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526B1 -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526B1
KR101183526B1 KR1020090009654A KR20090009654A KR101183526B1 KR 101183526 B1 KR101183526 B1 KR 101183526B1 KR 1020090009654 A KR1020090009654 A KR 1020090009654A KR 20090009654 A KR20090009654 A KR 20090009654A KR 101183526 B1 KR101183526 B1 KR 10118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ating composition
temporary hair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404A (ko
Inventor
조봉림
문혜진
Original Assignee
동성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526B1/ko
Priority to US13/148,068 priority patent/US20110293680A1/en
Priority to PCT/KR2009/003999 priority patent/WO2010090380A1/en
Priority to JP2011549051A priority patent/JP2012516888A/ja
Priority to CN200980156168.9A priority patent/CN102307560B/zh
Priority to GB1113997A priority patent/GB2479334A/en
Publication of KR2010009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숯 분말, 소수성 방수 피막제, 저급 알코올 및 분사제를 특정 함량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모발 도포제에 비해 조성물이 모발에 오랜 시간 붙어있어 지속력이 향상되고, 모발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한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수 피막제, 일시 모발 도포제, 대나무 숯 분말, 분사제, 저급 알코올

Description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Composition of temporary hair thickener}
본 발명은 대나무 숯 분말과 소수성 방수 피막제를 함유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에 부착된 대나무 숯 분말이 빗물이나 땀 등에 흘러내리거나 모발에서 떨어지지 않아 피부 및 의복을 오염시키지 않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흔히 대머리라고 불리는 탈모는 일반적으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단백질(아미노산)이 부족하거나,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 및 자율 신경전달 물질 등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때 또는 미네랄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부족할 때 발생한다.
특히 남성의 경우, 고환에서 생성되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우리 몸 속의 수많은 효소 중 5-알파-리덕타제라는 환원효소를 만나게 되면, 그 형질이 변하여 흔히 DHT라고 불리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변형된다. 이 DHT는 모낭의 호르몬 수용체에 정상적인 호르몬으로 오인되어 모낭 속으로 받아들여져 모발 성장의 4 대 요소를 공격하여 단백질 합성지연, 모낭의 축소, 휴지기 모낭의 증가, 가는 모발 등 모발이 자라지 못하게 하고, 이와 같은 이유로 탈모가 시작된다. 이러한 현상을 남성 유전형 탈모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남성은 DHT가 생겨도 모낭의 남성호르몬 수용체가 받아들이지 않지만, 어떤 특정한 가계에서는 유달리 이 DHT를 잘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다.
남성 유전형 탈모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탈모를 여성형 일반 탈모라고 한다. 여성형 일반 탈모는 영양부족, 스트레스, 환경오염, 과도한 다이어트,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음식물로 인한 식탁의 위험성 증가, 과도한 퍼머 및 염색 그리고 흡연 등 남성 유전형 탈모보다 훨씬 복잡한 원인을 갖고 있어 치료도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대머리는 당사자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자신감을 잃게 만들어 대인관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발생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발모제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치료용 약물인 미녹시딜(Minoxydil)의 경우에도 그 효과가 제한적이고, 각종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양모제 등은 효과가 미약하거나 전혀 없고 의학적으로도 검증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으로 오히려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인체에 위와 같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 가발 역시 사용이 불편하고 두피에 지루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일시 모발 도포제(순간 증모제)라는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시 모발 도포제는 검은 색의 안료(Pigment)가 정전기나 단순한 물리적인 접착 등에 의해서 모발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머리숱이 없거나 머리숱이 부족한 부분에 도포하여 모발을 풍성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시 모발 도포제는 모발이나 두피와 화학적인 결합을 하지 않아 부작용도 없으며, 샴푸할 경우 쉽게 제거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종래의 일시 모발 도포제는 모발에 고착되어 모발을 풍성하게 만드는 안료로서 분말의 입자크기가 매우 고운 레이온사, 카본블랙 또는 산화철 등이 주로 사용된다.
통상의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은 안료 입자의 크기가 40 ~ 150 ㎛ (100 ~ 350 메시) 사이의 작은 입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가벼운 안료가 모발에 뿌려질 때 발생하는 정전기 또는 접착제 등의 힘으로 모발의 표면에 쉽게 부착되어, 머리숱이 부족한 부분을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정전기에 의한 고착력은 매우 약하고 지속력이 없어 약간의 바람이나 머리를 흔드는 것만으로도 모발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일부 제품에서는 미세 분말을 모발에 고착하기 위한 접착성 피막제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이나 아크릴레이트 옥틸아마이드 코폴리머(Acrylate/octylacrylamaide copolymer), 비닐알코올 코폴리머 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착성 피막제는 분말을 도포한 후 뿌리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만들기 용이하도록 물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사용하므로 바람 등의 문제로부터 모발에 고착된 입자가 날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비나 땀 등에 녹아 접착력을 상실하므로 기대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 다.
또한, 재생 섬유의 한 종류인 레이온사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레이온사 분말이 탈모부위에 뿌리는 과정에서 일부의 분말이 사용자나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사람의 호흡기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어, 일시 모발 도포제가 모발과 두피에는 영향이 없다고는 하나 인체에도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02-0011322 호에는 참숯, 솔잎, 송진 및/또는 황토를 첨가한 분말 형태의 모발 도포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모발 도포 조성물과 모발과의 흡착력이 떨어지고 비나 땀 등에 쉽게 흘러내려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송진 등의 냄새로 인해 사용시 거부감을 준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040875 호, 제 2007-0099223 호 등에 숯 분말을 함유하는 샴푸,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과는 상이 하였다.
상기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91651 호에도 고분자 코팅제에 페라이트, 은,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고 이를 자화시켜 모발 발모 촉진용 자성 헤어스프레이 시스템으로 응용 가능한 피막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모발 도포 조성물이므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 및 방향과는 상이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대나무 숯 분말과 소수성 방수 피막제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을 최소화시킨 일시 모발 도포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수성 고분자 방수 피막 형성물질과 분사제와의 상용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수성 방수 피막제로 둘러싸인 미세 안료가 바람, 비, 땀 등에 녹아 흘러내리지 않는 모발 도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 도포제 조성물은 대나무 숯 분말, 소수성 방수 피막제, 저급 알코올 및 분사제를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발 도포제 조성물은 미세한 입자의 대나무 숯 분말과 소수성 방수 피막제를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을 최소화시키고, 두피와 모발의 손상 없이 모발이 부족한 부분을 풍성하게 만드는 증모효과와 소수성 고분자 방수 피막 형성물질과 분사제와의 상용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일시 모발 도포제가 소수성 방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도포물질이 비나 땀 등에 흘러내려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지 않고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나무 숯 분말, 소수성 방수 피막제, 저급 알코올 및 분사제를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은 천연 물질로서 종래에 사용하던 레이온사와 같은 재생 섬유 분말과 달리 인체에 해가 없고,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다. 대나무 숯 분말은 참 숯 분말 등에 비해 2 배 이상의 미세 구멍을 갖고 있어 도포 시 두피와 모발 주변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대나무 숯 분말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두피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과 신진대사를 원활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모발에 축적되는 중금속 등 독성을 흡착하는 기능으로 두피와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나무 숯 분말은 전체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1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40 중량%를 포함한다. 대나무 숯 분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모발에 부착되는 대나무 숯의 양이 적어 증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분사제의 배합량이 적어 분사력 약화되어 분사제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대나무 숯 분말의 입자 크기는 평균 3 ~ 5 ㎛(3000 ~ 4000 메시)의 미세한 대나무 숯 분말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분말은 1 g당 약 90 평방미터의 표면적을 갖고 있어 입자 크기가 평균 40 ~ 150 ㎛(100 ~ 350 메시)인 종래의 레이온사 분말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소량의 분말을 사용하더라도 모발의 부족한 곳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고, 천연물질이므로 두피에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소수성 방수 피막제는 전체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1 ~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방수 피막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모발의 표면을 방수 피막제가 충분히 도포될 수 없어 방수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분사 및 모발에 도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소수성 방수 피막제로는 산과 염기의 두 가지 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암포테릭(Amphoteric)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INCI Name; 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가 사용될 수 있다.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 고분자에 메타크릴린산이 혼합된 매우 강력한 소수성 고분자 물질로, 물을 함유하지 않은 알코올 및 유기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제제에는 강력한 방수 피막을 형성하기 용이한 물질이다.
본 발명은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한 잔량을 조절하였으며, 전체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10 ~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40 중량%를 함유한다. 저급 알코올의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모발에 도포 후 건조가 지연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 할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분사될 때 도포제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매우 넓은 범위로 분사되므로 사용 대상인 머리 부분만이 아닌 의복이나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저급 알코올의 탄소수는 1 ~ 4,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인 것이 사용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어졸 스프레이 제형이 효과 및 사용의 편의성을 감안할 시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에어졸 스프레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분사제로는 부탄(Butane), 이소부탄(iso-Butane), 프로판(Propane) 및 디메틸에테르(DME) 등이 사용되는데, 부탄과 이소부탄 및 프로판 등은 분사제로서의 기능은 있으나 용매의 기능이 없어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많은 양의 알코올이나 유기용매를 포함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방수 피막 형성용 고분자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약해 분사할 때 방수피막 형성제가 모발에 균질하게 도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디메틸에테르는 분사제의 기능과 용매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어서, 일시 모발 도포 조성물에 소량의 알코올이나 유기용매를 포함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기에 본 발명에 사용하였기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방수 피막제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우수해 분사할 때 방수 피막형성제가 모발에 골고루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상기 디메틸에테르는 전체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25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5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사제의 양이 25 중량% 미만이면 분사압력이 낮아 조성물의 균질한 분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 면 분사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도포하는 과정에서 정돈된 모발의 형태를 헝클어버리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대나무 숯은 검은 색의 분말로 자연스러운 진한 갈색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유기 안료를 전체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 10 중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는 그 혼합비에 따라 인체의 모발과 유사하고 다양한 색의 모발 도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 안료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중 일시 염착제(temporary hair color)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시 모발 염색제와 달리 단순한 물리적인 접착에 의해 염색되는 것으로서 물이나 일반적인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안료가 정전기나 접착제에 의해 모발 표면에 고착되는 것을 말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시 모발 염착제로는 새치 커버용 헤어마스카라, 컬러 스프레이, 컬러 무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한 유기 안료는 물에 불용성인 염료 또는 수용성인 염료에 금속염 등을 가해서 침전시킨 것으로서, 색이 선명하고 착색력이 강하며 색의 종류가 다양하여 인쇄잉크, 일시 모발 염착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염료는 분자 안에 1 개 이상의 아조기(-N=N-)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색 202 호(CI 15850), 적색 205 호(CI 15630), 적색 206 호(CI 15630), 적색 207 호(CI 15630), 적색 208 호(CI 15630), 적색 219 호(CI 15800), 적색 220 호(CI 15880), 적색 221 호(CI 12120), 적색 228 호(CI 12085), 적색 404 호(CI 12315), 등색 203 호(CI 12075), 등색 204 호(CI 21110), 등색 401 호(CI 11725), 황색 205 호(CI 21090), 황색 401 호(CI 11680), 청색 404 호(CI 74160)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는 다음 화학식 1 내지 3과 같다.
Figure 112009007450335-pat00001
[적색 202호, CI 15850, AKA 202]
Figure 112009007450335-pat00002
[등색 203호, CI 12075, DAIDAI 203]
Figure 112009007450335-pat00003
[황색 205호, CI 21090, KI 205]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이루어진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은 모발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소수성 방수 피막제는 모발에 고착된 도포물질을 모발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강력한 방수 피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로 인해 효과적인 도포와 우수한 방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대나무 숯과 유기 안료를 비롯한 도포물질이 비나 땀 등에 흘러내려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흑색 모발 도포제 조성물 제조
도 1에 나타낸 공정에 의하여, 다음 표 1의 중량%로 소수성 방수 피막제, 대나무 숯 분말, 저급 알코올을 순서대로 교반하면서 투입한 후 분사제를 충전하여 흑색의 모발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갈색 모발 도포제 제조
도 2에 나타낸 공정에 의하여, 상기 표 1의 중량%로 소수성 방수 피막제, 대나무 숯 분말, 저급 알코올, 유기 안료를 순서대로 교반한 후 분사제를 충전하여 갈색의 모발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흑색 모발 도포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색 모발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흑색 모발 도포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소수성 방수 피막제 대신 종래의 일시 모발 도포제에 주로 사용되는 수용성 피막제를 이용하여 흑색 모발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07450335-pat00004
[실험예]
실험예 1 : 모발 도포 효과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의 모발 도포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수리 부분에 모발이 부족한 사람에게 상기 실시예 1 조성물을 도포한 후 모발이 부족한 부분이 풍성해지는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실험예 2 : 소수성 방수 피막제와 분사제와의 상용성 실험
실시예 1과 비교예 1 조성물의 소수성 방수 피막제와 분사제와의 사용성을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모발 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그 비교 결과는 도 4와 같다.
실험예 3 : 소수성 방수 피막 형성 확인
모발 도포제 조성물의 소수성 방수 피막 형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용 백모에 실시예 1과 비교예 2 조성물을 도포하고 20 ℃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깨끗한 물과 인공 땀 용액에 각각 담갔을 때 모발에 도포된 대나무 숯과 유기 안료가 용해되는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도 6a, 도 6b와 같다. 이때, 인공 땀 용액은 염화암모늄 1.0 중량%, 젖산 0.1 중량%, 수소인산이나트륨 0.1 중량%, 염산 히스티딘 0.02 중량% 및 정제수 98.78 중량%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의 관찰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발이 부족하였던 정수리 부분에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도포되어 모발이 풍성해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의 관찰 결과, 분사제로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한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실시예 1)을 도포한 도 4의 a 경우 모발 표면에 도포제 조성물이 균일하고 매끈하게 도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부탄을 분사제로 사용한 조성물(비교예 1)을 도포한 도 4의 b 경우 조성물이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고 뭉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3의 관찰 결과, 소수성 방수 피막제를 함유한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실시예1)을 도포한 백모를 깨끗한 물과 인공 땀 용액에 담갔을 경우, 도 6a와 도 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포 물질이 용해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반면, 소수성 방수 피막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2)을 도포한 백모를 깨끗한 물과 인공 땀 용액에 담갔을 경우, 도 6a와 도 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포제 조성물이 용해되어 물과 인공 땀 용액이 숯가루로 인해 탁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 모발 도포제는 두피와 모발의 손상없이 모발이 부족한 부분을 풍성하게 만드는 증모효과가 뛰어나고, 소수성 고분자 방수 피막제와 분사제와의 상용성 문제점을 해결하고, 방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비나 땀 등에 흘러내려 피부나 의복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흑색의 액상 일시 모발 도포제를 제조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갈색의 액상 일시 모발 도포제를 제조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직접 적용한 전 후의 비교사진으로 일시 모발 도포제의 증모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분사제(디메틸에테르)와 비교예 1에 따른 분사제(부탄)를 사용한 모발의 비교 사진이다.
도 5는 방수 피막 형성제 여부에 따른 모발 도포제가 도포된 모발 사진이다.
도 6는 방수 피막 형성제 여부에 따른 물에 담근 사진(도 6a), 인공 땀 용액에 담근 사진(도 6b)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1. 대나무 숯 분말 5-40중량%, 소수성 방수 피막제로서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5-35중량%,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10-40중량% 및 분사제로서 디메틸에테르 35-5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은 유기 안료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안료는 전체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3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안료는 적색 안료, 등색 안료, 황색 안료 및 청색 안료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KR1020090009654A 2009-02-06 2009-02-06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KR10118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54A KR101183526B1 (ko) 2009-02-06 2009-02-06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US13/148,068 US20110293680A1 (en) 2009-02-06 2009-07-20 Composition of a Temporary Hair Thickener
PCT/KR2009/003999 WO2010090380A1 (en) 2009-02-06 2009-07-20 Composition of a temporary hair thickener
JP2011549051A JP2012516888A (ja) 2009-02-06 2009-07-20 一時毛髪塗布剤組成物
CN200980156168.9A CN102307560B (zh) 2009-02-06 2009-07-20 暂时头发浓密剂的组合物
GB1113997A GB2479334A (en) 2009-02-06 2009-07-20 Composition of a temporary hair thick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54A KR101183526B1 (ko) 2009-02-06 2009-02-06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04A KR20100090404A (ko) 2010-08-16
KR101183526B1 true KR101183526B1 (ko) 2012-09-20

Family

ID=4254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654A KR101183526B1 (ko) 2009-02-06 2009-02-06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93680A1 (ko)
JP (1) JP2012516888A (ko)
KR (1) KR101183526B1 (ko)
CN (1) CN102307560B (ko)
GB (1) GB2479334A (ko)
WO (1) WO2010090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77B1 (ko) * 2011-04-15 2012-06-22 전해연 엠자 이마에 적용되는 모발증모제의 제조방법
US10271627B1 (en) 2014-02-05 2019-04-30 Joseph J. Calvo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ocessing and dispensing hair building material
JP6595644B2 (ja) * 2018-03-12 2019-10-23 三菱鉛筆株式会社 化粧料用顔料分散液、それを用いた水系液体化粧料
CN112574701A (zh) * 2019-09-30 2021-03-30 莱施菲公司 用于将人造睫毛粘附到眼睛区域的粘合剂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745A (ja) * 2003-08-29 2005-03-24 Sohatsu:Kk 薄毛用スプレー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7039A (en) * 1977-11-07 1979-05-30 Sanpatsu Sangiyou Kk Cosmetics composition for hair coloring
JP3628769B2 (ja) * 1995-09-25 2005-03-16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JP3693437B2 (ja) * 1995-11-30 2005-09-07 三菱鉛筆株式会社 一時染毛料及びその製造法
JP2003119428A (ja) * 2001-08-07 2003-04-23 Nobuo Saito エアゾール組成物
JP2003137749A (ja) * 2001-10-29 2003-05-14 Yukio Sato スプレー容器入り擬増毛材
JP2005082499A (ja) * 2003-09-05 2005-03-31 Kyowa Industrial Co Ltd エアゾール増毛着色剤
DE10354015A1 (de) * 2003-11-19 2005-06-02 Wella Ag Wasserglas enthaltendes, verdicktes Haarbehandlungsmitt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745A (ja) * 2003-08-29 2005-03-24 Sohatsu:Kk 薄毛用スプレー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79334A (en) 2011-10-05
GB201113997D0 (en) 2011-09-28
CN102307560A (zh) 2012-01-04
KR20100090404A (ko) 2010-08-16
JP2012516888A (ja) 2012-07-26
US20110293680A1 (en) 2011-12-01
WO2010090380A1 (en) 2010-08-12
CN102307560B (zh)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159B1 (ko) 염모 방법, 그 염모 방법에 이용되는 염모제 세트, 및 모발용 트리트먼트제
JP2020524716A (ja) 変色性組成物
TWI399220B (zh) 噴霧型增髮著色染髮料
EP3442498B1 (en) Sprayable compositions for styling hair
KR101183526B1 (ko) 일시 모발 도포제 조성물
CN107595672B (zh) 发色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10891546A (zh) 毛发化妆品组合物、染发剂组合物和染发处理方法
KR101329094B1 (ko) 모발의 증모방법, 모발의 하지부제를 정착고정하는 방법 및이들의 방법에 사용하는 증모세트제
US20210228455A1 (en) Volume Boosting Molding Hair Coloring Creme Formulation
US20170014314A1 (en) Liquid cosmetic composition suitable for changing temporarily keratinic fibers color - related method
JP2008101001A (ja) 瞼及び眉の着色のための化粧用製剤
KR101510486B1 (ko) 카테킨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EP2480196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electively treating skin
CN105792797A (zh) 用于毛发着色的配制品和方法
KR101625470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644532B1 (ko) 젤라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립타투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288319B2 (ja) 細くなった毛髪の増毛方法
CN109689013A (zh) 化妆品组合物
JP2012246284A (ja) 染毛料
CN108135805A (zh) 美容面膜
EP0904044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curling of eye lashes
KR101625600B1 (ko) 일시 증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043431A (ja) 毛髪染色剤
JP2016117660A (ja) 皮膚彩色用化粧料
KR20180000906A (ko)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