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697B1 -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697B1
KR101328697B1 KR1020120129674A KR20120129674A KR101328697B1 KR 101328697 B1 KR101328697 B1 KR 101328697B1 KR 1020120129674 A KR1020120129674 A KR 1020120129674A KR 20120129674 A KR20120129674 A KR 20120129674A KR 101328697 B1 KR101328697 B1 KR 10132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or
water
methane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준
백준현
김수한
김경태
유영돈
강석환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697B1/ko
Priority to AU2013254955A priority patent/AU20132549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697B1/ko
Priority to CN201310573039.8A priority patent/CN10382018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10L3/08Production of synthetic natural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9/00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 C07C9/02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with one to four carbon atoms
    • C07C9/04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2Removal of contaminants
    • C10K1/003Removal of contaminants of acid contaminants, e.g. acid gas removal
    • C10K1/005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4Gas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dustrial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가스 제조단계; 탈황단계;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 1차 메탄합성단계; 및 2차 메탄합성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과 등온반응기; 응축기;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1차 단열반응기; 및 2차 단열반응기를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메탄 합성 수율을 얻을 수 있으며, 재순환 단계 및 별도의 수성가스전환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공정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ynthetic natural gas}
본 발명은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 혹은 바이오매스 등의 가스화를 통하여 얻어지거나 혹은 석유화학산업 등의 부생가스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메탄을 합성하여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공정에서는 석탄 가스화 단계(S100)에서 발생된 CO, CO2, H2 등이 혼합된 합성가스에서 고온의 열을 회수하고, 상기 합성가스중의 먼지를 포집한 후(열회수 및 집진단계(S110)), 수성가스전환반응기(Water-gas shift reactor)로 들어가게 된다.(수성가스전환반응 단계(S120)) 일반적으로 석탄 가스화에 의해 발생된 합성가스의 H2/CO 비율은 0.5~1 정도인데,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통해 상기 합성가스의H2/CO 비율이 3 정도로 높인 후, 탈황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130)을 거쳐 메탄 합성공정(S140)으로 보내게 된다.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메탄이 주성분인 합성천연가스를 만드는 주요 반응식 및 반응열은 하기 화학식 1 및 2와 같다.
CO + 3H2 → CH4 + H2O (반응열 : 206kJ/mol) (1)
CO2 + 4H2 → CH4 + 2H2O (반응열 : 165kJ/mol) (2)
한편, CO와 H2의 반응에서 생성된 수분에 의하여 메탄 합성 반응에서는 하기 화학식 3과 같이 수성가스 전환반응이 부반응으로 발생되며, 여기서 발생된 CO2에 의해 상기 화학식 2와 같이 CO2로부터 메탄 합성반응도 같이 일어난다.
CO + H2O → H2 + CO2 (반응열 : 41.1kJ/mol) (3)
위와 같은 메탄 합성반응은 열역학적으로 압력이 올라가면 유리하고, 반대로 반응온도가 상승할수록 메탄의 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주로 Ni계 촉매가 사용되는데, 강한 발열이 수반되기 때문에 반응열의 효과적인 추출 및 제어가 합성공정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기술이 된다. 특히 일반적인 Ni계 촉매는 700℃ 이상에서는 소결 현상에 의해 촉매의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온도 조절이 특히 중요하다.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된 Ni계 촉매의 경우도 800℃ 이상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촉매층의 온도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업공정에서는 최종 생성된 메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단열반응기를 사용하고, 일부 반응기에서 반응하고 나온 생성가스를 반응기 전단으로 재순환하여 반응기 유입가스와 혼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므로써, 반응기 유입가스의 CO, H2 농도를 낮추어 반응열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2는 종래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모두 단열반응기를 사용한다. 상기 공정에서는 1차 단열반응기(201)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약 70%(재순환 가스(102))를 재순환 압축기(204)를 사용하여 1차 반응기 유입부로 재순환시켜, 희석효과에 의해 1차 반응기(201)의 반응열을 제어하고, 상기 1차 단열반응기(201)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30%는 2차 단열반응기(202) 및 3차 단열반응기(203)를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메탄의 수율을 올린다. 재순환된 가스를 이용하여 1차 반응기에서 온도를 700℃ 이하로 유지하게 되면, 1차 반응기 후단에서는 약 50% 정도의 메탄 조성을 얻을 수 있는데, 최소한 3단의 단열반응기를 사용해야 90% 이상의 메탄 조성을 얻을 수 있으며, 97% 이상의 메탄을 얻기 위해서는 약 5단의 단열반응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한국특허 10-2010-0042266(출원일 2010.5.6)에서는 합성가스를 1차 단열반응기와 2차 단열반응기로 나누어 보내고, 1차 단열반응기에서 나오는 생성물 일부를 재순환하여 다시 1차 반응기로 혼합하여 보내는 방식으로 반응열을 제어하고 있는데, 4개의 단열반응기를 사용하여 90% 이상의 메탄 조성의 생성가스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반응기 조합기술은 고온, 고압의 가스를 재순환하기 위한 설비 비용이 많이 들고, 다수개의 단열반응기를 사용해야 원하는 메탄 수율을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석탄 가스화에 의해 발생된 합성가스를 수성가스전환반응에 의한 H2/CO 비의 조절 없이 스팀과 함께 등온반응기에 투입하여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등온반응기의 냉각효과와 스팀에 의한 희석효과에 의해 반응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스의 재순환 과정과 수성가스전환과정을 생략하여 공정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합성가스의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이 동시에 수행되고, 메탄 합성 수율이 높은 등온반응기를 구비하며, 상기 등온반응기에 스팀을 함께 투입하여 반응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스의 재순환 설비와 수성가스전환설비가 생략되어 공정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석탄 또는 바이오매스를 산소, 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합성가스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합성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불순물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단계; 상기 탈황단계를 거친 합성가스를 스팀과 함께 등온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냉각하여 수분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를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1차 메탄합성단계;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2차 단열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2차 메탄합성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합성가스의 H2/CO 비는 0.5~1.5일 수 있다.
상기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에서 상기 등온반응기에 공급하는 합성가스 및 스팀의 부피비는 1:0.4~1.5일 수 있다.
상기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은 과포화스팀을 증기 터빈에 공급하여 발전하는 발전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과포화스팀은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이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되는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는 250~3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스팀과 석탄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이 동시에 수행되는 등온반응기;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1차 단열반응기;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2차 단열반응기를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되는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는 250~350℃일 수 있다.
상기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는 상기 등온반응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이 회수되는 냉각수 공급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는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과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2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메탄 합성 수율을 얻을 수 있으며, 재순환 단계 및 별도의 수성가스전환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공정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합성천연가스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합성천연가스(306)를 제조함에 있어서, H2/CO 비가 낮은 합성가스(301)를 등온반응기(401)에 투입하여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스팀(302)을 투입하여 반응온도를 조절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H2/CO 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성가스 전환공정 및 반응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스 재순환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등온반응기(401)를 사용하여 높은 메탄 합성 수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석탄 또는 바이오매스를 산소 및/또는 수소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301)를 제조하는 합성가스 제조단계(S200); 상기 제조된 합성가스(301)의 열을 회수하고, 불순물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단계(S210); 상기 탈황단계(S210)를 거친 합성가스(301)를 스팀(302)과 함께 등온반응기(401)에 공급하여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S220);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를 냉각하여 수분(304) 및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 상기 수분(304)과 이산화탄소(305)가 제거된 가스를 1차 단열반응기(407)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1차 메탄합성단계(S240);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를 2차 단열반응기(408)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2차 메탄합성단계(S250)를 포함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합성가스 제조단계(S200)에서는 석탄 또는 바이오매스를 산소 및/또는 수소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가 제조된다. 상기 합성가스의 온도는 900℃ 이상이며, 황 및 기타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 합성천연가스를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합성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500℃ 이하로 제어하고, 황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열회수, 집진 및 탈황단계(S210)를 수행한다. 상기 열회수, 집진 및 탈황단계(S210)에 사용하는 열교환기, 집진장치 및 탈황장치(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 집진장치 및 탈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탈황단계(S210)를 거친 합성가스(301)는 별도의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거치지 않은 것이므로, H2/CO 비가 0.5~1.5일 수 있다.
상기 탈황단계(S210)를 거친 합성가스(301)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S220)에서 스팀(302)과 혼합되어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 전환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된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쉘-튜브 방식 혹은 애뉼러 방식의 반응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온반응기(40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메탄합성반응의 메탄 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Ni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메탄합성반응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탱크(409)로부터 배출된 냉각수(308)는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되어 상기 등온반응기(401)를 냉각시킨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냉각수(308)에 의해 냉각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략 700℃의 반응 온도를 갖지만, 상기 냉각수(308)에 의해 냉각되는 경우 통상 270~370℃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의 반응 온도는 단열반응기의 반응 온도에 비해 약 300℃ 이상 낮은 온도이므로, 메탄 합성 수율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S220)에서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하는 합성가스(301) 및 스팀(302)의 부피비는 1:0.4~1.5일 수 있다. 상기 스팀(302)은 수성가스전환반응의 반응물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가스(301)를 희석하여 반응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합성가스(301)의 부피 1을 기준으로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되는 스팀(302)의 부피가 0.4 미만인 경우, 반응열 억제 효과가 미미하여 반응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결현상에 의해 촉매의 수명이 감축되며, 상기 공급되는 스팀(302)의 부피가 상기 합성가스(301)의 부피 1을 기준으로 1.5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가스가 과다하게 희석되어 메탄 합성 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는 수분(304)과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반응에 의해 메탄, 수분(304), 이산화탄소(305) 및 수소를 포함하는데, 상기 수분(304)과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한 후 메탄합성기에 공급함으로써 메탄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를 열교환기(402)에 통과시킴으로써 40~100℃로 냉각한 후, 응축기(404)에 통과시킴으로써 수분을 응축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이산화탄소 제거장치(405)에 통과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율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수분 및 이산화탄소의 약 80~98%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에서 냉각된 가스는 1차 단열반응기(407)에 공급되기 전에 가열수단(406)에 의해 메탄합성반응에 적절한 온도로 승온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250~3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406)은 열교환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304) 및 이산화탄소(305)가 제거된 가스는 1차 단열반응기(407)에 공급되어 메탄을 합성하는 1차 메탄합성단계(S2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추가로 메탄이 합성되어,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의 메탄 함량은 전체 가스의 약 90~95 vol%가 될 수 있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를 2차 단열반응기(408)에 공급하여 메탄의 수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데, 상기 2차 단열반응기(408)에서 배출된 가스의 메탄 함량은 약 97%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2차 단열반응기(408)에서 배출된 가스는 열교환기(402')에 의해 냉각된 후, 응축기(404')를 통과함으로써 수분(304')이 제거되어, SNG(306)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된 냉각수(308)는 등온반응기(401)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포화스팀(309)이 되어, 냉각수 공급탱크(409)로 회수된다. 상기 회수된 포화스팀(309)은 파이프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열교환기(403)를 통과하면서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과포화스팀(307)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은 상기 과포화스팀(307)을 증기 터빈에 공급하여 발전하는 발전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석탄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와 스팀(302)이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이 동시에 수행되는 등온반응기(401);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304)을 제거하는 응축기(404);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장치(405);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304) 및 이산화탄소(305)가 제거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1차 단열반응기(407);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2차 단열반응기(408)를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석탄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는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되기 전에 열교환기, 집진장치 및 탈황장치(도 4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여 열회수, 집진 및 탈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석탄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301)는 스팀(302)과 혼합되어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된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쉘-튜브 방식 혹은 애뉼러 방식의 반응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온반응기(40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메탄합성반응의 메탄 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Ni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메탄합성반응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는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냉각수(308)를 공급하고, 상기 등온반응기(401)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309)이 회수되는 냉각수 공급탱크(409)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탱크(409)로부터 배출된 냉각수(308)는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되어 상기 등온반응기(401)를 냉각시킨다. 상기 등온반응기(401)는 냉각수(308)에 의해 냉각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략 700℃의 반응 온도를 갖지만, 상기 냉각수(308)에 의해 냉각되는 경우 통상 270~370℃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의 반응 온도는 단열반응기의 반응 온도에 비해 약 300℃ 이상 낮은 온도이므로, 메탄 합성 수율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는 수분(304)과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반응에 의해 메탄, 수분(304), 이산화탄소(305) 및 수소를 포함하는데, 상기 수분(304)과 이산화탄소(305)를 제거한 후 메탄합성기에 공급함으로써 메탄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를 열교환기(402)에 통과시킴으로써 40~100℃로 냉각한 후, 응축기(404)에 통과시킴으로써 수분을 응축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이산화탄소 제거장치(405)에 통과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율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등온반응기(401)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수분 및 이산화탄소의 약 80~98%가 제거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 공급되는 상기 수분(304) 및 이산화탄소(305)가 제거된 가스는 250~350℃일 수 있다. 상기 온도는 메탄합성 반응개시 온도로서,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S230)에서 냉각된 가스를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온도범위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열교환기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406)에 의해 가열된 가스는 1차 단열반응기(407)에 공급되며,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추가로 메탄이 합성된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의 메탄 함량은 배출된 가스의 전체 부피의 약 90~95 vol%가 될 수 있다.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를 2차 단열반응기(408)에 공급하여 메탄의 수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데, 상기 2차 단열반응기(408)에서 배출된 가스의 메탄 함량은 약 97%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는 2차 단열반응기(408)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304')을 제거하는 응축기(404')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메탄의 함량을 더욱 높은 SNG(306)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등온반응기(401)에 공급된 냉각수(308)는 등온반응기(401)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포화스팀(309)이 되어, 냉각수 공급탱크(409)로 회수된다. 본 발명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는 상기 등온반응기(401)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309)과 상기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03)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수된 포화스팀(309)은 파이프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열교환기(403)를 통과하면서 1차 단열반응기(407)에서 배출된 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과포화스팀(307)으로 생성되며, 상기 과포화스팀(307)은 증기 터빈에 공급되어 발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1: 합성가스 102: 재순환 가스
103: SNG 104: 수분
201: 1차 단열반응기 202: 2차 단열반응기
203: 2차 단열반응기 204: 재순환 압축기
301: 합성가스 302: 스팀
303: 냉각수 304(304'): 수분
305: 이산화탄소 306: SNG
307: 과포화스팀 308: 등온반응기로 공급되는 냉각수
309: 포화스팀
401: 등온반응기 402(402'): 열교환기
403: 포화스팀과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의 열교환기
404(404'): 응축기 405: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406: 가열수단 407: 1차 단열반응기
408: 2차 단열반응기 409: 냉각수 공급탱크

Claims (10)

  1. 석탄 또는 바이오매스를 산소, 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합성가스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합성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불순물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단계;
    상기 탈황단계를 거친 합성가스를 스팀과 함께 등온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냉각하여 수분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를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1차 메탄합성단계;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2차 단열반응기에 공급하여 메탄을 합성하는 2차 메탄합성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의 H2/CO 비는 0.5~1.5인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합성 및 수성가스 전환단계에서 상기 등온반응기에 공급하는 합성가스 및 스팀의 부피비는 1:0.4~1.5인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과포화스팀을 증기 터빈에 공급하여 발전하는 발전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과포화스팀은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이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생성된 것인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되는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는 250~350℃인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6. 스팀과 석탄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과 수성가스전환반응이 동시에 수행되는 등온반응기;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
    상기 등온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1차 단열반응기; 및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가 공급되어 메탄합성반응이 수행되는 2차 단열반응기
    를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 공급되는 상기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는 250~350℃인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반응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이 회수되는 냉각수 공급탱크를 추가로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반응기의 반응열에 의해 발생된 포화스팀과 상기 1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단열반응기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KR1020120129674A 2012-11-15 2012-11-15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74A KR101328697B1 (ko) 2012-11-15 2012-11-15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U2013254955A AU2013254955B2 (en) 2012-11-15 2013-11-0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ynthetic natural gas
CN201310573039.8A CN103820182B (zh) 2012-11-15 2013-11-15 生产合成天然气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74A KR101328697B1 (ko) 2012-11-15 2012-11-15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697B1 true KR101328697B1 (ko) 2013-11-14

Family

ID=4985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74A KR101328697B1 (ko) 2012-11-15 2012-11-15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28697B1 (ko)
CN (1) CN103820182B (ko)
AU (1) AU2013254955B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822B1 (ko) 2014-02-28 2015-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Gtl fpso 합성원유의 유동성 향상장치
KR101628661B1 (ko) * 2014-12-10 2016-06-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75857B1 (ko) * 2016-04-06 2018-07-06 한국가스공사 고열량 합성천연가스 제조 방법
KR20210146079A (ko) * 2020-05-26 2021-1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소 농도가 낮은 합성가스를 이용한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882B (zh) * 2017-11-30 2021-05-28 浦项产业科学硏究院 高热值合成天然气的制备方法及其制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932A (en) 1977-02-08 1981-10-13 Linde Ag Methanation process
KR20100116540A (ko) * 2009-04-22 2010-11-0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대체 천연 가스 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67012A (ko) * 2011-12-13 2013-06-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합성가스로부터 메탄 합성 방법 및 메탄 합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386A (en) * 1973-10-26 1975-09-09 Us Interior Combined shift and methanation reaction process for the gasific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CN1024536C (zh) * 1988-10-19 1994-05-1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常压水煤气甲烷化用活性非均布型催化剂及其制造方法
CN100582201C (zh) * 2007-06-22 2010-01-20 清华大学 基于煤气化与甲烷化的电-替代天然气联产系统及工艺
JP2012514039A (ja) * 2008-12-31 2012-06-21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サーチ・マートスハツペイ・ベー・ヴエー メタンリッチガスの生成方法
CN102344841A (zh) * 2011-09-20 2012-02-08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利用煤基合成气制备代用天然气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932A (en) 1977-02-08 1981-10-13 Linde Ag Methanation process
KR20100116540A (ko) * 2009-04-22 2010-11-0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대체 천연 가스 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67012A (ko) * 2011-12-13 2013-06-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합성가스로부터 메탄 합성 방법 및 메탄 합성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822B1 (ko) 2014-02-28 2015-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Gtl fpso 합성원유의 유동성 향상장치
KR101628661B1 (ko) * 2014-12-10 2016-06-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75857B1 (ko) * 2016-04-06 2018-07-06 한국가스공사 고열량 합성천연가스 제조 방법
KR20210146079A (ko) * 2020-05-26 2021-1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소 농도가 낮은 합성가스를 이용한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KR102397182B1 (ko) 2020-05-26 2022-05-1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소 농도가 낮은 합성가스를 이용한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54955A1 (en) 2014-05-29
AU2013254955B2 (en) 2016-04-14
CN103820182B (zh) 2016-09-07
CN103820182A (zh)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3743B1 (en) Blast furnace operation method, iron mill op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utilizing a gas containing carbon oxides
CA2686034C (en) Co-production of methanol and ammonia
CN101293812B (zh) 含甲烷合成气联产甲醇和天然气技术
KR101429973B1 (ko)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농도비가 낮은 합성가스를 이용한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28697B1 (ko)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692034B2 (en) Co-production of methanol and ammonia
KR20100135676A (ko) 이산화탄소 재순환 방법
EP28839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biomass gasification by cycling of carbon dioxide without oxygen
KR20130026869A (ko) 일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177772B (zh) 甲醇、氨和尿素的联合生产
CA2985284C (en) Use of syngas comprising carbon monoxide and water in the synthesis of methanol
KR20150075227A (ko) 고효율의 합성천연가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4030846B2 (ja) メタノ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1646588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을 연계한 석탄 가스화 플랜트
WO2019008317A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METHANOL
KR101342136B1 (ko) 합성가스로부터 메탄 합성 방법 및 메탄 합성 장치
KR20180100899A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건식 개질 반응을 이용한 아세트산의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28661B1 (ko)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48522B1 (ko) 석탄 가스화기를 이용하는 합성가스 제조장치 및 방법
CN103911196A (zh) 一种利用工厂废气制天然气的方法和装置
JP2022012436A (ja) メタノール及びメタンの併産方法並びにメタノール及びメタンの併産設備
KR101342145B1 (ko) 합성가스로부터 메탄 제조 방법 및 메탄 합성 장치
CN105347302B (zh) 一种天然气转化生产合成气的方法
US9242907B2 (en) Biomass gasification gas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methanol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KR20230116442A (ko) 제철 부생가스를 이용한 환원가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