의 비발에 도착시켜, 피막코트부제에어졸을 파지하지않은 쪽의 손으로 피막코트부제에어졸의 분무가 손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모발을 좌우전후로 흔들면서 피막코트부제를 모발전체에 도착시킨 후, 피막코트부제가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피막코트부제가 고화하여 빗통과가 좋게될때까지 빗이나 브로쉬로 모발을 풀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최종적으로 피막코드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코트를 형성해서 모발에 피막코트부제를 정 착고정하였다.
<실시예 8>
증모부제, 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를 사용한 후로 내알카리성, 내유성 및 내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경화성수지로 최종피막코트하는 예.
A제(증모부제)
카본블랙 10중량%를 함유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 N-지메틸암모늄- α -N-메틸카르복시베타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공중합액
20.7중량%
규소수지 1.2중량%
세스키오레인산 솔비탄 1.2중량%
활석 34.8중량%
에틸알콜 42.1중량%
합 계 100.0중량%
B제(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비닐공중합체(비중화물) 10.0중량%
규소수지 5.0중량%
에틸알콜 85.0중량%
합 계 100.0중량%
C제(광중합형의 피막코트부제)
2관능아크리레이트 20.0중량%
휘라, 분산제 80.0중량%
그외( 개시제 , 환원제, 안정제) 미량
합 계 100.0중량%
A제(증모부제)를 65중량%, 액화석유가스 35중량%를 내압용기에 넣어서 에어졸제품으로 한 것을 A제스프레이(증모부제에어졸)로 하였다. 또한 B제(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를 55중량%, 액화석유가스50중량%와 지메틸에테르의 50중량%로 이루어진 분사제를 45중량% 사용하여 내압용기에 채워서 에어졸제품으로 한 것을 B제스프레이(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상기A제 스프레이를 가늘게 된 모발에 증모효과를 구비할 때까지 적량을 모발에 도포하였다. 그 후 모발을 빗으로 가볍게 풀어서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건조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켜서, 증모부제로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였다.
충분하게 건조가 완성된 부분에서, 다음에 모발을 후방으로 풀어 올려 재차 B제 스프레이를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였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하고, 그 후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될 정도로 표면이 건조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켜서, 내수성의 피복코트제로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였다.
그 후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건조하였다. 충분히 건조한 부분에 가볍게 탕으로 세척하고, 수성성분이나 처리중에 완성한 수지의 결편 등은 세류한 후 두발을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계속해서 두발을 전방으로 풀어올린 후, 작은 보틀용기에 넣은 C제를 모발에 소량씩 적하도착시킨 후, 모발위에 주의 깊게 도착, 전착시켜,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편중없이 도포하고, 그 후 모발을 빗으로 남김없이 풀었다.
모발끼리 얽혀서 접착하지 않도록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될 정도로 표면건조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푸는 것과 같이 하면서 건조시켰다. 다시 빗으로 모발을 후방향으로 풀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작은 보틀용기에 넣은 C제를 모발에 조금씩 적하하여, 도착, 전착후,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으로 편중없이 도포하여, C제가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행도하도록 접착시키면서 건조시킨다. 표면에 모발끼리 접착이 없고 표면이 거의 건조한 상태로 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켰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 광중합형의 피막코트부제의 피막코트부제로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였다. 그 후 모발을 빗으로 풀면서 410 ~ 500nm의 가시광선을 약 15초간 조사한 후, 5분간 방치하여 충분히 건조한 곳에서 가볍게 건조하여 수성성분은 씻어 흘려보낸 후,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소망의 머리형태로 세트하였다.
<실시예 9>
하지부제, 내수성의 증모부제를 상용한후 내알카리성, 내유성 및 내후성을 가진 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로서 광경화성수지를 사용해서 코트하는 예.
D제(하지부제)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7.0중량%
초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비중화물) 8.0중량%
규소수지(저분자 지메틸실리콘) 0.2중량%
고급지방산 0.3중량%
무수에타놀 84.5중량%
합 계 100.0중량%
상기의 하지부제를 폴리용기에 조금씩 나누고, 이것을 D제(하지부제)로 하였다.
E제(증모부제)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폴리머(비중화물) 23.6중량%
착색산화천(흑) 5.0중량%
초미립자무수실리카 0.5중량%
산화티탄 0.1중량%
무수에타놀 70.8중량%
합 계 100.0중량%
상기 E제(증모부제)를 33중량%, 지메틸에테르를 67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내압용기에 증모부제를 분주후, 밸브를 장착, 감압후, 밸브를 통해서 지메틸에테르를 압력충전하여 에어졸제품으로 하였다. 이것을 스프레이(증모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F제(광중합형의 피막코트부제)
2관능 아크리레이트 25.0중량%
휘라, 분산제 75.0중량%
그 외( 개시제 , 환원제, 안정제) 미량
합 계 100.0중량%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에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프라스틱용기에 작게 나눈 상기의 D를 모발을 적시기에 충분한 량을 뿌려서 작은 브러쉬를 이용해서 상기 하지부제를 모발에 도착시켜, D제를 도착한 모발 하나하나를 분리하고, D제가 고화하여 빗 통과가 좋게 될 때까지 빗이나 브러쉬로 풀거나, 손으로 보발끼리 접합시키는 등해서 모발을 풀었다.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모발의 근원부근에서부터 모발끝으로 향해서 D제로 빗형상으로 피복된 피막을 형성해서 모발을 굵게하기 전의 모발에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였다. 이상의 작업을 모발을 굵게하고 싶다고 소망하는 부분에 모발이 돋아나고 있는 두부의 모발전체에 충분히 골고루 펴질 때까지 작은 범위마다 2회 반복하였다.
다음에 모발을 전방으로 풀어올려 E제스프레이를 모발에 얽히 것과 같은 형태로 편중없이 도포하고, 그 후 모발을 빗으로 편중없이 풀었다.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될 정도로 표면건조 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 하면서 건조시켰다. 충분히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다음에 모발을 후방으로 풀어올려 다시 E제 스프레이를 모발에 가두는 것과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였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 모발에 증모효과를 구비할때까지 적량을 모발에 도포하였다. 그후 모발을 빗으로 풀었다.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될 정도로 표면건조할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켜서, 증모부제로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였다. 그 후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건조하였다. 충분히 건조한 부분 가볍게 세발하여, 수성성분이나 처리중에 완성된 수지의 결편 등은 세척하여 흘려보낸 후 모발을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건조하였다.
계속해서 모발을 전방으로 풀어올린 후, 작은 보틀용기에 넣은 F제를 모발의 증모부제성분의 도포위에 조금씩 적하 도착시킨 후, 모발위에 주의 깊게 도착, 전착시켜,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을 가두는 것과 같은 형으로 남김없이 풀어서, 모발끼리 얽혀서 접착하지 않도록 잠시 빗으로 풀면서 건조시켰다. 다시 빗으로 모발을 후방향으로 풀면서 모발 하나 하나의 표면(증모부제성분의 도막위)에 작은 보틀용기에 넣은 F제를 두발에 조금씩 적하 도착후, 모발위에 주의 깊게 전착시켜,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을 가두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고, F제가 모발의 하나하나의 표면전체에 골고루펴지도록 전착시킨 후, 표면의 접착성이 없게될 정도로 표면건조하기 까지 잠시 빗을 풀도록하면서 건조시킨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남김없이 도포하였다. 그 후 모발을 빗으로 가볍게 풀어서,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또 표면에 액누출이 없도록 잠시 빗으로 풀도록해서 건조시켜서, 광중합형의 피막코트부제로 칼집형상으로 피복하였다.
그 후 보발을 빗으로 풀면서 410 ~ 500nm의 가시광선을 약 15초간 조사한 후, 5분간 방치하여, 충분하게 건조한 부분에서 가볍게 세발하여 수성성분은 세류한 후, 드라이어를 쬐이면서 희망하는 모발형태로 세트하였다.
<실시예 10>
J제(증모부제)
카본블랙 10중량%를 포함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 N-메틸암모늄- α - N -메틸카르복실베타인,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공중합액 20.7중량%
규소수지 1.2중량%
세스키오레인산솔비탄 1.2중량%
활석 34.8중량%
에틸알콜 42.1중량%
합 계 100.0중량%
K제(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비중화물) 11.0중량%
규소수지 5.0중량%
에틸알콜 84.0중량%
합 계 100.0중량%
L제(내유성, 내알카리성피막코트부제)
초아면 6.0중량%
실리콘 0.3중량%
에스테르계 가소제(CTEA) 0.5중량%
아세톤 92.2중량%
합 계 100.0중량%
J제(증모부제)를 65중량%, 액화석유가스 35중량%를 내압용기에 채워서 에어졸제품으로 한 것을 J제스프레이(증모부제에어졸)로 하였다. 또 K제(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를 55중량%, 액화석유가스 50중량%와 디메틸에테르의 50중량%로 이루어진 분사제를 45중량% 사용하여 내압용기에 채워서 에어졸제품으로 한 것을 K제 스프레이(내수성의 피막코트부제 에어졸)로 하였다.
상기 J제스프레이를 가늘게된 모발에 증모효과가 갖춰질 때까지 적량을 모발에 도포하였다. 그 후 모발을 빗으로 가볍게 풀어서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건조하기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켜서, 증모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하였다.
충분히 건조가 완성된 부분에서 모발을 전방으로 풀어올려 K제스프레이를 모발에 채우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고, 그 후 모발을 빗으로 남김없이 풀렀다.
건조한 시점에서 모발끼리 얽혀 접촉하지 않도록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건조하기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 하면서 건조시켰다.
충분히 건조가 완성된 부분에서 다음에 모발을 후방으로 풀어 올려 재차 K제 스프레이를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였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라도 마찬가지로 행하고, 그 후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건조하기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킨 후,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건조하였다.
충분히 건조한 부분에서 가볍게 탕으로 세발하고, 수성성분이나 처리중에 완성한 수지의 결편 등은 세류한 후, 모발을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건조하였다.
계속해서, 모발을 전방으로 풀어 올린 후, 적은 보틀용기에 넣은 L제를 모발에 소량씩 적하 도착시킨 후, 모발상에 주의 깊게 도착, 전개시켜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고, 그 후 모발을 빗으로 남김없이 풀고, 모발끼리 얽혀 접착하지 않도록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 건조하기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 하면서 건조시킨다.
다시 빗으로 모발을 후방향으로 풀면서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작은 보틀용기에 넣은 L제를 모발에 조금씩 적하하고, 도착, 전착후,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해서 모발에 얽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남김없이 도포하여, L제가 모발 하나하나의 표면에 골고루 퍼지도록 전착시키면서 건조시켰다.
표면에 모발끼리 접착이 없게 표면이 거의 건조한 상태로 될 때까지 잠시 빗으로 풀도록하면서 건조시켰다. 이 조작을 모발을 좌우로 풀어올린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해서, 모발 하나하나의 최외피막을 내유성, 내알카리성피막코트부제로, 빗형상으로 피복하였다.
표면에 접착성이 없게 될 정도로 표면에 액이 잔류하지 않도록 잠시 빗으로 풀었다.
계속해서 충분히 환기를 잘한 부분에서 드라이어를 사용해서 충분히 건조하였다. 최후로 가볍게 세발하여, 수성성분은 세류한 후 드라이어를 쬐면서 희망하는 머리형태로 세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의 증모방법"에 의하면, 두피상에 있는 다량의 모발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 단시간에 시술할 수 있고, 또 저렴하게 실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발점, 미용원에 있어서, 본격적인 실시가 행할 수 있는 것이 확실하고, 경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6)

  1. 모발을 굵게하고져 하는 부분의 하나하나의 모발에 내수성 증모부제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초산비닐, 코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타크릴산 부틸아미노 에스테로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 변성초산비닐, 폴리머의 비중화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품 또는 혼합물이나 공중합물을 도착해서 정착고정시켜 증모피막을 형성하고, 증모피막이 형성된 모발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하나 하나의 표면에 액상의 내수성증모제를 도포한 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내수성증모제를 도착 및 건조시켜서 모발하나 하나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증모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모피막이 정착고정되어있는 모발 하나 하나의 표면에 액상의 내수성 피막코트부제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지아세톤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비중화화물, 초산비닐, 크로톤산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크로톤산, 초산비닐, 네오데칸산 비닐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아크릴산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산 부틸아미노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중화물, 카르복실화 변성초산 비닐폴리머의 비중화물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의 단품 또는 혼합물이나 공중합물을 도착한 후, 빗이나 부러쉬를 사용해서 모발을 풀면서 도착된 피막코트부제를 전착 및 고정시켜서 모발 하나하나에 대롱형상 또는 칼집형상의 내수성피막코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67026052A 2004-06-14 2005-06-03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KR101329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5297 2004-06-14
JP2004205297 2004-06-14
PCT/JP2005/010277 WO2005120443A1 (ja) 2004-06-14 2005-06-03 毛髪の増毛方法、毛髪の下地部剤を定着固定する方法およびこれらの方法に使用する増毛セット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85A KR20070024585A (ko) 2007-03-02
KR101329094B1 true KR101329094B1 (ko) 2013-11-14

Family

ID=3550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052A KR101329094B1 (ko) 2004-06-14 2005-06-03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67183A4 (ko)
JP (1) JP4665196B2 (ko)
KR (1) KR101329094B1 (ko)
CN (1) CN1997343A (ko)
WO (1) WO20051204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251A (zh) * 2018-05-29 2018-11-06 合肥工业大学 一种清洁器及配备该清洁器的沐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3875B2 (ja) * 2004-08-29 2011-09-28 Re&Do株式会社 着色染毛剤、着色染毛解除剤および着色染毛部剤、着色染毛剤の被膜処理方法。
CA2724264A1 (en) * 2008-05-16 2009-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incorporating photocatalysts
TW200950813A (en) * 2008-05-21 2009-12-16 Kao Corp Hair setting method
CN102281781A (zh) * 2009-01-20 2011-12-14 株式会社莱兹富奥 增毛具
DE102009042727A1 (de) * 2009-09-23 2011-04-07 Bayer Materialscience Ag Haarkosmetik-Zusammensetzung, enthaltend Nitrocellulose-Polyurethanpolyharnstoff-Teilchen
FR3001148B1 (fr) * 2013-01-18 2015-01-1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saccharide particulier, un polymere fixant anionique et un monoalcool ou polyol liquid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la mettant en oeuvre.
CN114712256B (zh) * 2022-05-07 2023-08-11 杭州梵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保湿氨基酸洗发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45A (ja) * 1995-09-25 1997-03-31 Toyo Aerosol Kogyo Kk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JPH0987146A (ja) * 1995-09-25 1997-03-31 Toyo Aerosol Kogyo Kk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JP2002154934A (ja) 2000-11-21 2002-05-28 Kao Corp 疑似増毛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8613A (ja) * 1987-03-06 1988-09-1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一時染毛剤組成物
US4983377A (en) * 1989-10-31 1991-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icone hairspray compositions
FR2755607B1 (fr) * 1996-11-08 1999-01-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polymere fixant et d'agent gelifiant, procede et utilisation
DE19825961B4 (de) * 1998-06-10 2006-04-27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Aerosolschaumzusammensetzung zum Konditionieren von menschlichen Haaren
JP2000234042A (ja) * 1998-12-16 2000-08-29 Pola Chem Ind Inc 表面改質用の共重合体含有組成物
JP3069808U (ja) * 1999-01-12 2000-07-04 道生 辻浦 増毛用毛髪
JP4718067B2 (ja) * 2001-09-27 2011-07-06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着色料
JP2005082499A (ja) * 2003-09-05 2005-03-31 Kyowa Industrial Co Ltd エアゾール増毛着色剤
JP4288319B2 (ja) * 2003-12-31 2009-07-01 Re&Do株式会社 細くなった毛髪の増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45A (ja) * 1995-09-25 1997-03-31 Toyo Aerosol Kogyo Kk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JPH0987146A (ja) * 1995-09-25 1997-03-31 Toyo Aerosol Kogyo Kk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JP2002154934A (ja) 2000-11-21 2002-05-28 Kao Corp 疑似増毛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251A (zh) * 2018-05-29 2018-11-06 合肥工业大学 一种清洁器及配备该清洁器的沐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7183A1 (en) 2007-03-28
WO2005120443A1 (ja) 2005-12-22
EP1767183A4 (en) 2007-06-27
CN1997343A (zh) 2007-07-11
JP4665196B2 (ja) 2011-04-06
JPWO2005120443A1 (ja) 2008-04-03
KR20070024585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94B1 (ko)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KR100854566B1 (ko) 화장료 제제
EP3129104B1 (en) Eye-makeup cosmetic composition
WO1998054255A1 (fr) Copolymere contenant des groupes silyles reactifs, compositions contenant ce copolymere et methode de traitement afferente
US20150366763A1 (en) Eyeliner De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2003201217A (ja) 頭髪用エアゾール組成物
CN107595672B (zh) 发色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A1101336A (en) Ester of alkylvinylether/maleic anhydride copolymer in plasticized nail enamel
KR20160016980A (ko)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068242A1 (en) Semi-Permanent Mascara and Method of Applying
US20070151047A1 (en) Novel hair dyeing composition and method
JP2009137841A (ja) 睫用化粧料
JP2009292772A (ja) 睫用化粧料
JP6814959B2 (ja) 毛髪用一時着色料組成物
JP4288319B2 (ja) 細くなった毛髪の増毛方法
KR101183526B1 (ko)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JP4783875B2 (ja) 着色染毛剤、着色染毛解除剤および着色染毛部剤、着色染毛剤の被膜処理方法。
US20020197221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ditioning, treating and coloring the skin and its appendages
JP2015199702A (ja) 人工爪被覆用組成物
US20050044642A1 (en) Hair colouring composition
JP2006063059A6 (ja) 着色染毛剤、着色染毛解除剤および着色染毛部剤、着色染毛剤の被膜処理方法。
JP2003503332A (ja) 少なくとも一つの接着性ポリマーと固体粒子とを含む整髪組成物
JP2002154934A (ja) 疑似増毛用組成物
KR20150006400A (ko) 일시적 염색효과를 가지는 모발 염색 화장료 조성물
JPS6087210A (ja) 毛髪着色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